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266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266A
KR20140003266A KR1020120071396A KR20120071396A KR20140003266A KR 20140003266 A KR20140003266 A KR 20140003266A KR 1020120071396 A KR1020120071396 A KR 1020120071396A KR 20120071396 A KR20120071396 A KR 20120071396A KR 20140003266 A KR20140003266 A KR 20140003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source
mirror
cosmetic contain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Priority to KR102012007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266A/ko
Publication of KR2014000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본체와, 본체와 결합하는 뚜껑과, 본체의 외주면 일 측에 형성된 거울과,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방출되는 빛의 일부만 외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 및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화장을 위한 내용물을 담기 위한 구조로서,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내용물을 보호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설계 및 제조되고 있다.
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화장품을 주로 소비하며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큰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늘어나면서 화장품은 이동 중에도 항상 휴대해야 하는 제품이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아름다운 외관을 지닌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8-0005910호(2008.12.04) "고휘도 엘이디를 부착한 분말화장품용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뚜껑;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 측에 형성된 거울;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방출되는 빛의 일부만 외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상기 거울의 뒤쪽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부를 향하는 상기 거울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기 거울의 제2 면은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돌기 및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돌기의 접촉을 통해서 온/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거울과,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상기 거울을 향해 비스듬하게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제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진행하고, 상기 빛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거울의 후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를 향해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본체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2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미만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돌기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장에 사용되는 내용물을 담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의 일부에 구비된 거울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울의 뒤쪽에 배치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수나사부(113)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외부를 향하는 상기 거울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기 거울의 제2 면은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진행하고, 상기 빛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본체부의 제1 면에는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제2 면에는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측면끼리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다각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화장을 하거나 화장을 수정할 때 비교적 간단한 조작을 통해 빛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빛이 본체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적 아름다움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효과는 상세한 설명 중에 기재된 내용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 중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광원으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전지에 저장된 전력이 광원으로 공급되는 회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하기 전의 상태로서 광원이 오프인 상태로서, 도 5a는 본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제1,2 돌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제2 본체부가 제1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한 후의 상태로서 광원이 온인 상태로서, 도 6a는 본체의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제2 본체부의 회전에 의한 제1,2 돌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장품 용기(10)가 립글로즈 용기인 경우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립글로즈 용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화장품 용기(10)는 파우더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컨실러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마스카라를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등의 모든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는 본체(100) 및 본체(100)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본체(100)와 결합하는 뚜껑(200)을 포함한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20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부(113)와 결합하는 암나사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200)은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213)의 체결을 통해 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입술에 도포되는 립글로즈 액인 경우에, 뚜껑(200)에는 립글로즈 액을 바를 수 있는 브러쉬가 일단에 형성되고 암나사부(21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연장된 브러쉬 바(215)(brush bar)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삼각기둥이나 육각기둥과 같은 다각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오목부(112)는 화장할 때 사용되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2)는 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둥형인 본체(100)의 형상을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오목부(112)에 수용된 내용물의 색상 및 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광원(116)에서 방출된 빛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본체(100)는 합성 수지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거울(115)은 본체(100)의 외주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00)가 사각 기둥의 형상인 경우에 거울(115)은 4개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거울(115)의 제1 면(또는 전면: front surface)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비춰볼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거울(115)의 제2 면(또는 후면: back surface)은 본체(100)에 접착되어 있다.
광원(116)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빛을 제공한다. 광원(116)은 LED가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116)은 본체(100)의 내부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ED 칩이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116)은 거울(115)을 향해 비스듬하게 빛을 조사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광원(116)에서 방출된 빛의 일부는 투명한 본체(1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빛의 나머지 일부는 거울(115)의 제2 면에 가로막혀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수 있다. 광원(116)에서 방출된 빛 중 일부만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거울(115)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울(115)의 제2 면에 가로막힌 빛은 제2 면에 반사되어 본체(100)의 내부를 진행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를 진행하는 빛을 통해 본체(100)는 본체(100) 자체가 발광하는 것과 같은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은은한 조명을 느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장품 용기(10) 중 본체(100)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0) 중 본체(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광원(116)으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포함하며, 제1 본체부(110)는 오목부(112), 수나사부(113), 거울(115), 광원(116)을 포함하고, 제2 본체부(120)는 전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으며, 제2 본체부(120)의 회전에 의하여 전지(121)에 저장된 전력이 광원(116)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각각의 구성을 살펴본 후, 제1,2 본체부(110, 120)의 결합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제1 본체부(110)의 구조를 살펴본다.
제1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를 향해 돌출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13)의 내부는 중공인 관의 형상으로서, 오목부(112)와 공간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뚜껑(200)에 구비된 브러쉬 바(215)는 수나사부(113)의 중공을 지나 립글로즈 액이 수용된 오목부(112)를 드나들 수 있다. 제1 본체부(110)는 합성 수지재를 이용한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홈(114)은 외주면의 일 측에는 형성되어 거울(11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홈(114)의 크기는 대략 거울(115)의 크기와 동일하며, 홈(114)의 깊이는 거울(115)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거울(115)은 제1 본체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114)에 안착될 수 있다. 거울(115)의 제1 면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비출 수 있도록 반사면을 구비하며, 거울(115)의 제2 면은 홈(114)이 형성된 면에 접착할 수 있다. 거울(115)의 제1 면뿐만 아니라 거울(115)의 제2 면도 반사면을 포함함으로써 광원(116)에서 방출된 빛의 일부가 제1 본체부(110)의 내부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거울(115)은 제1,2 면이 모두 경면 처리된 반사면을 포함하는 양면 거울(115)일 수 있다. 혹은, 거울(115)의 제1 면은 경면 처리된 반사면이고, 거울(115)의 제2 면은 반사시트와 같은 부재가 부착되어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거울(115)은 홈(114)에 안착된 채로 제1 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거울(115)의 제2 면에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거울(115)의 제2 면이 홈(114)에 형성된 면에 접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본체부(110)가 사출 성형될 때 거울(115)이 함께 사출됨으로써 거울(115)이 제1 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형에 거울(115)을 미리 고정시킨 후 용융된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인서트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주입된 용융된 수지재가 냉각되면서 거울(115)과 제1 본체부(110)는 일체를 이룰 수 있다.
광원(116)은 오목부(112)에 의해 간섭받지 않는 제1 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광원(116)은 거울(115)의 후면에, 보다 구체적으로 거울(115)의 제2 면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6)의 광축이 거울면(거울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대하여 둔각을 갖도록 광원(116)은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광원(116)은 거울(115) 쪽을 향하되, 광원(116)의 광축이 제1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비스듬하게 배치된 광원(116)에서 방출된 빛은 거울(115)을 향해 진행하며, 거울(115)을 향해 진행한 빛 중 일부만이 상기 제1 본체부(11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조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조명은 사용자가 거울(115)을 보면서 립그로즈 액을 바를 때 사용될 수 있으며, 광원(116)에서 방출된 빛 중 거울(115)의 제2 면에 가로막힌 빛은 제2면에 형성된 반사면에 의해 진행 경로가 변환되어 제1 본체부(110)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제1 본체부(110) 자체가 발광하는 것과 같은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제1 돌기(1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돌기(117)는 전선을 통해서 광원(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돌기(117)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도전성 소재, 예컨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본체부(120)의 구조를 살펴본다.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1 본체부(1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있다. 제2 본체부(120)의 내부에는 전지(121)가 수용되어 있으며, 전지(121)는 수은 전지와 같은 소형의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의 상부면에는 제2 돌기(1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돌기(127)는 전선을 통해서 전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돌기(127)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도전성 소재, 예컨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제2 돌기(127)가 제1 돌기(117)를 향해 이동하고 제1 돌기(117)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2 돌기와 제2 돌기(127)의 접촉을 통해서 전지(121)와 광원(1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116)에 전원이 인가(on)되거나 전원이 차단(off)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가 제1 본체부(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제1 본체부(110)와 일체를 이룬다.
다음으로, 제1,2 본체부(110, 120)의 결합 상태를 설명한다.
제1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제1 체결부(1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 본체부(120)의 상부에는 제1 체결부(118)와 결합하는 제2 체결부(128)가 구비되어 있다. 제1,2 체결부(118, 128)는 서로에 대하여 결합되도록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1,2 체결부(118, 128)는 상호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본체부(120)가 회전하더라도 제2 체결부(128)가 제1 본체부(110)로부터 탈락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1,2 본체부(110, 120)가 결합되면서 제1 돌기(117)와 제2 돌기(127)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본체부(120)가 상기 제2 본체부(1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2 본체부(12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2 돌기(127)는 제1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구비된 제1 돌기(117)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2 돌기(117, 127)의 직접 접촉을 통해 광원(116)은 전지(12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도 4는 전지(121)에 저장된 전력이 광원(116)으로 공급되는 회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본체부(110)에 구비된 광원(116)의 전선을 통해 전지(121)의 양극 및 제1 돌기(1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본체부(120)에 구비된 전지(121)는 전선을 통해 광원(116)과 연결됨과 동시에 전선을 통해서 제2 돌기(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2 돌기(117, 127)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면, 도 4에 도시된 회로는 끊어진 상태이므로 광원(116)으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빛이 방출되지 않으며, 제1,2 돌기(117, 127)가 직접 접촉해야 폐회로가 완성되어 광원(116)으로 전원이 인가되면서 빛이 방출될 수 있다.
도 5는 제2 본체부(120)가 제1 본체부(110)에 대하여 회전하기 전의 상태로서 광원(116)이 오프인 상태로서, 도 5a는 본체(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제1,2 돌기(117, 127)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제2 본체부(120)가 제1 본체부(110)에 대하여 회전한 후의 상태로서 광원(116)이 온인 상태로서, 도 6a는 본체(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제2 본체부(120)의 회전에 의한 제1,2 돌기(117, 127)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본체부(120)가 회전하기 전에, 제1 본체부(110)의 하부면에 구비된 제1 돌기(117) 및 제2 본체부(120)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2 돌기(127)는 서로 이격된 상태이다. 제1,2 돌기(117, 127)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회로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지(121)에 저장된 전력은 광원(116)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6를 참조하면, 제2 본체부(120)가 소정의 각도 회전하면서 제1 돌기(117)와 제2 돌기(127)가 측면끼리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원(116)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제2 본체부(12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돌기(127)의 측면이 제1 돌기(117)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제1,2 돌기(117, 127)가 접촉하면서 제2 본체부(12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회로는 폐회로를 형성한다. 제1,2 돌기(117, 127)가 직접 접촉하도록,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에 대하여 360도 미만으로 회전하면 충분하다.
전지(121)에 저장된 전력은 광원(116)으로 인가되고, 광원(116)에서 빛이 발생되면서 사용자에게 빛이 공급되면서 제1 본체부(110)의 내부로 빛이 진행하게 될 수 있다.
광원(116)을 온 시킨 후, 더 이상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제2 본체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2 돌기(117, 127)를 상호 이격시킴으로써 광원(116)을 오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본체부(120)의 조작을 통해서 광원(116)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 의사에 따라 빛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본체(100), 구체적으로 제1 본체부(110) 자체가 발광하는 것과 같은 심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2 돌기(117, 127)가 측면끼리 접촉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기(117)의 하부면 및 제2 돌기(127)의 상부면 끼리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2 돌기(117, 127)가 접촉된 이후에 더 이상 제2 본체부(120)가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함과 동시에 제1,2 본체부(110, 120)의 결합에 의한 공차 등을 고려할 때, 제1 돌기(117)의 측면과 제2 돌기(127)의 측면이 직접 접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화장품 용기 100: 본체
110: 제1 본체부 112: 오목부
113: 수나사부 114: 홈
115: 거울 116: 광원
117: 제1 돌기 118: 제1 체결부
120: 제2 본체부 121: 전지
127: 제2 돌기 128: 제2 체결부
200: 뚜껑 213: 암나사부
215: 브러쉬 바

Claims (16)

  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뚜껑;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 측에 형성된 거울;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방출되는 빛의 일부만 외부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거울의 뒤쪽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지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를 향하는 상기 거울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기 거울의 제2 면은 반사면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돌기 및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돌기의 접촉을 통해서 온/오프되는 화장품 용기.
  6.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구비한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과 결합되며,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거울과,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거울을 향해 비스듬하게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제1 내부에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진행하고,
    상기 빛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거울의 후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를 향해 진행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본체부와 체결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2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하여 360도 미만으로 회전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1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돌기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전지로부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화장품 용기.
  11. 화장에 사용되는 내용물을 담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의 일부에 구비된 거울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거울의 뒤쪽에 배치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수나사부(113)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외부를 향하는 상기 거울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기 거울의 제2 면은 반사면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진행하고, 상기 빛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본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화장품 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제1 면에는 상기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본체부의 제2 면에는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측면끼리 접촉하는 화장품 용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각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화장품 용기.
KR1020120071396A 2012-06-29 2012-06-29 화장품 용기 KR20140003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396A KR20140003266A (ko) 2012-06-29 2012-06-29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396A KR20140003266A (ko) 2012-06-29 2012-06-29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66A true KR20140003266A (ko) 2014-01-09

Family

ID=5013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396A KR20140003266A (ko) 2012-06-29 2012-06-29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2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04B1 (ko) * 2014-09-05 2016-01-0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카라
KR20160088062A (ko) 2015-01-15 2016-07-25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20160002580U (ko) 2015-01-15 2016-07-25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20170000132U (ko) 2015-07-01 2017-01-11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20170004103A (ko) 2015-07-01 2017-01-11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04B1 (ko) * 2014-09-05 2016-01-0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카라
KR20160088062A (ko) 2015-01-15 2016-07-25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20160002580U (ko) 2015-01-15 2016-07-25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20170000132U (ko) 2015-07-01 2017-01-11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KR20170004103A (ko) 2015-07-01 2017-01-11 (주)신영화학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3266A (ko) 화장품 용기
US20170086560A1 (en) Cosmetic case
EP3051976B1 (en)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20130025614A1 (en) Beauty and health container with floss dispenser
KR20160062244A (ko) 뚜껑에 개폐버튼이 구비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1377120B1 (ko) 터치에 의한 발광기능을 갖는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190010756A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6526989B2 (en) Cosmetic pot with hidden hinge between cover and base
KR20190115579A (ko) 심미성이 증대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2903U (ko) 위아래로 개방되는 이중 콤팩트 용기
CN103434741A (zh) 一种带泵头的化妆品瓶子
CN214483639U (zh) 化妆品容器
KR200461481Y1 (ko) 마스카라 도포기
KR20190053539A (ko) 마사지볼이 결합된 어플리케이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KR101091881B1 (ko) 분말용 화장품케이스
KR200461897Y1 (ko) 콤팩트 용기
KR102060781B1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1942292B1 (ko) 마스카라
KR102621891B1 (ko) 화장품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446992Y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012897B1 (ko) 슬림화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71401A (ja) 粉体塗布容器
JP2020022616A (ja) 多重成形体付き化粧料容器
US20210267352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contents visible from out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