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710B1 -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710B1
KR101580710B1 KR1020120126577A KR20120126577A KR101580710B1 KR 101580710 B1 KR101580710 B1 KR 101580710B1 KR 1020120126577 A KR1020120126577 A KR 1020120126577A KR 20120126577 A KR20120126577 A KR 20120126577A KR 101580710 B1 KR101580710 B1 KR 10158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licens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914A (ko
Inventor
히데오 아사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4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54Recognising an unauthorised user or user-associated 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2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separate means, e.g. a server, a magnetic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06F8/62Un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접수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Description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상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한다. 화상 형성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미리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또는 나중에 추가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이다. 이 어플리케이션들을 옵션 제품으로서 취급할 경우에, 유저가 요금을 지불한 어플리케이션만을 유저가 이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이 유효화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이 추가로 인스톨될 때, 라이센스 파일을 이용해서 유저가 요금을 지불한 것을 증명하는 스킴이 제안되어 있다.
옵션 제품의 유효화나 인스톨은 IT 관리자의 관리 비용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경우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454280호는 라이센스를 인증 디바이스에서 관리하고, 인증 디바이스 내의 라이센스의 수를 확인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PC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동시에 인스톨을 지시하는 기술도 생각된다.
유저가 새로운 화상 형성 장치를 구입함으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날짜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IT 관리자는 날짜가 변경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지시들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IT 관리자의 관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관리 디바이스는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에,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해야 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관리 범위마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을 관리하는 관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관리 디바이스는,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공통으로 적용할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본 정보이며,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적용 조건을 포함하는 상기 기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본 정보 저장 유닛, 유저에 의해 이용되고 유저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이며, 적어도 유저에 할당된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와 라이센스 잔여 수를 포함하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라이센스 정보 저장 유닛,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취득 요구이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변경된 경우의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취득 요구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수하도록 구성된 요구 접수 유닛, 접수된 상기 정보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1 판단 유닛, 상기 제1 판단 유닛이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 저장 유닛에 저장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잔여 수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2 판단 유닛, 상기 제2 판단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정보 생성 유닛, 및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의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라이센스 관리 화면의 표시 예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라이센스 등록 화면의 표시 예이다.
도 9는 라이센스 확인 화면의 표시 예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편집 화면의 표시 예이다.
도 11은 개별 인스톨 등록 화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인스톨 상황 확인 화면의 표시 예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편집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라는 용어는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를 칭한다.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 옵션을 장착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해당한다.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을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기종 코드, 각각의 화상 형성 장치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시리얼 ID,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작하는 펌웨어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센스 번호"라는 용어는 유저가 상품을 구입했을 때 수취하는 번호를 칭한다. 라이센스 번호는 구입한 상품에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라이센스 번호는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라이센스 파일"이란 용어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또는 유효화를 행하는 파일이다. 즉, 라이센스 파일은 화상 형성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이다. 라이센스 파일은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복호화하기 위한 비밀 키, 및 정규의 라이센스 파일인 것을 증명하는 증명서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라이센스 파일은 라이센스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라이센스 파일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또는 유효화를 행하는 것을, 이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레이션"이라고 칭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레이션에는 반드시 어플리케이션의 실체를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저장시키는 처리가 포함될 필요는 없다.
"라이센스 데이터"라는 용어는 라이센스 번호 또는 라이센스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칭한다. "디바이스 개별 라이센스"라는 용어는 특정한 시리얼 ID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만 라이센스가 이용될 수 있는 제약이 있는 라이센스이다.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라는 용어는 임의의 시리얼 ID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칭한다. 화상 형성 장치가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를 이용할 경우에, 라이센스 파일이 1개만 필요하기 때문에, 라이센스 번호를 이용한 관리가 불필요해진다.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는 유저는 인스톨한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른 요금을 나중에 지불한다.
"가상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서버 컴퓨터 그룹이 유지하는 실제 디바이스들의 데이터 그룹을 칭한다. "가상 디바이스"는 추상적인 개념이며, 실제로 가상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특히, 가상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및 라이센스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한다.
"테넌트(tenant)"라는 용어는 화상 형성 장치의 관리를 위탁하는 유저(위탁자)의 관리 범위를 칭한다. "테넌트 식별자"라는 용어는 테넌트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식별자를 칭한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가 유저 환경(100)에 제공된 화상 형성 장치(101A, 101B, 101C)의 관리를 위탁한다고 가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유저 환경(100)에 대응하는 1개의 테넌트 식별자가 할당되어, 화상 형성 장치(101A, 101B, 101C)는 그 테넌트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라고 식별되고 관리된다.
가상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와, 실제로 디바이스가 유지하는 데이터와, 테넌트 전용의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해, 각각의 데이터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가상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라고 기술하고, 라이센스 데이터를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라고 기술한다. 실제 디바이스가 유지하는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라고 기술하고, 라이센스 데이터를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라고 기술한다. 테넌트가 구입한 라이센스 데이터 전체를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라고 기술한다. 또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은 테넌트에 속하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공통으로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전반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유저 환경(100), 서버 컴퓨터 그룹(105), 및 서비스맨 환경(110)을 포함한다. 유저 환경(100) 및 서비스맨 환경(110)은 인터넷(104)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인터넷(104)은 공중 회선상의 디지털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유저 환경(100)은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가 당해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는 환경이다. 유저 환경(100)은 화상 형성 장치(101A, 101B, 101C) 및 단말 디바이스(102A)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A, 101B, 101C)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A, 101B 또는 101C)를 화상 형성 장치라고 기술한다. 네트워크(106)는 유저 환경(100)에서 디지털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A 내지 101C)는 네트워크(106)를 통하여 인터넷(104)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02A)는 유저 환경(100)에서 유저가 조작할 수 있는 컴퓨터이다. 단말 디바이스(102A)도 네트워크(106)를 통하여 인터넷(10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서버 컴퓨터 그룹(105)은 인터넷(104)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그룹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 컴퓨터 그룹(105)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을 관리하는 관리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 컴퓨터 그룹(105)은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를 실현한다.
서비스맨 환경(110)은 서비스맨이 단말 디바이스(102B)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 장치를 관리하는 환경이다. 서비스맨 환경(110)은 단말 디바이스(102B)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102B)는 화상 형성 장치(101A, 101B, 101C)를 관리하는 서비스맨이 조작하는 컴퓨터이다. 단말 디바이스(102B)는 인터넷(104)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단말 디바이스(102A, 102B)를 단말 디바이스(102)라고도 기술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버 컴퓨터 그룹(105)은 서버 컴퓨터(210A)와 서버 컴퓨터(210B)를 포함한다. 서버 컴퓨터(210B)는 서버 컴퓨터(21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한다. 서버 컴퓨터(210A)와 서버 컴퓨터(210B)는 네트워크(2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서버 컴퓨터(210A)는 내부 버스(216)에 접속된 CPU(201C) 내지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207C)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내부 버스(211A)에 접속된 CPU(201A) 내지 프린터 엔진(209)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102)는 내부 버스(211B)에 접속된 CPU(201B) 내지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207B)를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CPU(201A, 201B, 201C)를 CPU(201)라고 기술하고, 불휘발성 메모리(202A, 202B, 202C)를 불휘발성 메모리(202)라고 기술하고, 휘발성 메모리(203A, 203B, 203C)를 휘발성 메모리(203)라고 기술하고,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A, 204B, 204C)를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라고 기술하고, 디스플레이(205A, 205B)를 디스플레이(205)라고 기술하고, 입력 디바이스(206A, 206B)를 입력 디바이스(206)라고 기술하고,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207A, 207B)를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207)라고 기술하고, 내부 버스(211A, 211B)를 내부 버스(211)라고 기술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다양한 처리를 제어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02)는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02)에는 부트 처리 동안 초기 단계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휘발성 메모리(203)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휘발성 메모리(203)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 공간으로서 이용된다.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는 하드 디스크 및 RAM 드라이브 등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이다.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는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그램의 실행 코드를 유지한다.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는 휘발성 메모리(203)보다 장시간 동안 유지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205)는 정보의 표시 처리를 행하여, 유저에게 정보에 관해 통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라는 용어는 유저와 서비스맨을 칭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입력 디바이스(206)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 지시를 접수하고, 선택된 지시를 내부 버스(211)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207)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한다.
팩시밀리 유닛(208)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화상 데이터, 또는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A)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네트워크(106)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하드웨어 유닛이다. 팩시밀리 유닛(208)은 옵션일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는 팩시밀리 유닛(208)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린터 엔진(209)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화상 데이터, 또는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A)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종이 매체에 인쇄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의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정보 처리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 및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유닛(302),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 테넌트 식별자 유지 유닛(304),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수집 유닛(305)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 규제 동작 유닛(307), 및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08)을 포함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인터넷(104)을 통하여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의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으로부터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와 당해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을 취득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으로부터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와, 당해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을 취득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유닛(302)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으로부터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을 라이센스 파일을 이용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인스톨한다.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유닛(302)은 미리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은 소정의 조건하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지 또는 언인스톨(uninstall)한다. 테넌트 식별자 유지 유닛(304)은 화상 형성 장치가 속하는 테넌트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테넌트 식별자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테넌트 식별자는 화상 형성 장치가 초기 설치될 때 설정되고, 전원이 차단되어도 상실되지 않도록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A)에 저장된다.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수집 유닛(305)은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수집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어떤 하나의 테넌트에 속하는 3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예이다. 즉,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가 속하는 테넌트의 테넌트 식별자에 연관된다.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데이터 종류의 설정값 등의 데이터 항목을 갖는다. 데이터 종류는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이다. 데이터 종류에는 기종을 식별하기 위한 기종 코드, 펌웨어 버전, 및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디바이스 식별자로서 기능하는 시리얼 ID 등이 설정된다.
설정값에는 데이터 종류에 대응하는 값(시리얼 ID의 값이나, 팩시밀리 유닛의 유무 등)이 설정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를 구별해서 지시하기 위해 적절하게 시리얼 ID를 채택한다. 예를 들어, 시리얼 ID가 AAA00001인 화상 형성 장치를 디바이스 AAA00001라고 기술한다.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와 마찬가지의 데이터 구성을 갖는다는 것을 유의한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각각의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적절하게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로서 설명한다.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수집 유닛(305)이 수집한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와, 테넌트 식별자 유지 유닛(304)이 유지하는 테넌트 식별자를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의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와 테넌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취득 요구를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에 송신한다. 정보 취득 요구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의 취득 요구이다. 정보 취득 요구는 구성 정보가 변경되었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구성 정보(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와 테넌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규제 동작 유닛(307)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이 취득한 가상 라이센스에 설정되어 있는 규제 동작(restricted operation)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화상 형성 장치(101)의 기능을 제한하는 동작(규제 동작)을 하게 한다.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08)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데이터(실제 라이센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의 형태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와 동등하다.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는 미리 정해진 유저의 개별적인 관리 범위마다(테넌트마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을 관리하는 관리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유지 유닛(312),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갱신 유닛(313),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14), 및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유지 유닛(316)을 포함한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는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 및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을 포함한다.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변경한다. 또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유지 유닛(312)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 등에 저장하는 기본 정보 저장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테넌트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공통으로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이며,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도시한다.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이며, 상품 ID, 상품명, 규제 동작, 적용 조건 등의 데이터 항목을 갖는다. 상품 ID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품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식별자이다. 상품명은 상품의 명칭이다. 규제 동작은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화상 형성 장치가 인스톨할 수 없었을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하는 규제 동작이다.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에 이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가 없는 경우에, 당해 어플리케이션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인스톨되지 않는다. 즉,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하는 "규제 동작"에 설정된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는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될 화상 형성 장치에 규제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로서 기능한다.
적용 조건은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가 충족시켜야 할 조건이다. 예를 들어, 적용 조건에 설정된 IC 카드 RW 및 HDD는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가 IC 카드 RW 및 HDD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갱신 유닛(313)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14)은 라이센스 정보로서 기능하는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를 유지한다(그리고 라이센스 정보 저장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는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테넌트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에 관련된다.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는 적어도 상기 유저에 할당된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와 라이센스 잔여 수를 포함한다.
도 5b는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는 상품 ID, 상품명, 라이센스 수, 라이센스 잔여 수, 및 라이센스 번호 등의 데이터 항목을 갖는다. 상품 ID 및 상품명은 도 5a에 도시된 상품 ID 및 상품명과 마찬가지이다. 라이센스 수는 유저가 해당하는 테넌트용으로 구입한 라이센스의 수이다. 라이센스 수가 ∞로 설정되어 있는 라이센스는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이다. 라이센스 수가 ∞로 설정되지 않은 라이센스는 디바이스 개별 라이센스이다. 라이센스 잔여 수는 이용 가능한 라이센스의 잔여 수이다. 라이센스 번호는 유저가 해당하는 테넌트용으로 구입한 라이센스 번호이다.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갱신한다.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유지 유닛(316)은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C) 등에 저장한다(그리고 디바이스 정보 저장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및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및 인스톨할) 어플리케이션을 판정한다. 이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레이션 후보라고 지정한다. 도 5a에 도시된 예에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IC 카드 로그인, 잡 감사 에이전트, 및 HDD 암호화를 인스톨레이션 후보라고 지정한다.
그 다음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즉, 조건 판단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IC 카드 로그인의 적용 조건은 IC 카드 RW이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디바이스 AAA00001, AAA00002, BBB00001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잡 감사 에이전트의 제공 조건은 필요 없다. 따라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모든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참조하면, HDD 암호화의 적용 조건은 HDD이며, 디바이스 AAA00001 및 BBB00001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 그러나, 디바이스 AAA00002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는 디바이스 AAA00002가 HDD를 갖지 않으므로,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이 어플리케이션이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 후보라고 지정하지 않는다.
그 다음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인스톨 후보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의 레코드에 포함되는 라이센스 수를 참조한다. 그리고,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레코드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잔여 수가 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라이센스 데이터에 포함된 잔여 수를 1개 줄이고,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적용(인스톨)할 대상으로서 확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는 경우(잔여 수가 0인 경우),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할 대상으로서 취급하지 않는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행하는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을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20)에 저장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판정 처리에 있어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조건 판단 처리를 위해 지정한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마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에,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하기의 처리를 실행한다. 가상 라이센스 관리 유닛(321)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규제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취득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는 상품 ID, 상품명, 및 규제 동작 등의 데이터 항목을 갖는다. 상품 ID 내지 규제 동작은 도 5a에 도시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의해 유지되는 상품 ID 내지 규제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상황이다. 상태에 설정되어 있는 "인스톨됨"은 어플리케이션이 실제로 화상 형성 장치에 인스톨되어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인스톨 대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가 인스톨 후보로서 확정되었지만, 화상 형성 장치에는 아직 인스톨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라이센스 부족"은 라이센스가 부족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인스톨할 대상으로서 확정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태에 "인스톨 대기"를 설정한다. 또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라이센스 부족이라고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태에 "라이센스 부족"을 설정한다. 또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인터넷(104)을 통하여 완료 통지를 받는다. 그리고,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인스톨이 완료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에 "인스톨됨"을 설정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라이센스 번호와 시리얼 ID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파일을 생성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라이센스 파일을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와 연관시키고, 어플리케이션 정보로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20)에 유지시킨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20)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유지한다.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라이센스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라이센스 관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HTML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을 인터넷(104)을 통하여 단말 디바이스(102)에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102)가 포함하는 웹 브라우저는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으로부터 수신한 HTML 파일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도 7 내지 도 12c는 라이센스 관리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라이센스 관리 화면 중 톱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 메뉴 화면에는 복수의 메뉴가 링크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유저가 선택한 메뉴에 따라 라이센스 관리 화면은 도 8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화면들 중 하나로 천이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라이센스 등록 화면의 표시 예이다. 라이센스 등록 화면은 라이센스의 등록을 목적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라이센스 관리 화면에서 유저가 "라이센스 등록"을 선택하면, 화면은 라이센스 등록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8a에 도시된 라이센스 등록 화면에서 유저가 구입한 상품의 라이센스 번호를 입력하고, OK 버튼을 선택하면, 이 라이센스 번호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송신된다. 그리고,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갱신 유닛(313)은 라이센스 번호를 해석한다.
해석의 결과, 올바른 라이센스 번호인 경우에,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갱신 유닛(313)은 라이센스 번호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데이터의 레코드를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14)에 등록한다. 그리고,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단말 디바이스(102)에 도 8b에 도시된 라이센스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이 라이센스 등록 화면에는 등록된 라이센스의 상품명과 라이센스 수가 표시된다. 해석의 결과, 라이센스 번호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갱신 유닛(313)은 단말 디바이스(102)에 에러 화면(도시 생략)을 표시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라이센스 번호를 송신함으로 인해,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에 의해 판정되는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등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가 부족할 경우에,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센스의 부족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라이센스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도 9는 라이센스 확인 화면의 표시 예이다. 라이센스 확인 화면은 라이센스 관리 화면들 중 테넌트가 보유하는 라이센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라이센스 관리 화면에서 유저가 "보유 라이센스의 확인"을 선택하면, 화면은 디바이스 확인 화면으로 천이한다. 구체적으로,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14)에 저장되어 있는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라이센스 확인 화면에 표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편집 화면의 표시 예이다.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편집 화면은 라이센스 관리 화면 중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을 편집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라이센스 관리 화면에서 유저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편집"을 선택하면, 화면은 도 10a에 도시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편집 화면으로 천이한다.
유저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을 새롭게 추가하고 싶을 경우에, 유저는 행 추가를 선택한 후 상품명을 선택한다. 유저는 또한 필요에 따라 규제 동작과 적용 조건을 선택한다. 유저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고 싶을 경우에, 유저는 "선택 행 삭제"를 선택한다. 유저가 OK 버튼을 선택하면,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을 판정한다. 판정 처리의 결과,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가 부족할 경우에,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센스 수의 부족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도 11은 개별 인스톨 등록 화면의 표시 예이다. 개별 인스톨 등록 화면은 어플리케이션의 개별 인스톨레이션 및 등록을 위한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라이센스 관리 화면에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의 개별 인스톨 및 등록"을 선택하면, 화면은 도 11에 도시된 개별 인스톨 등록 화면으로 천이한다.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에 라이센스가 있고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에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유저는 개별적으로 인스톨레이션 지시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에 라이센스가 있고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에 미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인스톨레이션 및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가 개별 인스톨 및 등록 화면에서, 인스톨하고 싶은 상품과, 상품을 인스톨할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OK 버튼을 선택하면, 선택에 따른 지시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송신된다.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의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송신된 지시를 수취하고, 이 지시에 따라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추가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인스톨 상황 확인 화면의 표시 예이다. 인스톨 상황 확인 화면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라이센스 관리 화면에서 유저가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상황"을 선택하면, 화면은 도 12a에 도시된 인스톨 상황 확인 화면으로 천이한다. 이하, 인스톨 상황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구체 예에서 설명한다.
도 12a는 유저가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인 디바이스 AAA00001과 디바이스BBB00001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상황을 나타낸다. 디바이스 AAA00001의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1, 2, 3은 인스톨되었고, 인스톨 대기중이고 라이센스가 부족한 어플리케이션은 없다. 디바이스 BBB00001의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1, 2, 4는 인스톨되었고, 인스톨 대기중이고 라이센스가 부족한 어플리케이션은 없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디바이스 AAA00002를 새롭게 구입하고,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을 완료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인스톨 판정의 결과, 인스톨할 어플리케이션이 1개 있고, 라이센스 부족으로 인해 인스톨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이 2개 있는 경우에,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도 12b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디바이스 AAA00002가 기동하고, 인스톨할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면,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도 12c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이 화면에서는, 디바이스 AAA00002에 대응하는 "인스톨됨" 항목에 "1"이 설정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편집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각 단계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불휘발성 메모리(202C), 휘발성 메모리(203C), 또는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C)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고, CPU(201C)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유저의 조작에 따라, 단말 디바이스(102)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갱신 요구를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행한다.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갱신 요구를 검지한다(단계 S1401).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갱신 요구는 유저가 속하는 테넌트의 테넌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은 검지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갱신 요구에 따라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1402). 갱신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유지 유닛(312)에 의해 저장된다. 즉,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갱신 요구를 인터넷(104)을 통하여 접수하고, 이 갱신 요구에 따라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갱신하는 기본 정보 갱신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그 다음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의 갱신 요구가 포함하는 테넌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403). 단계 S1403에 있어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또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도 13b는 도 13a의 단계 S1403에 나타낸,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처리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생성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우선,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은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처리를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에 요구한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이 요구를 검지하고(단계 S1411), 인스톨 후보를 결정한다. 즉,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갱신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인스톨레이션 후보를 결정한다.
그 다음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미처리된 디바이스(화상 형성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12). 미처리된 디바이스는 대응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등록 처리(단계 S1418 및 단계 S1420)가 완료되지 않은 디바이스이다. 미처리된 디바이스가 없는 경우에, 처리는 종료한다. 미처리된 디바이스가 있는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그러한 미처리된 디바이스를 선택해서 처리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413으로 진행한다.
그 다음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미처리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13).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미처리된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412로 복귀된다.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미처리된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그러한 미처리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처리는 단계 S1414로 진행한다.
그 다음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가 포함하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잔여 수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14). 단계 S1414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 하기에서 설명한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도 13a의 단계 S1401에 있어서 검지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갱신 요구가 포함하는 테넌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를 참조한다.
그리고,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의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포함하는 잔여 수가 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잔여 수가 1 이상인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한다. 잔여 수가 0인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즉, 라이센스의 부족) 판단한다.
잔여 수가 0인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하고, 처리는 단계 S1419로 진행한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 대상이라고 확정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415로 진행한다.
단계 S1415에 있어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가 포함하는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에 기초하여, 하기의 처리를 실행한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라이센스가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인지, 또는 디바이스 개별 라이센스인지를 판단한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라고 판단한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417로 진행한다.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디바이스 개별 라이센스인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4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16에 있어서,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디바이스 개별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파일을 생성한다(단계 S1416). 구체적으로,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로부터 디바이스 개별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번호를 취득한다. 또한,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처리 대상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포함하는 시리얼 ID를 취득한다. 그리고,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취득한 라이센스 번호와 시리얼 ID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을 생성한다. 생성되는 라이센스 파일은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이다.
단계 S1417에 있어서,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파일을 생성하고(단계 S1417), 처리는 단계 S1418로 진행한다.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파일은 미리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14)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즉,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은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 공통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 S1418에 있어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처리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해서 그 데이터를 등록한다(단계 S1418). 즉,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테넌트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데이터를 저장 유닛에 저장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413으로 복귀된다.
단계 S1418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인스톨 대상으로서 확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레코드가 포함하는 정보를 타겟 어플리케이션 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당해 어플리케이션의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인스톨레이션 상황을 취득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타겟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인스톨레이션 상황에 기초하여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생성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단계 S1417에서 생성된 라이센스 파일, 및 그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체와 연관시키고, 그들을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20)에 유지시킨다. 디바이스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하는 경우에,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라이센스 파일과 연관시키고, 그들을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20)에 유지시킨다.
단계 S1419에 있어서,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319)은 유저가 조작하는 단말 디바이스(102)에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의 부족에 대해 통지(경고)를 제공한다(단계 S1419). 그리고,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 및 등록하고(단계 S1420), 처리는 단계 S1413으로 복귀된다. 단계 S1420에서 생성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체만이 연관된다.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의 예이다. 단계 S1501로부터 단계 S1507까지의 단계들은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실행된다. 이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불휘발성 메모리(202A), 휘발성 메모리(203A), 및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A) 중 어느 것의 저장 유닛에 저장되고, CPU(201A)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단계 S1521로부터 단계 S1523까지의 단계들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의해 행해진다. 이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불휘발성 메모리(202C), 휘발성 메모리(203C), 및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C) 중 어느 것의 저장 유닛에 저장되고, CPU(201C)에 의해 실행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의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이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켜진 것을 검지한다(단계 S1501). 계속해서,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수집 유닛(305)은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통지되지 않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변경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02).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통지되지 않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변경이 없었던 경우에, 처리는 종료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통지되지 않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503으로 진행한다.
그 다음에,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은 정보 취득 요구에 관해 인터넷(104)을 통하여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의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에 통지한다(단계 S1503). 이 정보 취득 요구는 단계 S1502에 있어서 수집된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와 테넌트 식별자 유지 유닛(304)이 유지하는 테넌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은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하는 요구 송신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그와 동시에,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정보 취득 요구를 접수하는 요구 접수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로부터의 회신을 대기한다(단계 S1504).
그 다음에,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로부터의 회신을 검지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검지한 회신에 포함되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즉,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정보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가 생성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취득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08)이 유지하는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취득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스톨해야 할 어플리케이션, 즉, 인스톨레이션 상황이 인스톨레이션 대기 상태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05). 인스톨레이션 상황이 인스톨레이션 대기 상태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처리는 종료한다. 인스톨 상황이 인스톨 대기 상태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506으로 진행한다.
그 다음에,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은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로부터 라이센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단계 S1506). 다운로드될 라이센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언급한 취득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연관된 라이센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이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의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301)으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응답하여 라이센스 파일과 어플리케이션을 송신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유닛(302)은 라이센스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한다(단계 S1507). 즉,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유닛(302)은 라이센스 파일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는 적용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그 다음에,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은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08)이 유지하는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에 적용하지 않을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08).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지 않은 경우에, 처리는 단계 S1510으로 진행한다.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은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언인스톨한다(단계 S1509).
그 다음에, 규제 동작 유닛(307)은 상기 단계 S1505에서 취득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규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10).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규제 조건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처리는 종료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에 규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규제 동작 유닛(307)은 규제 동작에 따른 기능 제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511). 구체적으로, 규제 동작에 잡 불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규제 동작 유닛(307)은 화상 형성 장치가 잡을 실행하지 않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을 규제한다. 또한, 규제 동작에 박스 불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규제 동작 유닛(307)은 화상 형성 장치가 박스를 이용하지 않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을 규제한다.
단계 S1521에 있어서,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정보 취득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1521). 그리고,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은 수신한 정보 취득 요구가 포함하는 테넌트 식별자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취득한다.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가 포함하는 시리얼 ID를 취득한다. 그리고,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은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유지 유닛(316)이 유지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중 상기 취득한 테넌트 식별자 및 시리얼 ID에 대응하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검색한다.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315)은 검색된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로 재기입한다(단계 S1522).
그 다음에,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는,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대해,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판정 처리와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523).
단계 S1523의 처리는 도 13a의 단계 S1403과 마찬가지의 기술에 의해 실행된다. 즉,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정보 취득 요구가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가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할 경우에,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제2 판단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즉,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314)에 저장된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잔여 수를 참조한다. 그리고,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라이센스 잔여 수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이 화상 형성 장치에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에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하기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생성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나타내는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321)은 생성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를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정보 취득 요구에 관한 응답으로서 회신하는 정보 송신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관리 디바이스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저가 새롭게 화상 형성 장치를 추가 구입했을 경우에, IT 관리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지시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IT 관리자의 관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서버 컴퓨터 그룹(105)이 1대의 서버 컴퓨터(210A)를 포함한다. 서버 컴퓨터 그룹(105)은 유저 환경(100), 서비스맨 환경(110), 또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벤더 환경(vender environment)(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맨이 유저의 허가 하에 유저 환경(100)에 배치된 단말 디바이스(102A)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서버 컴퓨터(210A)와 서버 컴퓨터(210B)는 예를 들어, 인터넷(104)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은 유저의 지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정지 또는 언인스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이 유저의 지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정지 또는 언인스톨하는 구성을 채택할 경우에, 규제 동작 유닛(307)은 미리 정해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규제 동작을 행한다. 또한, 유저로부터 정지 또는 언인스톨이 요구된 어플리케이션이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303)은 요구를 접수하지 않도록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보조 저장 디바이스(204A)에 항상 저장하는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유지 유닛(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수집 유닛(305)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의 변경을 감시하고, 변경 내용을 검지하면,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유지 유닛에 통지한 후, 변경 내용을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에 반영한다.
대안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입력 디바이스(206A)에 테넌트 식별자를 매회 입력할 수도 있다. 입력하는 타이밍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시일 수도 있고, 다른 타이밍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테넌트 식별자는 휘발성 메모리(203A)에 저장된다.
대안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가 켜진 사실에 기초하여,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306)은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를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송신하는 것이 아니고, 유저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206A)를 이용해서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행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310)에 구비되는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318)에 의한 라이센스 파일의 생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라이센스 번호를 사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 또는 유효화를 행할 수 있는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라이센스의 부족을 검지한 것을 계기로, 소정의 라이센스 관리 서비스(도시 생략)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를 자동으로 구입할 수도 있다.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317)은 라이센스 부족을 야기하는 오퍼레이션을 에러로 종료시킬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311)은 유저 입력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파일에 포함되는 선언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규제 조건과 적용 조건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예를 들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 및 등가의 구조와 기능을 모두 포괄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본 출원은 2011년 11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25146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포괄된다.
101: 화상 형성 장치
104: 인터넷
301: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취득 유닛
302: 어플리케이션 인스톨 유닛
303: 어플리케이션 정지 유닛
304: 테넌트 식별자 유지 유닛
305: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수집 유닛
306: 실제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통지 유닛
307: 규제 동작 유닛
308: 실제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
310: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
311: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갱신 유닛
312: 기본 세트 어플리케이션 유지 유닛
313: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갱신 유닛
314: 테넌트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
315: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갱신 유닛
316: 가상 디바이스 구성 데이터 유지 유닛
317: 인스톨 어플리케이션 판정 유닛
318: 라이센스 파일 생성 유닛
319: 라이센스 관리 화면 표시 유닛
320: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유지 유닛
321: 가상 라이센스 데이터 관리 유닛

Claims (8)

  1. 미리 설정된 관리 범위마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을 관리하는 관리 디바이스이며,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공통으로 적용할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본 정보로서,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적용 조건을 포함하는 상기 기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본 정보 저장 수단,
    유저에 의해 이용되고 유저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로서, 적어도 유저에 할당된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와 라이센스 잔여 수를 포함하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취득 요구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변경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취득 요구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수하도록 구성된 요구 접수 수단,
    접수된 상기 정보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1 판단 수단,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잔여 수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2 판단 수단,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정보 생성 수단, 및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기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할 화상 형성 장치에 규제 동작(restricted operation)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기본 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 송신 수단은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는, 관리 디바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정보 저장 수단, 및
    상기 기본 정보의 갱신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수하고, 상기 기본 정보의 갱신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본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기본 정보 갱신 수단을 더 포함하고,
    갱신된 상기 기본 정보에 기인하여, 상기 제1 판단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갱신된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갱신된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2 판단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잔여 수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기본 정보에 대응하는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관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라이센스 파일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생성 수단은 생성된 상기 라이센스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정보 송신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는, 관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저장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가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공통 라이센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라이센스가 공통 라이센스인 경우에, 미리 정해진 공통 라이센스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라이센스가 공통 라이센스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제1 판단 수단이,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관리 디바이스.
  6. 제1항에 기재된 관리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취득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요구 송신 수단,
    상기 정보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 정보 수신 수단, 및
    수신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적용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7. 관리 범위마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을 관리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관리 방법이며,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공통으로 적용할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본 정보로서,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적용 조건을 포함하는 상기 기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본 정보 저장 수단, 및
    유저에 의해 이용되고 유저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로서, 적어도 유저에 할당된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와 라이센스 잔여 수를 포함하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취득 요구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변경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취득 요구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접수하는 단계,
    접수한 상기 정보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잔여 수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할 화상 형성 장치에 규제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더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본 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하는, 관리 방법.
  8. 미리 설정된 관리 범위마다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적용을 관리하는 관리 디바이스의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매체이며,
    상기 관리 디바이스는,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공통으로 적용할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본 정보로서, 적어도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적용 조건을 포함하는 상기 기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본 정보 저장 수단, 및
    유저에 의해 이용되고 유저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의 라이센스에 관한 라이센스 정보로서, 적어도 유저에 할당된 라이센스의 라이센스 수와 라이센스 잔여 수를 포함하는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할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취득 요구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변경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취득 요구를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접수하는 단계,
    접수한 상기 정보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가 상기 기본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잔여 수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는지 여부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할 화상 형성 장치에 규제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더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이용할 라이센스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본 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하고, 취득된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 요구의 송신원인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관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하는, 저장 매체.
KR1020120126577A 2011-11-17 2012-11-09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580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1464A JP5847552B2 (ja) 2011-11-17 2011-11-17 管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JP-P-2011-251464 2011-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914A KR20130054914A (ko) 2013-05-27
KR101580710B1 true KR101580710B1 (ko) 2015-12-29

Family

ID=4735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577A KR101580710B1 (ko) 2011-11-17 2012-11-09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6626B2 (ko)
EP (1) EP2595368B1 (ko)
JP (1) JP5847552B2 (ko)
KR (1) KR101580710B1 (ko)
CN (1) CN103218185B (ko)
BR (1) BR102012029070B1 (ko)
RU (1) RU253349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5927A (ja) * 2013-09-10 2015-03-23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50409B (zh) * 2014-06-30 2016-10-05 安一恒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识别被捆绑软件的方法及其装置
JP6488646B2 (ja) * 2014-07-08 2019-03-2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5209714A1 (de) * 2015-05-27 2016-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passen einer Nutzung eines Geräts
JP6648927B2 (ja) * 2016-01-07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ライセンスサーバ、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862873B2 (ja) * 2016-03-18 2021-04-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導入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10417396B2 (en) * 2016-04-14 2019-09-17 NetSuite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and monitoring licensing of applications or extensions to applications on a multi-tenant platform
JP6855719B2 (ja) * 2016-09-14 2021-04-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導入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7107066B2 (ja) * 2018-07-27 2022-07-27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
US20200225941A1 (en) * 2019-01-15 2020-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ng run-time executables for data analysis functions
US11768923B2 (en) * 2019-08-01 2023-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dia transactions consent management
US11954183B2 (en) * 2020-10-09 2024-04-09 Salesforce, Inc. System and method using metadata to manage packaged applications components based on tenant licenses
CN112509686A (zh) * 2020-12-02 2021-03-16 广州天成医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设备信息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977A (ja) 2008-04-08 2009-10-29 Nec Corp ソフトウェア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
JP2010218397A (ja) 2009-03-18 2010-09-30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インストール管理方法、インストー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JP2011100226A (ja) 2009-11-04 2011-05-19 Ricoh Co Ltd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販売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1563B2 (ja) * 1995-11-17 1999-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のアンインストール方式
JP3602036B2 (ja) * 2000-06-30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グラム供給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供給方法
US6948166B2 (en) * 2001-04-05 2005-09-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installing previously installed software based on user defined preferences
JP2004030601A (ja) * 2002-04-26 2004-01-29 Ricoh Co Ltd リソース情報により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判断を行う装置及び方法
JP4454280B2 (ja) 2003-10-14 2010-04-21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ライセンス認証方法およびライセンス認証システム
US7818259B2 (en) * 2004-01-23 2010-10-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epaid licensing system and method
JP4827467B2 (ja) * 2004-09-10 2011-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ライセンス転送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情報発行サーバ
US7890428B2 (en) * 2005-02-04 2011-02-15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licensing architecture for licensing digital application
US20070130079A1 (en) * 2005-11-23 2007-06-07 Microsoft Corporation Enforcing subscription validity
US7849017B2 (en) * 2006-06-29 2010-12-07 Flexera Software, Inc. Enforced seat-based licensing
US8726014B2 (en) * 2006-10-23 2014-05-13 C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updating license files in an automated licensing system
JP4910678B2 (ja) * 2006-12-21 2012-04-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出力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のプログラム
JP4994909B2 (ja) * 2007-03-26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管理装置及び方法
JP2008310674A (ja) * 2007-06-15 2008-12-2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操作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4961317B2 (ja) * 2007-10-03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仮想デバイスの管理方法、管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5004767B2 (ja) * 2007-11-15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316423B2 (en) * 2008-06-17 2012-11-2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key management server, activation system, and deactivation system
US10719587B2 (en) * 2008-06-25 2020-07-21 Red Hat, Inc. Managing entitlements in a networked environment
JP2010009522A (ja) * 2008-06-30 2010-01-14 Canon Inc ソフトウエアのライセンス契約管理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と情報処理装置、ライセンス契約対象ソフトウエア
JP2010146302A (ja) * 2008-12-18 2010-07-0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803263B2 (ja) * 2009-01-28 2011-10-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のインストール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8438624B2 (en) * 2009-03-03 2013-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of modifying system resources
JP5476823B2 (ja) * 2009-07-06 2014-04-23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管理方法、ソフトウェア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1192165A (ja) * 2010-03-16 2011-09-29 Ricoh Co Ltd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管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553670B2 (ja) * 2010-04-19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11222B2 (ja) * 2011-07-04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管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977A (ja) 2008-04-08 2009-10-29 Nec Corp ソフトウェア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
JP2010218397A (ja) 2009-03-18 2010-09-30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インストール管理方法、インストー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管理システム
JP2011100226A (ja) 2009-11-04 2011-05-19 Ricoh Co Ltd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販売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09385A (ja) 2013-06-06
JP5847552B2 (ja) 2016-01-27
CN103218185B (zh) 2016-01-20
CN103218185A (zh) 2013-07-24
KR20130054914A (ko) 2013-05-27
EP2595368A2 (en) 2013-05-22
EP2595368B1 (en) 2019-08-21
BR102012029070B1 (pt) 2022-01-11
BR102012029070A2 (pt) 2014-10-14
US9026626B2 (en) 2015-05-05
EP2595368A3 (en) 2016-03-09
RU2533498C2 (ru) 2014-11-20
RU2012146981A (ru) 2014-05-10
US20130132530A1 (en) 2013-05-23
BR102012029070A8 (pt)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710B1 (ko) 관리 디바이스, 정보 처리 시스템, 관리 방법, 및 저장 매체
JP4994970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管理する管理プログラム
JP5630237B2 (ja) 電子機器
US95583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introduction assistance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909044B2 (ja) 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9972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ment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00162407A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0137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n application is to be applied in response to change in configuration information
TW200415479A (en) Common memory system shared by more than one se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ing the memory system
JP2013097678A (ja) 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JP675899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12840B2 (ja) 画像形成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N102263640A (zh) 信息处理装置和传送许可证的方法
JP20072724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90065706A1 (en)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021146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72860A (ja) 電子機器,遠隔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128815A (ja) 画像形成装置、方法、プログラム
JP2002196933A (ja) 複写機機能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および複写機機能ダウンロード方法
JP200716605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オプション製品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130067452A1 (en) Management server, host device, and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JP2014219736A (ja) 管理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21197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配信サーバでの配信設定方法
JP2010271780A (ja) ライセンス転送システム、ライセンス転送方法、およびライセンス転送プログラム
JP201908792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