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341B1 -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341B1
KR101580341B1 KR1020107028923A KR20107028923A KR101580341B1 KR 101580341 B1 KR101580341 B1 KR 101580341B1 KR 1020107028923 A KR1020107028923 A KR 1020107028923A KR 20107028923 A KR20107028923 A KR 20107028923A KR 101580341 B1 KR101580341 B1 KR 101580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article
mounting surface
delete delet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508A (ko
Inventor
크레익 디 톰슨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1001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96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by defor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용품을 양면 접착제에 의해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가 개시된다. 충분한 힘을 가하면 편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스페이서는 장착면과 양면 접착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양면 접착제가 장착면에 접착하지 않아, 용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 2의 편향 상태의 스페이서는 양면 접착제를 장착면에 접촉시켜 양면 접착제와 장착면 사이에 결합을 확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METHODS AND ASSEMBLIES FOR ATTACHING ARTICLES TO SURFACES}
접착제(예, 감압 접착제)는 종종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양면 접착 테이프(즉, 주요 양쪽 대향 표면 위에 접착제를 포함하는 테이프)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연신 이형 접착 테이프가 매우 다양한 조립, 접합, 부착, 및 장착 응용에 사용되었다.
본원은 적어도 단일편의 양면 접착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용품을 포함하는 조립체를 개시한다. 조립체는 용품이 양면 접착제에 의해 장착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용품이 장착면에 대해 위치 결정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위치 결정 및/또는 부착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방법 및 조립체에 사용되는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는 용품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스페이서에 충분한 힘이 가해지면 편향될 수 있다. 제 1의 비편향 상태에서, 스페이서는 양면 접착제가 장착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장착면과 양면 접착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 비편향 상태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용품이 원하는 위치에 있도록 용품을 위치 결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스페이서를 양면 접착제의 노출된 접착 표면이 장착면에 접촉되게 하고 양면 접착제와 장착면 간 결합이 확립되게 하는 제 2의 편향 상태로 편향시키도록 충분한 힘을 (예, 용품을 장착면 쪽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스페이서에 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압축할 수 있는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편향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는 용품이 장착면에 부착된 후에 용품과 장착면 사이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용품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서 편향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힘을 스페이서에 가하면, 스페이서는 용품으로부터 제거되어 양면 접착제가 장착면에 접촉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는 단일편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는 압력 인가시 골절되고 분리될 적어도 하나의 분리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여 스페이서는 낱낱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조립체 및 방법은 비교적 크고/크거나 무거운 용품을 장착면에 위치 결정하고 부착시키는데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가 없으면, 이러한 용품은 양면 접착제를 장착면에 먼저 접촉시키지 않고 위치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조립체 및 방법의 다른 이점은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조립체를 장착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중에 스페이서를 편향시킨다는 것이다. 환언하면, (용품이 부착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편향시키기 위한) 별도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원에 사용된 양면 접착제는 연신 이형 접착제이다.
따라서, 일 태양에서, 본원은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방법은 용품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접착제 및 용품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용품을 제공하는 단계;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장착면에 접촉되도록 용품을 배열하는 단계; 용품을 장착면 상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양면 접착제와 장착면 간 접촉을 허용하는 편향 상태로 스페이서를 편향시키고 양면 접착제를 장착면에 접촉시켜 여기에 접착식으로 결합하도록 용품을 장착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조립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합면을 갖는 용품; 제 1 주요 접착 표면이 용품의 결합면에 접착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주요 접착 표면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접착제; 용품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스페이서는 제 1의 비편향 상태에서 제 2의 편향 상태로 적어도 편향 가능하고, 스페이서가 제 1의 비편향 상태에 있을 때,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양면 접착제의 제 2 주요 접착 표면을 지나 용품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며, 스페이서가 제 2의 편향 상태에 있을 때,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의 어떤 부분도 양면 접착제의 제 2 주요 접착 표면을 지나 용품으로부터 외향 연장되지 않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키트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접착제; 및 적어도 하나의 본체 및 이에 연결되고 각각 언더컷 특징부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된 편향 가능한 중합체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 및 다른 태양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개요는 출원 절차 중에 보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
도 1은 단일편의 양면 접착제와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용품의 단면도.
<도 2>
도 2는 예시적인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도 3>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도 4>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도 5>
도 5는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도 6>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도 7>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도 8>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가 있는 용품의 단면도.
다양한 도면들에서의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내의 모든 도면은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목적을 위해 선택된다.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치수는 단지 설명적인 관점에서 도시되며,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치수들 사이의 관계는 이렇게 지시되지 않는 한 도면으로부터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상면", "저면", "상부", "하부", "아래", "위", "전방", "후방", "외향", "내향",및 "제 1"과 "제 2"와 같은 용어들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들은 그들의 상대적 의미로만 사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는 적어도 단일편의 양면 접착제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용품을 포함하는 조립체가 개시된다.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란, 스페이서에 의해 용품 상의 양면 접착제와 장착면 간 접촉이 방지되는 제 1의 비편향 상태에서 용품 상에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스페이서에 의해 양면 접착제와 장착면 간 접촉이 허용되는 제 2의 편향 상태가 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의미한다.
도 1은 단일편의 양면 접착제(100)와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를 포함하는 용품(5)을 포함하는 조립체(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용품(5)이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접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장착 유닛(110) (이는 선반, 바닥, 벽 등일 수 있음)의 장착면(111)에 근접한 조립체(1)를 도시한다.
용품(5)은 장착 유닛(110)에 부착시키고자 하는 임의의 용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원하는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품(5)은 틀이 있는 장식품(예, 그림 또는 장식 액자), 물품 보관 용기 (예, 개수통, 접시걸이, 보관통, 또는 바구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품(5)은 복수의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로 형성된 용품(예, 와이어 바스켓)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용품(5)은 하나 이상의 지지 레일에 의해 (예, 이른바 슬라이드 베어링 또는 글라이드 러너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예, 품목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용기로서, 와이어로 형성된 용품을 포함할 수 있음)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아웃형 제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종종 선반 또는 다른 수평면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용품(5)은 양면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면(11)을 갖는 비교적 편평하고 매끄러운 주요 표면을 포함하여, 용품(5)의 주요 표면은 용품(5)을 장착면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용품(5)은 용품(5)의 소정 부분에 연결되고 양면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면(11)을 갖는 장착 플레이트(7)를 포함할 수 있다. 용품(5)이 슬라이드 아웃형 제품이라면, 장착 플레이트(7)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장착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용품(5)의 본체는 지지 레일/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 플레이트(7)는 용품(5)의 지지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단일의 장착 플레이트(7), 또는 다수의 장착 플레이트(7)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단일편의 양면 접착제(100)를 도시한다. 양면 접착제(100)는 대향하는 주요 표면 상에 감압 접착제 작용성을 갖는 임의의 적절한 시트, 필름, 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시트(100)는, 제 1 주요 접착 표면(101)이 결합면(11)에 접착될 수 있으며 제 2 주요 접착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착할 수 있게 (예, 이형 라이너 제거 후) 노출되는 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면 접착 시트(100)는 결합면(11)에 이미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시트(100)가 사용자에 의해 결합면(11)에 접착되게 별도로 공급될 수 있다. 양면 접착제는 시트, 테이프, 롤 제품 등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결합면(11)과 장착면(111)에 접촉되어 결합하는데 적절한 별개의 단일편의 접착 시트(10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접착제로는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양면 점착 테이프, 라미네이팅 접착제, 양면 폼 테이프 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양면 접착제는 연신 이형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신 이형성은 접착제가 표면에 단단히 부착되게 할 수 있으며 표면 외관을 가시적으로 손상시키지 않거나 또는 그 위에 접착제 잔류물을 남겨두지 않고 표면으로부터 나중에 제거되게 할 수 있다.
적절한 연신 이형 접착 테이프는 감압 접착제가 그 위에 배치된(예컨대, 코팅된) 탄성 배킹, 또는 고도로 신장성이며 실질적으로 비탄성 배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테이프는 고체 상태의 탄성 감압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해서, "테이프"라는 용어는 (개별 접착제 층들이 그 위에 놓인 배킹을 포함하는 제품 외에도) 단일의, 일체의 또는 고체 상태의 접착제 구성을 포함하는 제품을 포괄한다. 적절하게 예시적인 연신 이형 테이프는 코프만(Korpman)의 미국 특허 제4,024,312호; 독일 특허 제33 31 016호; 크렉클(Kreckel) 등의 미국 특허 제5,516,581호.; 및 브리즈(Bries) 등의 PCT 국제 공보 제WO 95/0669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연신 이형 접착제는 예를 들면 두께가 약 0.2 ㎜ 내지 두께가 약 2 ㎜ 범위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연신 이형 접착제는 종종 두께가 약 1 ㎜이다.
양면 접착제(100)가 연신 이형 접착제라면, 이는 작은 고리(pull tab) (예,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시트의 단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장착면(111)으로부터 용품(5)을 탈착하고자 할 때 접착제의 연신 이형성을 활성화하도록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다.
단일편의 양면 접착제(100)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 편의 양면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수 편의 사용에 있어서, 이들 편은 용품(5)의 주요 표면의 결합면 부분(11)에 부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용품(5)에 연결되는 장착 플레이트(7)의 결합면(11)에 부착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용품(5)에 연결되는 다수의 장착 플레이트(7)의 결합면(11)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를 통상 나타낸다.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양면 접착제(100)가 장착면(111)에 접촉되기를 바라는 시간까지 접착제(100)가 장착면(11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따라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의 적어도 하나의 종결 단부(12)는 양면 접착제(100)의 접착 표면(102)에 대해 용품(5)의 결합면(11)에 대해 통상 수직인 방향 (즉, 도 1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외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장착 유닛(110) 쪽으로 조립체(1)를 이동시키면, 스페이서(10)의 적어도 하나의 종결 단부(12)가 장착면(111)에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스페이서(10)에 의해 접착 표면(102)과 장착면(111)의 접촉은 방지되어, 용품(5)이 장착면(111)에 미리 부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용품(5)은 장착 유닛(110) 상에서 위치 결정될 수 있어 (즉, 장착면(111)에 대해 통상 평행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용품(5)은 부착 전에 원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출원인은 본문에서, 위치 결정 작업에서 용품(5)이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 단순하게 확인하거나 확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즉, 용품(5)의 위치 결정은 스페이서(10)의 종결 단부(12)가 장착면(111)에 접촉해 있는 경우의 위치로부터 용품(5)을 이동시키는 것을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이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스페이서(10)는,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10)에 가해져서 접착 표면(102)과 장착면(111)의 접촉을 허용하도록 스페이서(10)를 편향시킬 때까지, 이러한 접촉을 방지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용품(5)이 수평면 상에 놓여지는 비교적 무거운 대상이더라도, 스페이서(10)는, 접착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는 스페이서(10)의 충분한 편향이 용품(5)의 무게로 인해서는 일어나지 않는 식으로 설계된다.
(통상 용품(5)을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장착면(111) 쪽으로 더 멀리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10)에 가해지면, 스페이서(10)는 양면 접착제(100)의 접착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고 접착 결합이 확립되게 하는 그 편향 상태로 편향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0)는 탄성 압축된 스페이서(10)의 적어도 소정 부분에 의해, 및/또는 연성 변형된 스페이서(10)의 적어도 소정 부분에 의해, 및/또는 골절되거나 소성 변형된 스페이서(10)의 적어도 소정 부분에 의해 편향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 편향 상태에 있는 스페이서(10)는 용품(5) 또는 이에 연결된 구성요소와 접촉 (예컨대, 이에 부착)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용품(5)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스페이서(10)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이는 비교적 크고/크거나 무거운 용품의 경우에 유리할 수 있음), 다수의 스페이서(1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페이서(10)는 그 비편향 상태에 있을 때 이들 스페이서가 함께 단일편 이상의 양면 접착제(100)가 장착면(1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나 그 편향 상태에서는 이들 스페이서가 이러한 접촉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예를 들면 그 특성 및/또는 크기를 선택함에 의함).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들)(10)는 여러 방법중 어느 것에 의해 용품(5)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용품(5)에 부착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품(5)의 무게에 의해) 용품(5)과 장착면(111)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접근은 예를 들면 용품(5)을 수평면의 상면 상에 부착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임시적으로(예, 제거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용품(5)에 부착될 수 있다.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용품(5)의 본체(예를 들면, 본체의 주요 표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에 연결된 구성요소(예를 들면, 상기한 장착 플레이트(7))에 부착될 수 있다.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용품(5)에 접착식으로 (예를 들면 양면 접착제를 사용) 또는 기계적으로 (예를 들면, 스페이서(10) 및/또는 용품(5) 상의 부착 특징부를 사용) 부착될 수 있으며, 이들 둘 다는 본문에서 후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스페이서(10) 근처에서 용품(5)의 가장자리 또는 개구의 존재 또는 부재와 무관하게 용품(5)의 결합면(11)에 부착될 수 있고(예를 들면 양면 접착제 사용); 또는 스페이서(10)는 용품(5) 본체의 종결 단부에 또는 이에 부착된 구성요소(예, 장착 플레이트)의 종결 단부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스페이서(10)는 용품(5) 본체 또는 이에 연결된 구성요소 상에 특징부 (예, 개구 또는 홀)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양면 접착제(100)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고(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품(5)의 동일한 결합면(11)에 양면 접착제(100)로 부착된다); 또는 스페이서는 양면 접착제(100)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상기한 접근 및 변경 모두는 스페이서(또는 스페이서들)(10)가 그 원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페이서(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품(5) 상에 배열될 수 있거나, 용품(5)에 부착될 수 있거나 (예, 양면 접착제 사용), 그 밖의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2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 제 1의 상대적 비압축 상태의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20)는 종결 단부(22) (도 2의 예시적인 설계에서 종결 표면)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품(5)이 장착 유닛(110) 쪽으로 이동하면, 스페이서(20)의 종결 단부(22)는 장착면(111)에 접촉할 것이고 양면 접착제(100)의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통상 도 2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용품(5)을 장착면(111) 쪽으로 더 멀리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20)에 가해지면, 스페이서(20)는, 스페이서(20)가 양면 접착제(100) (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의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고 접착 결합이 확립되게 하는 편향 상태로 되도록 충분히 압축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20)는 용품(5)을 장착 유닛(110)에 부착시킨 후에 그대로 (예, 압축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20)는 그 형태적 설계에 의한 것보다 오히려 그 고유 물성에 의해 초기에 압축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체적 (압축) 계수가 적절히 낮은 임의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면 발포 고무, 폴리우레탄 폼 등과 같은 압축 가능한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 폼; 부직포 웨브 (예, 미국 미네소타주 세이트 폴 소재의 쓰리엠 컴패니(3M Company)로부터 Scotch-Brite 상표명으로 구입가능한 제품)와 같은 압축 가능한 섬유질 물질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물질의 체적 계수는,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 또는 스페이서들에 가해질 때까지 그 비편향 (상대적 비압축) 상태의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또는 스페이서들의 조합)가 접착 표면(102)이 장착면(111)에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실패할 정도로 낮지 않아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됨), 체적 계수가 낮은 물질로 반드시 구성될 필요가 없지만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30)는 그 형태적 설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성을 나타내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30)는 소위 판 스프링 구조물을 포함하고, 이는 용품(5)에 부착되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양면 접착제에 의해 용품(5)의 표면(11)에 부착되는) 본체(34)를 포함한다. 종결 단부(32)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6)가 조인트(37)에 의해 본체(34)에 부착되어 있다. 돌출부(36)는 본체(34)의 면으로부터 (종종 10도 내지 60도의) 소정의 각도로 본체(34)로부터 돌출해 있다. 돌출부(36)는 연성일 수 있고/있거나 (즉, 굴곡 계수가 비교적 낮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실리콘, 천연 고무로 구성됨), 조인트(37)는 돌출부(36)와 본체(34) 사이에 연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인트(37)는 소위 리빙 힌지(living hinge)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품(5)을 장착 유닛(110) 쪽으로 이동시키면,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30)의 종결 단부(32)는 장착면(111)에 접촉할 것이고 양면 접착제(100) (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의 표면(102)이 장착면(111)에의 접촉을 방지할 것이다. (통상 도 3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용품(5)을 장착면(111) 쪽으로 더 멀리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30)에 가해지면, 돌출부(36)는 그 길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구부러지고/구부러지거나 조인트(37)에서 구부러져서, 스페이서(30)가 양면 접착제(100)의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고 접착 결합이 확립되게 하는 편향 상태로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계를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종결 단부(42)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46)는 본체(44)에 부착되어 있다. 장착면(111)에 접촉해 있는 종결 단부(42)에 의해,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40)에 가해지면, 돌출부(46)는 그 길이를 따라 구부러질 수 있고/있거나 이들을 본체(44)에 연결하는 조인트(47)에서 구부러질수 있고/있거나 엘보 부분(48)에서 구부러질 수 있어, 스페이서(40)가 양면 접착제(100) (도 4에 도시되지 않음)의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고 접착 결합이 확립되게 하는 편향 상태가 된다.
그러나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30 및 40)는 두 가지의 예시적인 설계이다. 돌출 요소의 다양한 유형, 조합 및 갯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스페이서 본체의 임의의 위치 또는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는 일체의 유닛으로서 성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는 성형된 중합체 재료이다. 적절한 중합체 재료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와 같은 통상의 사출 성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 가능한 스페이서는 낮은 체적 계수에 의해서만 압축할 수 있거나 또는 그 형태적 설계에 의해서만 압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많은 재료 및 설계는 두 메카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재료(예, 플라스틱, 나무, 금속)의 그리드, 격자, 네트워크, 메쉬, 허니콤, 주름진 구조, 폭좁은 주름이 있는 구조, 또는 플리트 주름이 있는 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성 플라스틱 또는 연성 폼을 포함하는 중공 구조(예,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코일형 스프링도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원하는 압축성을 제공할 재료 및 형태적 설계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0)는 제거할 수 있게 편향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스페이서(10)는, 용품(5)을 장착 유닛(110) 쪽으로 이동시키면 장착면(111)에 접촉되고 접착 표면(102)의 장착면(111)에의 접촉을 방지할 종결 단부(12)를 포함한다. (통상, 용품(5)을 장착면(111) 쪽으로 더 멀리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10)에 가해지면, 스페이서(10)는 양면 접착제(100)의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고 접착 결합이 확립되게 하는 제 2의 편향 상태로 제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그 제 2의 편향 상태의 스페이서(10)는 용품(5)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되거나 (스페이서(10)의 소정 부분은 여전히 용품(5)의 소정 부분에 접촉해 있음), 또는 용품(5)으로부터 완전 제거된다 (스페이서(10)의 어느 부분도 용품(5)의 어느 부분에도 전혀 접촉해 있지 않음).
도 5는 장착 플레이트(7) (이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용품(5)에 연결됨) 상에 끼워 맞춰진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50)의 단면을 도시한다. 스페이서(50)는 본체(54)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56)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종결 단부(52)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본체(54)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56)는, 스페이서(50)가 장착 플레이트(7)에 부착되어 있으면 돌출부(56)가 장착 플레이트(7) 면에 대해 약 20도 내지 약 70도의 각도에 있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약 30도 내지 약 60도이다. 또한 스페이서(50)는 언더컷(55)과 본체(54) 사이에서 부재(예, 장착 플레이트(7))를 그대로 유지시키는데 적합한 언더컷 특징부(55)를 포함하여, 스페이서(50)가 부재에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50)는 장착 플레이트(7)에 기계적으로 부착(예, 클리핑, 끼워 맞춤, 등) 될 수 있어 그 다음에 플레이트(7)의 가장자리(9)로부터 내향 측방향으로 (즉, 플레이트(7)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플레이트(7)의 중심 쪽으로) 단거리로 돌출해 있고 플레이트(7)의 표면(11)에 접촉되는 언더컷(55)에 의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클립이다. 이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스페이서(50)에 의해, 용품(5)/장착 플레이트(7)를 장착 유닛(110) 쪽으로 이동시키면, 스페이서(50)의 종결 단부(52)는 장착면(111)에 접촉할 것이고 양면 접착제(100)의 접착 표면(102)이 장착면(111)에의 접촉을 방지할 것이다. (용품(5)/장착 플레이트(7)를 도 5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장착면(111) 쪽으로 더 멀리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스페이서(50)에 가해지면, 언더컷(55)이 장착 플레이트(7)의 가장자리(9)로부터 해제되도록 돌출부(56)는 외향 측방향으로 이동될 것이고, 그 결과 스페이서(50)는 더 이상 플레이트(7)에 부착되지 않아 접착 표면(102)이 장착면(111)에 접촉되게 하는 제 2의 편향 상태가 된다.
스페이서(50)는 하나 이상의 아치 형상의 영역(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어 돌출부(56)가 외향 측방향으로 이동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도 5에 비교적 경사가 급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종결 단부(52)는 둥근 모양일 수 있거나, 또는 장착면(111)에 접촉시킬 때 장착면(111)에 통상 평행하게 배향되는 비교적 편평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힘이 스페이서(50)에 가해질 때 종결 단부(52)가 장착면(111)을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장착면(111) 손상을 방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장착면(111)이 깨지기 쉽거나, 쉽게 손상되거나 장식성 등이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본원에서 언급한 다른 스페이서 설계의 유사 응용도 고려된다).
도 5의 예시적인 설계에서, 양면 접착제(100)는 장착 플레이트(7)의 표면(11)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는데, 스페이서(50)가 장착 플레이트(7) 상에서 그 제 1의 비편향 위치에 있을 때, 양면 접착제(100)는 스페이서(50)의 언더컷(55) 사이에 있게 된다. 또한 양면 접착제는 용품(5) 상에서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6은 장착 플레이트(7)에 끼워 맞춰진,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60)의 다른 설계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의 설계에서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7)의 대향하는 가장자리 위에 클리핑되거나 끼워 맞춰지도록 설계되기 보다 오히려 본 설계에서는 스페이서(60)는 장착 플레이트(7)의 개구(예, 관통홀)(3)의 가장자리 내에 클리핑되거나 끼워 맞춰지고 플레이트(7)의 개구(3)의 가장자리(4)로부터 외향 측방향으로 (즉 플레이트(7) 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플레이트(7)의 개구(3)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단거리로 돌출해 있으며 플레이트(7)의 표면에 접촉되는 언더컷(65)에 의해 그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의 스페이서(60)는 단면이 통상 U-형상, 편자-형상 등일 수 있는 본체(64)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66)를 더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종결 표면(62)을 포함하고 각 돌출부(66)는 (본체(64)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 측방향으로 연장해 있고, 각 돌출부(66)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64)에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66)는, 스페이서(60)가 장착 플레이트(7)에 부착되어 있을 때 돌출부(66)는 장착 플레이트(7) 면에 대해 약 20도 내지 약 70도로 각져 있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약 30도 내지 약 60도이다. 원한다면, 스페이서(60)는 또한 스페이서(60)를 편향시키기를 바라는 시간까지 (그 비편향 상태에서) 용품(5) 상에 스페이서(60)를 그대로 유지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는 특징부(예,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돌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설계의 경우, (도 6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용품(5)/장착 플레이트(7)를 장착 면(111) 쪽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장착면(111)을 향한 스페이서(60)에 가해지면 언더컷(65)이 장착 플레이트(7)의 가장자리(4)로부터 해제되도록 돌출부(66)가 내향 측방향으로 편향되게 하여, 그 결과 스페이서(60)는 더 이상 플레이트(7)에 부착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접착 표면(102) (도 6에 도시되지 않음)을 장착면(11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서(60)는 개구(3)를 통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다).
도 7은 용품(5) 상에 끼워 맞춰진, 제 1의 비편향 상태의 예시적인 제거 가능한 스페이서(70)의 다른 설계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경우 용품(5)은 복수의 와이어 부재(77)를 포함하는 와이어로 형성된 용품(예, 바스켓)을 포함한다. 이 설계에서, 스페이서(70)는,용품(5)의 두 개의 인접한 통상 평행한 와이어 부재(77) 사이에서 클리핑되거나 끼워 맞춰지고 와이어 부재(77) 아래에서 단거리로 돌출해 있는 언더컷(75)과 와이어 부재(77) 위에서 단거리로 돌출해 있는 돌기부(78)의 조합에 의해 그대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의 스페이서(70)는 단면이 통상 U-형상, 편자-형상 등일 수 있는 본체(74)와 두 개의 돌출부(76)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종결 표면(72)을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본체(74)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 측방향으로 연장해 있고, 각 돌출부는 도시한 본체(74)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 돌출부는 언더컷(75)과 돌기부(7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76)는, 스페이서(70)가 와이어로 형성된 용품(5)에 부착되어 있으면, 돌출부(76)가 스페이서(70)가 부착된 와이어(77)에 의해 정해진 면에 대해 약 20도 내지 약 70도로 각져 있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 각도는 약 30도 내지 약 60도이다.
이 설계의 경우, (도 7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용품(5)을 장착면(111) 쪽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충분한 힘이 장착면(111)을 향한 스페이서(70)에 가해지면 언더컷(75)이 와이어(77)로부터 해제되도록 돌출부(76)가 내향 측방향으로 편향되게 하여, 그 결과 스페이서(70)는 더 이상 용품(5)에 부착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접착 표면(102) (도 7에 도시되지 않음)을 장착면(11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서(70)는 개구(73)를 통해 상방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다).
출원인은 본원의 예시적인 도시에서 단면도에서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고/대칭이거나 두 개의 돌출부(36/46/56/66/76)를 갖는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도 고려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예를 들면, 단면도에서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 아니고/아니거나 두 개 초과의 돌출부를 갖는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둥근 모양이거나 또는 원형의 본체로부터 연장해 있는 세 개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 스페이서(50 또는 60)는 온전한 단일편(이는 다른 목적을 위해 재사용되거나 또는 사용될 수 있음)으로서 장착 플레이트(7)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10)는 힘을 가해 적어도 두 개의 별개 편으로 분리되어 (예, 골절되어) 제거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분리용 클립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분리용 스페이서(80)는 도 8에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스페이서(80)는 취약부 영역(즉 비교적 얇은 부분(88))을 제공하는 캐비티(87)를 포함하는 구조물(통상 성형 구조물)을 포함하여, (통상 도 8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용품(5)/장착 플레이트(7)를 장착면(111) 쪽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힘을 스페이서(80)에 가하면, 스페이서(80)는 캐비티(87)에 인접한 취약부(88)에서 골절되어, 돌출부(86) (언더컷(85) 및 종결 단부(82) 포함)는 본체(84)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제거된 돌출부(86)에 의해, 스페이서(80)는 양면 접착제(100) (도 8에 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면(111)에 접촉할 수 있는 편향 상태가 된다. 돌출부(86)가 본체(8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설계된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서지기 쉬운 골절이 발생할 정도로 다소 부서지기 쉬운 스페이서(80)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80)는, 힘을 가하면 (부서지기 쉬운 골절 보다는) 소성 변형이 취약부 영역(88)에서 일어나 돌출부(86)가 본체(84)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오히려 돌출부(86)는 취약부(88)에 의해 본체(84)에 부착해 있을 수 있으나, 언더컷(85)이 해제되도록 그 초기 위치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동하게 소성 변형되어 스페이서(80)는 양면 접착제(100) (도 8에 도시되지 않음)를 장착면(111)에 접촉시킬 수 있는 편향 상태로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접근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소정 실시예가 특정 카테고리로만 분류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모든 이러한 변경 및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자에 의해 고려된다. 즉, 원하는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가 얻어지는 한, 탄성 변형, 소성 변형, 부서지기 쉬운 골절, 및/또는 이들 과정의 임의의 조합을 초래하는 재료 및 형태적 설계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요약하면 변형성, 압축성, 연성, 분쇄성, 분리성, 제거성 또는 이들 특성의 일부 또는 전체의 부분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모든 이러한 실시예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한다.

Claims (21)

  1.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용품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접착제 및 용품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deflectable)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용품을 제공하는 단계;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분이 장착면에 접촉되도록 용품을 배열하는 단계;
    용품을 장착면 상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스페이서가 양면 접착제와 장착면 간 접촉을 허용하는 편향 상태로 편향되고 양면 접착제가 장착면에 접촉하여 장착면에 접착 결합하도록 용품을 장착면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스페이서를 편향시키는 것은 스페이서를 용품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2.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조립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면을 갖는 용품;
    제1 주요 접착 표면이 용품의 결합면에 접착 결합되어 있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주요 접착 표면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접착제;
    용품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스페이서는 적어도 제1의 비편향 상태에서 제2의 편향 상태로 편향할 수 있고,
    스페이서가 제1의 비편향 상태에 있을 때,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분은 양면 접착제의 제2 주요 접착 표면을 지나 용품으로부터 외향 연장되고,
    스페이서가 제2의 편향 상태에 있을 때,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의 어떤 부분도 양면 접착제의 제2 주요 접착 표면을 지나 용품으로부터 외향 연장되지 않고,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는 제1의 비편향 상태에서 용품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는 제거 가능한 클립인,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조립체.
  3.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키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양면 접착제; 및
    적어도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되고 언더컷 특징부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형된 편향 가능한 중합체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성형된 편향 가능한 중합체 스페이서는 용품의 장착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스페이서를 편향 상태로 편향시키는 것은 스페이서에 힘을 가해 언더컷 특징부가 장착 플레이트로부터 해제되도록 돌출부를 이동시켜 편향 가능한 스페이서를 장착 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품을 장착면에 부착시키는 키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07028923A 2008-05-29 2009-05-06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 KR101580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29,175 2008-05-29
US12/129,175 US7854817B2 (en) 2008-05-29 2008-05-29 Methods and assemblies for attaching articles to surfa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08A KR20110013508A (ko) 2011-02-09
KR101580341B1 true KR101580341B1 (ko) 2015-12-23

Family

ID=4137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923A KR101580341B1 (ko) 2008-05-29 2009-05-06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854817B2 (ko)
EP (1) EP2294905A4 (ko)
JP (1) JP5519648B2 (ko)
KR (1) KR101580341B1 (ko)
CN (1) CN102047778B (ko)
AU (1) AU2009255482B2 (ko)
BR (1) BRPI0909552A2 (ko)
CA (1) CA2725467C (ko)
MX (1) MX2010013050A (ko)
NZ (1) NZ589535A (ko)
WO (1) WO20091487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450A (ko) * 2008-09-24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접합장치
DK2720862T3 (en) 2011-06-17 2016-09-19 Fiberweb Inc Vapor permeable, water impervious TOTAL MAJOR MULTI-LAYER ARTICLE
WO2012178027A2 (en) 2011-06-23 2012-12-27 Fiberweb, In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PL2723568T3 (pl) 2011-06-23 2018-01-31 Fiberweb Llc Przepuszczalny dla pary, zasadniczo nieprzepuszczalny dla wody wielowarstwowy wyrób
US9765459B2 (en) 2011-06-24 2017-09-19 Fiberweb, Ll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US8979054B2 (en) 2012-12-17 2015-03-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ll mountable storage assembly with articulating connection
CN103832870B (zh) * 2014-03-19 2016-04-13 上海福耀客车玻璃有限公司 一种快速安装及自动断胶条装置
AU2015350224B2 (en) * 2014-11-19 2018-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ll-mountab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FR3041393B1 (fr) * 2015-09-18 2018-03-23 Psa Automobiles Sa. Procede de collage de toles d’un vehicule automobile
CN107856887A (zh) * 2017-11-01 2018-03-30 北京星航机电装备有限公司 用于口盖热密封的柔性隔热材料的装配方法
US20200000229A1 (en) 2018-06-28 2020-01-02 Summit Product Development, LLC Low Profile Cabinet Organizer
DE102021200334B3 (de) 2021-01-15 2022-07-14 Tesa Se Selbstklebende Vorrichtung
CN112983947A (zh) * 2021-03-18 2021-06-18 烟台正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胶贴合定位方法及定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629B1 (ko) 1996-08-29 2000-05-01 리타 버어그스트롬 비틀림을 억제하기 위해서 강화된 측벽을 갖는 단열 유니트용 스페이서 프레임
US6380497B1 (en) 1997-10-09 2002-04-30 Nissha Printing Co., Ltd. High strength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320229A (ja) 2004-04-08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減圧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4312A (en) 1976-06-23 1977-05-17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extensible and elastic backing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US4377159A (en) * 1981-06-29 1983-03-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bandag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4990399A (en) 1986-07-07 1991-02-05 Step Loc Corporation Carpet cushion with adhesive
US5516581A (en) 1990-12-20 1996-05-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movable adhesive tape
JPH06171434A (ja) * 1992-12-03 1994-06-21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補機部品の取付構造
US5795636A (en) * 1995-11-15 1998-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sitionable and repositionable adhesive article
JP2004069056A (ja) * 1996-09-20 2004-03-04 Mirai Ind Co Ltd 管・ケーブル類の支持具、及び被接着面に対する該支持具の接着固定方法
US6492028B2 (en) 1997-01-14 2002-12-10 Asahi Glass Company Ltd. Adhesive for glass
GB9701329D0 (en) 1997-01-23 1997-03-12 Merritt Adrian 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terials
KR100442336B1 (ko) 2002-08-30 2004-07-30 이충훈 터치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7425360B2 (en) * 2004-03-02 2008-09-16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er products
EP1621846B1 (de) * 2004-07-23 2012-12-26 Dr. Johannes Heidenhain GmbH Vormontage eines Sensors
JP2006245453A (ja) * 2005-03-07 2006-09-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の他の回路基板への接続方法
CN2799329Y (zh) * 2005-05-14 2006-07-26 东风汽车有限公司 一种非磁性薄片定位粘接装置
US7415807B2 (en) * 2005-08-05 2008-08-26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Structured adhesiv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629B1 (ko) 1996-08-29 2000-05-01 리타 버어그스트롬 비틀림을 억제하기 위해서 강화된 측벽을 갖는 단열 유니트용 스페이서 프레임
US6380497B1 (en) 1997-10-09 2002-04-30 Nissha Printing Co., Ltd. High strength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320229A (ja) 2004-04-08 2005-11-17 Nippon Sheet Glass Co Ltd 減圧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5467C (en) 2017-06-13
AU2009255482B2 (en) 2013-02-21
CN102047778B (zh) 2015-01-28
US20110061790A1 (en) 2011-03-17
US7985313B2 (en) 2011-07-26
WO2009148757A3 (en) 2010-02-25
BRPI0909552A2 (pt) 2015-09-22
NZ589535A (en) 2012-05-25
JP2011522183A (ja) 2011-07-28
AU2009255482A1 (en) 2009-12-10
CA2725467A1 (en) 2009-12-10
EP2294905A4 (en) 2017-05-24
WO2009148757A2 (en) 2009-12-10
US20090294034A1 (en) 2009-12-03
MX2010013050A (es) 2010-12-20
EP2294905A2 (en) 2011-03-16
US7854817B2 (en) 2010-12-21
KR20110013508A (ko) 2011-02-09
CN102047778A (zh) 2011-05-04
JP5519648B2 (ja)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341B1 (ko) 용품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 및 조립체
US6335068B1 (en) Redetachable, self-adhesive device
US20100163696A1 (en) Bracket
US11819146B2 (en) Flexible hardgoods with enhanced peel removability
KR20150096471A (ko) 관절 연결부를 갖는 벽 장착가능 보관 조립체
US9010708B2 (en) Clip for holding toothbrushes and the like
JP2011522183A5 (ko)
CN209210688U (zh) 可重复使用的高强度粘合剂安装件的系统
KR20090086952A (ko) 초강력 점착테이프
JP6400562B2 (ja) マグネット式固定具
WO2023163717A1 (en) Flexible adhesive mounting articles including intermittently connected body segments
JP2014205516A (ja) 商品展示体及び商品展示方法
TW202031837A (zh) 包括斷續連接之本體區段的可撓性黏著劑安裝物品
TW202335612A (zh) 具有美觀蓋及可移除壁安裝件的收納配件
EP1052275A1 (en) Double-sided adhesive tape
CN113556963A (zh) 抽屉
JPH0810207A (ja) 掃除具
JP2002159392A (ja) 簡易吊下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