KR101583757B1 -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 Google Patents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3757B1 KR101583757B1 KR1020150056155A KR20150056155A KR101583757B1 KR 101583757 B1 KR101583757 B1 KR 101583757B1 KR 1020150056155 A KR1020150056155 A KR 1020150056155A KR 20150056155 A KR20150056155 A KR 20150056155A KR 101583757 B1 KR101583757 B1 KR 101583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ring
- length
- drums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4—Auxiliary removable stacking elements other than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상하 관통된 몸체, 상기 몸체 둘레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윤대, 상기 몸체의 일측을 막는 상판, 상기 몸체의 타측을 막는 하판, 상기 몸체와 상판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1 권체, 상기 몸체와 하판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2 권체 및 드럼통용 보호링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통용 보호링은 상기 제1 권체 또는 상기 제2 권체를 감싸 이웃한 드럼통의 권체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에 관한 것이다.
드럼통은 얇은 강판으로 만들어져 액체, 분체 등이 보관되며 내부가 상하 관통된 몸체, 몸체 일측을 막는 상판(TOP ENDS) 및 몸체 타측을 막는 하판(BOTTOM ENDS)을 포함한다. 몸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몸체를 보강하는 윤대(BEAD)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통은 세운 상태로 쌓는 수직적재 또는 눕혀 서로 엇갈려 쌓아는 수평적재방식으로 보관된다. 수직적재의 경우 드럼통을 창고 등에 보관할 때에는 서로 엇갈리게 보관되나, 이송할 경우 엇갈리지 않고 1자로 적재하게 된다.
수직적재의 경우 드럼통을 쌓고 내릴 때 발생하는 충격 및 드럼통 간의 상호 마찰로 인해 드럼통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수평적재의 경우 이웃한 드럼통의 몸체와 윤대 간에 마찰이 발생하고, 권체(seaming)(몸체와 상판, 몸체와 하판을 결합하는 부분)와 몸체간에 마찰이 발생되어 드럼통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드럼통을 적재하거나, 운반할 때 이웃한 드럼통간에 서로 마찰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용 보호링은 드럼통의 권체(seaming)를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권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제1 부재 및 상기 권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재와 마주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부재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체에 걸리며, 상기 제3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부재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에 상기 걸림부의 양 끝이 위치한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상기 제1 부재 부분은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의 절개부 길이는 상기 제1 부재의 상항 방향 전체 길이 중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2/3를 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재의 하단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걸림부의 끝부분은 상기 절개부의 끝 부분 보다 상기 제1 부재 하단과 더 가까울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길이는 5 내지 60mm일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의 상면 중앙부분은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은 내부가 상하 관통된 몸체, 상기 몸체 둘레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윤대, 상기 몸체의 일측을 막는 상판, 상기 몸체의 타측을 막는 하판, 상기 몸체와 상판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1 권체, 상기 몸체와 하판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2 권체 및 위에서 설명한 드럼통용 보호링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통용 보호링은 상기 제1 권체 또는 상기 제2 권체를 감싸 이웃한 드럼통의 권체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상기 드럼통용 보호링의 외측면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윤대 보다 더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통을 수직 또는 수평 적재할 때 이웃한 드럼통에 결합된 드럼통용 보호링들이 서로 맞닿게 되면서 드럼통의 몸체, 윤대 등이 서로 마찰되지 않아 마찰에 의한 드럼통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통을 1자 형태로 수직 적재할 때 상부측에 위치한 드럼통의 제2 권체가 하부측에 위치한 드럼통용 보호링의 안착홈에 놓이게 되면서 드럼통용 보호링이 상부측 드럼통을 잡아주는 형태가 된다. 이에 상부측에 놓인 드럼통은 흔들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통용 보호링이 결합된 드럼통을 굴릴 때 권체보다 넓이가 넓은 제1 부재의 외측면이 지면에 접하므로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드럼통은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다. 이에 드럼통의 운반성이 항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재는 제1 권체의 내부 상측에만 접하고 하측에는 접하지 않는다. 이에 제1 권체의 하측은 노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드럼통을 운반, 적층할 때 드럼통용 보호링을 잡지 않고 노출된 드럼통 표면을 직접 잡을 수 있다. 이에 드럼통용 보호링을 잡는 것보다 드럼통 표면을 직접 잡으므로 작업자는 드럼통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드럼통용 보호링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절개부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드럼통이 1자로 수직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드럼통이 엇갈리게 수직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은 도 1의 드럼통이 수평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D부분 확대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드럼통용 보호링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절개부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드럼통이 1자로 수직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드럼통이 엇갈리게 수직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은 도 1의 드럼통이 수평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D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용 보호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드럼통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드럼통용 보호링이 적용된 드럼통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통(1)은 몸체(11), 윤대(12), 상판(21), 하판(22), 제1 권체(31), 제2 권체(32) 및 드럼통용 보호링(40)을 포함한다.
몸체(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다. 몸체(11)의 외부 둘레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몸체(11)를 보강하기 위한 윤대(12)가 형성된다. 윤대(12)는 몸체(11)가 볼록하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11)의 일측은 상판(21)에 의해 막혀 있고 타측은 하판(22)에 의해 막혀 있다. 상판(21)과 몸체(11)는 제1 권체(31)에 의해 결합되고, 하판(22)과 몸체(11)는 제2 권체(32)에 의해 결합된다.
제1 권체(31)는 상판(21)의 가장자리와 몸체(11)의 일측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몸체(11) 외측 방향으로 복수 접히어 형성되고, 제2 권체(32)는 하판(22)의 가장자리와 몸체(11)의 타측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복수 접히어 형성된다.
제1 권체(31)와 제2 권체(32)의 두께(T1)는 몸체(11)의 두께(T2)보다 두껍다. 이에 몸체(11)와 제1 권체(31) 경계 부분, 몸체(11)와 제2 권체(32) 경계 부분에 단턱(31c)이 형성된다. 제1 권체(31)와 상판(21), 제2 권체(32)와 하판(22)은 단턱(31a, 32a)를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드럼통용 보호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드럼통용 보호링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절개부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드럼통용 보호링(40)은 제1 권체(31) 또는 제2 권체(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동일한 구조의 드럼통용 보호링(40)이 제1 권체(31)과 제2 권체(32)에 결합되므로, 이하 제1 권체(31)에 결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드럼통용 보호링(40)은 적재되는 드럼통 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41) 및 걸림부(42)를 포함한다.
본체(41)는 이웃한 드럼통의 몸체, 윤대, 권체 등이 서로 마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제1 부재(411), 제2 부재(412) 및 제3 부재(413)를 포함한다.
제1 부재(411)는 제1 권체(31)의 외측면(31a) 및 몸체(11) 외측면 일부분과 마주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체(41)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상하 관통된 링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체(41)의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어 본체(41)가 드럼통의 권체에 결합되어도 드럼통의 상면은 노출된다.
윤대(12)의 최상 블록 부분이 몸체(11)의 외측면에서 떨어진 거리(L1)보다, 제1 부재(411)의 외측면이 몸체(11)의 외측면에서 떨어진 거리(L2)가 더 길다. 이에 따라 드럼통용 보호링(40)이 결합된 드럼통이 적층될 때 드럼통용 보호링 들이 서로 접하고 드럼통 들은 서로 접하지 않는다. 이에 이웃한 드럼통 들이 접하면서 발생하는 마찰, 파손 등이 일어나지 않는다. 드럼통을 굴릴 때 제1 권체(31) 보다 상하 폭이 넓은 제1 부재(411)에 외측면이 지면과 접하므로 드럼통은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다.
제2 부재(412)는 제1 권체(31)를 사이에 두고 제1 부재(411)와 마주한다. 제2 부재(412)의 내측면은 제1 권체(31)의 내측면(31b)과 접한다.
제2 부재(412)의 길이는 제3 부재(413)를 기준으로 제1 부재(411) 길이보다 짧다. 제1 부재(411)의 내측면 상부는 제1 권체(31)의 외측면(31a)과 접하고 내측면 하부는 몸체(11)의 외측면과 마주한다.
제2 부재(412)는 제1 권체(31) 내측면 상부 일부분과 접한다. 제2 부재(412)의 끝 부분(412a)의 적어도 일부분 상판(21)의 표면과 간격(G)을 두고 떨어져 있다. 제1 권체(31)의 내측면 하부 적어도 일부분은 노출되어 작업자가 드럼통의 권체 내측면을 직접 잡을 수 있다. 드럼통용 보호링을 잡고 드럼통을 운반하게 되면 드럼통용 보호링이 드럼통에서 벗겨질 수 있다. 이에 드럼통이 떨어질 수 있어 운반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재(412)를 잡지 않고 제1 권체(31)를 작업자가 직접 잡으므로 드럼토용 보호링이 벗겨지지 않는다. 이에 작업자는 드럼통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
제3 부재(413)는 제1 부재(411)와 제2 부재(412)를 연결하고 제1 권체(31)의 상면에 접해 있다. 제3 부재(413)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413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411), 제2 부재(412) 및 제3 부재(413)에 의해 제1 권체(31)의 적어도 3면은 본체(41)가 감싸면서 보호하게 된다.
제1 부재(411), 제2 부재(412) 및 제3 부재(413)가 연결된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 부분이 직각으로 형성되면 충격 시 쉽게 크랙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곡면으로 형성되어 충격이 분산되어 크랙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걸림부(42)는 제1 부재(411) 내측면에서 몸체(11)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제1 부재(411) 내측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걸림부(42)의 개수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드럼통의 직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걸림부(42)는 단턱(31c)에 걸리며 본체(41)가 제1 권체(3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걸림부(42)의 길이는 5 내지 60mm이다. 걸림부(42)의 길이가 5mm 미만이면 단턱(31c)에 걸리는 면적이 작아 걸림력이 저하되어 본체(41)가 제1 권체(3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없다. 이 경우 걸림부(42)의 개수가 더욱 많이 형성되어야 한다. 본체(41)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42)가 60mm를 초과할 경우 본체(41)를 제1 권체(31)에서 분리할 때 본체(41) 부분이 원활하게 구부러지지 않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체(41)를 제1 권체(31)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걸림부(42)의 양단(42a, 42b)이 위치한 제1 부재(411)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부(411a)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411a)의 길이는 제1 부재(411)의 상하 방향 전체 길이에서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2/3 범위를 넘지 않는다. 제1 부재(411)의 하단(411c)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걸림부(42)의 끝부분(42c)은 절개부(411a)의 끝부분(411b) 보다 제1 부재(411)의 하단(411c)과 더 가깝게 위치한다. 걸림부(42)의 끝부분(42c)과 절개부(411a)의 끝부분(411b) 거리(L)는 걸림부(42)의 두께(T)를 벗어나지 않는다. 거리(L)가 걸림부(42)의 두께(T)를 배 이상 벗어나면 걸림부(42)가 형성된 본체(41) 부분이 쉽게 구부러져 본체(41)가 제1 권체(31)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도 5참조).
이와 같은 드럼통용 보호링(4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그 밀도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통용 보호링(40)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드럼통용 보호링(40)의 내구성 등을 높이기 위해 여러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드럼통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드럼통이 1자로 수직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1의 드럼통이 엇갈리게 수직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은 도 1의 드럼통이 수평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0은 도 9의 D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드럼통을 수직 적재할 경우, 드럼통용 보호링(40)은 드럼통(1, 2) 들의 제1 권체(31)에만 결합한다. 드럼통(1) 이송을 위해 1자로 수직 적재할 경우, 상측에 위치한 드럼통(2)의 제2 권체(32) 하측에 위치한 드럼통(1)의 안착홈(413a)에 놓이면서 1자 형태로 수직하게 적재된다.
제2 권체(32)가 안착홈(413a)에 놓이므로 적재되는 드럼통들은 이송 시 흔들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측 드럼통(1)의 제1 권체(31)와 상부측의 제2 권체(32)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드럼통(1) 적재 시 권체(31, 32)들 간에 마찰되지 않아 마찰에 의한 드럼통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통(1)을 엇갈리게 수직 적재할 경우에도 권체(31, 32)들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통(1)을 수평 적재할 경우, 드럼통용 보호링(40)은 제1 권체(31)와 제2 권체(32)에 결합한다. 드럼통(1)을 수평으로 적재할 때 상, 하측에 위치한 드럼통용 보호링(40) 들이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상, 하측 드럼통(1)의 윤대(12)는 서로 접하지 않게 된다. 이에 상, 하 적재되는 드럼통(1, 2)의 윤대와 몸체, 윤대와 윤대 간에 서로 마찰되지 않아 마찰에 의한 드럼통(1, 2)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통을 수직 또는 수평 적재할 때 이웃한 드럼통용 보호링(40) 들이 직접 맞닿게 되면서 몸체, 윤대 등이 서로 마찰되지 않아 마찰에 의한 드럼통(1)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드럼통의 납품을 완료하면, 권체에서 드럼통용 보호링(40)을 분리할 수 있다. 드럼통용 보호링(40)을 제1 권체(31) 또는 제2 권체(32)에서 분리할 경우, 걸림부(42)가 형성된 본체(41) 부분을 잡고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본체(41)는 구부러진다. 그리고 걸림부(42)는 단턱(31c)에서 벗어나게 된다. 잡고 있는 본체(41)를 상부측으로 당기면 드럼통용 보호링(40)은 제1 권체(31) 또는 제2 권체(32)에서 분리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드럼통 11: 몸체
12: 윤대 21: 상판
22: 하판 31: 제1 권체
31a: 외측면 31b: 내측면
31c: 단턱 32: 제2 권체
40: 드럼통용 보호링 41: 본체
411: 제1 부재 411a: 절개부
411b: 끝부분 411c: 하단
412: 제2 부재 413: 제3 부재
413a: 안착홈 42: 걸림부
42a, 42b: 양단 42c: 끝부분
12: 윤대 21: 상판
22: 하판 31: 제1 권체
31a: 외측면 31b: 내측면
31c: 단턱 32: 제2 권체
40: 드럼통용 보호링 41: 본체
411: 제1 부재 411a: 절개부
411b: 끝부분 411c: 하단
412: 제2 부재 413: 제3 부재
413a: 안착홈 42: 걸림부
42a, 42b: 양단 42c: 끝부분
Claims (8)
-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고 드럼통의 권체(seaming)를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권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제1 부재, 상기 권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재와 마주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연결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부재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체의 단턱에 걸리며,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3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재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권체의 내측면 일부분과 접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끝 부분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드럼통의 상판 표면과 간격(G)을 두고 떨어져 상기 권체의 내측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며,
상기 걸림부의 양 끝이 위치한 상기 제1 부재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부재 부분은 구부러질 수 있는
드럼통용 보호링.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1 부재의 절개부 길이는 상기 제1 부재의 상항 방향 전체 길이 중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2/3를 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재의 하단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기 걸림부의 끝부분은 상기 절개부의 끝 부분 보다 상기 제1 부재 하단과 더 가까운 드럼통용 보호링. - 제1항에서,
상기 걸림부의 길이는 5 내지 60mm인 드럼통용 보호링. - 제1항에서,
상기 제3 부재의 상면 중앙부분은 원주 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드럼통용 보호링. - 내부가 상하 관통된 몸체,
상기 몸체 둘레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윤대,
상기 몸체의 일측을 막는 상판,
상기 몸체의 타측을 막는 하판,
상기 몸체와 상판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1 권체,
상기 몸체와 하판의 결합으로 형성된 제2 권체 및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 되어 있는 드럼통용 보호링
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통용 보호링은 상기 제1 권체 또는 상기 제2 권체를 감싸 이웃한 드럼통의 권체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드럼통. - 제7항에서,
상기 드럼통용 보호링의 외측면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윤대 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는 드럼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55A KR101583757B1 (ko) | 2015-04-21 | 2015-04-21 |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55A KR101583757B1 (ko) | 2015-04-21 | 2015-04-21 |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3757B1 true KR101583757B1 (ko) | 2016-01-11 |
Family
ID=5516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155A KR101583757B1 (ko) | 2015-04-21 | 2015-04-21 |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375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0461A (ko) * | 1994-09-27 | 1996-04-20 | 해리스 이. 델로우치 쥬니어 | 취급링이 있는 원피스 취입성형 폐쇄 플라스틱 드럼 및 그것의 성형방법 |
KR20120079422A (ko) * | 2011-01-04 | 2012-07-12 | 원정제관(주) | 포장용 용기 |
-
2015
- 2015-04-21 KR KR1020150056155A patent/KR1015837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0461A (ko) * | 1994-09-27 | 1996-04-20 | 해리스 이. 델로우치 쥬니어 | 취급링이 있는 원피스 취입성형 폐쇄 플라스틱 드럼 및 그것의 성형방법 |
KR20120079422A (ko) * | 2011-01-04 | 2012-07-12 | 원정제관(주) | 포장용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86943B1 (en) | Material handling device | |
US10781071B2 (en) | Protective insert | |
JP6507517B2 (ja) | タイヤホイール用搬送材 | |
KR101583757B1 (ko) | 드럼통용 보호링 및 이를 포함하는 드럼통 | |
US20170349350A1 (en) | Packaging case | |
EP0407043A1 (en) | Stackable circular skid | |
JP2017202865A (ja) | 梱包製品及び梱包パレット | |
US6783833B2 (en) | Protector for sheet metal coils | |
US5513577A (en) | Adjustable pallet leg | |
WO2018181394A1 (ja) | ハンドル及びハンドルを備える容器 | |
US4690281A (en) | Assembly for storing, transporting and distributing objects of the bottle, flask or similar type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 |
US20180162590A1 (en) | Stackable pallet system | |
CA2859964A1 (en) | Compact machine for unwinding multiple strands of material | |
KR20190003117U (ko) | 유지체, 유지체 유닛 및 유지체 유닛의 집합체 | |
EP3533552B1 (en) | Pail pack including a strap guide | |
EP3000741B1 (en) | Pallet with upper fixing surface | |
KR20180124695A (ko) | 곤포체의 제조 방법 | |
KR102013105B1 (ko) | 철판 포장 보조장치 | |
JP7267600B2 (ja) | 保護リングおよびそれを含むホイール保護部材セット | |
KR20170103408A (ko) | 스틸코일 표면 포장재 구조체 | |
JP5798084B2 (ja) | 一体成形合成樹脂製パレット | |
CN113597402B (zh) | 捆包装置 | |
EP3283399B1 (en) | Coil protector, method and kit therewith | |
CN206202926U (zh) | 回转支承保护隔离装置 | |
KR200485819Y1 (ko) | 베어링용 케이지 운반용 적치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