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420B1 -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420B1
KR101567420B1 KR1020150061328A KR20150061328A KR101567420B1 KR 101567420 B1 KR101567420 B1 KR 101567420B1 KR 1020150061328 A KR1020150061328 A KR 1020150061328A KR 20150061328 A KR20150061328 A KR 20150061328A KR 101567420 B1 KR101567420 B1 KR 10156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lates
vertical
groove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주)건일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건일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5006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볼트와 수직볼트를 이용해서 상하좌우로 배치된 분할스페이서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짝을 이루어 상하로 분할되고, 짝 단위로 상하좌우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며,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을 갖는 분할스페이서(40)(50); 분할스페이서(40)(50)를 각각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결속하는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61)(63)(71)(73); 끼움판(85)(86)이 형성되고, 걸림돌기(81a)(81b)(82a)(82b)가 나란하게 형성된 받침대(80); 분할스페이서(40)(50)와 받침대(80)가 만나는 코너부위에 설치되고, 걸림돌기(81a)(81b)(82a)(82b)와 결합되는 후크(94)(96)가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좌우밀착판(42)(43)(52)(53)의 단부에 결합되는 클레비스부(92)를 갖는 코너보강재(90); 코너보강재(90)와 받침대(8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10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홈(41g)(51g)과 수직홈(42g)(43g)(52g)(53g); 및 끼움판(85)(86)이 삽입되고, 너트(61)(63)(71)(73)와 결합되는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의 양단이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홈(46)(47)(56)(5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Underground Distribution Conduit Spacer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평볼트와 수직볼트를 이용해서 상하좌우로 배치된 분할스페이서를 견고하게 연결하고, 분할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 등을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배전관을 복수로 구성하는 경우 지중배전관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하게 된다. 이때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지중배전관의 처짐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지중배전관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종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판으로 된 스페이서(10)의 하부에 역(逆) "U"자 모양의 지중배전관인입부(11)를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한 것으로, 굴착면 하부에 일정한 높이로 모래를 덮은 후 그 모래 위에 지중배전관(12)을 설치하고, 스페이서(10)를 이용 지중배전관(12)의 간격을 일정하게 잡아준 다음 지중배전관(12) 사이의 틈과 측면을 흙으로 메우고 스페이서(10)를 제거한 후 복토하여 지중배전관(12)을 매립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스페이서(10)가 흙으로 덮기 전 지중배전관(12)의 간격유지용도로만 사용되고 중간에서 제거하게 되므로, 스페이서(10)가 제거된 상태에서 흙을 덮을 때 토압에 의해 지중배전관(1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기 어렵고, 경사지나 지하수 침출이 우려되는 곳에 시공할 경우에는 지중배전관(12) 사이와 아래쪽에 위치한 모래가 쉽게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토압이 크게 작용하는 수직방향으로는 지중배전관의 간격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도면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분할된 스페이서블록(15)(16)에 지중배전관(17)의 외주면 상하부에 절반씩 밀착되는 반원형의 지중배전관밀착부(15a)(16a)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각 스페이서블록(15)(16)의 좌우측면에는 더브테일돌기(18a)와 더브테일홈(18b)이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또, 스페이서블록(15)(16)의 분할면에는 반원형돌기(19a)와 반원형홈(19b)이 형성되어 스페이서블록(15)(16)을 상측으로 쌓아올릴 때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는 스페이서블록(15)(16)을 측방향으로 연결할 때 더브테일돌기(18a)와 더브테일홈(18b)을 결합해서 이어가야만 되는데, 스페이서블록(15)(16)을 서로 전후방으로 어긋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야만 더브테일돌기(18a)와 더브테일홈(18b)의 결합 가능하게 되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서 공사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2는 상하로 분할된 스페이서블록(15)(16)은 반원형돌기(19a)와 반원형홈(19b)에 의해 걸려 있지만 다단으로 적층한 부위에는 아무런 걸림이 없기 때문에 경사지 등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약간의 토압이 작용되는 경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2는 토사유실, 빗물유입, 지진 등에 의해 상하측의 스페이서블록(15)(16)에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경우 반원형돌기(19a)와 반원형홈(19b)이 쉽게 분리되면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도면 도 3은 종래기술 3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사각스페이서(20) 상측에 "U"자 모양의 지중배전관안착부(21)가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었으며, 지중배전관안착부(21)의 중간 중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앵커삽입구멍(22)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 앵커삽입구멍(22)의 상하단에는 결합홈(23)과 결합보스(2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사각스페이서(20)에 형성된 지중배전관안착부(21)에 지중배전관(25)을 위치시키면서 사각스페이서(20)를 상하로 적층한 후 앵커삽입구멍(22)에 앵커(26)를 박아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3은 사각스페이서(20)에 형성되어 있는 지중배전관안착부(21)에 위치되는 지중배전관(25)의 상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중배전관(25)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도면 도 4는 종래기술 4에 따른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관(27)의 상측에 끼워서 거는 역(逆) "U"자 모양의 지중배전관삽입부(28h)가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의 아래쪽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었고, 상하로 적층되는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호 결합되는 위치결정홈(29a)과 위치결정돌기(29b)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좌우로 밀착되는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도 상호 결합되는 끼움홈(29c)과 끼움돌기(29d)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 4는 나란하게 배치된 지중배전관(27)의 상부에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를 끼우면서 상하로 적층하고 좌우로 이어나가면,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의 상면과 저면,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위치결정홈(29a)과 위치결정돌기(29b) 및 끼움홈(29c)과 끼움돌기(29d)가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4는 흙을 덮을 때 토압에 의해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가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이를 잡아줄 수 있는 것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가 전후방향으로 어긋나면서 이탈되거나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4는 위치결정홈(29a)과 위치결정돌기(29b) 및 끼움홈(29c)과 끼움돌기(29d)가 단순히 끼워서 맞추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지중배전관스페이서(28)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89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907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322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페이서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는 서로 짝을 이루어 상하로 분할되고, 짝 단위로 상하좌우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며, 상하적층판과 좌우밀착판을 갖는 분할스페이서; 분할스페이서를 각각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결속하는 수평볼트와 수직볼트; 수평볼트와 수직볼트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 중앙 코너부에 끼움판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걸림돌기가 나란하게 형성된 받침대; 분할스페이서와 받침대가 만나는 코너부위에 설치되고, 걸림돌기와 결합되는 후크가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좌우밀착판의 단부에 결합되는 클레비스부를 갖는 코너보강재; 코너보강재와 받침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볼트와 수직볼트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하적층판과 좌우밀착판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홈과 수직홈; 및 상기 끼움판이 삽입되고, 상기 너트와 결합되는 수평볼트와 수직볼트의 양단이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하적층판과 좌우밀착판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할스페이서를 수평볼트와 수직볼트 및 너트에 의해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흙을 덮는 과정에서 분할스페이서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볼트와 수직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체결할 때 분할스페이서의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체결홈에 의해 너트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받침대와 코너보강재 및 스토퍼에 의해 분할스페이서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받침대를 분할스페이서에 결합할 때 받침대에 형성된 끼움판이 분할스페이서에 형성된 체결홈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가 전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받침대에 형성된 너트간섭방지홈에 의해 받침대가 너트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따른 정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정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 3에 따른 정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 4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볼트와 수직볼트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분할스페이서는 파선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배면과 저면에서 동시에 바라 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스페이서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보강재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분할스페이서(40)(50),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 너트(61)(63)(71)(73), 받침대(80), 코너보강재(90), 스토퍼(100)를 갖는다.
상기 분할스페이서(40)(50)는 서로 짝을 이루어 상하로 분할되며, 분할면(44)(45)(54)(55) 중간에는 지중배전관(30)이 개재되는 반원홈(48)(58)이 각각 형성되고, 분할스페이서(40)(50)가 결합되었을 때 반원홈(48)(58)은 지중배전관(30)의 외경에 맞도록 원형을 이루게 된다.
상기 분할스페이서(40)(50)는 짝 단위로 상하좌우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며, 상측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40)의 상부와 하측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50)의 하부에는 수평한 상하적층판(41)(51)이 각각 형성되고, 분할스페이서(40)(50)의 좌우측에는 수직의 좌우밀착판(42)(43)(52)(53)이 각각 형성된다.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 및 분할면(44)(45)(54)(55)에는 상호 끼워 맞추는 돌기(51a)(42a)(52a)(44a)(45a)와 홈(41b)(43b)(53b)(54b)(55b)이 각각 형성된다.
상하적층판(41)(51)에는 수평홈(41g)(51g)이 형성되고, 좌우밀착판(42)(43)(52)(53)에는 수직홈(42g)(43g)(52g)(53g)이 형성되며,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는 체결홈(46)(47)(56)(5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홈(41g)(51g)과 수직홈(42g)(43g)(52g)(53g)은 측면에서 볼 때 예를 들면 "U"자 단면모양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홈(46)(47)(56)(57)은 정면에서 볼 때 예컨대 "L"자 단면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46)(47)(56)(57)과 만나는 수평홈(41g)(51g)과 수직홈(42g)(43g)(52g)(53g)의 끝부분에는 와셔(62)(64)(72)(74) 또는 너트(61)(63)(71)(73)가 위치되는 자리파기홈(51s)(53s)을 형성하여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가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46)(47)(56)(57)의 전후방측에 평행한 걸림판(57a)(57b)을 형성하여 끼움판(85)(86)이 걸림판(57a)(57b) 사이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상기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는 수평홈(41g)(51g)과 수직홈(42g)(43g)(52g)(53g)으로 각각 삽입되어 너트(61)(63)(71)(73)와 결합되면서 분할스페이서(40)(50)를 각각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결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수직볼트(70)는 분할스페이서(40)(50)의 상하 적층높이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형성하며, 수평볼트(60)는 좌우로 밀착된 분할스페이서(40)(50)의 좌우폭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형성한다.
수평볼트(60)는 가장 왼쪽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40)(50)의 좌측부와, 가장 오른쪽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40)(50)의 우측부에만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요한 수평볼트(60)의 수량을 줄여서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61)(63)(71)(73)는 체결홈(46)(47)(56)(57)으로 돌출된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너트(61)(63)(71)(73)를 결합하기 전에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에 와셔(62)(64)(72)(74)를 미리 끼우고 결합하게 되면, 자리파기홈(51s)(53s)이 너트(61)(63)(71)(73)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대(80)는 예컨대 "L"자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간에는 체결홈(46)(47)(56)(57)에 삽입되는 끼움판(85)(8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걸림돌기(81a)(81b)(82a)(82b)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하측에는 못이나 앵커 등을 지면에 삽입해서 고정하기 위한 앵커구멍(89a)(89b)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스토퍼(100) 결합을 위한 걸림홈(83)(84)이 형성된다.
또, 너트(61)(63)(71)(73)와 받침대(8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간섭방지홈(87)(88)을 받침대(80)의 중앙 상단부와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한다.
상기 코너보강재(90)는 분할스페이서(40)(50)와 받침대(80)가 만나는 코너부위에 설치되고, 예컨대 직각삼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81a)(81b)(82a)(82b)와 결합되는 후크(94)(96)가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분할스페이서(40)(50)에 형성된 좌우밀착판(42)(43)(52)(53)의 단부에 결합되는 클레비스부(92)를 갖는다.
상기 후크(94)(96)는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해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클레비스부(92)는 평면에서 볼 때 "U"자 단면모양의 클레비스홈(92g)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코너보강재(90)의 측면에는 관통구멍(98)(99)을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취급하기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코너보강재(90)의 하단부에는 코너보강재(90)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 리브(97)를 형성하여 후크(94)(96)를 나란하게 두 줄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100)는 코너보강재(90)와 받침대(8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첨부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형성되는 "T"자 모양의 손잡이(102)와, 손잡이(102) 하단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104)와, 몸체(104)의 전후방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면취부(106)와, 몸체(104) 하단에 역(逆) "U"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단홈(108)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면 중 분할스페이서(40)(50), 받침대(80), 코너보강재(90), 스토퍼(100), 수평볼트(60), 수직볼트(70), 와셔(62)(64)(72)(74) 및 너트(61)(63)(71)(73)와 같이 동일한 것을 대칭으로 설치하거나 반복 설치하는 경우 모두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상하위치, 좌우위치 및 전후위치의 기준은 정면도 도 7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관(30)을 분할스페이서(40)(50)를 이용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과정은 서로 분리된 상하측의 분할스페이서(40)(50)에 형성된 반원홈(48)(58)에 지중배전관(3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분할스페이서(40)(50)에 형성된 분할면(44)(45)(54)(55)을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분할면(44)(45)(54)(55)에 형성된 돌기(44a)(45a)와 홈(54b)(55b)이 서로 결합되면서 한 짝의 분할스페이서(40)(50)가 결합된다.
이후 분할스페이서(40)(50)를 짝 단위로 다단 적층하는 경우에는 하층부에 위치되는 상측의 분할스페이서(40) 위에 상층부에 위치하는 하측의 분할스페이서(50)를 올려놓으면서 양측에 형성된 돌기(51a)와 홈(41b)을 서로 끼워 맞추게 되면, 양측에 형성된 상하적층판(41)(51)이 서로 밀착되면서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수직볼트(70)를 수직홈(42g)(43g)(52g)(53g)에 삽입한 다음 수직볼트(70) 양단에 와셔(72)(74)를 끼우고, 와셔(72)(74)를 자리파기홈(53s)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볼트(70) 양단에 너트(71)(73)를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상하로 적층된 분할스페이서(40)(50)가 수직볼트(70)와 너트(71)(7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속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스페이서(40)(50)를 상하방향으로 다단 적층하면서 수직볼트(70)와 너트(71)(73)를 이용해서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이어가게 되면, 지중배전관(30)을 여러 줄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분할스페이서(40)(50)의 좌우밀착판(42)(43)(52)(53)을 서로 밀착시키면서 좌우밀착판(42)(43)(52)(53)에 형성된 돌기(42a)(52a)와 홈(43b)(53b)을 서로 끼워 맞추게 되면, 분할스페이서(40)(50)가 돌기(42a)(52a)와 홈(43b)(53b)에 의해 상하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 분할스페이서(40)(50)의 상하적층판(41)(51)에 형성된 수평홈(41g)(51g)에 수평볼트(60)를 삽입한 다음 수평볼트(60)의 양단에 와셔(62)(64)를 끼우고, 와셔(62)(64)를 자리파기홈(51s)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평볼트(60) 양단에 너트(61)(63)를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좌우로 밀착된 분할스페이서(40)(50)가 수평볼트(60)와 너트(61)(6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결속력을 갖게 된다.
이때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수평홈(51g)에 삽입되는 수평볼트(60)는 지면 때문에 곧 바로 삽입할 수 없으므로, 수평볼트(60)를 수평홈(51g)의 한쪽 끝에서 반대편 끝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삽입해서 너트(61)(63)와 결합하면 된다.
또한, 자리파기홈(51s)(53s)에 와셔(62)(64)(72)(74)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자리파기홈(51s)(53s)의 걸림작용에 의해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가 수평홈(41g)(51g)과 수직홈(42g)(43g)(52g)(53g)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수직볼트(70)와 수평볼트(60) 양단에 너트(61)(63)(71)(73)를 결합할 때 너트(61)(63)(71)(73)가 체결홈(46)(47)(56)(57)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떨어져 위치되기 때문에 서로 간섭 없이 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장 왼쪽과 가장 오른쪽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40)(50)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50)에 형성된 체결홈(56)(57)으로 받침대(80)의 끼움판(85)(86)을 삽입하게 되면, 받침대(80)가 최하측에 위치된 분할스페이서(50)에 결합된다.
이때 받침대(80)에 형성된 너트간섭방지홈(87)(88)에 너트(63)(73)가 일부분 진입되면서 받침대(80)와 너트(63)(73)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코너보강재(90)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크(94)(96)를 받침대(80)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81a)(81b)(82a)(82b) 사이로 삽입한 다음 코너보강재(90)를 받침대(8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밀어서 하측의 분할스페이서(50)에 밀착시키게 되면, 후크(94)(96)가 걸림돌기(81a)(81b)(82a)(82b)에 걸리게 되며, 코너보강재(90)에 형성된 클레비스부(92)는 좌우밀착판(52)(53)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코너보강재(90)를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스페이서(40)(50)의 전후방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한 다음 받침대(80)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83)(84)에 스토퍼(100)를 삽입하게 되면, 스토퍼(100)에 형성된 하단홈(108)이 걸림홈(83)(84)에 서로 맞물린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코너보강재(90)가 스토퍼(100)에 형성된 면취부(106)에 걸려서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고, 후크(94)(96)와 걸림돌기(81a)(81b)(82a)(82b)에 의해 상하좌우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없으며, 분할스페이서(40)(50)는 클레비스부(92)에 걸려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분할스페이서(40)(50)가 전후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받침대(80)와 코너보강재(90)를 분할스페이서(40)(5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스토퍼(100)에 형성된 손잡이(102)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게 되면, 스토퍼(100)가 받침대(80)로부터 분리되며, 이때 코너보강재(90)를 받침대(8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밀게 되면, 후크(94)(96)는 걸림돌기(81a)(81b)(82a)(82b)로부터 분리되고, 클레비스부(92)는 좌우밀착판(52)(53)으로부터 분리되어 코너보강재(90)를 받침대(80)와 분할스페이서(40)(5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받침대(80)를 하측의 분할스페이서(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받침대(80)가 하측의 분할스페이서(50)로부터 분리된다.
30 : 지중배전관 40,50 : 분할스페이서
41,51 : 상하적층판 41g,51g : 수평홈
42,43,52,53 : 좌우밀착판 42g,43g,52g,53g : 수직홈
51s,53s : 자리파기홈 44,45,54,55 : 분할면
51a,42a,52a,44a,45a : 돌기 41b,43b,53b,54b,55b : 홈
46,47,56,57 : 체결홈 57a,57b : 걸림판
48,58 : 반원홈 60 : 수평볼트
70 : 수직볼트 61,63,71,73 : 너트
62,64,72,74 : 와셔 80 : 받침대
81a,81b,82a,82b : 걸림돌기 83,84 : 걸림홈
85,86 : 끼움판 87,88 : 너트간섭방지홈
89a,89b : 앵커구멍 90 : 코너보강재
92 : 클레비스부 92g : 클레비스홈
94,96 : 후크 97 : 리브
98,99 : 관통구멍 100 : 스토퍼
102 : 손잡이 104 : 몸체
106 : 면취부 108 : 하단홈

Claims (1)

  1. 서로 짝을 이루어 상하로 분할되고, 짝 단위로 상하좌우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며,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을 갖는 분할스페이서(40)(50);
    상기 분할스페이서(40)(50)를 각각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결속하는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
    상기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너트(61)(63)(71)(73);
    중앙 코너부에 끼움판(85)(86)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걸림돌기(81a)(81b)(82a)(82b)가 나란하게 형성된 받침대(80);
    상기 분할스페이서(40)(50)와 받침대(80)가 만나는 코너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81a)(81b)(82a)(82b)와 결합되는 후크(94)(96)가 하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밀착판(42)(43)(52)(53)의 단부에 결합되는 클레비스부(92)를 갖는 코너보강재(90);
    상기 코너보강재(90)와 받침대(8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10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홈(41g)(51g)과 수직홈(42g)(43g)(52g)(53g); 및
    상기 끼움판(85)(86)이 삽입되고, 상기 너트(61)(63)(71)(73)와 결합되는 수평볼트(60)와 수직볼트(70)의 양단이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상하적층판(41)(51)과 좌우밀착판(42)(43)(52)(53)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홈(46)(47)(56)(57);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KR1020150061328A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KR10156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28A KR101567420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28A KR101567420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420B1 true KR101567420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328A KR101567420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68A (ko) * 2017-10-31 2019-05-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KR102270308B1 (ko) * 2021-01-11 2021-06-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배전관 간격유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30Y1 (ko) * 2003-07-04 2003-10-17 (주)동영프라스틱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
KR100926650B1 (ko) * 2008-06-05 2009-11-16 (주)엑서런트 지중 케이블관 보호시설
KR101038973B1 (ko) * 2011-04-29 2011-06-03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파형관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930Y1 (ko) * 2003-07-04 2003-10-17 (주)동영프라스틱 통신관 및 전선관용 스페이셔
KR100926650B1 (ko) * 2008-06-05 2009-11-16 (주)엑서런트 지중 케이블관 보호시설
KR101038973B1 (ko) * 2011-04-29 2011-06-03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파형관스페이서 전도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68A (ko) * 2017-10-31 2019-05-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KR102076158B1 (ko) * 2017-10-31 2020-02-11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KR102270308B1 (ko) * 2021-01-11 2021-06-29 주식회사 민영이앤지 지중배전관 간격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584B1 (en) Barrier panel connecting clip and method
KR101415883B1 (ko)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1179770B1 (ko)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KR101407968B1 (ko) 횡방향 결속 구조 및 횡방향 선형가변 구조의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및 수로옹벽 시공방법
EP3362607B1 (en) Earth retention levee system
KR101567420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관 간격 유지장치
KR101382609B1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99672B1 (ko)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US8764348B2 (en) Retaining wall systems and methods
KR101419001B1 (ko) 흙막이용 토류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101990349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KR100770250B1 (ko) 옹벽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옹벽 구조물
KR102148899B1 (ko) 옹벽구조물
KR101080815B1 (ko) 인발저항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전면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019370B1 (ko) 배전용 지중관 간격유지장치
KR101567742B1 (ko) Phc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64616B1 (ko) 타이어 토양보강 시스템
US20190264410A1 (en) Barrier panel connecting clip and method
JP6692175B2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101963235B1 (ko) 공동주택용 지중관 스페이서 결속장치
KR101724407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KR101000533B1 (ko) 파형관 고정용 간격재
KR101906198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JP2011117199A (ja) 山留めの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