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906B1 -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906B1
KR101579906B1 KR1020140119162A KR20140119162A KR101579906B1 KR 101579906 B1 KR101579906 B1 KR 101579906B1 KR 1020140119162 A KR1020140119162 A KR 1020140119162A KR 20140119162 A KR20140119162 A KR 20140119162A KR 101579906 B1 KR101579906 B1 KR 10157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ead
rotation
fix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녀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4Stands for performing hairdressing work; Postiche head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ㆍ미용 연습 및 교육실습시 마네킹 헤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이ㆍ미용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 고정부(100)와, 마네킹 헤드(400)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고정부(200)와,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 직간접 연결되어 상기 헤드고정부(200)의 구면체(220)를 결속하는 결속캡(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캡(300)은, 상기 구면체(220)를 지지하여 결속하는 지지구(311)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고정부(200)를 고정하는 회전결속캡(310)과,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하부에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 직간접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결속캡(320)과, 상기 회전결속캡(310)과 고정결속캡(320) 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수평회전을 안내하는 수평회전안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결속캡(310)이 고정결속캡(320)에 대해 수평회전되면서 상기 헤드고정부(200)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400)가 수평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OF MANEQUIN HEAD}
본 발명은 이ㆍ미용 연습 및 교육실습시 마네킹 헤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이ㆍ미용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ㆍ미용 교육 실습 등에서 마네킹 헤드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마네킹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구면체가 임의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실습자 등의 의도에 의해 마네킹 헤드가 임의로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실시예로서, 특허공개 제2013-0106955호(이ㆍ미용 연습을 위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특허공개 제2013-0107775호(마네킹 홀더)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13-0106955호는 핸들과, 나사봉과, 하부 받침대와, 파지부재와, 지지부재 및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지지부재에 마네킹 헤드를 지지한 후 파지부재를 테이블에 고정하도록 하여 이ㆍ미용 연습을 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상기 특허공개 제2013-0107775호는 고정볼트의 조임동작으로 지지구를 구면체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구면체를 고정하도록 한 것으로, 구면체와 지지구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도록 하여 구면체의 부드러운 회전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지지구의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특허기술들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구면체의 회동을 통해 마네킹 헤드를 임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이ㆍ미용 실습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마네킹 헤드의 회동으로 이ㆍ미용 실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는 있으나, 수평회전이 되지 않음으로써 실습자가 위치를 옮겨가면서 실습하거나 구면체를 여러 번 회동동작시켜 원하는 위치로 마네킹 헤드를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이ㆍ미용 실습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공개 제2013-0107775호에는 높이조절기능을 추가하여 실습자가 높이조절볼트를 고정해제한 상태에서 지지파이프를 손으로 잡고 상측방향으로 올린 후 그 상태로 해제한 높이조절볼트를 다시 고정하는 작업을 통해 지지파이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습자가 지지파이프의 높이조절을 눈짐작으로 하고 있음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없고, 실습자가 지지파이프를 직접 손으로 잡은 채로 높이조절하여야 함에 따라 마네킹 헤드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높이조절하는데 상당히 번거로움은 물론 마네킹 헤드의 무게로 인해 높낮이 동작시 상당한 힘이 들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이ㆍ미용 실습자가 대부분 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높낮이 조절은 상당한 불편함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특허공개 제2013-0106955호(2013.10.01, 이ㆍ미용 연습을 위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특허공개 제2013-0107775호(2013,10,02, 마네킹 홀더)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네킹 헤드가 수평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습자가 위치변경없이 마네킹 헤드를 잡고 수평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켜 실습할 수 있고, 축결합홀에 나선결합되게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회전축의 손쉬운 회전동작을 통해 힘을 들이지 않고도 헤드고정부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구면체의 고정상태를 제어할 수 있어 마네킹 헤드의 회동동작을 실습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구면체의 회동동작시 그 구면체의 표면에 표시된 회동각도표시부를 통해 마네킹 헤드의 회동각도를 육안확인할 수 있어 이ㆍ미용 실습에 상당한 도움을 주게 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 고정부와, 마네킹 헤드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고정부와, 상기 테이블 고정부에 직간접 연결되어 상기 헤드고정부의 구면체를 결속하는 결속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캡은, 상기 구면체를 지지하여 결속하는 지지구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고정부를 고정하는 회전결속캡과, 상기 회전결속캡의 하부에 상기 테이블 고정부에 직간접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결속캡과, 상기 회전결속캡과 고정결속캡 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결속캡의 수평회전을 안내하는 수평회전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결속캡이 고정결속캡에 대해 수평회전되면서 상기 헤드고정부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가 수평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회전안내부는, 상기 지지구의 하부 내측에 단면형상이 다각형상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 기어안내홈과, 상기 고정결속캡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안내홈에 삽입된 채로 상기 지지구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상면에 제1톱니기어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기어안내홈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안내홈 상에서 상하 유동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톱니기어에 치합되도록 하면에 제2톱니기어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유동캠과, 상기 기어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캠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톱니기어와 제2톱니기어의 기어 개수는 상기 유동캠이 고정캠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수평회전되도록 8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톱니기어의 단면형상은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톱니기어의 단면형상은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결속캡은, 상기 구면체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구면체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수단이 끼워져 하부로 관통하도록 고정수단관통홀이 형성된 지지구와,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고 상기 구면체의 상측 외주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가 병목으로 형성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하우징의 회전을 통해 상기 구면체의 결속상태를 제어하도록 회전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결속캡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고정부의 고정부 본체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나선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된 축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축결합홀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마네킹 헤드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부 본체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2개의 축고정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면체에는 상기 회전결속캡에 결속된 상태로 어느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그 회동각도를 육안식별할 수 있도록 10~20°의 간격으로 표시선과 그 표시선에 해당하는 각도수치가 기재된 회동각도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에 따르면, 실습자가 자신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마네킹 헤드만을 수평회전시켜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이ㆍ미용 실습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실습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마네킹 헤드를 높이조절하여 실습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마네킹 헤드를회동시킨 상태로 그 회동각도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실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결속캡의 수평회전에 따른 회전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각도표시부가 표시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결속캡의 수평회전에 따른 회전동작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각도표시부가 표시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는 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 고정부(100)와, 마네킹 헤드(400)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고정부(200)와,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 직간접 연결되어 상기 헤드고정부(200)의 구면체(220)를 결속하는 결속캡(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는 테이블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ㄷ"자 또는 "C"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본체(110)와, 그 고정부 본체(110)의 상부 하면에 부착되며 테이블의 상면에 접촉되는 슬립방지고무판(120)과, 상기 고정부 본체(110)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나사공에 나선결합되고 하단부에 손잡이(131)가 형성된 고정나사(130)와, 상기 고정나사(130)의 상단부에 테이블의 하면과 접촉되는 압지판(1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테이블 고정부(100)의 설치시에는 상기 슬립방지 고무판(120)과 압지판(140) 사이의 간격을 벌리고 고정부 본체(110)를 테이블에 끼운 다음 손잡이(131)를 돌려 압지판(140)을 상승시켜 압지판(140)이 테이블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하면 된다.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는 상기 결속캡(300)이 직접 또는 매개체에 의해 간접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높낮이 조절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직접결합되는 것이고, 결속캡(300)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추가한 경우에는 매개체인 높낮이수단에 의해 간접결합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높낮이 조절을 위해 회전축(340)을 매개로 하여 결속캡(300)을 고정하였다.
상기 회전축(340)의 결합을 위해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의 일측에는 축결합홀(150)이 형성되고, 그 축결합홀(15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340)과의 나선결합을 위해 제2나사산(15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나사산(151)과의 나선결합을 위해 제1나사산(3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결합홀(150) 상에서 회전축(340)이 회전되면서 상기 결속캡(300)의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헤드고정부(200)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40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340)에는 상기 고정부 본체(110)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축(34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축고정너트(350)가 구비된다.
상기 2개의 축고정너트(350)는 상기 고정부 본체(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한 개씩 위치되게 구비됨으로써 회전축(340)을 통해 마네킹 헤드(400)의 높이 조절 후 회전동작이 제한되도록 고정부 본체(110)에 밀착시키면 된다.
상기 회전축(340)의 하단부에는 회전축(340)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회전축핸들(34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핸들(34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실습자가 손으로 쥐고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헤드고정부(200)는 마네킹 헤드(400)에 끼움 결합되는 헤드결합대(210)와, 상기 결속캡(300)에 결속되는 구면체(220)와, 구면체(220)와 헤드결합대(210)를 연결하는 연결기둥(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구성으로, 상기 결속캡(300)은 상기 헤드고정부(200)를 결속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 수평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속캡(3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결속캡(310)과 고정결속캡(320) 및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수평회전을 안내하는 수평회전안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결속캡(310)이 고정결속캡(320)에 대해 수평회전되면서 상기 헤드고정부(200)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400)를 수평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결속캡(310)은 상기 헤드고정부(200)를 결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구면체(220)를 지지하도록 상면에 상기 구면체(220)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홈(312)이 형성된 지지구(311)와, 그 지지구(311)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하우징(315)으로 구성되고, 하우징(315)의 내부에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헤드고정부(200)를 삽입하여 구면체(220)가 하우징(315)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지지구(311)를 하우징(315)의 내부에 나선결합시킴으로써 구면체(220)를 결속하게 된다.
상기 지지구(311)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315)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312)의 중앙부에는 고정수단(335)이 끼워져 하부로 관통되어 고정결속캡(320)에 결합되도록 고정수단관통홀(313)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5)은 상기 구면체(220)의 상측 외주면을 감싸 구면체(2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부가 병목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헤드고정부(200)의 90°회동이 가능하도록 헤드고정부(200)의 연결기둥(230)이 삽입되는 기둥삽입홈(316)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15)의 외측면에는 하우징(315)의 회전으로 상기 구면체(220)의 결속상태를 제어하도록 회전손잡이(3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면체(220)를 느슨하게 결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손잡이(317)를 역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구면체(22)의 결속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실습자가 헤드고정부(200)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400)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마네킹 헤드(400)의 회동 후에는 회전손잡이(317)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면체(220)가 회동되지 않게 결속시켜야 할 것이다.
상기 구면체(220)의 결속상태 제어를 지지구(311)와 하우징(315)의 구성만으로 할 수 있어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15)의 회전만으로 쉽게 구면체(220)의 결속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결속캡(320)은 회전결속캡(3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 직간접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축(34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340)을 매개로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결속캡(320)의 중앙에는 상기 지지구(311)를 관통하는 고정수단(335)이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로 고정수단결합봉(321)이 돌출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서 상기 고정수단(335)은 볼트이고, 상기 고정수단결합봉(321)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나선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35)은 상기 고정수단결합봉(3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31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311)에 유격이 형성되게 일정 공간을 두고 결합된다.
상기 수평회전안내부(330)는 상기 회전결속캡(310)과 고정결속캡(320) 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회전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평회전안내부(330)는 상기 지지구(311)의 하부 내측에 단면형상이 다각형상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 기어안내홈(331)과, 상기 고정결속캡(3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안내홈(331)에 삽입되고 상면에 제1톱니기어(334)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캠(333)과, 상기 기어안내홈(331)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안내홈(331) 상에서 상하 유동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톱니기어(334)에 치합되도록 하면에 제2톱니기어(337)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유동캠(336)과, 상기 기어안내홈(331)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캠(336)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3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캠(333)과 유동캠(336)이 서로 기어물림되어 결합되어 있고, 유동캠(336)이 탄성스프링(338)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캠(333)과의 기어물림상태가 유지되며, 지지구(311)를 포함한 회전결속캡(310)의 수평회전동작시 상기 유동캠(336)이 탄성스프링(338)을 수축시키면서 기어안내홈(331) 상에서 이동되어 회전결속캡(310)의 수평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고정캠(333)은 상기 기어안내홈(3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어안내홈(331)이 형성된 지지구(311)의 회전에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함에 따라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기어안내홈(331)과 유동캠(336)은 육각형으로 도시하였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수평회전동작시에는 상기 유동캠(336)의 제2톱니기어(337)가 고정캠(333)의 제1톱니기어(334)의 골과 산을 타고 이동되면서 회전결속캡(31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탄성스프링(338)은 유동캠(336)의 상하이동에 따라 신축동작되면서 유동캠(336)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톱니기어(334)와 제2톱니기어(337)의 기어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효율 극대화를 위해 상기 유동캠(336)이 고정캠(333)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수평회전되도록 8개 이상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동캠(336)의 회동각도가 45°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여 회전결속캡(310)이 1회 수평회전동작하는 경우에 45°이하만큼만 회전되도록 한 것이며, 45°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실질적으로 수평회전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하므로 45°이하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회전방향은 정방향과 역방향 모두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톱니기어(334)의 단면형상은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톱니기어(337)의 단면형상은 '∨'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톱니기어(337)가 제1톱니기어(334)를 타고 양방향으로 모두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회전결속캡(310)의 정방향과 역방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면체(220)에는 상기 회전결속캡(310)에 결속된 상태로 어느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그 회동각도를 육안식별할 수 있도록 회동각도표시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각도표시부(221)는 10~20°의 간격으로 표시선과 그 표시선에 해당하는 각도수치를 기재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동각도표시부(221)의 형성으로 인해 실습자는 이ㆍ미용 실습과정에서 마네킹 헤드(400)를 회동한 경우 그 회동각도를 육안식별할 수 있어 실습시 더 향상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립방지 고무판(120)과 압지판(140) 사이의 간격을 벌리고 고정부 본체(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테이블에 끼운 다음 손잡이(131)를 돌려 압지판(140)을 상승시켜 테이블의 하면에 압지판(140)이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이 후, 회전축핸들(342)을 이용하여 회전축(340)을 회전시켜 헤드고정부(200)의 높이를 눈짐작으로 원하는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헤드고정부(200)의 헤드결합대(210)에 마네킹 헤드(400)를 끼워 결합한다.
마네킹 헤드(400)의 결합 후 회전축(340)의 회전을 통해 실습시 편리한 높이로 마네킹 헤드(40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런 다음 실습을 하게 되는데, 실습과정에서 마네킹 헤드(40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습자가 마네킹 헤드(400) 손으로 잡은 채 원하는 각도만큼 수평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마네킹 헤드(400)를 일정 각도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네킹 헤드(400)를 잡고 억지로 회동시키거나 하우징(315)를 약간 해제하여 구면체(220)를 결속상태를 해제한 후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키면 된다.
실습 후에는 헤드결합대(210)에서 마네킹 헤드(400)를 분리한 후, 손잡이를 돌려 압지판(130)을 테이블의 하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압지상태를 해제한 다음 테이블에서 본 발명의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를 분리하면 된다.
100: 테이블 고정부 110: 고정부 본체
120: 슬림방지고무판 130: 고정나사
131: 손잡이 140: 압지판
150: 축결합홀 151: 제2나사산
200: 헤드고정부 210: 헤드결합대
220: 구면체 221: 회동각도표시부
230: 연결기둥 300: 결속캡
310: 회전결속캡 311: 지지구
312: 삽입홈 313: 고정수단관통홀
315: 하우징 316: 기둥삽입홈
317: 회전손잡이 320: 고정결속캡
321: 고정수단결합봉 330: 수평회전안내부
331: 기어안내홈 333: 고정캠
334: 제1톱니기어 335: 고정수단
336: 유동캠 337: 제2톱니기어
338: 탄성스프링 340: 회전축
341: 제1나사산 342: 회전축핸들
350: 축고정너트 400: 마네킹 헤드

Claims (8)

  1. 테이블에 고정하기 위한 테이블 고정부(100)와, 마네킹 헤드(400)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고정부(200)와,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 직간접 연결되어 상기 헤드고정부(200)의 구면체(220)를 결속하는 결속캡(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속캡(300)은, 상기 구면체(220)를 지지하여 결속하는 지지구(311)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고정부(200)를 고정하는 회전결속캡(310)과,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하부에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에 직간접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결속캡(320)과, 상기 회전결속캡(310)과 고정결속캡(320) 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결속캡(310)의 수평회전을 안내하는 수평회전안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결속캡(310)이 고정결속캡(320)에 대해 수평회전되면서 상기 헤드고정부(200)에 고정된 마네킹 헤드(400)가 수평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안내부(330)는, 상기 지지구(311)의 하부 내측에 단면형상이 다각형상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된 기어안내홈(331)과, 상기 고정결속캡(3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안내홈(331)에 삽입된 채로 상기 지지구(311)에 고정수단(335)으로 고정되고 상면에 제1톱니기어(334)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캠(333)과, 상기 기어안내홈(331)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안내홈(331) 상에서 상하 유동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톱니기어(334)에 치합되도록 하면에 제2톱니기어(337)가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유동캠(336)과, 상기 기어안내홈(331)에 삽입되어 상기 유동캠(336)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33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기어(334)와 제2톱니기어(337)의 기어 개수는 상기 유동캠(336)이 고정캠(333)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수평회전되도록 8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기어(334)의 단면형상은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톱니기어(337)의 단면형상은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속캡(310)은, 상기 구면체(220)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구면체(220)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홈(312)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312)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수단(335)이 끼워져 하부로 관통하도록 고정수단관통홀(313)이 형성된 지지구(311)와,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311)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고 상기 구면체(220)의 상측 외주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가 병목으로 형성된 하우징(3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5)의 외측면에는 하우징(315)의 회전을 통해 상기 구면체(220)의 결속상태를 제어하도록 회전손잡이(3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속캡(320)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341)이 형성된 회전축(340)이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블 고정부(100)의 고정부 본체(110)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340)이 삽입되어 나선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제2나사산(151)이 형성된 축결합홀(15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40)이 축결합홀(150) 상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마네킹 헤드(400)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340)에는 상기 고정부 본체(110)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축(34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2개의 축고정너트(3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체(220)에는 상기 회전결속캡(310)에 결속된 상태로 어느 일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그 회동각도를 육안식별할 수 있도록 10~20°의 간격으로 표시선과 그 표시선에 해당하는 각도수치가 기재된 회동각도표시부(22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KR1020140119162A 2014-09-05 2014-09-05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KR10157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62A KR101579906B1 (ko) 2014-09-05 2014-09-05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62A KR101579906B1 (ko) 2014-09-05 2014-09-05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906B1 true KR101579906B1 (ko) 2015-12-23

Family

ID=5508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62A KR101579906B1 (ko) 2014-09-05 2014-09-05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9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68A (ko) 2016-07-28 2018-02-07 신국화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KR101903480B1 (ko) 2017-05-02 2018-10-02 심영식 마네킹 헤드 고정용 스프링 홀더
KR101964888B1 (ko) * 2017-09-27 2019-04-02 김철준 헤어 실습용 마네킹 고정구조
WO2020089499A1 (es) * 2018-10-29 2020-05-07 Raubert Vives, Jaime Kit para prácticas de maquillaje
WO2020196943A1 (ko) * 2019-03-26 2020-10-01 김철준 헤어 실습용 마네킹 고정구조
US20230091868A1 (en) * 2021-09-22 2023-03-23 Synthia Schmidt Salon Chair Budd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098U (ko) * 1989-11-27 1991-07-29
KR200408104Y1 (ko) * 2005-11-16 2006-02-07 우장근 이미용 실습 마네킹 헤드 고정 구조
KR20100039993A (ko) * 2008-10-09 2010-04-19 팽동환 이미용 실습용 헤드 마네킹의 고정장치
JP2011036546A (ja) * 2009-08-17 2011-02-24 Fuji Diecast Kk モデルヘッドの支持具
KR20130106955A (ko) 2012-03-21 2013-10-01 이재천 이ㆍ미용 연습을 위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KR20130107775A (ko) 2012-03-23 2013-10-02 심영식 마네킹 홀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098U (ko) * 1989-11-27 1991-07-29
KR200408104Y1 (ko) * 2005-11-16 2006-02-07 우장근 이미용 실습 마네킹 헤드 고정 구조
KR20100039993A (ko) * 2008-10-09 2010-04-19 팽동환 이미용 실습용 헤드 마네킹의 고정장치
JP2011036546A (ja) * 2009-08-17 2011-02-24 Fuji Diecast Kk モデルヘッドの支持具
KR20130106955A (ko) 2012-03-21 2013-10-01 이재천 이ㆍ미용 연습을 위한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KR20130107775A (ko) 2012-03-23 2013-10-02 심영식 마네킹 홀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68A (ko) 2016-07-28 2018-02-07 신국화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KR101903480B1 (ko) 2017-05-02 2018-10-02 심영식 마네킹 헤드 고정용 스프링 홀더
KR101964888B1 (ko) * 2017-09-27 2019-04-02 김철준 헤어 실습용 마네킹 고정구조
WO2020089499A1 (es) * 2018-10-29 2020-05-07 Raubert Vives, Jaime Kit para prácticas de maquillaje
WO2020196943A1 (ko) * 2019-03-26 2020-10-01 김철준 헤어 실습용 마네킹 고정구조
US20230091868A1 (en) * 2021-09-22 2023-03-23 Synthia Schmidt Salon Chair Budd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906B1 (ko) 마네킹 헤드 지지장치
JP5652782B2 (ja) ローラマッサージ器
GB2444209B (en) Push-up exercise unit and device
JP2013500068A5 (ja) 同軸スクリューギアスリーブ機構を用いた椎体伸延および固定のための装置
DE20207851U1 (de) Verankerungs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Stabes einer Vorrichtung zum Einrichten einer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Wirbelsäule an einem Wirbelknochen
EP1772935A3 (de) Halter-Anordnung für Kabel o.ä. mit einstellbaren Dreh-Rast-Positionen
US20130158455A1 (en) Massage Roller
US10166087B2 (en) Drill limi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5073776A1 (en) Swivel base for a training aid
CN110680474A (zh) 一种超声探头穿刺架及自适应穿刺针导向器
CN207151681U (zh) 鱼竿固定座
US20130079690A1 (en) Muscle stretching device
KR20140126911A (ko)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JP3195836U (ja) 多点支持杖
TWM425030U (en) Torque screwdriver structure
CN103271756A (zh) 一种穿刺针架及其穿刺架装置
KR200408104Y1 (ko) 이미용 실습 마네킹 헤드 고정 구조
CN210091458U (zh) 一种教育教学使用的展示板
TWM438951U (en) Torsion connector structure
CN204401736U (zh) 一种防止螺杆跑位的结构及采用该结构的按钮装置
CN203949330U (zh) 一种旋钮调节装置
CN110433464B (zh) 瑜伽教学用可调式瑜伽柱
CN220110213U (zh) 一种输液用的手腕固定板
CN109045622B (zh) 一种舒缓学生压力的掌上锻炼装置
EP2759397A3 (de) Rotationsprägeeinrichtung mit Spannsystem und Winkelein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