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732A -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 Google Patents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732A
KR20220071732A KR1020200159188A KR20200159188A KR20220071732A KR 20220071732 A KR20220071732 A KR 20220071732A KR 1020200159188 A KR1020200159188 A KR 1020200159188A KR 20200159188 A KR20200159188 A KR 20200159188A KR 20220071732 A KR20220071732 A KR 2022007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mooring dolphin
iot smart
coupling
smar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775B1 (ko
Inventor
공재준
박한선
이형진
장철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7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02B2017/0043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on a pre-installed foundation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는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상의 일정 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선박이 계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시설한 계류 돌핀에 기립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 상부에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의 모듈 장착부에 형성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고 가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IoT 스마트 센서 모듈; 및 상기 상단부 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모듈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조절레버;를 포함하여 선박 접안 전후에도 안정적인 풍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IoT SMART SENSOR DEVICE INSTALLED IN MOORING DOLPHIN}
본 발명은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계류 돌핀에 IoT 스마트 센서를 부착하여 부두에서 선박의 접안시 또는 접안 후에도 풍향과 풍속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에 관한 것이다.
부두에서 선박의 접안시 또는 접안 후 부두의 풍향·풍속 정보를 통하여 선박의 접안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높은 위치의 풍향·풍속 측정 구조물을 통하여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계류 돌핀에 풍향·풍속 센서를 설치를 초기 설계시 미반영한 경우, 차후 설치시 선박을 이용한 공사를 통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파도에 의한 선박의 움직임으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류 돌핀에는 고소작업차 등의 이동이 불가능하고 오로지 사람만의 이동이 가능해 그 위험성이 더욱더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2619호(2013. 05. 02)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초기 설계에 따라 계류 돌핀에 스마트 센서 지지구조물을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해당 지지구조물에 IoT 스마트 센서가 장착되어 IoT 통신을 통해 선박의 접안시 필요한 풍향과 풍속·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는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상의 일정 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선박이 계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시설한 계류 돌핀에 기립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 상부에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의 모듈 장착부에 형성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고 가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IoT 스마트 센서 모듈; 및 상기 상단부 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모듈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지지부는 상기 계류 돌핀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바; 및 하부 일단이 상기 하부 지지바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일단이 상기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하부 지지바는 상기 계류 돌핀에 120°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장비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고정장비는 `ㄴ`자형 지지판과 앙카로 구성되어, 상기 `ㄴ`자형 지지판의 세로판이 상기 하부 지지바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의 앙카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ㄴ`자형 지지판의 가로판이 상기 계류 돌핀 상에 접촉한 상태에서 복수의 앙카가 삽입되어 2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상부 지지바는 상기 하부 지지바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좌측에서 우측 그리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결합 홀이 형성된 결합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코어가 상기 하부 지지바에 삽입됨에 따라 해당 하부 지지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하부 지지바는 상기 상부 지지바의 결합 코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홀; 상기 결합 코어의 결합 홀 형성과 대응되게 상기 하부 지지바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 홀과 연결되는 체결 홀; 및 상기 결합 코어가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과 상기 체결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관통삽입되는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지지부는 상기 상부 지지바의 결합 홀이 상하로 형성된 결합 코어가 상기 하부 지지바의 삽입 홀로 삽입되어 결합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IoT 스마트 센서 모듈은 상기 계류 돌핀 주변으로 부는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는 풍향센서; 상기 풍향센서가 감지한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센서; 및 상기 풍향센서가 감지한 바람의 풍향값과 상기 풍속센서가 감지한 바람의 풍속값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는 계류 돌핀에 IoT 스마트 센서를 설치하여 선박 접안 전후에도 안정적인 풍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는 계류 돌핀에 기구물 부착시 안전사고 방지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지지부가 계류 돌핀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지지부를 구성하는 하부 지지바와 상부 지지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는 지지부(100), 상단부(200), 방향조절레버(300) 및 IoT 스마트 센서 모듈(400)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계류 돌핀은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상의 일정 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선박이 계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시설한 구조물로서, 육지와는 도교로 연결한 해상 시설물이다.
원통형의 지지바로 4개가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는 상기 지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바(110)가 고정장비(120)에 의해 계류 돌핀 상에서 기립형성되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100)를 4개의 세트로 구성하는 것은 부두 여건상 선박 접안 및 강풍, 태풍시에도 지지물 고정을 위해서 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비(120)는 `ㄴ`자형 지지판(121)과 앙카(122)로 구성되어, 상기 `ㄴ`자형 지지판(121)의 세로판이 상기 하부 지지바(110)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로 두 개의 앙카(122)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ㄴ`자형 지지판(111)의 가로판이 상기 계류 돌핀 상에 접촉한 상태에서 두 개의 앙카(122)가 삽입되어 2차 고정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고정장비(1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간격으로 상기 하부 지지바(110)의 외주면과 상기 계류 돌핀 상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부(100)를 상기 계류 돌핀상에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부(100)는 상부 지지바(13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지지바(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하부 지지바(110)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상부 지지바(130)는 상기 하부 지지바(110)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지지바(130)는 상기 하부 지지바(110) 방향으로 결합코어(1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 코어(131)는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측면으로 복수의 결합 홀(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지지바(110)의 상단으로는 상기 결합 코어(13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 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홀(132)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바(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홀(132)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와 충돌하지 않게 전방에서 후방으로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 홀(132)의 형성과 대응되게 상기 하부 지지바(110)의 상부로 형성된 삽입 홀(111)과 연결되는 체결 홀(112)이 상기 하부 지지바(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코어(131)에 형성된 결합 홀(132)과 상기 하부 지지바(110)에 형성된 체결 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코어(131)가 상기 삽입홀(111)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132)과 상기 체결 홀(112)이 일치된 상태에서 결합나사(133)가 관통삽입되어 상기 하부 지지바(110)와 상기 상부 지지바(13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상부 지지바(130)를 들어 올리거나 내려 상하로 형성된 상기 결합 홀(132)과 상기 하부 지지바(110)에 형성된 체결 홀(112)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한 후 상기 결합나사(133)를 체결함으로써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바(130)의 외주면으로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고정마개(134)가 더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마개(134)는 상기 상부 지지바(130)와 상기 하부 지지바(110)가 결합된 부분을 커버해 줌으로써 결합부위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특히, 상기 고정마개(134)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밴드로 상기 상부 지지바(130)와 하부 지지바(110) 사이의 결합된 부분을 가압하여 외주면을 커버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바(110)와 상기 상부 지지바(130)는 해수의 염 성분에 의한 부식 방지를 위해 알루미늄 타입으로 구성되고 50cm~100cm길이의 조립식 지지바인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부(200)는 4개의 상기 지지부(100) 지지를 받아 해당 지지부(100)에 테이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상단부(200) 중앙에는 스마트 센서 모듈(400)이 장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모듈 장착부(2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400)은 상기 모듈 장착부(210)에 볼트 너트 또는 기타의 다른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단부(200)는 상부표면에 태양광 패널(2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태양과 패널은 태양으로부터 전달받은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스마트 센서 모듈(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방향조절레버(300)는 상기 상단부(200) 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모듈 장착부(210)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노출되어 있다.
상기 관리자는 일단에 형성된 상기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타단에 결합된 상기 모듈 장착부(210)를 상·하 위치 또는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조절레버(300)는 스테핑 모터가 장착되고, 해당 스테핑 모터에 IoT 센서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통신모듈 등 통신 가능한 모듈이 더 부가되어 무선으로 상기 스테핑 모터가 제어됨에 따라 조작될 수도 있다.
상기 IoT 스마트 센서 모듈(400)은 풍향센서(410), 풍속센서(420), 및 무선안테나(430)를 포함한다.
상기 풍향센서(410)는 계류 돌핀 주변으로 부는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풍속센서(420)는 상기 풍향센서(410)가 감지한 바람의 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무선안테나(430)는 상기 풍향센서(410)가 감지한 바람의 방향값과 상기 풍속센서(420)가 감지한 바람의 속도값을 선박을 부두에 접안하는 관계자들의 모니터링 단말기에 IoT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안테나(430)는 약 11Km의 커버리지와 1.4MHz LTE 주파수 대역, 그리고 ~1Mbps 통신속도를 갖는 LTE-M 통신, 약 11Km의 커버리지와 8~900MHz~500KHz 주파수 대역, 그리고 ~100bps 통신속도를 갖는 LoRa(Low Range Wide Area Network) 통신, 또는 약 15Km의 커버리지와 200KHz LTE 주파수 대역, 그리고 ~150Kbps 통신속도를 갖는 NB-IOT 통신으로 풍향값과 풍속값을 상기 관계자들의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지지부
110 : 하부 지지바
111 : 삽입 홀
112 : 체결 홀
120 : 고정장비
121 : `ㄴ`자형 지지판
122 : 앙카
130 : 상부 지지바
131 : 결합코어
132 : 결합 홀
133 : 결합나사
134 : 고정마개
200 : 상단부
300 : 방향조절레버
400 : IoT 스마트 센서 모듈
410 : 풍향센서
420 : 풍속센서
430 : 무선안테나

Claims (7)

  1. 육지와 상당한 거리에 있는 해상의 일정 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선박이 계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시설한 계류 돌핀에 기립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 상부에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의 모듈 장착부에 형성되어 기상정보를 감지하고 가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IoT 스마트 센서 모듈; 및
    상기 상단부 밑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모듈 장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계류 돌핀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바; 및
    하부 일단이 상기 하부 지지바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일단이 상기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바는
    상기 계류 돌핀에 120°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장비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고정장비는 `ㄴ`자형 지지판과 앙카로 구성되어, 상기 `ㄴ`자형 지지판의 세로판이 상기 하부 지지바의 외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하로 복수의 앙카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ㄴ`자형 지지판의 가로판이 상기 계류 돌핀 상에 접촉한 상태에서 복수의 앙카가 삽입되어 2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바는
    상기 하부 지지바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좌측에서 우측 그리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결합 홀이 형성된 결합 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 코어가 상기 하부 지지바에 삽입됨에 따라 해당 하부 지지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바는
    상기 상부 지지바의 결합 코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 홀;
    상기 결합 코어의 결합 홀 형성과 대응되게 상기 하부 지지바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 홀과 연결되는 체결 홀; 및
    상기 결합 코어가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과 상기 체결 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관통삽입되는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지지바의 결합 홀이 상하로 형성된 결합 코어가 상기 하부 지지바의 삽입 홀로 삽입되어 결합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높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IoT 스마트 센서 모듈은
    상기 계류 돌핀 주변으로 부는 바람의 방향을 감지하는 풍향센서;
    상기 풍향센서가 감지한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센서; 및
    상기 풍향센서가 감지한 바람의 풍속향값과 상기 풍속센서가 감지한 바람의 풍속값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KR1020200159188A 2020-11-24 2020-11-24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KR10252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88A KR102526775B1 (ko) 2020-11-24 2020-11-24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188A KR102526775B1 (ko) 2020-11-24 2020-11-24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732A true KR20220071732A (ko) 2022-05-31
KR102526775B1 KR102526775B1 (ko) 2023-04-28

Family

ID=8178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188A KR102526775B1 (ko) 2020-11-24 2020-11-24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7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887A (ja) * 2009-06-25 2011-01-13 Naito House Corp 伸縮ユニット及びこの伸縮ユニットを用いた建築ユニット
KR101262619B1 (ko) 2012-06-04 2013-05-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성 조절이 가능한 계류 돌핀
KR20130002934U (ko) * 2011-11-08 2013-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호스 지지대
KR101582539B1 (ko) * 2014-10-22 2016-01-05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KR20170088023A (ko) * 2016-01-22 2017-08-01 진동진 사물인터넷 기반 실시간 원격관리형 육해상 겸용 종합 기상관측 시스템
WO2020105820A1 (ko) * 2018-11-25 2020-05-28 (주)백산에스엔케이 원격 모니터링을 위해 해양 자원 생산 시스템에 설치되는 지능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887A (ja) * 2009-06-25 2011-01-13 Naito House Corp 伸縮ユニット及びこの伸縮ユニットを用いた建築ユニット
KR20130002934U (ko) * 2011-11-08 2013-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호스 지지대
KR101262619B1 (ko) 2012-06-04 2013-05-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성 조절이 가능한 계류 돌핀
KR101582539B1 (ko) * 2014-10-22 2016-01-05 신재모 기둥 고정장치
KR20170088023A (ko) * 2016-01-22 2017-08-01 진동진 사물인터넷 기반 실시간 원격관리형 육해상 겸용 종합 기상관측 시스템
WO2020105820A1 (ko) * 2018-11-25 2020-05-28 (주)백산에스엔케이 원격 모니터링을 위해 해양 자원 생산 시스템에 설치되는 지능형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광희. 해양 모니터링 부이에서 관측된 새만금 북측 방조제 개방 구간 체절 전과 후 표층해류의 특성과 변화.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2.0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775B1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05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ES2516590B1 (es) Estructura sumergible de soporte activo para torres de generadores y subestaciones o elementos similares, en instalaciones marítimas
ES2925357T3 (es) Estructura de turbina eólica flotante con altura de torre reducida y método para optimizar el peso de la misma
US20090084302A1 (en) Anchor monitoring system
CN210212677U (zh) 一种用于水文监测的浮标装置
US11292556B2 (en) Mooring anchor
US20230192241A1 (en) Floatable offshore structure
KR20220071732A (ko) 연료하역부두 계류 돌핀에 형성되는 IoT 스마트 센서 장비
CN111169601A (zh) 一种稳定的海上浮动平台
CN213677051U (zh) 太阳能水文测试浮标
KR20150072700A (ko) 선박 또는 해양 플랜트의 계류삭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415488B1 (ko) 부유식 발전설비의 해상 정박장치
US20120213592A1 (en) Submerging offshore support structure
CN212605685U (zh) 一种基于微型自主航行器的水下地貌测量装置
JP2004347550A (ja) 浮体式風況調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8169753A (zh) 一种分离式水下小平台声引信系统及探测方法
US46100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ying positions of mooring lines
CN107444576B (zh) 浮盘及应用其的漂浮式通信中继塔
CN107380352B (zh) 漂浮式通信中继塔
KR102176407B1 (ko) 계선주 압력 측정 장치
KR101511131B1 (ko) 해수면 관측 레이더의 설치를 위한 이동식 지지장치
CN207451494U (zh) 一种新型缆道水文绞车
CN220251927U (zh) 一种水库全方位监测设备
CN108233958A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浮标
CN1971764A (zh) 海洋探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