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829B1 -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829B1
KR101580829B1 KR1020140040674A KR20140040674A KR101580829B1 KR 101580829 B1 KR101580829 B1 KR 101580829B1 KR 1020140040674 A KR1020140040674 A KR 1020140040674A KR 20140040674 A KR20140040674 A KR 20140040674A KR 101580829 B1 KR101580829 B1 KR 101580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ase member
blasting
thickness direction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503A (ko
Inventor
송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는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된 보강재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로서,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베이스부재;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재를 상기 제 1 베이스부재 측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밀착할 때,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재 사이로 상기 플랜지의 측면이 노출된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Jig for blasting}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조선, 건설, 토목 등 산업분야, 특히 조선 분야에서 대형 블록의 내부에는 각종 작업을 위한 족장이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 대상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내부에는 T자 형상의 보강재(10)가 설치된다. 보강재(10)는 블록의 일면에 결합되는 웨브(11)와 웨브(11)의 끝단에 결합되는 플랜지(13)를 포함한다. 다만, 도시되지 않았으나 L자 또는 I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보강재(1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상적으로 족장(미도시)은 보강재(10)에 설치되는데, 보강재(10)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족장용 클램프(미도시)가 설치된 부위가 노출되지 않아 블라스팅 작업에서 배제된다. 따라서 족장용 클램프가 설치되었던 부위(A, B)에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이 필요하다. 족장용 클램프가 설치되어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이 필요한 부위(A, B)는 플랜지(13)의 측면 또는 플랜지(13)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진공 블라스팅 작업은 작업 헤드(미도시)를 통해 연마재를 대상물에 분사하고 분사된 연마재 및 분진을 헤드를 통해 흡입한다. 따라서 진공 블라스팅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 헤드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 헤드의 밀폐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작업 헤드를 밀폐시키는 일정 대상면이 필요하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보강재(10)의 끝단에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이 필요한 부위(A, B)가 형성될 경우 밀폐가 가능한 대상면이 없기 때문에 진공 블라스팅 작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용 지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진공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된 보강재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로서,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베이스부재;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재를 상기 제 1 베이스부재 측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밀착할 때,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재 사이로 상기 플랜지의 측면이 노출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서 상기 웨브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함께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재에서 상기 웨브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재와 함께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 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끝단부에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을 유도하는 테이퍼 가공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는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클램핑되는 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클램핑되면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상기 플랜지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클램프부재;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클램프부재; 및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2 클램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2 클램프부재의 일단부를 상기 제 1 클램프 측으로 밀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램프용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클램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는 밀착패드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를 압착하는 제 1 베이스부재 및 제 2 베이스부재가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를 밀폐시킴으로써, 플랜지의 끝단에 형성된 작업대상부위에 대한 진공 블라스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 대상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에 대한 제 1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사용하여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에 대한 제 2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사용하여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에 대한 제 1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제 1 베이스부재(110), 가이드부재(130), 제 2 베이스부재(120),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플랜지(13)의 측면에 형성된 작업대상부위(A)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플랜지(13)에 설치된다.
제 1 베이스부재(110)는 플랜지(13)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플랜지(13)의 두께방향의 상면은 웨브(11)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제 1 베이스부재(110)는 평판 형상을 가진다. 제 1 베이스부재(110)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미도시)의 헤드(미도시)와 밀착된다. 참고로 진공 블라스팅 장치에서 헤드를 통해 연마재가 대상물로 분사되고, 분사된 연마재 및 분진 등은 헤드를 통해 흡입된다.
제 1 베이스부재(110)에 가이드부재(130)가 결합된다. 가이드부재(130)는 플랜지(13)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재(130)는 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가이드부재(130)에는 제 2 베이스부재(1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베이스부재(110)와 가이드부재(130)는 각각 지지블록(115)에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베이스부재(120)는 평판 형상을 가진다. 제 2 베이스부재(120)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헤드와 밀착된다. 제 2 베이스부재(120)에는 가이드부재(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121)가 형성된다.
탄성부재(140)는 제 2 베이스부재(120)를 제 1 베이스부재(110) 측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40)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140)는 그 일단이 슬라이딩 결합부(121)에 지지되고 그 타단이 가이드부재(130)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부(131)에 지지되도록 제공된다.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플랜지(13)가 제 1 베이스부재(110) 및 제 2 베이스부재(120)에 의해 압착되는 형태로 플랜지(13)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 베이스부재(110), 제 2 베이스부재(120) 등은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를 플랜지(13)에 클램핑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한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제 1 베이스부재(110)와 제 2 베이스부재(120)가 각각 플랜지(13)의 상면 및 하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플랜지(13)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 베이스부재(110) 및 제 2 베이스부재(120) 사이로 플랜지(13)의 측면이 노출된다.
노출된 플랜지(13)의 측면에는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대상부위(A)가 형성된다. 작업대상부위(A)는 족장용 클램프가 설치되었던 부분으로 최초 수행된 블라스팅 작업에서 제외된 부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사용하여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제 1 베이스부재(110) 및 제 2 베이스부재(120)가 플랜지(13)를 압착하는 형태로 플랜지(13)에 설치된다. 이후, 진공 블라스팅 장치(미도시)의 헤드(H)가 플랜지(13)의 상면에 형성된 작업대상부위(도 2의 A)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헤드(H)는 제 1 베이스부재(110)와 제 2 베이스부재(120)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작업대상부위(도 2의 A)도 헤드(H)에 의해 밀폐된다. 헤드(H)가 밀폐되면 헤드(H)를 통해 작업대상부위(도 2의 A)로 분사된 연마재 그리고 연마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은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다시 헤드(H)를 통해 흡입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진공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제 1 지지부재(151)와 제 2 지지부재(152)를 더 포함한다.
제 1 지지부재(151)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51)는 제 1 베이스부재(110)에서 웨브(도 1 및 도 2의 1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지지부재(151)는 제 1 베이스부재(도 2의 110)가 플랜지(13)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되면 제 1 베이스부재(도 2의 110)와 함께 플랜지(13)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 1 베이스부재(도 2의 110)뿐만 아니라 제 1 지지부재(151)가 플랜지(13)의 상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가 플랜지(13)에 단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52)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152)는 제 2 베이스부재(120)에서 웨브(도 1 및 도 2의 11)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지지부재(152)는 제 2 베이스부재(120)가 플랜지(13)의 두께방향의 하면에 밀착되면 제 2 베이스부재(120)와 함께 플랜지(13)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 2 베이스부재(120)뿐만 아니라 제 2 지지부재(152)가 플랜지(13)의 하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가 플랜지(13)에 단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51) 및 제 2 지지부재(152)의 끝단부에는 테이퍼 가공면(151a, 152a)이 형성된다. 테이퍼 가공면(151a, 152a)은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를 플랜지(13)에 설치하기 위해 제 1 지지부재(151)와 제 2 지지부재(152) 사이에 플랜지(13)를 삽입할 때 플랜지(13)의 삽입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클램프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클램프부재(160)는 제 1 베이스부재(11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플랜지에 클램핑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에 대한 제 2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랜지(13)의 상면에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대상부위(B)가 형성된다. 작업대상부위(B)는 족장용 클램프(미도시)가 설치되었던 부분으로 최초 수행된 블라스팅 작업에서 제외된 부분이다.
플랜지(13)의 상면에 형성된 작업대상부위(B)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플랜지(13)에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 베이스부재(110)에 인접 배치된 클램프부재(160)가 플랜지(13)에 클램핑된다.
클램프부재(160)는 제 1 클램프부재(161)와 제 2 클램프부재(162)와 클램프용 탄성부재(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램프부재(161)는 플랜지(13)의 상면에 밀착된다. 제 1 클램프부재(161)는 제 1 베이스부재(11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15)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클램프부재(162)는 제 1 클램프부재(16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힌지축(16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힌지축(163)은 지지블록(115)에서 플랜지(13)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축 결합부(115a)에 설치된다.
클램프용 탄성부재(165)는 제 1 클램프부재(161)와 제 2 클램프부재(162) 사이에 개재되어 제 2 클램프부재(162)의 일단부를 제 1 클램프부재(161) 측으로 밀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부재(160)는 탄성부재(165)가 제 2 클램프부재(162)의 일단부를 제 1 클램프부재(161) 측으로 밀어 그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13)를 압착하는 방식으로 플랜지(160)에 클램핑된다.
제 2 클램프부재(162)의 일단에는 플랜지(13)에 밀착되는 밀착패드(166)가 설치될 수 있다. 밀착패드(166)는 힌지축(167)에 의해 제 2 클램프부재(162)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착패드(166)가 제 2 클램프부재(162)에 힌지 결합된 경우, 밀착패드(166)는 플랜지(13)의 두께에 대응하여 플랜지(13)에 밀착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160)이 플랜지(13)에 클램핑되면 제 1 베이스부재(110)의 일면이 플랜지(13)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를 사용하여 보강재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100)는 클램프부재(160)가 플랜지(13)에 클램핑된 형태로 플랜지(13)에 설치된다. 이후, 진공 블라스팅 장치(100)의 헤드(H)가 플랜지(13)의 측면에 형성된 작업대상부위(도 5의 B)에 대한 추가적인 블라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 경우, 헤드(H)는 제 1 베이스부재(110) 및 플랜지(13)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작업대상부위(도 5의 B)도 헤드(H)에 의해 밀폐된다. 헤드(H)가 밀폐되면 헤드(H)를 통해 작업대상부위(도 5의 B)로 분사된 연마재 그리고 연마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은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다시 헤드(H)를 통해 흡입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진공 블라스팅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보강재 11 : 웨브
13 : 플랜지 100 :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110 : 제 1 베이스부재 120 : 제 2 베이스부재
130 : 가이드부재 140 : 탄성부재
151 : 제 1 지지부재 152 : 제 2 지지부재
160 : 클램프부재

Claims (7)

  1.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된 보강재에 대한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로서,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베이스부재;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재를 상기 제 1 베이스부재 측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밀착할 때,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재 사이로 블라스팅 작업대상부위가 형성된 상기 플랜지의 측면이 노출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끝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서 상기 웨브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와 함께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베이스부재에서 상기 웨브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부재와 함께 상기 플랜지의 두께방향의 하면에 밀착되는 제 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끝단부에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을 유도하는 테이퍼 가공면이 형성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클램핑되는 클램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클램핑되면 상기 제 1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상기 플랜지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 클램프부재;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클램프부재; 및
    상기 제 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 2 클램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2 클램프부재의 일단부를 상기 제 1 클램프 측으로 밀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램프용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램프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플랜지와 밀착되는 밀착패드가 힌지 결합되는,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KR1020140040674A 2014-04-04 2014-04-04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KR10158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74A KR101580829B1 (ko) 2014-04-04 2014-04-04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74A KR101580829B1 (ko) 2014-04-04 2014-04-04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03A KR20150115503A (ko) 2015-10-14
KR101580829B1 true KR101580829B1 (ko) 2015-12-29

Family

ID=5435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674A KR101580829B1 (ko) 2014-04-04 2014-04-04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839A (ko) * 2003-05-20 2004-12-02 윤국원 악보 고정클립
BR112013011164A2 (pt) * 2010-11-11 2016-08-23 Ube Industries recipiente para solução eletrolítica não aquosa, solução eletrolítica não aquosa para colocar no recipiente e método para armazenar a solução eletrolítica não aquos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4004067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03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2311U (ko) 블라스팅 장치
JP2016052871A (ja) 車体の製造装置
KR102100067B1 (ko) 초음파 진동 접합 장치
US3264004A (en) Vacuum chamber sealing means
KR101580829B1 (ko) 블라스팅 작업용 지그
CN104526162A (zh) 一种激光封焊中大盖板自限位的方法
US20030201593A1 (en) Block suction apparatus
KR101572075B1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JP2018207033A (ja) チャックテーブル
KR200412828Y1 (ko) 진공클램핑장치
JP6047603B2 (ja) 開口部用密閉治具
KR101072510B1 (ko) 박판 유리 절단용 지그판
JP5694008B2 (ja) 拡幅治具
KR101271046B1 (ko) 백킹재 부착 기구
KR101829549B1 (ko) 휨 개선 지그
JP6951176B2 (ja) 密封構造及び密封部品
CN214602766U (zh) 固定支腿的门型板定位工装
JP6584005B2 (ja) 封止容器及び加工ユニット
KR20140032630A (ko) 블라스팅 장치
CN209948902U (zh) 一种直线电机拆装辅助治具
KR20160044772A (ko) 로봇 가공용 지그 시스템
KR200335513Y1 (ko) 탭피스
KR20110059180A (ko) 스펀지 테이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20100093990A (ko) 칼날형 절단 장치
KR20160001012A (ko) 방전가공용 전극을 고정하는 지그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