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39B1 - 기둥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둥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39B1
KR101582539B1 KR1020140143565A KR20140143565A KR101582539B1 KR 101582539 B1 KR101582539 B1 KR 101582539B1 KR 1020140143565 A KR1020140143565 A KR 1020140143565A KR 20140143565 A KR20140143565 A KR 20140143565A KR 101582539 B1 KR101582539 B1 KR 10158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column
bolt
pill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모
Original Assignee
신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1648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25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재모 filed Critical 신재모
Priority to KR102014014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76Clamping poles or posts on a stu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4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의 하부면이 대접되는 지지몸체의 상면에 배수홈이 형성되어 배수효율을 높임으로써 고인 수분으로 인해 기둥이 썩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설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의 수평판이 지지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앵커볼트와 너트 체결을 통해 결합됨과 동시에 수직판이 기둥에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설치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기둥의 직경에 따라 고정브라켓의 설치위치를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기둥들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브라켓 결합 시 수직판이 수평판의 내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될 것인지 또는 수평판의 외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될 것인지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큰 폭으로 변하여 한계치 이상의 외경을 갖는 기둥들에도 적용이 가능한 기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둥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pillar}
본 발명은 기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기둥 하부에서 발생하는 수분의 고임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기둥들을 견고하면서도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합시설물은 아파트단지, 주택단지, 공원,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상세하게로는 어린이들에게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놀이시설, 운동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시설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편의시설 등으로 구분되고, 최근 들어 주변 환경 및 건축물과의 조화를 위하여 목조를 이용한 건축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합시설물은 통상적으로 목재로 이루어지는 목재기둥과, 목재기둥을 지지함과 동시에 목재기둥의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 이루어지고, 고정 장치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석재 재질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몸체와, 지지몸체의 상부 및 목재기둥의 하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목재기둥은 전체 시설물의 하중을 전달받기 때문에 시설물의 설계에 적합한 지름 및 강도로 제조되어야 하고, 고정 장치의 지지몸체는 이러한 목재기둥 및 전체 건물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정의 무게 및 강도를 갖는 석재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합시설물의 고정 장치는 목재기둥이 습도에 약하고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목재기둥 및 지지몸체가 연접되는 부위에 우천 및 결로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이 고이게 되고, 이에 따라 목재기둥의 하부가 쉽게 썩고, 목재기둥의 썩게 됨에 따라 변색이 이루어져 미관효율이 떨어지거나 또는 고정 수단까지도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목재기둥 고정 장치의 수명은 목재기둥이 얼마나 오랫동안 썩지 않느냐에 따라 좌우되고, 이러한 수명은 사용자의 안전성에 직결되기 때문에 목재기둥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분의 고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1995-0021117호(고안의 명칭 : 조합시설물용 목재 기둥 고정장치)에 개시된 목재 기둥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목재 기둥 고정장치(100)는 목재기둥(1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삽입홈(111)을 갖는 금속재 고정프레임(101)과, 고정프레임(10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포스트(103)와, 연결 포스트(103)의 하단에 지면에 매설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 기초부(105)와, 고정프레임(101)의 나사공(113), (113')을 관통하여 단부가 목재기둥(150)에 삽입되는 스크류(107), (107')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목재기둥 고정 장치(100)는 목재기둥(15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01)의 양측면에 나사공(113), (113')을 형성하여 목재기둥(150)을 고정프레임(101)의 삽입홈(111)에 결합한 후 스크류(107), (107')로 체결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 기둥 고정장치(100)는 목재기둥(150)의 하부가 고정프레임(101)의 삽입홈(111)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결로 및 우천 발생 시 수분이 목재기둥(150)을 따라 고정프레임(101)의 삽입홈(111) 내부로 고이게 됨과 동시에 고정프레임(101)의 삽입홈(111)은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목재기둥(150)의 쉽게 썩어 시설물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3736호(고안의 명칭 : 조합시설물에 사용되는 목재기둥의 고정장치)에 개시된 목재기둥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목재기둥의 고정장치(200)는 기둥형상의 몸체(201)와, 몸체(201)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하단부에 양 측면 단부로부터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자 형상의 삽입홈(251)이 형성되어 있는 목재기둥(25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목재기둥(250)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되 목재기둥(250)의 하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지지판(203)과, 지지판(203)의 양 측면 단부로부터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자 형상으로 상향 돌출되어 목재기둥(25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251)에 삽입되는 삽입판(205)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판(205) 및 목재기둥(250)에는 결합 시 일체로 연결되는 체결공(206), (252)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목재기둥의 고정장치(200)는 지지판(203)이 목재기둥(250) 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목재기둥(250)을 따라 흐르는 수분이 하부에 고이지 않고 하부로 배수되어 수분에 의해 목재기둥(250)이 썩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설치 시 목재기둥(250)의 삽입홈(251)으로 삽입판(205)을 삽입시킨 후 볼트의 체결을 통해 목재기둥(250) 및 고정장치(200)를 결합시키는 작업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간단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목재기둥의 고정장치(200)는 전체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몸체(201)가 목재기둥(250) 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몸체(201)가 지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작아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목재기둥의 고정장치(200)는 목재기둥(250)의 하부면이 지지판(203)에 대접되기 때문에 결로 및 우천 시 목재기둥(250)의 하부면 및 지지판(203) 사이로 수분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목재기둥(250)의 하부면으로 수분이 스며들어 목재기둥(250)이 부식됨에 따라 수명이 짧아짐과 동시에 변색이 이루어져 미관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목재기둥의 고정장치(200)는 지지판(203)이 목재기둥(250) 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되 목재기둥(250)의 하부면에 소정 면적이 대접될 수 있도록 외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목재기둥(250)의 외경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다른 직경을 갖는 목재기둥(25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지지판(203)을 구비한 장치를 새롭게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가 번거롭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1)목재기둥의 하부에 발생하는 수분에 대한 배수효율을 높여 수분의 고임현상으로 인한 목재기둥의 썩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2)목재기둥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3)다양한 직경의 목재기둥들을 고정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목재기둥 고정 장치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기둥의 하부면이 대접되는 지지몸체의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측면들까지 연결되는 배수홈이 형성됨으로써 배수효율을 높여 기둥의 하부에 수분이 고이지 않고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수분의 고임현상으로 인하여 기둥이 썩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둥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앵커볼트가 지지몸체에 매몰되게 설치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부가 지지몸체의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바닥면에 대접되는 고정브라켓의 수평판에 상기 앵커볼트의 단부가 관통되는 앵커볼트 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브라켓이 장공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대향되는 고정브라켓들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별도의 장비 교체 없이 다양한 직경의 목재대상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기둥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지지몸체의 배수홈의 바닥면에 대접되는 수평판과, 수평판에 수직 연결되어 기둥에 접촉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자 형상을 형성하는 고정브라켓이 조립 시 수직판이 수평판의 내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될 것인지 또는 수평판의 외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될 것인지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큰 폭으로 변하여 수용 가능한 기둥의 직경의 범위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둥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조합시설물의 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부면이 상면에 안착되며,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들 각각이 서로 다른 측면에 연결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게 형성되는 배수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 및 상기 기둥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지지몸체에 매몰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앵커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에 대접되며 상기 앵커볼트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관통되는 장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의 일측 단부에 수직 연결되며 일면이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의 장공을 관통한 앵커볼트의 단부가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장공의 길이 방향이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으로부터 대응되는 앵커볼트들 연결하는 직선 방향에 일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판 및 대향되게 설치되는 결합수단의 수직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고, 상기 수직판이 상기 수평판의 내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대응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수직판이 상기 수평판의 외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대응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판의 결합 상태에 따라 대향되는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둥의 하부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의 상기 수직판에는 조립 시 상기 기둥의 볼트홈에 일체로 연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볼트가 상기 수직판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기둥의 볼트홈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측면들에 연결되는 단부들에 인접한 지점에서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의 하부면이 대접되는 지지몸체의 상면에 배수홈이 형성되어 배수효율을 높임으로써 고인 수분으로 인해 기둥이 썩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설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브라켓의 수평판이 지지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앵커볼트와 너트 체결을 통해 결합됨과 동시에 수직판이 기둥에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설치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직경에 따라 고정브라켓의 설치위치를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외경을 갖는 기둥들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브라켓 결합 시 수직판이 수평판의 내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될 것인지 또는 수평판의 외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될 것인지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큰 폭으로 변하여 한계치 이상의 외경을 갖는 기둥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1995-0021117호(고안의 명칭 : 조합시설물용 목재 기둥 고정장치)에 개시된 목재 기둥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3736호(고안의 명칭 : 조합시설물에 사용되는 기둥의 고정장치)에 개시된 목재기둥의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둥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 A'선을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지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수평판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이 다른 각도로 설치될 때를 나타내는 기둥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고정브라켓이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설치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고정브라켓이 외측상태로 지지몸체에 설치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의 장공의 최내측에 앵커볼트가 체결될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의 장공의 최외측에 앵커볼트가 체결될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고정브라켓이 외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둥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을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둥 고정장치(1)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볼트홈(71)이 형성되는 기둥(7)과, 육면체로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배수홈(52)들이 형성되는 지지몸체(5)와, 지지몸체(5) 내부에 매몰되게 설치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부가 지지몸체(5)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앵커볼트(A)들과, 기둥(7)을 지지몸체(5)에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브라켓(3), (3')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과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브라켓(3)의 수량이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고정브라켓(3)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수홈(52)의 수량에 대응하여 4개 이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기둥(7)은 조합시설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목재 재질의 기둥이며, 길이를 갖는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기둥(7)은 합성수지 및 금속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는 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7)은 하부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홈(71)들이 형성되고, 볼트홈(71)은 기둥 고정장치(1)에 결합 시 고정브라켓(3)의 볼트공(331)들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도 3과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둥(7)의 볼트홈(71)들이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볼트홈(71)들은 고정브라켓들의 수량에 대응하여 기둥(7)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지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지지몸체(5)는 상하부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되 상면(51)에 상면(51)으로부터 내측으로 배수홈(52)들이 형성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몸체(5)가 직육면체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지지몸체(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부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다각면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지지몸체(5)는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며, 전체 시설물의 하중을 기둥(7)으로부터 전달받아 지면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주변 건축물과의 조화를 위해 고비중의 석재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배수홈(52)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자 형상의 십자가 형상으로 지지몸체(5)의 상면(51)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측면들 각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조립 시 배수홈(52)에 의하여 기둥(7)의 하부면의 일부영역만이 지지몸체(5)의 상면(51)에 대접, 상세하게로는 기둥(7)의 하부면의 다수면적은 지지몸체(5)의 배수홈(52)의 바닥면(521)에 이격되고, 이에 따라 우천 및 결로 등에 의하여 수분이 발생할 때 발생된 수분이 기둥(7)을 따라 흘러내린 후 배수홈(52)으로 낙하됨으로써 종래에 기둥의 하부에서 수분의 고임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기둥이 썩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수홈(52)은 '+'자 형상의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되되 각 측면에 연결되는 단부에 인접한 지점들에는 다단식으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몸체(5)는 내부에 앵커볼트(A)들이 매몰되게 설치되고, 앵커볼트(A)들은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부가 배수홈(52)의 바닥면(52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몸체(5)에 매몰되게 설치된다. 이때 앵커볼트(A)의 단부는 조립 시 고정브라켓(3)의 장공(311)을 관통하여 너트(N)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볼트(A)들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 즉 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원호에 형성된다.
도 6은 도 3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고정브라켓(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는 수평판(31)과,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수직판(33)에 수직 연결되는 수직판(33)으로 구성된다.
수직판(33)은 수평판(31) 보다 큰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수평판(31)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또한 수직판(33)은 볼트(B)가 관통되는 한 쌍의 볼트공(331)들이 형성되고, 볼트공(331)들은 조립 시 기둥(7)의 볼트홈(71)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볼트(B)가 수직판(33)의 볼트공(331)을 관통하여 기둥(7)의 볼트홈(71)에 체결되어 고정브라켓(3)이 기둥(7)에 결합하게 된다.
수평판(31)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양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311)이 형성된다.
이때 조립 시 지지몸체(5)의 배수홈(52)의 바닥면(521)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앵커볼트(A)의 단부는 장공(311)을 통과하고, 장공(311)을 관통한 앵커볼트(A)의 단부가 너트(N)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수평판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고정브라켓(3)은 장공(311)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앵커볼트(A)의 단부가 내부로 관통되면 수평판(31)은 장공(311)의 길이에 대응하여 배수홈(52) 내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정브라켓(3)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지지몸체(5)의 상면(5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 대향되는 방향을 외측이라고 할 때 장공(311)의 최외측으로 앵커볼트(A)의 단부가 관통되어 너트(N)에 체결될 때 최소 직경의 기둥을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장공(311)의 최내측으로 앵커볼트(A)가 관통되어 너트(N)에 체결될 때 한계치인 최대 직경의 기둥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지지몸체(5)의 상면의 중심을 '0'으로, 상면(51)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X축이라고 하면, 지지몸체(5)의 상면(51)의 중심으로부터 앵커볼트(A)와의 거리는 'B'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3)의 수평판(31)의 장공(311)의 최외측으로 앵커볼트(A)가 관통되어 너트(N)에 체결되면 지지몸체(5)의 상면(51)의 중심으로부터 고정브라켓(3)의 거리는 'S'가 되고, 고정브라켓(3)의 수평판(31)의 장공(311)의 최내측으로 앵커볼트(A)가 관통되어 너트(N)에 체결되면, 지지몸체(5)의 상면(51)의 중심으로부터 고정브라켓(3)의 거리는 'S1'(S1S)이 된다.
즉 고정브라켓(3)은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대상인 기둥(7)의 외경에 대응하여 설치위치가 변경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기둥(7)들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브라켓(3)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수직판(33)이 수평판(31)의 내측단부에 연결되는 상태(이하 내측상태라고 함)로 지지몸체(5)에 결합되면 수평판(31)의 장공(311)으로 지지몸체(5)의 앵커볼트(A)가 관통되어 수평판(31)이 배수홈(52)의 바닥면(521)에 대접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기둥(7)의 직경에 대응하여 고정브라켓(3)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 후 지지몸체(5)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앵커볼트(A)의 나사산에 너트(N)를 체결시킴으로써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이 다른 각도로 설치될 때를 나타내는 기둥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의 (a)는 고정브라켓이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설치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고정브라켓이 외측상태로 지지몸체에 설치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은 수직판(33)이 수평판(31)의 외측단부를 향하는 상태(이하 외측상태라고 하기로 함)로 지지몸체(5)의 앵커볼트(A)에 결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외측상태로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되면 대향되는 고정브라켓들의 수직판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함으로써 전술하였던 내측상태로 고정브라켓(3)이 결합될 때에 비교하여 더 큰 직경의 기둥(7)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의 (a)와 (b)를 참조하여 고정브라켓이 외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할 때와,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할 때를 비교해보면, 내측상태로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할 때 대향되는 고정브라켓(3), (3')들의 수직판(33), (33')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L1'이고, 외측상태로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할 때 고정브라켓(3), (3')들의 수직판(33), (33')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L2'(L2L1)임을 알 수 있다. 즉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할 때 내측상태로 결합할 때에 비교하여 외측상태로 결합할 때 수용 가능한 기둥의 직경이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의 장공의 최내측에 앵커볼트가 체결될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내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의 장공의 최외측에 앵커볼트가 체결될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고정브라켓이 외측상태로 지지몸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기둥 고정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3)이 수평판(31)의 내측단부에 연결되는 상태인 내측상태로 고정브라켓(3)이 지지몸체(5)에 결합하면서 수평판(31)의 장공(311)의 최내측으로 앵커볼트(A)가 관통되어 너트(N)에 체결될 때 대향되는 수직판(33)들 사이의 거리가 'D1'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둥 고정장치(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이 내측상태로 지지몸체(5)에 결합함과 동시에 수평판(31)의 장공(311)의 최외측으로 앵커볼트(A)가 관통되어 너트(N)에 체결될 때 대향되는 수직판(33)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D2'(D2D1)임을 알 수 있고, 전술하였던 도 10에 비교하여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둥 고정장치(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이 외측상태로 지지몸체(5)에 결합할 때 대향되는 수직판(33)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D3'(D3D2D1)임을 알 수 있고, 전술하였던 도 10 및 11에 비교하여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둥 고정장치(1)는 고정브라켓의 설치 형태 또는 장공 내에서 앵커볼트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 기둥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지지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수홈에 의하여 기둥 하부에 발생하는 수분의 고임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기둥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1:기둥 고정장치 3:고정브라켓 5:지지몸체
7:기둥 31:수평판 33:수직판
51:상면 52:배수홈 71:볼트홈
311:장공 331:볼트공 521:바닥면

Claims (7)

  1. 조합시설물의 기둥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부면이 상면에 안착되며,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들 각각이 서로 다른 측면에 연결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게 형성되는 배수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 및 상기 기둥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지지몸체에 매몰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앵커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에 대접되며 상기 앵커볼트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관통되는 장공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판과,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의 일측 단부에 수직 연결되며 일면이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의 장공을 관통한 앵커볼트의 단부가 너트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몸체에 결합될 때 상기 장공의 길이 방향이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으로부터 대응되는 앵커볼트들 연결하는 직선 방향에 일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판 및 대향되게 설치되는 결합수단의 수직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고, 상기 수직판이 상기 수평판의 내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대응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수직판이 상기 수평판의 외측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대응되는 앵커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판의 결합 상태에 따라 대향되는 수직판들의 이격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배수홈의 바닥면은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부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의 상기 수직판에는 조립 시 상기 기둥의 볼트홈에 일체로 연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됨으로써 볼트가 상기 수직판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기둥의 볼트홈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고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지지몸체의 측면들 각각에 연결되는 단부의 인접한 지점에서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고정장치.
  7. 삭제
KR1020140143565A 2014-10-22 2014-10-22 기둥 고정장치 KR101582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65A KR101582539B1 (ko) 2014-10-22 2014-10-22 기둥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65A KR101582539B1 (ko) 2014-10-22 2014-10-22 기둥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539B1 true KR101582539B1 (ko) 2016-01-05

Family

ID=5516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565A KR101582539B1 (ko) 2014-10-22 2014-10-22 기둥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36A (ko) * 2018-03-05 2019-09-17 신재모 기초 구조물
KR20220071732A (ko) * 2020-11-24 2022-05-3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KR20220102836A (ko) * 2021-01-14 2022-07-21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KR102427548B1 (ko) * 2022-04-15 2022-08-01 주식회사 예스정보통신 전자 펜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328A (ja) * 2004-02-25 2005-09-08 Taiheiyo Cement Corp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これらの部材で構成される堆肥舎
JP2006169721A (ja) * 2004-12-13 2006-06-29 Saicon Industry Co Ltd ポスト支持ブロック、ポスト固定部材及びポスト支持装置
JP2009024342A (ja) * 2007-07-17 2009-02-05 Akita Sekizai:Kk 束柱と束石の連結具
KR101083119B1 (ko) * 2011-03-25 2011-11-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328A (ja) * 2004-02-25 2005-09-08 Taiheiyo Cement Corp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これらの部材で構成される堆肥舎
JP2006169721A (ja) * 2004-12-13 2006-06-29 Saicon Industry Co Ltd ポスト支持ブロック、ポスト固定部材及びポスト支持装置
JP2009024342A (ja) * 2007-07-17 2009-02-05 Akita Sekizai:Kk 束柱と束石の連結具
KR101083119B1 (ko) * 2011-03-25 2011-11-16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436A (ko) * 2018-03-05 2019-09-17 신재모 기초 구조물
KR102068771B1 (ko) 2018-03-05 2020-02-11 라형숙 기초 구조물
KR20220071732A (ko) * 2020-11-24 2022-05-3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KR102526775B1 (ko) * 2020-11-24 2023-04-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KR20220102836A (ko) * 2021-01-14 2022-07-21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KR102534070B1 (ko) 2021-01-14 2023-05-18 라형숙 기둥 고정장치
KR102427548B1 (ko) * 2022-04-15 2022-08-01 주식회사 예스정보통신 전자 펜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39B1 (ko) 기둥 고정장치
CA2695862C (en) Stabilizing systems for deck pedestals
US7677000B2 (en) Post system for a railing
KR101577539B1 (ko) 다이아프램이 구비된 나사산 철근과 분할형 너트를 적용한 철근 선조립 기둥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KR100592723B1 (ko)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EP3870780A1 (en) Beam for formwork systems
US20100025650A1 (en) Adjustable Fencing System
US20140332745A1 (en) Rail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200473276Y1 (ko) 목재기둥용 기초콘크리트
KR100540299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핸드바 고정구조
KR20160091217A (ko) 구조물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CA2638297A1 (en) Adjustable fencing system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102115733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US7721507B2 (en) Mounting bracket for column assembly
KR100592633B1 (ko) 공동주택에 사용가능한 안전 펜스 조립체
KR20170077364A (ko)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JP5354716B2 (ja) 建物付設物
JP3243456B2 (ja) 手摺り
JP6188308B2 (ja) バルコニー排水樋付建物
KR101477754B1 (ko)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KR200472605Y1 (ko) 건축용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79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830

Effective date: 202001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79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830

Effective date: 202001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031;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196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213

Effective date: 2020081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203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217

Effective date: 202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