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287B1 -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287B1
KR101582287B1 KR1020150061533A KR20150061533A KR101582287B1 KR 101582287 B1 KR101582287 B1 KR 101582287B1 KR 1020150061533 A KR1020150061533 A KR 1020150061533A KR 20150061533 A KR20150061533 A KR 20150061533A KR 101582287 B1 KR101582287 B1 KR 10158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pacer
vertical plates
angl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주)건일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건일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5006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보호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판(22)(32)을 삽입하기 위한 수평홈(41g)(42g)을 갖는 "ㄷ"자 단면의 앵글삽입부(41)(42)를 스페이서(40)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형성하고, 수직판(24)(34)을 밀착해서 설치하기 위한 앵글밀착부(43)(44)를 앵글삽입부(41)(42)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하며, 돌출부(45)(46)를 앵글밀착부(43)(44)에 형성하고, 수직판(24)(34)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L"자형의 앵글걸림턱(43a)(44a)을 상기 앵글밀착부(43)(44)의 하단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Spacer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Cable Protection Tube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보호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등을 위해 지중에 복렬로 매설되는 케이블보호관은 스페이서를 이용 간격을 일정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케이블보호관의 처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케이블보호관의 상부에 위치하는 각종 시설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도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보호관(10)의 상부에 끼우기 위한 역(逆) "U"자 모양의 보호관삽입부(11)가 스페이서(12)의 아래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있었고, 측면 밀착시 결합되는 측면위치결정홈(13)과 측면위치결정돌기(14)가 스페이서(1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었으며, 상하 적층시 결합되는 상하위치결정홈(15)과 상하위치결정돌기(16)가 스페이서(12)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스페이서(12)의 설치 과정은 나란하게 설치된 케이블보호관(10)에 스페이서(12)를 끼우면서 스페이서(12)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위치결정홈(13)과 측면위치결정돌기(14)를 결합하면 스페이서(12)가 좌우방향으로 밀착된 채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 스페이서(12)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경우 상하위치결정홈(15)과 상하위치결정돌기(16)를 맞추어 결합하면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스페이서는 흙으로 메우는 과정에서 쏟아지는 토사에 의해 스페이서(12)가 전후방향(케이블보호관의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이를 잡아줄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종래기술(특허문헌 1,2)에서는 토사에 의해 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은 방지할 수 있지만 스페이서 간에 결속력이 없기 때문에 케이블보호관의 중심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구불구불하게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8973호 (2011.06.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0700호 (2011.12.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전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보호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사이에 결속력을 부여함으로써 케이블보호관을 보다 일직선에 가깝게 정렬해서 설치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판을 삽입하기 위한 수평홈을 갖는 "ㄷ"자 단면의 앵글삽입부를 스페이서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을 밀착해서 설치하기 위한 앵글밀착부를 상기 앵글삽입부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를 앵글밀착부에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L"자형의 앵글걸림턱을 상기 앵글밀착부의 하단부에 형성하여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좌우측면에 결합되는 앵글에 의해 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에 의해 스페이서와 스페이서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보호관을 일직선에 더욱 가깝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앵글의 접합부에 걸치는 형태로 설치된 앵글접속판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 접합부가 벌어지거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접속판에 형성된 절곡편이 앵글에 형성된 노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부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밀착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앵글의 수직판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삽입부에 형성된 수평홈에 앵글의 수평판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밀착부 하단부에 형성된 앵글걸림턱에 수직판의 하단부가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글과 앵글접속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측방향으로 이어서 복렬로 구성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측방향으로 복렬로 구성하고, 길이방향으로도 연속해서 설치한 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을 맞대어 일직선으로 접합하기 위한 두 앵글(20)(30)에 각각 형성된 수평판(22)(32)을 삽입하기 위한 수평홈(41g)(42g)을 갖는 "ㄷ"자 단면의 앵글삽입부(41)(42)를 스페이서(40)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형성하고, 수평판(22)(32)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판(24)(34)을 밀착해서 설치하기 위한 앵글밀착부(43)(44)를 앵글삽입부(41)(42)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수직판(24)(34)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L"자형의 앵글걸림턱(43a)(44a)을 앵글밀착부(43)(44)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수직판(24)(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24h)(34h)을 형성하며, 장공(24h)(34h)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45)(46)를 앵글밀착부(43)(44)에 형성하고, 체결공(52)(54)이 형성된 앵글접속판(50)을 두 수직판(24)(34)의 접합부(C1)에 걸치는 형태로 설치한다.
상기 앵글삽입부(41)(42)와 앵글밀착부(43)(44), 앵글걸림턱(43a)(44a)은 스페이서(40)를 성형할 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앵글삽입부(41)(42)와 앵글밀착부(43)(44), 앵글걸림턱(43a)(44a)을 스페이서(4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앵글(20)(30) 지지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되도록 한다.
체결공(52)(54)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45h)(46h)을 돌출부(45)(46)에 형성하고, 앵글(20)(30)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절곡편(55)(56)을 앵글접속판(50)의 상하단부에 형성하며, 절곡편(55)(56)이 삽입되는 노치(26a)(26b)(36a)(36b)를 접합부(C1)를 기준으로 양측 수직판(24)(34)의 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 앵글(20)(30)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되며,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스페이서(40)의 좌우측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스페이서(40)를 좌우방향 복렬로 설치하는 경우 스페이서(40)의 밀착면에 위치된 앵글(20)(30)은 첨부도면 도 7,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밀착된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체결공(52)(54)과 관통구멍(45h)(46h)에 볼트(60)(62)를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60)(62) 끝부분에 너트(70)(72)를 결합하여 앵글접속판(50)과 앵글(20)(30)을 스페이서(40)에 고정하거나 앵글(20)(30)을 스페이서(40)에 고정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0은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보호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된 케이블보호관(80) 사이에 스페이서(40)를 끼워서 수직으로 세운 다음 앵글(20)(30)의 수평판(22)(32)을 스페이서(40)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앵글삽입부(41)(42)에 형성된 수평홈(41g)(42g)에 삽입하게 되면, 스페이서(40)의 좌우측에 앵글(20)(30)이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때 앵글밀착부(43)(44)에 형성된 돌출부(45)(46)를 수직판(24)(34)에 형성된 장공(24h)(34h)에 일치시키면서 수직판(24)(34)을 앵글밀착부(43)(44)에 밀착시키게 되면, 수직판(24)(34)의 하단부가 앵글걸림턱(43a)(44a)에 걸리게 된다.
이후 앵글접속판(50)에 형성된 절곡편(55)(56)을 앵글(20)(30)의 단부에 형성된 노치(26a)(26b)(36a)(36b)에 삽입하면서 수직판(24)(34)에 밀착시키게 되면, 앵글접속판(50)에 형성된 체결공(52)(54)의 중심과 돌출부(45)(46)에 형성된 관통구멍(45h)(46h)의 중심이 상호 일치된다.
그 다음 체결공(52)(54)과 관통구멍(45h)(46h)으로 볼트(60)(62)를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60)(62) 끝부분에 너트(70)(72)를 결합하게 되면, 앵글접속판(50)과 앵글(20)(30)이 스페이서(40)에 고정된다.
한편, 스페이서(40)를 좌우방향 복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좌측과 우측을 제외한 나머지 밀착부위에는 앵글접속판(50)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60)(62)를 관통구멍(45h)(46h)으로 직접 삽입한 후 너트(70)(72)와 결합하여 고정한다.
또한, 앵글(20)(30)의 접합부(C1)는 앵글삽입부(41)(42)와 앵글밀착부(43)(44)에 위치되며, 필요에 따라 앵글(20)(30)을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스페이서(40)에 앵글(20)(30)이 설치된 상태에서 흙으로 매립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40)가 토압을 받는 경우 그 힘이 앵글(20)(30)을 통해 앵글접속판(50)으로 전달되기도 하는데, 이때 앵글접속판(50)에 형성된 절곡편(55)(56)이 앵글(20)(30)의 단부에 형성된 노치(26a)(26b)(36a)(36b)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접합부(C1)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글밀착부(43)(44)에 형성된 돌출부(45)(46)가 앵글(20)(30)의 수직판(24)(34)에 형성된 장공(24h)(34h)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20)(30)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앵글삽입부(41)(42)에 형성된 수평홈(41g)(42g)은 앵글(20)(3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게 되며, 앵글밀착부(43)(44) 하단부에 형성된 앵글걸림턱(43a)(44a)에 수직판(24)(34)의 하단부가 걸려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앵글(20)(3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저지하게 된다.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두 앵글(20)(30)의 접합부(C1)가 벌어지거나 어긋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40)와 앵글(20)(30)에 토압이 작용되는 경우 접합부(C1)에 절반씩 걸치는 형태로 수직판(24)(34)에 밀착되어 있는 앵글접속판(50)이 볼트(60)(62)와 너트(70)(72)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꺾임이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볼트(60)(62)와 너트(70)(72)에 의해 돌출부(45)(46)에 고정된 앵글접속판(50)에 의해 수직판(24)(34)이 앵글밀착부(43)(44)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삽입부(41)(42)로부터 앵글(20)(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30 : 앵글 22,32 : 수평판
24,34 : 수직판 24h,34h : 장공
26a,26b,36a,36b : 노치 C1 : 접합부
40 : 스페이서 41,42 : 앵글삽입부
41g,42g : 수평홈 43,44 : 앵글밀착부
43a,44a : 앵글걸림턱 45,46 : 돌출부
45h,46h : 관통구멍 50 : 앵글접속판
52,54 : 체결공 55,56 : 절곡편
60,62 : 볼트 70,72 : 너트
80 : 케이블보호관

Claims (1)

  1. 두 앵글(20)(30)의 단면을 맞대어 일직선으로 접합되며, 앵글(20)(30)에 형성된 수평판(22)(32)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판(24)(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24h)(34h)이 형성되고, 장공(24h)(34h)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돌출부(45)(46)를 가지며, 체결공(52)(54)이 형성된 앵글접속판(50)이 두 수직판(24)(34)의 접합부(C1)에 걸치는 형태로 설치되고, 체결공(52)(54)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45h)(46h)이 상기 돌출부(45)(46)에 형성되며, 앵글(20)(30)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절곡편(55)(56)이 앵글접속판(50)의 상하단부에 형성되고, 절곡편(55)(56) 삽입을 위한 노치(26a)(26b)(36a)(36b)가 접합부(C1)를 기준으로 양측 수직판(24)(34)의 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2)(32)을 삽입하기 위한 수평홈(41g)(42g)을 갖는 "ㄷ"자 단면의 앵글삽입부(41)(42)를 스페이서(40)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24)(34)을 밀착해서 설치하기 위한 앵글밀착부(43)(44)를 상기 앵글삽입부(41)(42)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45)(46)를 앵글밀착부(43)(44)에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24)(34)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L"자형의 앵글걸림턱(43a)(44a)을 상기 앵글밀착부(43)(44)의 하단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20150061533A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1582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533A KR101582287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533A KR101582287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287B1 true KR101582287B1 (ko) 2016-01-05

Family

ID=5516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533A KR101582287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26B1 (ko) * 2021-11-19 2022-10-04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지중배전선로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73B1 (ko) 2011-04-29 2011-06-03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파형관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1090700B1 (ko) 2011-10-24 2011-12-0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지중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1242050B1 (ko) * 2012-07-18 2013-03-11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973B1 (ko) 2011-04-29 2011-06-03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파형관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1090700B1 (ko) 2011-10-24 2011-12-0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공동주택 배전용 지중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1242050B1 (ko) * 2012-07-18 2013-03-11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26B1 (ko) * 2021-11-19 2022-10-04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지중배전선로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994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트레이
KR101415883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1311422B1 (ko)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에서의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연결구조
WO2017107935A1 (zh) 一种双层床立柱和横梁的连接结构及使用该结构的双层床
KR101582287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보호관 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KR101038972B1 (ko) 공동주택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CN109989616B (zh) 护栏连接部件
US9225156B2 (en) Conduit spacer assembly
JP2010174610A (ja) 地面保護用の保護ブロックおよび地面保護構造
KR100944792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1567420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KR101556475B1 (ko) 난방파이프용 고정구의 이탈방지기구
KR102270308B1 (ko) 지중배전관 간격유지장치
KR20080083383A (ko) 전복양식용 전복부착판 설치틀
KR101906198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963235B1 (ko) 공동주택용 지중관 스페이서 결속장치
KR100630426B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20110011998U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연결구조
CN220111321U (zh) 连接装置和静电除尘器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CN211499875U (zh) 一种采用双向扣件的洞口防护装置
KR20200077882A (ko) 상하수도관의 매립설치구조물
CN211010149U (zh) 一种地泵管弯管接头固定装置
CN214883692U (zh) 一种基坑支护装置
CN104828442B (zh) 预制构件立式堆放排架及其立式堆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