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46B1 - 백킹재 부착 기구 - Google Patents

백킹재 부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46B1
KR101271046B1 KR1020100040688A KR20100040688A KR101271046B1 KR 101271046 B1 KR101271046 B1 KR 101271046B1 KR 1020100040688 A KR1020100040688 A KR 1020100040688A KR 20100040688 A KR20100040688 A KR 20100040688A KR 101271046 B1 KR101271046 B1 KR 10127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ing material
contact
welded
adhesiv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203A (ko
Inventor
이봉왕
배창호
유영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3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with backing means disposed under the s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23K5/24Arrangements for supporting tor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Abstract

백킹재 부착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백킹재의 내화 부재를 피용접재에 밀착하는 백킹재 밀착부, 백킹재 밀착부와 몸체를 연결하고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백킹재 밀착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몸체에 마련되고 백킹재의 접착부를 내화 부재 및 피용접재에 밀착하는 복수개의 접착부 밀착부, 및 접착부 밀착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백킹재 밀착부와 접착부 밀착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도록 몸체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킹재 부착 기구{APPARATUS FOR ATTACHING A BACKING MEMBER}
본 발명은 백킹재 부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피용접재의 후면에 백킹재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부착하는 백킹재 부착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금속판과 같은 피용접재를 용접하는 경우, 피용접재 사이로 용접물질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을 깔끔하게 수행하기 위해 용접 수행 이전에 용접 부위 하부에 백킹재를 부착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백킹재를 피용접재의 용접 부위 하부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피용접재(10)의 용접 부위 하부에 백킹재(40)을 위치시킨 다음, 용접 부위 하부에 부착한다. 백킹재(40)는 용접 물질을 막고 홈을 갖는 내화 부재(20) 및 내화 부재(20)를 부착시키는 접착부(30)를 포함한다. 백킹재(40)를 용접 부위에 부착할 때, 정확한 부착이 수행되지 않으면 용접 시 용접 물질이 흘러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백킹재(40) 부착 시간이 길어지면 용접 작업이 그만큼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백킹재를 부착하는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백킹재 부착 기구가 제공된다. 백킹재 부착 기구는 몸체, 백킹재 밀착부, 제1 연결부재, 접착부 밀착부 및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백킹재 밀착부는 백킹재의 내화 부재를 피용접재에 밀착한다. 제2 연결부재는 백킹재 밀착부와 몸체를 연결하고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접착부 밀착부는 백킹재 밀착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몸체에 마련되고 백킹재의 접착부를 내화 부재 및 피용접재에 밀착한다. 제1 연결 부재는 접착부 밀착부와 몸체를 연결하고, 백킹재 밀착부와 접착부 밀착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도록 몸체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백킹재 부착 기구는 상기 몸체에 부착되어 상기 백킹재 부착 기구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킹재를 상기 피용접재에 밀착하는 백킹재 밀착부의 일면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킹재 밀착부와 피용접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착부 밀착부와 피용접재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백킹재 밀착부는 복수개의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백킹재 부착 기구가 제공된다. 백킹재 부착 기구는 제1 몸체, 백킹재 밀착부, 제1 바퀴들, 연결부, 제1 자력체, 제2 몸체, 제2 바퀴들 및 제2 자력체를 포함한다. 백킹재 밀착부는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고 백킹재를 고정한다. 제1 바퀴들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외부로 일부가 돌출한다. 제1 자력체는 상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퀴 옆에 배치된다. 연결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제2 바퀴는 상기 제2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외부로 일부가 돌출한다. 제2 자력체는 상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바퀴 옆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킹재 밀착부는 상기 백킹재의 양측을 지지하고, 상기 백킹재를 지지하는 상기 백킹재 밀착부의 일면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타원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들은 상기 백킹재의 접착부를 피용접재에 부착하고,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들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들은 상기 제1 자력체 및 제2 자력체에 의해 각각 둘러 싸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들은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고 빠르며 정확하게 백킹재를 피용접재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백킹재를 피용접재의 용접 부위 하부에 부착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피용접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필요는 없고 2 이상의 구성요소의 결합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이 각각 별개의 구성요소일 필요도 없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치 또는 요소 방향, 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용어는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으로,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백킹재 부착 기구(100)는 몸체(110), 접착부 밀착부(120), 백킹재 밀착부(130), 핸들(145)을 포함한다.
몸체(110)에는 접착부 밀착부(120), 백킹재 밀착부(130) 및 핸들(145)이 부착되어 있다. 몸체(110)에는 접착부 밀착부(120), 백킹재 밀착부(130) 및 핸들(145)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110)는 다각형의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 밀착부(120), 백킹재 밀착부(130) 및 핸들(145)은 상기 판 형상의 몸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 밀착부(12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개의 접착부 밀착부(120)는 각각 몸체(110)의 양 측부에 배치되거나, 몸체(110)의 일면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 밀착부(12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육면체의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모따기 부위는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모따기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 모서리부분에 의해 접착부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이 곡선의 형상인 경우 상기 곡선 부위는 접착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 밀착부(120)와 몸체(110) 사이에 접착체 밀착부(120)와 몸체(110)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부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25)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즉, 접착부 밀착부(120) 및 몸체(110)를 관통하고 돌출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접착부 밀착부(120) 및 몸체(1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연결부재는 다른 결합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볼트 및 너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접착부 밀착부(120)의 가장 자리 부분은 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접착부 밀착부(120)의 가장 자리 부분은 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 밀착부(120)는 백킹재의 접착부(30, 도 1)를 피용접재(10, 도 1)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접착부 밀착부(120)는 피용접재(10)의 하부에 내화 부재(20, 도 1)를 배치하고 내화 부재(20) 양쪽에 위치한 접착부(30)를 피용접재(10)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백킹재(40, 도1)가 피용접재(10)의 접착부 하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부 밀착부(120)는 피용접재(10)에 백킹재의 접착부(30)가 잘 접합되도록 테프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부 밀착부(120)는 자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력체와 피용접재(1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접착부 밀착부(120) 및 피용접재(10) 하부에 배치되는 백킹제의 접착부는(30) 접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접착부 밀착부(120)는 백킹재 밀착부(130)와 거리가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조절은 제1 연결부재(125)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25)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를 풀고 접착부 밀착부(120)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25)를 둘러 싸는 탄성 부재(12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26)는 제1 연결부재(125)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6)는 외력에 의해 축소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125)의 조작 없이 내화 부재(20)를 탄성 부재(126)의 탄성을 이용하여 접착부 밀착부(120) 사이에 억지끼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은 측면으로 외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제1 연결부재(125)를 조작하는 것 없이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부재(126)의 탄성력에 의해 접착부 밀착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내화 부재(20)가 외력을 받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130)는 접착부 밀착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130)는 다각형 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130)의 일부는 몸체(110)의 가장 자리보다 바깥부분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130)는 제2 연결부재(135)에 의해 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5)는 백킹재 밀착부(130) 및 몸체(110)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재(135)는 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 고무, 슬라이딩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130)와 피용접재(10) 사이의 거리보다 내화 부재(20)의 두께가 두껍고, 내화 부재(20)는 백킹재 밀착부(130)에 의해 압력을 받아 피용접재(10)에 밀착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는 백킹재 밀착부(130)는 내화 부재(20)가 피용접재에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킹재 밀착부(130)는 자력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체는 백킹재 밀착부(130)와 피용접재(10)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백킹재 밀착부(130)와 피용접재(10) 사이에 인력을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자력체를 포함하는 백킹재 밀착부(130)는 내화 부재(20)와 피용접재(10)를 더 밀착시킬 수 있다.
핸들(145)은 손잡이(144) 및 핸들 몸체(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몸체(142)는 몸체(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핸들 몸체(142)는 몸체(110)로부터 돌출된다. 손잡이(144)는 몸체(110)와 이격되도록 핸들 몸체(142)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44)가 몸체(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피용접재 및 백킹재 부착 공구(100)로부터 손잡이(144)를 조작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백킹재 부착 공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144)는 핸들 몸체(142)와 서로 분리되어 회전할 수 있다. 즉 백킹재 부착 공구(100)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손잡이(144)는 회전이 가능하여 백킹재 부착 공구(100)는 보다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백킹재 밀착부(130)의 일면(130a)은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킹재 밀착부(130)가 내화 부재(20)와 접촉하는 일면(130a)은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130)가 내화 부재(20)와 접촉하는 일면(130a)이 평면인 것에 비해, 곡면부를 갖는 경우 내화부재(20)를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재(135)의 탄성력과 상기 곡면부가 동시에 사용되어 내화부재(20)를 피용접재(10)를 향해 보다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35)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탄성 특성에 의해 백킹재 밀착부(130)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백킹재 밀착부(130)와 피용접재(10) 사이의 거리보다 내화 부재(20)의 두께가 두껍고, 내화 부재(20)는 백킹재 밀착부(130)에 의해 압력을 받아 피용접재(10)에 밀착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내화 부재(20)를 제1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착부 밀착부(120)의 가장자리로 돌출된 백킹재 밀착부(130)의 내화 부재(20)와 접촉하지 않는 면은 접착부 밀착부(120)와 예각(θ)을 이룰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착부(30)와 접촉하는 접착부 밀착부(120)의 일면(120a)은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 밀착부(120)가 백킹재의 접착부를 피용접재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일평면(120a)은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면부의 경우 직선으로 형성되었을 때 보다 압력을 가하기 용이하다. 이에 따라, 접착부와 피용접재의 접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핸들(145)이 몸체(110)와 연결하는 부분과 몸체(110)는 일정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백킹재 부착 공구(100)를 이동 시키는 경우 팔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부 밀착부(120)와 몸체(110)가 마주보는 부분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킹재 부착 기구(100)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접착부 밀착부(120)의 단면은 "U"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125와 접착부 밀착부(120)의 사이에는 상기 "U" 형상으로 인한 공간(125a)이 형성된다. 공간(125a)이 있으므로 접착부 밀착부(120)는 제3 및 제4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제1 연결부재(125)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볼트 및 너트를 풀고 접착부 밀착부(120)를 이동한 다음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접착부 밀착부(120)가 내화 부재의 크기에 따라 제3 방향 또는 제4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재(125) 측면에 탄성 부재(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외력을 가하여 탄성 부재(126)의 변형을 통해 제1 연결부재(125)가 제3 및 제4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접착부 밀착부(120)는 제3 및 제4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백킹재 부착 기구(600)는 제1 몸체(610), 제2 몸체(611), 백킹재 밀착부(620) 및 몸체 연결부(650)를 포함한다.
제1 몸체(610)에는 백킹재 밀착부(620), 제1 바퀴(630), 제1 자력체(640) 및 핸들(660)이 형성된다.
백킹재 밀착부(620)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개의 백킹재 밀착부(620)가 제1 몸체(6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개의 백킹재 밀착부(620) 사이에 내화 부재(20, 도 1)를 배치하고 양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여 지지할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620)와 내화 부재(20)가 접하는 부분은 곡선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곡선부로 인해 백킹재 밀착부(620)는 내화 부재(20)를 보다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백킹재 밀착부(620)는 제1 연결부재(625)에 의해 제1 몸체(610)와 연결된다. 제1 연결부재(625)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625) 측면에 탄성 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가 제1 연결부재(625)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연결부재(625)의 측면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는 백킹재 밀착부(620) 사이에 배치되는 내화부재(20)의 크기가 백킹재 밀착부(620) 사이의 공간 보다 큰 경우 변형되어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화 부재(20)가 보다 견고하게 백킹재 밀착부(6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재(625)에 의해 백킹재 밀착부(620) 사이의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재(625)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볼트 및 너트를 풀고 백킹재 밀착부(625)를 이동한 다음, 상기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백킹재 밀착부(620) 사이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내화 부재(20)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바퀴(630)는 몸체(610)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1 바퀴(630)의 일부는 몸체(610)의 하부로 돌출된다. 제1 바퀴(630)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여 백킹재 부착 기구(600)를 이동시킨다. 제1 바퀴(630)는 볼 형상 또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바퀴(630)는 백킹재의 접착부(30, 도1)를 피용접재(10, 도 1)에 부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바퀴(630)는 제2 연결부재(635)에 의해 몸체(610)과 연결된다.
제1 자력체(640)는 몸체(610)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자력체(640)는 제1 바퀴(63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력체(640)의 일부는 몸체(610)의 하부로 돌출된다. 이와 다르게, 제1 자력체(640)는 몸체(6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자력체(640)는 몸체(610)를 피용접재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력체(640)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자력체(640) 및 피용접재(10) 사이에 자기장이 작용하여 몸체(610)를 피용접재(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자력체(640)가 몸체(6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자력체(640) 및 피용접재(10) 사이에 자기장이 작용하여 몸체(610)를 피용접재(10)에 부착하기 때문에, 제1 자력체(640)가 피용접재(10)와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몸체(610)는 피용접재(10)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바퀴(630)가 백킹재의 접착부(30)를 피용접재(10)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핸들(660)은 몸체(610) 상부에 형성된다. 핸들(660)을 이용하여 백킹재 부착 기구(600)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핸들(660)은 원통형의 회전 가능한 손잡이(655)를 포함한다.
제2 몸체(611)에는 전원부(670), 제2 바퀴(631), 제2 자력체(641) 및 핸들(660)이 형성된다. 제2 바퀴(631), 제2 자력체(641)는 제1 바퀴(630) 및 제1 자력체(6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부(670)는 제2 몸체(611)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6에 예시하였으나, 제1 몸체(6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부(670)는 전선(672)을 통해 구동부(도시되지 않음), 제1 자력체(640) 및 제2 자력체(641)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몸체(610) 및 제2 몸체(611)은 연결부(65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650)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650)는 타원형 스프링, 고무 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가변성으로 인해 연결부(650)는 곡선 변형이 가능하다. 즉, 백킹재 부착 기구(600)는 연결부(650)에 의해 곡선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으로 인해, 제2 몸체(611)는 제1 몸체(610)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것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몸체(610) 하부에 홈(632) 및 바퀴 거리 조절 부재(63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몸체(610) 하부에 백킹재 부착 기구(600)의 진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몸체(610)을 가로지르는 홈(632)이 형성되고 제1 바퀴(6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바퀴 거리 조절 부재(63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바퀴 거리 조절 부재(634)는 레일일 수 있다. 상기 레일을 따라 제1 바퀴(630)가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제1 바퀴(6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내화 부재(20, 도 1)의 크기에 따라 제1 바퀴(6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레일을 둘러싸는 탄성 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레일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퀴(630) 사이에 배치되는 내화 부재(20)의 크기에 따라 제1 바퀴(630)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경우, 제1 바퀴(630)는 상기 탄성 부재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의 복원력으로 인해 제1 바퀴(630) 사이에 배치되는 내화 부재(20)를 지지하는 외력이 더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킹재 부착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백킹재 부착 기구(800)는 몸체(810), 백킹재 밀착부(820), 바퀴(830), 자력체(840) 및 연결부(850)을 포함한다. 백킹재 밀착부(820), 바퀴(830), 자력체(840) 및 연결부(85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백킹재 밀착부(620), 제1 바퀴(630), 제1 자력체(640) 및 연결부(6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바퀴(830)는 자력체(84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에 따라, 바퀴(830)와 자력체(84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몸체(81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백킹재 부착 기구(800)가 피용접재(10, 도 1)의 곡선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자력체(840)가 바퀴(830)를 둘러싸며, 자력체(840)는 몸체(810)와 피용접재를 부착하기 때문에, 바퀴(830) 및 피용접재(10) 사이에 밀착이 보다 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830)가 접착부(30, 도 1)를 피용접재(10)에 부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력체(840)와 피용접재(10)의 거리는 바퀴(830)와 피용접재(10)의 거리보다 멀 수 있다. 이 경우, 자력체(840)와 피용접재(10) 사이에 접촉이 없기 때문에, 백킹재 부착 기구(800) 및 피용접재(1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백킹재 부착 기구(80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연결부(850)는 복수개일 수 있다. 백킹재 부착 기구(800)가 피용접재(10)의 곡선부를 이동하는 경우, 각각의 연결부(850)가 각기 상이하게 휘어지므로 곡선부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력체(840)는 바퀴(830) 내부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자력체(84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백킹재 부착 기구를 피용접재(10)에 부착하므로, 자력체(840)와 피용접재(10)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도면의 실시예를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600, 800: 백킹재 부착 기구 130, 620, 820: 백킹재 밀착부
120: 접착부 밀착부 630, 830: 바퀴
650, 850: 연결부 640, 840: 자력체
110, 610, 810: 몸체

Claims (7)

  1. 몸체;
    백킹재의 내화 부재를 피용접재에 밀착하는 백킹재 밀착부;
    상기 백킹재 밀착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재;
    상기 백킹재 밀착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백킹재의 접착부를 상기 내화 부재 및 상기 피용접재에 밀착하는 복수개의 접착부 밀착부; 및
    상기 접착부 밀착부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백킹재 밀착부와 상기 접착부 밀착부 사이의 거리가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백킹재 부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부재를 상기 피용접재에 밀착시키는 백킹재 밀착부의 일면은 곡선부를 포함하는 백킹재 부착 기구.
  3. 삭제
  4.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고 백킹재의 내화 부재를 고정하는 백킹재 밀착부;
    상기 제1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외부로 일부가 돌출한 제1 바퀴들;
    상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퀴 옆에 배치되는 제1 자력체;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제2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외부로 일부가 돌출한 제2 바퀴들; 및
    상기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바퀴 옆에 배치되는 제2 자력체를 포함하는 백킹재 부착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킹재 밀착부는 2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백킹재의 내화 부재 양측을 각각 지지하고, 상기 내화 부재를 지지하는 상기 백킹재 밀착부의 일면은 곡선부를 포함하는 백킹재 부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 및 제2 바퀴들은 상기 백킹재의 접착부를 피용접재에 부착하고, 상기 제1 바퀴들 및 제2 바퀴들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한 백킹재 부착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들 및 제2 바퀴들은 상기 제1 자력체 및 제2 자력체에 의해 각각 둘러 싸인 백킹재 부착 기구.
KR1020100040688A 2010-04-30 2010-04-30 백킹재 부착 기구 KR10127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688A KR101271046B1 (ko) 2010-04-30 2010-04-30 백킹재 부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688A KR101271046B1 (ko) 2010-04-30 2010-04-30 백킹재 부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03A KR20110121203A (ko) 2011-11-07
KR101271046B1 true KR101271046B1 (ko) 2013-06-04

Family

ID=4539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688A KR101271046B1 (ko) 2010-04-30 2010-04-30 백킹재 부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884A (ko) * 2011-11-21 2013-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금속부재 용접용 지그 및 용접용 지그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2606840B1 (ko) 2022-04-22 2023-11-24 정무수 용접용 세라믹 백킹재 부착장치 및 세라믹 백킹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90Y1 (ko) * 1994-10-25 1997-06-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편면용접용 마그네틱 지지구
KR200308897Y1 (ko) * 2002-09-05 2003-03-29 배정세 위치조절형 조기자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90Y1 (ko) * 1994-10-25 1997-06-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편면용접용 마그네틱 지지구
KR200308897Y1 (ko) * 2002-09-05 2003-03-29 배정세 위치조절형 조기자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03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006B2 (ja) 超音波振動伝達機構部の保持構造
JP2007110136A5 (ko)
US9132872B2 (en) System for assembling a vehicle body
CN103358070A (zh) 夹持装置的夹持模块和定位模块以及用于夹持金属板构件的夹持装置
JP2011224645A (ja) 溶接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5615636B2 (ja) 溶接治具
KR101271046B1 (ko) 백킹재 부착 기구
WO2006118225A1 (en) Support structure for welding backbar
KR20130108810A (ko) 박판 용접장치의 고정지그유닛
KR101483551B1 (ko) 센서부착장치
WO2007030565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perpendicular ultrasonic plastic welding
JP2015517924A (ja) マガジンアタッチメント及び固定システム
JP4876286B2 (ja) 機器類の移動防止器具
CN103688004A (zh) 用于将格栅固定到支架的格栅夹和方法
CN209780279U (zh) 用于两构件搭接的定位装置
JP5656152B2 (ja) 溶接装置の保護構造
WO2015145685A1 (ja) 溶接装置
JP2019064620A (ja) 角当て具
JP3605749B2 (ja) 部品供給ホースの固定具
EP0233931A1 (en) Device for securing an overlap adhesive joint
JP7144330B2 (ja) 接合装置
KR20160006041A (ko) 스폿 용접기
KR101495873B1 (ko) 관체 고정밴드
KR20200030257A (ko) 보강재 변형기구
JP5656153B2 (ja) 溶接装置の部品供給ホース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