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904B1 - 마스카라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904B1
KR101579904B1 KR1020140119159A KR20140119159A KR101579904B1 KR 101579904 B1 KR101579904 B1 KR 101579904B1 KR 1020140119159 A KR1020140119159 A KR 1020140119159A KR 20140119159 A KR20140119159 A KR 20140119159A KR 101579904 B1 KR101579904 B1 KR 10157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cara
light
lamp
brus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정희
임순녀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1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9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마스카라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마스카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 외주면에 브러쉬(11)가 형성된 지지봉(10)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20)과,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이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11)에 마스카라액을 묻히도록 마스카라액이 수용된 마스카라 용기(30)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은, 상기 지지봉(10)이 일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마스카라 용기(30)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22)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빛이 조사되는 빛조사공간(23)이 형성된 마감캡(21); 상기 마감캡(21)의 타측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고 외주면에 제어버튼(26)이 설치된 하우징(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5)의 일측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1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램프(40)가 설치되고, 그 램프(40)의 둘레에는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23)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갓(42)이 설치되며, 상기 빛조사공간(23)에는 빛조사공간을 커버하면서 상기 브러쉬(11)의 형성위치로 빛을 조사시키는 렌즈(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카라{MASCARA}
본 발명은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마스카라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마스카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속눈썹을 길고 짙게 보이도록 꾸밀 때에는 마스카라액을 발라 속눈썹화장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스카라액을 발라 화장하는 속눈썹을 보다 아름답게 연출하기 위해서는 속눈썹을 둥굴게 말아 올려 웨이브를 줌으로써 가능해진다.
한편, 속눈썹 화장 후 생활하는 과정에서 속눈썹끼리 엉겨붙거나 땀, 눈물 등에 의해 속눈썹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 마스카라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수정하게 되는데, 이때 속눈썹 수정시에는 일부분만을 수정함에 따라 수십초 정도의 시간만으로도 충분히 수정하게 된다.
그러나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마스카라를 식별할 수 없어 속눈썹 수정시 일부러 환한 곳까지 이동하거나, 이마저도 어려운 경우에는 속눈썹 수정을 아예 포기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화면 조명을 이용하여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마스카라 사용시 휴대단말기를 필히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휴대단말기와 마스카라를 양손에 쥐고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조명빛에 의해 눈에 그대로 조사됨으로써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5369호(2009.06.03, 마스카라 겸용 속눈썹 고대기) 공개특허공보 제2013-0130223호(2013.12.02, 야광 마스카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두운 곳에서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경우, 브러쉬의 형성방향으로 조사되는 램프의 빛에 의해 육안으로 브러쉬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어두운 곳에서도 속눈썹 화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마스카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지지봉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과, 상기 마스카라 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에 마스카라액을 묻히도록 마스카라액이 수용된 마스카라 용기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뚜껑은, 상기 지지봉이 일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마스카라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빛이 조사되는 빛조사공간이 형성된 마감캡; 상기 마감캡의 타측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고 외주면에 제어버튼이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램프가 설치되고, 그 램프의 둘레에는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갓이 설치되며, 상기 빛조사공간에는 빛조사공간을 커버하면서 상기 브러쉬의 형성위치로 빛을 조사시키는 렌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의 타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으로 유도하도록 반사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패널은,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원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에는 반사되는 빛을 상기 반사갓으로 유도하도록 그 경사면에 경사지게 다수 형성되어 상호 단차지게 유도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패널은,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난반사하도록 표면이 울퉁불퉁한 굴곡면으로 형성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패널은,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반사갓이 설치된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만곡면으로 형성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빛조사공간의 외측으로 원주를 따라 일정 길이 돌출되어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빛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빛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는, 일측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지지봉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과, 상기 마스카라 뚜껑이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에 마스카라액을 묻히도록 마스카라액이 수용된 마스카라 용기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뚜껑은, 상기 지지봉이 일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 상기 마스카라 용기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가 형성되며, 그 용기결합부의 외측 가장자리로 빛조사공간이 형성된 마감캡; 상기 마감캡의 타측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고 외주면에 제어버튼이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램프가 설치되고, 그 램프의 전방에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서로 분할된 채로 상기 빛조사공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분할하여 상기 브러쉬의 형성위치로 조사시키는 광섬유다발이 설치되며, 상기 램프와 광섬유다발의 일단을 수용하여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광섬유다발로 인입되게 하는 수용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스카라에 따르면, 램프의 빛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어려움 없이 마스카라를 이용하여 속눈썹 화장을 고치거나 화장할 수 있어 야간에 위치나 장소에 국한되지 않은 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브러쉬의 형성위치로 최대한 조사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으로의 조사를 최소화하거나 차단하여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은 상태로 마스카라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에서 마스카라 뚜껑의 단면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빛조사공간을 보인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빛조사공간의 다른 형태를 보인 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에서 마감캡에 반사패널이 설치된 단면상태도,
도 5는 도 4a에서 경사면에 유도판이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빛커버부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에서 빛이 조사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광섬유다발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마스카라에서 빛이 조사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에서 마스카라 뚜껑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빛조사공간을 보인 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빛조사공간의 다른 형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에서 마감캡에 반사패널이 설치된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a에서 경사면에 유도판이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에 형성된 빛커버부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에서 빛이 조사되는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는 브러쉬(11)가 형성된 지지봉(10)과, 그 지지봉(10)이 고정되는 마스카라 뚜껑(20)과, 상기 지지봉(10)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20)이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11)에 마스카라액을 묻히도록 마스카라액이 수용된 마스카라 용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0)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상기 브러쉬(11)가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11)의 설치형태는 사용자의 속눈썹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형태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은 크게 마감캡(21)과, 손잡이역할을 하는 하우징(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캡(21)과 하우징(25)은 나선결합방식, 억지끼움결합방식, 걸림턱에 의한 결합방식, 핀결합방식 등 여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스카라 용기(30)는 상기 마스카라 뚜껑(20)과의 결합을 위해 개구부에 결합수단이 형성되는데, 첨부 도면에서는 개구부 외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상기 마감캡(21)에 나선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마스카라 용기(30)의 나선결합을 위해 상기 마감캡(21)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용기결합부(22)는 나사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스카라 용기(30)와 나선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첨부 도면에서는 마스카라 용기와 마스카라 뚜껑이 나선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서 이러한 결합방식 외에 마스카라 용기와 마스카라 뚜껑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결합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으로 형성하여도 모두 가능하다.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캡(21)은 일측 중앙부에 상기 지지봉(10)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25)과 결합되어 마스카라 뚜껑(20)을 형성하게 되며,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마스카라 용기(20)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결합부(22)는 나사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캡(21)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25)에 설치되는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통과하면서 조사되는 빛조사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빛조사공간(23)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캡(21)의 가장자리에 빙둘러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램프(40)에서 발산되는 빛이 고리형태로 형성된 빛조사공간(23)을 통해 조사되어져 브러쉬(11)를 밝게 비추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브러쉬(11)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편리하게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빛조사공간(23)은 상기 마감캡(21)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홀을 통해 조사되는 빛에 의해 브러쉬(11)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어두운 곳에서의 속눈썹 화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빛조사공간(23)을 홀(구멍) 형태로 형성한 경우에는 고리형태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빛의 강도가 약할 수 있으나,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로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되는 빛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빛을 조사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때, 상기 빛조사공간(23)에는 빛조사공간을 커버하면서 상기 브러쉬(11)의 형성위치로 빛을 조사시키도록 렌즈(50)가 설치된다.
상기 렌즈(50)는 굴절렌즈를 사용하거나 굴절이 없는 렌즈를 사용하여 빛의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상기 브러쉬(11)의 형성위치로 빛이 최대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5)은 상기 마감캡(21)의 타측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램프(40)의 온/오프 동작을 위해 제어버튼(26)이 회로 연결되어져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5)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41)이 설치되고, 그 전원공급수단(4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40)가 설치되며, 상기 램프(40)의 둘레에는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23)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갓(42)이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41)은 수명이 긴 수은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외에도 배터리 등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전원공급수단(41)의 교체를 위해 상기 하우징(25)에는 개폐가능하게 캡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40)는 엘이디램프를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반사갓(42)은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브러쉬(11)가 형성된 위치로 최대한 조사될 수 있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램프(4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반사갓(42)에 부딪혀 반사되어져 빛조사공간(23)에 설치된 렌즈(50)를 통과하여 상기 브러쉬(11)의 형성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는 조사되는 빛에 의해 육안으로 브러쉬(11)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마스카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캡(21)의 내주면과 하우징(25)의 내주면에는 빛의 소멸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반사갓(42)에 연장시켜 내주면 전체면에 반사판을 형성하거나 빛 반사가 가능한 재질로 코팅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캡(21)의 타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23)으로 유도하도록 반사패널(60)이 설치된다.
상기 반사패널(6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마감캡(21)의 타측으로 발산되는 빛은 소량만이 반사되고 대부분이 소멸되며, 이에 따라 빛의 조사량이 감소하여 원하는 위치에까지 빛을 비추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반사패널(60)을 설치하여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여 최대한 많은 량의 빛이 빛조사공간(23)으로 이동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반사패널(60)의 제1실시예의 구조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상기 반사패널(60)은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표면이 경사면(61)으로 형성된 원뿔로 구성된다.
따라서, 램프(4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경사면(61)에 반사되어 상기 빛조사공간(23)으로 직접 또는 반사갓(42)으로 이동된 후 반사갓(42)을 거쳐 빛조사공간(23)으로 이동되어져 렌즈(50)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61)에는 반사되는 빛을 상기 반사갓(42)으로 유도하도록 유도판(61a)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판(61a)은 상기 경사면(61)에 경사지게 다수 형성되어 상호 단차지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 유도판(61a)의 경사각도는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경사면(61)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각도로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유도판(61a)에 의해 상기 반사갓(42)으로 반사되어 지고, 반사갓(42)에 의해 한번 더 반사되어 빛조사공간(23)으로 이동된 후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다.
도 4b에는 상기 반사패널(60)의 제2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반사패널(60)은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난반사하도록 표면이 울퉁불퉁한 굴곡면(62)으로 형성된 패널로 형성된다.
따라서, 램프(40)에서 발산되는 빛은 상기 굴곡면(62)에 부딪혀 난반사되면서 상기 반사갓(42)으로 이동된 후 반사갓(42)에 의해 반사되어 빛조사공간(23)으로 이동된 후 렌즈(50)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빛의 조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c에는 상기 반사패널(60)의 제3실시예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반사패널(60)은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반사갓(42)이 설치된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만곡면(63)으로 형성된 패널로 형성된다.
따라서, 램프(40)에서 발산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반사갓(4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렌즈(5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빛의 조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캡(2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빛조사공간(23)의 외측으로 원주를 따라 일정 길이 돌출되게 빛커버부(27)가 형성된다.
상기 빛커버부(27)를 형성한 이유는, 상기 렌즈(5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빛은 브러쉬(11)의 형성위치로 조사되도록 굴절시킨다 하더라도 어느 정도 외측방향으로 퍼지게 되는데, 이렇게 조사되는 빛 중 외측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빛을 커버하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의 눈으로 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스카라를 이용한 빛의 조사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스크라 뚜겅(20)을 마스카라 용기(30)에서 분리한 후 하우징(25)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어버튼(26)을 온동작시키면, 램프(40)에 전원이 공급된다.
램프(40)는 전원공급에 의해 발광하면서 빛을 발산하게 되고, 발산된 빛은 반사갓(42)과 반사패널(60)에 부딪혀 반사되면서 빛조사공간(23)으로 이동된 후 렌즈(50)를 통과하여 브러쉬(11)의 설치위치로 조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쉬(11)의 위치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어두운 곳에서의 속눈썹 화장시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광섬유다발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마스카라에서 빛이 조사되는 상태도이다.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는 도 1 내지 도 7의 일 실시예의 마스카라의 구성과 동일하게 지지봉(10)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20)과, 마스카라 용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에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광섬유다발(70)과 수용박스(80)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마스카라의 기본구성(지지봉, 마스카라 뚜껑, 마스카라 용기, 램프)은 일 실시예의 마스카라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동일한 부호로 기재하였고, 구성에 따른 세부적인 설명은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광섬유다발(70)은 일단이 램프(40)의 전방에 램프와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다발로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서로 분할된 채로 빛조사홀(28)에 각각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각각의 빛조사홀(28)에 결합된 광섬유다발(70)의 개별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빛조사홀(28)에 결합되는 상기 광섬유다발(70)의 타단은 빛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브러쉬(11)가 형성된 방향으로 최대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해 브러쉬(11) 형성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박스(80)는 램프(40)와 광섬유다발(70)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상기 광섬유다발(70)로 모두 인입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카라는 제어버튼(26)을 온동작시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은 광섬유다발(70)의 일단으로 인입되어 지고, 마감캡(2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빛조사홀(28)에 결합된 광섬유다발(70)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섬유다발(70)의 타단을 통해 조사되는 빛에 의해 브러쉬(11)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어두운 곳에서도 마스카라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 지지봉 11: 브러쉬
20: 마스카라 뚜껑 21: 마감캡
22: 용기결합부 23: 빛조사공간
25: 하우징 26: 제어버튼
27: 빛커버부 28: 빛조사홀
30: 마스카라 용기 40: 램프
41: 전원공급수단 42: 반사갓
50: 렌즈 60: 반사패널
61: 경사면 61a: 유도판
62: 굴곡면 63: 만곡면
70: 광섬유다발 80: 수용박스

Claims (8)

  1. 일측 외주면에 브러쉬(11)가 형성된 지지봉(10)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20)과,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이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11)에 마스카라액을 묻히도록 마스카라액이 수용된 마스카라 용기(30)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은, 상기 지지봉(10)이 일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마스카라 용기(30)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22)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빛이 조사되는 빛조사공간(23)이 형성된 마감캡(21); 상기 마감캡(21)의 타측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고 외주면에 제어버튼(26)이 설치된 하우징(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5)의 일측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4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램프(40)가 설치되고, 그 램프(40)의 둘레에는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23)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갓(42)이 설치되며, 상기 빛조사공간(23)에는 빛조사공간을 커버하면서 상기 브러쉬(11)의 형성위치로 빛을 조사시키는 렌즈(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1)의 타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빛조사공간(23)으로 유도하도록 반사패널(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널(60)은,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표면이 경사면(61)으로 형성된 원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1)에는 반사되는 빛을 상기 반사갓(42)으로 유도하도록 그 경사면(61)에 경사지게 다수 형성되어 상호 단차지게 유도판(6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널(60)은,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난반사하도록 표면이 울퉁불퉁한 굴곡면(62)으로 형성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널(60)은,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기 반사갓(42)이 설치된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만곡면(63)으로 형성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2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빛조사공간(23)의 외측으로 원주를 따라 일정 길이 돌출되어 렌즈(5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빛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빛커버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8. 일측 외주면에 브러쉬(11)가 형성된 지지봉(10)이 고정된 마스카라 뚜껑(20)과,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이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11)에 마스카라액을 묻히도록 마스카라액이 수용된 마스카라 용기(30)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뚜껑(20)은, 상기 지지봉(10)이 일측 중앙부에 결합되고, 일측 내주면에 상기 마스카라 용기(30)에 결합되는 용기결합부(22)가 형성되며, 그 용기결합부(22)의 외측 가장자리로 빛조사홀(28)이 형성된 마감캡(21); 상기 마감캡(21)의 타측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고 외주면에 제어버튼(26)이 설치된 하우징(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5)의 일측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4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램프(40)가 설치되고, 그 램프(40)의 전방에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서로 분할된 채로 상기 빛조사홀(28)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분할하여 상기 브러쉬(11)의 형성위치로 조사시키는 광섬유다발(70)이 설치되며, 상기 램프(40)와 광섬유다발(70)의 일단을 수용하여 램프(4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광섬유다발(70)로 인입되게 하는 수용박스(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KR1020140119159A 2014-09-05 2014-09-05 마스카라 KR10157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59A KR101579904B1 (ko) 2014-09-05 2014-09-05 마스카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159A KR101579904B1 (ko) 2014-09-05 2014-09-05 마스카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904B1 true KR101579904B1 (ko) 2016-01-05

Family

ID=5516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159A KR101579904B1 (ko) 2014-09-05 2014-09-05 마스카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9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087A (ja) * 1989-11-30 1991-07-25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画像の輪郭補正回路
KR20090005369A (ko) 2006-05-09 2009-01-13 타가셉트 인코포레이티드 중추 신경계 질환의 치료를 위한 (2s)-(4e)-n-메틸-5-(3-이소프로폭시피리딘)일]-4-펜텐-2-아민의 다형체 제형
KR20100006132U (ko) * 2008-12-09 2010-06-17 신기봉 발광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KR20120114058A (ko) * 2011-04-06 2012-10-16 김일선 화장품 용기
KR20130130223A (ko) 2012-04-08 2013-12-02 이정민 야광 마스카라
KR20140003266A (ko) * 2012-06-29 2014-01-09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2087A (ja) * 1989-11-30 1991-07-25 Sanyo Electric Co Ltd カラー画像の輪郭補正回路
KR20090005369A (ko) 2006-05-09 2009-01-13 타가셉트 인코포레이티드 중추 신경계 질환의 치료를 위한 (2s)-(4e)-n-메틸-5-(3-이소프로폭시피리딘)일]-4-펜텐-2-아민의 다형체 제형
KR20100006132U (ko) * 2008-12-09 2010-06-17 신기봉 발광기능을 갖춘 화장품 용기
KR20120114058A (ko) * 2011-04-06 2012-10-16 김일선 화장품 용기
KR20130130223A (ko) 2012-04-08 2013-12-02 이정민 야광 마스카라
KR20140003266A (ko) * 2012-06-29 2014-01-09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3449A (zh) 声控的梳妆镜
KR101838571B1 (ko) 화장품 용기
KR101211271B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화장품 케이스
JP6333833B2 (ja) 光による美容治療のためのデバイス、装置、及びアセンブリ
KR101579404B1 (ko) 사용기능을 개선시킨 콤팩트용 조명거울
KR101579904B1 (ko) 마스카라
KR200454547Y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104486B1 (ko) 자외선 살균 화장품 용기
JP2020202907A (ja) 室内設置型バイオレットライト装置及びシステム
TWM473114U (zh) 導光環
KR101833421B1 (ko) 피부상태 확인을 위한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거울
CN208204726U (zh) 灯头及灯具
KR102142007B1 (ko) 조명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4135433B2 (ja) 照明器具
KR200461897Y1 (ko) 콤팩트 용기
KR10059250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화장기구
KR101787175B1 (ko) 치과 조명 장치용 광학 렌즈
KR20200122487A (ko) 스마트 콤팩트
CN214306951U (zh) 一种光源组件及灯具
KR20200079593A (ko) 조명을 구비한 지구본
KR20180056184A (ko) 조명 장치
CN102138726B (zh) 化妆盒
KR200476561Y1 (ko) 천장 매립형 조명등기구
RU2244872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102109081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조명 영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