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184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184A
KR20180056184A KR1020160154106A KR20160154106A KR20180056184A KR 20180056184 A KR20180056184 A KR 20180056184A KR 1020160154106 A KR1020160154106 A KR 1020160154106A KR 20160154106 A KR20160154106 A KR 20160154106A KR 20180056184 A KR20180056184 A KR 2018005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llumination
transparency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507B1 (ko
Inventor
박재형
Original Assignee
박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형 filed Critical 박재형
Priority to KR102016015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5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커버; 및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 1 투명도를 갖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투명도와 상이한 제 2 투명도를 갖는 제 2 커버를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밝기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투명도를 갖는 커버를 구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에는 백열등, 형광등 및 삼파장 전구가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백열등, 형광등, 삼파장 전구 등은 전력소모가 많기 때문에 근래에는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긴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발광다이오드 조명등은 눈부심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빛의 직진성이 좋아 빛의 방사각도가 작거나 작은 광원으로부터 큰 휘도의 빛이 나오므로 빛의 질이 부드럽지 못하여 사용자의 눈에 피로감을 더해 주고 근시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 조명을 켤 때, 실내의 조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사용자의 눈부심이 발생하며, 잔상이 생겨 시야를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조명은 동일한 투명도를 가지는 단일 커버만을 구비하여, 일정한 조도의 빛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커버 등의 형상을 통한 심미감 외에 사용자에게 조명을 통한 추가적인 심미감을 제공해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투명도를 갖는 커버에 대해 순차적으로 조명을 점등함으로써,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과 동시에 심미감있는 다양한 조명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조명 장치는, 커버; 및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 1 투명도를 갖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투명도와 상이한 제 2 투명도를 갖는 제 2 커버를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밝기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 중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커버는 사용자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사용자의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일 영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은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배치되는 지지면의 중심에 대해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 원주 상에서 상기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분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에 조사되어 상기 적어도 일 영역을 통과하는 빛은 서로 중첩되면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조명부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잔상이 남는 것을 방지하여 어두운 곳에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의 순차적 점등 또는 소등을 통해 상이한 투명도를 갖는 복수의 커버에 대한 빛의 조사 각도 및 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심미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커버의 형상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조명 패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커버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취향 및 개성에 맞는 패턴의 조명 장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의 눈에 무리를 주지 않는 밝기의 조명을 사용하여 유아의 시력발달과 산모 및 사용자의 수면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조명 장치의 정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조명 장치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본체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커버(110, 120) 및 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 120)는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부(13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버(110, 120)는 상이한 투명도를 가지는 제 1 커버(110) 및 제 2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버(110)는 제 1 투명도를 가지도록 구현되고, 제 2 커버(120)는 제 1 투명도보다 높은 제 2 투명도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제 1 커버(110)는 본체(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명부(13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110)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커버(110)는 조명 장치(100)의 사용시 사용자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커버(120)는 제 1 커버(110)보다 높은 투명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제 1 커버(110)와 상이한 밝기의 빛을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커버(120)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커버(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 2 커버(120)는 제 1 커버(110) 중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버(110)의 관통 영역이 제 2 커버(120)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 1 커버(110)보다 높은 투명도를 제공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커버(110, 1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커버(110)보다 높은 투명도를 갖는 재질로 제 2 커버(120)를 별도 제작하고, 이를 제 1 커버(110)의 관통된 적어도 일 영역에 결합하도록 구성되거나, 제 1 커버(1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코팅 처리 또는 색상 처리 등을 통해 다른 투명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 2 커버(120)를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커버(120)는 소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커버(120)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의 사용 시, 이러한 제 2 커버(120)가 사용자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을 사용자 반대 방향의 벽면 등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체(130)는 전원 공급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명부(132)를 점등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32)는 복수로 구성되며, 본체(130)의 상부의 지지면에 소정의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조명부(132)는,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의 눈에 무리를 주지 않는, 예를 들어, 약 70 럭스(Lux)의 밝기를 가지는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조명부(132)는 제 2 커버(120)에 대하여 각각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복수의 조명부(132)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30) 상부의 지지면의 중심에 대하여 동일 원주 상에 상기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분할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조명부(132) 각각으로부터 상이한 각도로 조사되어 제 2 커버(120)를 통과하는 빛이 서로 중첩됨으로써, 제 2 커버(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부(132) 중 점등되는 조명부(132)의 순서, 위치, 개수 등을 상이하게 하는 경우, 각각의 경우마다 서로 상이한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조명 효과 및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조명부(132)는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조명부(132)는 1개씩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현되거나, 조명부(132)의 위치 등에 기초하여 1 이상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그룹별로 상이한 순서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체(130)의 상부에는 제 1 커버(110)과 결합을 위한 결합 홈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홈에 제 1 커버(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본체(130)에 제 1 커버(110)가 착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본체(130)는 스위치부 및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는 버튼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명부(132) 중 적어도 하나를 순차 또는 동시에 점, 소등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원부는 조명부(1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원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현되거나,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조명 장치(100)는 보호 캡(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캡은 본체(130)의 지지면에 부착되며, 커버(110, 120) 내부에서 조명부(132)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 2 커버(120)가 제 1 커버(1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보호 캡은 관통된 제 2 커버(120)를 통해 아이 등이 부주의하게 손을 집어넣어 조명부(132)에 화상 또는 감전 등을 당하거나, 조명부(132)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호 캡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명부(132)에서 발산되는 빛을 커버(110, 120)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투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의 복수의 조명부(132)는 상이한 위치의 조명부(132)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함으로써, 제 2 커버(120)가 향하는 벽면 등에 상이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조명부(132)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 점등된 조명부(132)의 배치에 따라 제 2 커버(120)에 대한 빛의 조사되는 각도가 상이해져 제 2 커버(120)를 통과하는 빛의 중첩 영역이 달라지게 되며, 이를 통해, 벽면 등에 표시되는 패턴이 변화될 수 있다.
먼저, 조명부(132)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에는, 점등되는 조명부(132)의 수가 증가되면서, 제 2 커버(120)를 통과한 빛의 중첩 영역이 다양한 밝기 및 크기로 증가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 2 커버(120)가 날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4a 내지 4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명부(132)가 순차적으로 점등됨에 따라, 제 2 커버(120)를 통과한 빛의 중첩 영역이 보다 다양하게 형성되면서, 날개가 점차 펼쳐지듯이 변화되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조명부(132)가 순차적으로 소등되는 경우에는, 점등되어 있는 조명부(132)의 수가 감소하면서, 제 2 커버(120)를 통과하는 빛의 중첩 영역의 밝기 및 크기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조명 장치(100)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명 장치 110: 제 1 커버
120: 제 2 커버 130: 본체
132: 조명부

Claims (9)

  1. 조명 장치로서,
    커버; 및 상기 커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제 1 투명도를 갖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투명도와 상이한 제 2 투명도를 갖는 제 2 커버를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밝기의 빛을 조사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는 일체로 형성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 중 적어도 일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사용자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사용자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 영역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은 서로 상이한 각도로 배치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의 배치되는 지지면의 중심에 대해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 원주 상에서 상기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분할 배치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에 조사되어 상기 적어도 일 영역을 통과하는 빛은 서로 중첩되면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
KR1020160154106A 2016-11-18 2016-11-18 조명 장치 KR10198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06A KR101986507B1 (ko) 2016-11-18 2016-11-18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106A KR101986507B1 (ko) 2016-11-18 2016-11-18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84A true KR20180056184A (ko) 2018-05-28
KR101986507B1 KR101986507B1 (ko) 2019-06-07

Family

ID=6245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106A KR101986507B1 (ko) 2016-11-18 2016-11-1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969A1 (ko) * 2018-12-28 2020-07-02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다이나믹 램프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02Y1 (ko) * 2002-02-23 2002-06-01 주식회사 테리텍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1557887B1 (ko) * 2015-06-08 2015-10-07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시각적 이벤트를 제공하는 캔들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02Y1 (ko) * 2002-02-23 2002-06-01 주식회사 테리텍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1557887B1 (ko) * 2015-06-08 2015-10-07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시각적 이벤트를 제공하는 캔들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969A1 (ko) * 2018-12-28 2020-07-02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다이나믹 램프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745650B2 (en) 2018-12-28 2023-09-05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Dynamic lamp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507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6385B1 (en) Lamp and bulb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KR10094436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9970625B2 (en) Method of illuminating ornament
JP2012227041A (ja) 照明装置
EP3546819B1 (en) Lighting apparatus
JP2017157485A (ja) 照明装置
CN110006008B (zh) 发光装置,用于发光装置的控制单元以及用于运行发光装置的方法
KR101986507B1 (ko) 조명 장치
JP4491327B2 (ja) 照明器具
US20170329067A1 (en) Novel Nightlight Having a Simple Structure
KR200426127Y1 (ko) 기능성 전기스탠드
TWM535777U (zh) 工作燈
KR20170128001A (ko) 엘이디 조명 패널장치
KR200471623Y1 (ko) 발광 우산
JP4135433B2 (ja) 照明器具
KR200403563Y1 (ko) 등기구 두부를 이용한 간접조명 장치
JP2014075231A (ja) 照明装置
KR101241574B1 (ko) 조명장치
CN216131800U (zh) 照明灯
TWI676764B (zh) 智能光電操控模組
JP2020528651A (ja) 照明器具
CN220169207U (zh) 灯具
KR101611940B1 (ko) 전등
US10782010B2 (en) Edge-lit lighting fixture sensor shield
CN215723060U (zh) 一种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