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513Y1 - 탭피스 - Google Patents

탭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513Y1
KR200335513Y1 KR20-2003-0029761U KR20030029761U KR200335513Y1 KR 200335513 Y1 KR200335513 Y1 KR 200335513Y1 KR 20030029761 U KR20030029761 U KR 20030029761U KR 200335513 Y1 KR200335513 Y1 KR 200335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iece
tab piece
ta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택
곽충길
배보인
박종걸
유병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9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5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호선의 끝단부에 사용되는 탭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판면 맞대기 용접이 시작되는 부분 또는 끝나는 부분에서 용접결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V”형상으로 60°각도로 벤딩되고 그루브(30)가 형성되어 있는 탭피스를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에 따른 탭피스는 휴대하기가 쉽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용접완료 후 절단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탭피스{Tap piece}
본 고안은 선박의 건조에 있어서 블럭단위 완성부분 결합시에 양측 블럭의단차를 조정하기 위한 탭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형상으로서 60°각도로 벤딩되어 만들어진 탭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건조시에는 작업의 용이성등을 이유로 선박을 작은 단위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각 블럭별로 제작한 후 제작된 블럭들을 결합하여 선박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완성된 블럭들의 조립시에는 각종 오차와 용적으로 인한 열변형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블럭간의 직선도 및 평탄도 등이 맞지 않아서 조립이 곤란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단차를 맞추기 위하여, 종래에는 탭피스와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다. 양 블럭이 단차를 가지는 경우 이를 맞추어 주고 용접 등의 조립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스틸 탭피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인 도1a와, 기존의 스틸 탭피스가 용접부재에 취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가 낮은 블럭에 대략 ‘ㄷ’자형 또는 평면형의 탭피스를 블럭표면에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탭피스와 높이가 높은 블럭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위치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유압펌프로 하중을 가함으로써 양블럭의 단차를 조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상기 기존의 스틸 탭피스(15)를 사용시에는 작업을 위한 작업장의 이동 및 작업 후 철수가 어려운점이 있었고, 또한 세라믹 탭피스를 사용시에는 피스의 초층후에 떨어지는 문제점과 고정 지그수량의 문제와 고정지그에 부착력이 약하여 무게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었으며, 탭피스를 블럭의 조립면 상에 용접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블럭의 조립 완료 후 탭피스를 제거하더라도, 용접으로 인하여블럭의 표면에 흔적이 남게 되고, 이러한 흔적의 제거를 위해 표면처리를 하고 다시 재 도장을 하는 등 후속조치에도 많은 장비와 인원이 투입되며, 또한 탭피스는 한번 사용되면 그 바닥면이 용접으로 인하여 손상되므로 재사용이 불가하여 폐기하는 실정이었으므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또한 탭피스의 부착과 철거에 용접작업과 그라인딩 작업이 발생되어 주변작업장을 오염시키는 등 생산성 저해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그루브가 굴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그루브 탭피스(35)는 도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그루브(30)를 형성시킨 다음 벤딩한 것으로서, 백킹재를 부착할곳에 개선면이 각도를 이루므로 용접중 쇳물이 흘러 내리는 현상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부재 끝단의 비드에 용접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휴대하기가 쉽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용접완료 후 절단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는 탭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 모양의 개선으로 맞대기 용접하기 위한 두 용접부재의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용접부재 끝단의 비드에 용접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탭피스에 있어서, “V”형상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피스와 상기 탭피스는 60°각도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피스를 제공한다.
도1a는 기존 스틸 탭피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종래의 스틸 탭피스가 용접부재에 취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그루브가 굴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탭피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탭피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탭피스가 용접부재에 취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용접부재 15 : 기존 스틸 탭피스
30 : 그루브 35 : 기존 그루브 탭피스
40 : 탭피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탭피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탭피스가 용접부재에 취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탭피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탭피스(40)는 "V"형상으로 벤딩되어 있으며, 상기 "V"형상의 탭피스(40)는 60°로 벤딩되어 있다.
그리고 기존의 그루브 탭피스(35)가 그루브(30)를 형성 시킨 후 벤딩시킨 반면에 본 고안의 탭피스(40)는 60°로 벤딩 시킨 후 그루브(30)를 형성시킨 점에 차이가 있다.
본 고안의 작업은 "V"형상의 탭피스(40)의 굴곡부 또는 하단부를 용접하며, 상기 탭피스(40)의 하단과 용접부재(10)의 하단을 맞추며 용접 마무리시에는 그리에이트 전류를 사용한다. 또한 고전류, 고전압은 탭피스가 녹아 버릴수도 있으므로 다층용접시 전류와 전압에 주의하여 작업을 해야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탭피스를 사용함으로써 휴대하기가 쉽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용접완료 후 절단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용접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 모양의 개선으로 맞대기 용접하기 위한 두 용접부재의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용접부재 끝단의 비드에 용접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탭피스에 있어서, “V”형상으로 벤딩되고 그루브(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피스(40)는 60°각도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피스.
KR20-2003-0029761U 2003-09-19 2003-09-19 탭피스 KR200335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61U KR200335513Y1 (ko) 2003-09-19 2003-09-19 탭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761U KR200335513Y1 (ko) 2003-09-19 2003-09-19 탭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513Y1 true KR200335513Y1 (ko) 2003-12-11

Family

ID=4942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761U KR200335513Y1 (ko) 2003-09-19 2003-09-19 탭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5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71Y1 (ko) * 2011-07-04 2013-04-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탭 피스
CN111774792A (zh) * 2020-07-23 2020-10-16 安徽宏源铁塔有限公司 一种多拼钢管合缝定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71Y1 (ko) * 2011-07-04 2013-04-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탭 피스
CN111774792A (zh) * 2020-07-23 2020-10-16 安徽宏源铁塔有限公司 一种多拼钢管合缝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6308B (zh) 一种钢箱梁板单元u肋与t肋组合建造工艺
CN107335914A (zh) 动力电池及其密封钉的焊接方法
US20150071752A1 (en) Welded Component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335513Y1 (ko) 탭피스
CN203992920U (zh) 防止t形焊缝角变形的成套工具
CN108829195B (zh) 一种计算机教学专用的便于拆卸方法
CN107511585B (zh) 锂电池箱焊接工装和锂电池箱焊接方法
JP2005081350A (ja) 摩擦攪拌接合方法および摩擦攪拌接合用形材群
CN109014650A (zh) 一种异形干涉焊接结构及其焊接方法
CN110757064B (zh) 球扁钢对接装配工装
CN205363669U (zh) 一种大型夹具体部件的螺纹孔用镶嵌式修复块
CN108188637A (zh) 球面封头开孔焊接防变形工装
JP3420181B2 (ja) 鉄骨構造物の開先形成片側溶接方法
CN208879958U (zh) 一种异形干涉焊接结构
CN110076521A (zh) 一种用于街景店车车体外围板平整度提升工艺方法
KR101777589B1 (ko) 세라믹 백킹재를 이용한 구조용 파이프 용접방법
CN104028947B (zh) 一种侧滑式舱盖齿条安装工艺
CN206455293U (zh) 一种推车和焊接夹具
KR200358414Y1 (ko) 삼각 백킹재
CN215699299U (zh) 一种轿厢底板组焊夹具
CN207717357U (zh) 一种零件支撑座
CN205200913U (zh) 一种马板
CN212885958U (zh) 一种用于焊接装配侧柱的焊接夹具
CN205085862U (zh) 联动式夹紧机构
KR100813642B1 (ko) 특장차 장착용 붐대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