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459B1 -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 Google Patents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459B1
KR101579459B1 KR1020090023294A KR20090023294A KR101579459B1 KR 101579459 B1 KR101579459 B1 KR 101579459B1 KR 1020090023294 A KR1020090023294 A KR 1020090023294A KR 20090023294 A KR20090023294 A KR 20090023294A KR 101579459 B1 KR101579459 B1 KR 101579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arbon particles
agent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704A (ko
Inventor
아츠무 토우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피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피노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피노레
Priority to KR102009002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45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두발을 안정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로라고 염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입자의 침강에 의한 케이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이를 이용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공한다.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부착제, 용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포함한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착색제가,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200 ㎛의 범위 내의 값인 탄입자이며,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입자의 첨가량을 1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용제의 첨가량을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며,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한다.

Description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HAIR INCREASE COLORANT DYE AND SPRAY COMPOSITION FOR HAIR INCREASE COLORANT DYE}
본 발명은, 두발을 착색 및 볼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모 착색 염모료(染毛料)에 관한 것이다. 특히, 두발을 안정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탄입자의 침강(沈降)에 의한 케이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이를 이용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두발의 볼륨감 향상을 목적으로 한 증모 착색 염모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는, 염색한 섬유를 두발에 뿌리는 방식, 또는 광택을 내기 위해 코팅한 운모(雲母) 입자를 두발에 부착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식을 채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로는, 두발의 자연스러운 느낌이 없어져,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주거나, 두발의 광택만 변할 뿐, 실질적인 볼륨감 향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두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탈크(talc)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擔體),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부 착제를 포함한 증모 착색 염모료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를 담지(擔持)시킨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부착제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서 코팅하고, 이들 한 올 한 올의 두발을 굵어 보이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채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이다.
또한,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를 담지시킨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부착제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서 코팅한 후, 아크릴산옥틸아미드 등의 내수성 수지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의 증모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증모 착색 염모료를 이용한 경우, 어느 정도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있으나, 두피로부터의 땀 또는 비 등의 수분에 의하여,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가 용출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이러한 착색제를 포함한 수분이, 얼굴 또는 목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증모 착색 염모료의 사용 환경에 대하여, 항상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증모 착색 염모료는,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분말 담체 자체의 백색 또는 회색의 색채에 의하여,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의 색채가 저해되어,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모발의 증모 방법은, 수분에 의하여 착색제가 용출 및 유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는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손가락 또는 빗으로, 부착제 또는 내수성 수지의 접착성이 없어질 때까지, 두발을 마찰시키거나 빗어내릴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증모 방법을 실시한 경우, 시간이 매우 걸릴 뿐만 아니라, 두발에의 데미지가 현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모발의 증모 방법에서도,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증모 착색 염모료와 마찬가지로,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의 영향에 의하여,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이러한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를 사용하지 않고,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착색제로서 소정 입자 직경을 갖는 죽탄 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보다 구체적으로는,
(a) 8 wt%의 죽탄으로 이루어진 입자 직경 13 ~ 13.47 μm의 미분말
(b) 1 ~ 5 wt%의 헤어 스프레이용 수지
(c) 분산제인 0.20 ~ 1.00 wt%의 야자 지방산 솔비탄
(d) 분산 안정제인 0.20 ~ 1.00 wt%의 디메티콘코폴리올
(e) 용제
(f) 분사제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모(薄毛)용 스프레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보 제3074443호(특허 청구의 범위)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194210호(특허 청구의 범위)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보 제3921193호(특허 청구의 범위)
그러나, 특허 문헌 3의 박모용 스프레이 조성물에 있어서는, 죽탄 입자가 침강하여 괴형상물이 되어버리는 현상, 소위 케이킹이 발생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특허 문헌 3의 박모용 스프레이 조성물은, 스프레이 노즐 내에서 죽탄 입자의 케이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노즐을 에어졸 캔의 저면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할 필요가 있으나, 그 결과, 박모용 스프레이 조성물을 완전하게 끝까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령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했다고 해도, 죽탄 입자의 케이킹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사용 시에 케이킹한 죽탄 입자가 스프레이 노즐 내에 침입한 경우에는, 분사 불량이 발생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검토 결과, 증모 착색 염모료에 있어서, 착색제로서 탄입자(炭粒子)를 이용하고,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소정량 포함함으로써, 두발을 안정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할 수 있고, 또한, 효과적으로 두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탄입자의 침강에 의한 케이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두발을 안정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면서,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탄입자의 침강에 의한 케이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이를 이용한 에어졸형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 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부착제, 용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포함한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착색제가,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200 ㎛의 범위 내의 값인 탄입자이며,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입자의 첨가량을 1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용제의 첨가량을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며,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모 착색 염모료가 제공되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함으로써,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 또는 저감시킨 경우에도, 탄입자의 색 자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두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 또는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분말 담체 자체의 백색 또는 회색의 색채에 의하여 착색제의 색채가 저해되어, 소정의 염모 농도를 얻기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입자는, 두피로부터의 땀 또는 비 등의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도, 탄입자가 갖는 우수한 흡수성 등에 의하여, 이들 수분에 대해 용출 및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소정 범위 내의 값으로 함으로써, 굳어짐을 방지하면서 볼륨감을 향상시키고, 또한, 두발이 원래 갖는 자연스러운 광택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경우에도,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소정량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탄입자의 침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증모 착색 염모료를, 예를 들면, 에어졸 제품에 이용한 경우에도, 막혀서 균일하게 분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탄입자로서 목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입자로서 목탄을 이용함으로써, 두발이 원래 갖는 자연스러운 광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가, 실리카 미립자 또는 알긴산 소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는,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도 틱소트로피(Thixotropy)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탄입자의 색 자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두발을 착색하여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포함하고, 또한, 해당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의 첨가량을, 탄입자 100 중량부 당 0.5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두발이 원래 갖는 광택을 보다 효과적이며 자연스러운 머릿결로 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멋내기 염색으로서의 사용 목적에도 적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백색 무기 재료를 포함하고, 또한, 해당 백색 무기 재료의 첨가량을, 탄입자 100 중량부 당 0.5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경우,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비교적 다량으로 이용하지 않으면, 브라운 등의 발색 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백색 무기 재료를 소정량 포함하므로써,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및 그 이외의 착색제와의 조합에 의하여, 브라운 등의 원하는 발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백색 무기 재료가, 산호 분말, 탄산칼슘 및 시라스 벌룬(Sirasu-balloon)으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백색 무기 재료는,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도, 착색제로서의 탄입자와의 조합에 의하여, 브라운 등의 원하는 발색성을 보다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윤활제를 포함하며, 또한, 해당 윤활제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1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착색제의 분산 정도가 향상되며, 또한, 두발에 이용한 경우, 소정의 윤기를 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부착제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너머와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모노머를 포함한 공중합체로서, 해당 공중합체에서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알코올을 에스테르 결합시켜 이루어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점착성 등이 더욱 적합해지므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서 탄입자를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으며, 세발 시에는 증모 착색 염모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제가 에틸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제로서 에틸알코올을 이용함으로써, 착색제와 부착 제를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용기 내에,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부착제, 용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착색제가,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200 μm의 범위 내의 값인 탄입자이며,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탄입자의 첨가량을 1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용제의 첨가량을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며,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이다. 즉, 증모 착색 염모료를 에어졸용으로 함으로써, 증모 착색 염모료가 미스트(mist) 상태로 분무되므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더욱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사제가 디메틸에테르 및 액화 석유 가스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증모 착색 염모료의 성분 변화 없이도 용기 내를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유해 요소 억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사제의 첨가량을 용기의 용량 100 볼륨%에 대해 30 ~ 85 볼륨%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사제의 첨가량을 제한함으로써, 소정의 탄입자를 포함하는 증모 착색 염모료를 보다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는,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부착제, 용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포함하는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착색제가,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200 ㎛의 범위 내의 값인 탄입자이며,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입자의 첨가량을 1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용제의 첨가량을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며,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모 착색 염모료이다. 이하, 제 1 실시 형태로서의 증모 착색 염모료에 대하여, 각 구성 요소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착색제
(1) 종류
본 발명에서는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함으로써,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 혹은 감소시킨 경우에도, 탄입자 자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두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 혹은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분말 담체 자체의 백색 혹은 회색의 색채에 의해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기 어려워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입자는, 두피로부터의 땀이나 비 등의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도, 탄입자의 형태 또는 특성에 기인하여 용출 또는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석유계 수지의 탄화물로서의 카본블랙(carbon black) 또는 케친블랙(kechin black) 등과는 달리, 자연물 원료에서 유래된 탄입자는, 착색제로서 일본인의 두발이 원래 갖는 자연스러운 광택을 안전하게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물리적 강도 및 비중을 가지므로, 두발 한 올 한 올을 코팅하여 이들을 굵어 보이게 하기 위한 분말 담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이러한 분말 담체 자체의 백색 혹은 회색의 색채에 의해,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하기 어려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안정적인 염모가 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탄입자는 발색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치밀한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부착제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며, 또한, 그 자체가 비수용성이므로, 우수한 밀착성이나 내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발이 땀 등의 수분에 노출된 경우라도, 그 용출이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설령 탄입자가 부착제로부터 이탈한 경우라도, 그 치밀한 다공질 구조에 의해 땀 등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에 비해, 착색제를 포함한 수분이 얼굴이나 목으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 밖에, 탄입자는 증모 착색 염모료 중에 포함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습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실리콘계 성분 등, 수분에 의해 응집되기 쉬운 성분의 응집을 억제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a) 및 도 1(b)를 이용하여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사용함과 동시에,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한 경우(도 1(a))와, 착 색제로서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와, 그것을 담지하기 위한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를 사용한 경우(도 1(b))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우선, 볼륨감에 대해서는,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 탄입자(12) 및 분말 담체(12a ~ 12c)에 의해 한 올 한 올의 두발을 굵어 보이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염모 농도에 대해서는, 도 1(a)에서는,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의 이용을 생략하고 있으므로, 탄입자(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b)에서는,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12a ~ 12c)에 대한 착색제의 담지 상태가 불균일해지기 쉬워, 결과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를 얻기가 어려워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를 비교하면, 두발의 표면 요철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아마도 탄입자(12)가 그 다공질 구조에 기인하여, 복잡한 부정형 형상(不定形狀)을 취하기 쉽고, 그 결과 탄입자(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10’)와 비교해 두발의 표면 요철이 커지는 것이라고 추정된다(10). 결국, 탄입자(12)를 이용한 경우의 두발이, 탄입자(12)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두발보다 실제 감촉이 거칠어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탄입자(12)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직접 본 경우는 물론이고, 직접 보지 않은 경우에도 두발(11)에의 부착 상태를 두발의 감촉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 1(a)에 도시된 탄입자(12)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두발의 표면 요철이 커짐으로 인해, 빛이 적절하게 난반사하여, 두발이 원래 갖는 자연스러운 윤기 또는 감촉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두발의 표면 요철이 커짐으로 인해, 광 내기 또는 형태 보호 성을 부여하기 위한 헤어 스프레이제를 병용한 경우에도, 헤어 스프레이제의 부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의 이용을 생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의 이용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하는 경우라도, 가능한 한 그 첨가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 ~ 도 4를 이용하여,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사용하고, 탈크 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분말 담체의 사용을 생략한 증모 착색 염모료와,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사용하고, 분말 담체로서의 탈크를 사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 있어서의 볼륨감, 염모 농도 및 내수성의 차이를 설명한다. 우선, 도 2에서는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한 착색제의 첨가량(중량부)을 가로축으로 하고, 볼륨감(상대 평가)을 세로축으로 한 특성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특성 곡선 A는 착색제로서 탄입자(수종:소나무)를 이용한 경우의 특성 곡선이며, 특성 곡선 B는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이용하고, 분말 담체로서 탈크를 이용한 경우의 특성 곡선이다. 또한, 특성 곡선 C는 착색제로서 카본블랙만을 이용하고, 분말 담체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특성 곡선이다. 여기서, 특성 곡선 B의 경우에는, 카본블랙 / 탈크 = 30 / 100(중량비)가 되도록 혼합한 혼합 가루의 첨가량을, 착색제의 첨가량으로 간주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볼륨감의 상대 평가는, 피실험자 100 명에 의한 주관적인 볼륨감의 평가를 아래 기준에 준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4:100 명 중 90 ~ 100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3:100 명 중 70 ~ 89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2:100 명 중 40 ~ 69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1:100 명 중 0 ~ 39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즉, 특성 곡선 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한 탄입자의 첨가량을 약 10 중량부 이상 첨가함으로써,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성 곡선 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색제로서의 카본블랙과, 분말 담체로서의 탈크를 병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 있어서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한 이들 혼합물의 첨가량을 약 50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효율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특성 곡선 C로부터, 착색제로서 카본블랙만을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의 경우에는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현저히 어려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나, 착색제로서 카본블랙과 분말 담체로서 탈크를 병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 모두, 볼륨감에 관해서는 뛰어난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경우에는, 탈크 등의 분말 담체를 병용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반해,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이용한 경우에는 탈크 등의 분말 담체를 병용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한 착색제의 첨가량(중량부)을 가로축으로, 염모 농도(상대 평가)를 세로축으로 한 특성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특성 곡선 A는 착색제로서 탄입자(수종:소나무)를 이용한 경우의 특성 곡선이 며, 특성 곡선 B는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이용하고, 분말 담체로서 탈크를 이용한 경우의 특성 곡선이다. 또한 특성 곡선 B의 경우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첨가량에 대한 정의는 상술한 도 2와 같다. 또한, 염모 농도의 상대 평가는 피실험자 100 명에 의한 주관적인 염모 농도의 평가를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4:100 명 중 90 ~ 100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3:100 명 중 70 ~ 89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2:100 명 중 40 ~ 69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1:100 명 중 0 ~ 39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즉, 특성 곡선 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한 탄입자의 첨가량을 약 10 중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성 곡선 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색제로서의 카본블랙과, 분말 담체로서의 탈크를 병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 있어서는, 이들 혼합물의 첨가량을 증가시킨 경우에도, 분말 담체로서의 탈크가 염모 농도를 저하시키므로, 충분한 염모 농도를 얻기가 어려워진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효과적으로 염모 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반해, 착색제로서 카본블랙과, 분말 담체로서 탈크를 병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그 첨가량을 증가시킨 경우라도 소정의 염모 농도를 얻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서는,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한 착색제의 첨가량(중량부)을 가로축으로, 내수성(상대 평가)을 세로축으로 한 특성 곡선을 도시하고 있다. 또 한, 특성 곡선 A는 착색제로서 탄입자(수종:소나무)를 이용한 경우의 특성 곡선이며, 특성 곡선 B는 착색제로서 카본블랙을 이용하고, 분말 담체로서 탈크를 이용한 경우의 특성 곡선이다. 또한, 특성 곡선 B의 경우의 착색제의 첨가량에 대한 정의는 상술한 도 2와 같다. 또한, 내수성의 상대 평가는, 피실험자 10 명의 두발에 대해 증모 착색 염모료를 분무 및 건조한 후, 50 ml의 물을 분무기로 분무하여 아래와 같은 기준에 준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4:10 명에게서, 각각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3:10 명에게서, 각각 허용 범위 내이지만,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확인되었다.
2:10 명에게서, 각각 매우 가까운 거리라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확인되었다.
1:10 명에게서, 각각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명확히 확인되었다.
즉, 특성 곡선 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착색제 100 중량부에 대한 탄입자의 첨가량을 약 15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내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특성 곡선 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착색제로서의 카본블랙과, 분말 담체로서의 탈크를 병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 있어서는, 이들 혼합물의 첨가량이 극히 적은 경우라도 충분한 내수성을 유지하기 곤란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는, 탄입자의 첨가량을 소정 범위에서 증가시킨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내수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착색제로서의 카본블랙과, 분말 담체로 서의 탈크를 병용한 증모 착색 염모료로는, 그 첨가량이 매우 적은 범위라 해도 소정의 내수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탄입자가 목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탄입자의 주성분으로서 목탄을 이용함으로써, 두발이 원원래 갖는 자연스러운 광택을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섬유질의 탄화물인 목탄은, 균일하고도 치밀한 다공질 구조를 가지며, 경량일 뿐 아니라, 또한 소정 범위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탄입자를, 분쇄 조작 또는 분급(分級)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착색제로서, 에어졸 타입의 분사제와 혼합한 경우에도, 장시간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두발의 광택을 보다 균일하고도 자연스럽게 완성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 목탄 외의 탄입자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죽탄, 야자탄, 코크스, 송훈묵(소나무 목재 등을 연소시킬 때 나오는 매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입자가 일본 의약품 법령에서 정한 일정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킨 재료, 즉, 약용탄인 것도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탄입자로서 약용탄을 이용함으로써, 두피의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탄입자가 물리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적극적으로 다공질화 된 재료, 소위 활성탄인 것도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탄입자로서 활성탄을 이용함으로써, 부착제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보다 견고하게 두발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활성탄은, 흡습 효과 또는 탈취 효과, 나아가 경량 효과 등, 다양한 이점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탄입자의 표면을 사전에 디메틸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함으로써,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구성한 경우에도, 탄입자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제로서,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착색제로서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두발이 원원래 갖는 광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멋내기 염색으로서의 사용 목적에도 적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일본인의 두발은 단순히 검은색 색소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노란색이나 빨간색 색소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탄입자 외에 노란색이나 빨간색 등의 색소를 더 포함함으로써, 두발이 원원래 갖는 광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탄입자 외의 착색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흑발 이외의 색채로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소위 멋내기 염색으로서의 사용 목적에도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법정 색소(타르 색소)로는, 적색 2 호, 청색 203 호, 황색 402 호, 갈색 201 호, 녹색 401 호, 보라색 401 호, 흑색 401 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안료로는, 황산화티탄, 적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카본블랙, 카라민, 엄버, 후민산, 먹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 색소로는, 카로틴, 퀘르세틴, 락카인산, 클로로필린, 베타닌, 카카오 색소, 크루크민, 카르민산, 글로블린, 오징어 먹물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의약품 등 공정서에 기재된 착색제로서, 염산 베르베린, 리보플라빈, 구리클로로필린나트륨, 헤마틴, 헤마친, 아즈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 보조제로서 명반, 황산알루미늄, 황산철을 병용해도 좋다.
(2) 수평균 입자 직경
또한,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2 ~ 20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탄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볼륨감을 향상시키면서도 두발이 원래 갖는 자연스러운 광택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μm 미만의 값이 되면, 탄입자 자체의 체적에 의해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이 200 μm를 넘게 되면,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균일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자연스러운 광택을 재현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부착제에 의해 충분하게 고정시키기 곤란해져, 두발로부터 이탈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5 ~ 15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10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사 노즐 부분에서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용기 내에서의 케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2 ~ 10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 8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3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 ~ 12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그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탄입자 등의 수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기재한다.
또한, 수평균 입자 직경이 다른, 복수의 탄입자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평균 입자 직경이 다른, 복수의 탄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염모 상태를 조절하여, 두발이 원래 가지는 자연스러운 광택을 더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5 μm 미만의 제 1 탄입자와, 수평균 입자 직경이 5 ~ 12 μm의 제 2 탄입자를, 제 1 탄입자:제 2 탄입자의 중량비로, 100 중량부:10 ~ 300 중량부의 범위에서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중량부:100 ~ 200 중량부의 범위에서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균 입자 직경이 다른 복수의 탄입자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탄입자 사이에서의 응집이 방지되어, 분사 노즐 부분에서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용기 내에서의 케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탄입자와 함께, 안료 등을 병용하는 경우, 이들 안료 등의 수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0.01 ~ 1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2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3) 첨가량
또한, 탄입자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1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탄입자의 첨가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보다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탄입자의 첨가량을 10 중량부 미만의 값으로 하면, 볼륨감을 충분히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탄입자의 첨가량이 150 중량부를 넘으면, 탄입자끼리 불균일하게 서로 겹쳐져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균일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입자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30 ~ 1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1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병용하는 경우, 이러한 착색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일반적인 일본인의 두발을 재현하려고 하는 경우, 탄입자 100 중량부에 대해 0.5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부착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착제란,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등을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부착 및 고정하기 위한 재료이다. 이러한 부착제로서는, 소정의 점착력을 가지며, 또한, 착색제에 의한 색조를 방해하지 않는 정도로 무색 투명감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땀 등의 수분에 대해 쉽게 용해되지 않는 한편, 세발 시에는 씻어낼 수 있을 정도의 친수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부착제로는, 예를 들면, 아교, 천연 검(gum), 에스테르 검, 변성 녹말, 밀크카제인, 폴리비닐피로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수지알카놀아민액, 메톡시에틸렌무수(無水)말레산코폴리머,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니움,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 르, 초산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카르복시변성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부착제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이유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두발끼리의 부착에 의한 뻣뻣해짐을 억제하면서도,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단단히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부착제라면, 적당한 점착성을 가지고, 또한 내광성, 내후성 및 내유성도 우수하므로, 기후의 변화 등에 따라 사용 환경이 변화된 경우, 또는 시판 중인 헤어 스프레이를 추가로 병용한 경우에도,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견고하게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에서도, 특히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모노머를 포함한 공중합체이며, 또한, 해당 공중합체에서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알코올을 에스테르 결합시켜 이루어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소위 아크릴수지알카놀아민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소위 아크릴수지알카놀아민액은, 점착성 등이 더욱 적합하므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한편, 세발 시에는 증모 착색 염모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용제
(1) 종류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알코올, 물, 이소펜 탄, 아세톤, N-메틸피로리돈, 부틸렌글리콜, 페녹시에탄올, 탄산에틸,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알코올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에틸알코올은, 착색제와 부착제를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에틸알코올은 분자량 및 극성이 매우 적합하므로, 착색제와 부착제를 각각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에틸알코올은, 비점(대기압 하에서 78.4℃)이 적당하고,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사용한 경우,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휘발성이 높고, 스프레이함과 거의 동시에 증발되어, 머리카락에 끈적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첨가량
또한, 용제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용제의 첨가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착색제와 부착제의 농도가 적합해지므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한층 더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용제의 첨가량이 30 중량부 미만의 값이 되면, 증모 착색 염모료의 점착성이 과도하게 커져,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균일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두발끼리도 부착되기 쉬워지므로 뻣뻣해짐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용제의 첨가량이 1,000 중량부를 넘는 값이 되면, 두발에 대해 소정량의 탄입자 및 부착제를 효율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제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50 ~ 8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 6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4.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
(1) 종류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미립자, 벤트나이트, 유기 처리 벤트나이트, 탄산칼슘, 수소 첨가 피마자유 왁스, 스테아린산칼슘, 올레인산알루미늄, 중합아마니유, 알긴산, 알긴산소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실리카미립자 또는 알긴산소다는,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도 틱소트로피(Thixotropy)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이다. 즉, 실리카미립자 등의 색의 영향이 적어져, 탄입자의 색 자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두발을 착색하여,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리카미립자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합성 실리카(습식법 침전 실리카, 겔 형상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및 초미립자 형상 무수(無水) 실리카 등) 및 천연 실리카(결정성 실리카, 파쇄 용융 실리카 및 구(球) 형상 용융 실리카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실리카 미립자 중, 합성 실리카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습식법 침전 실리카 및 초미립자 형상 무수 실리카이다.
(2) 첨가량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착색제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더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소정의 전단력(剪斷力)이 가해진 경우에는, 소정의 유동성을 나타내므로, 균일하고 또한 용이하게 스프레이 등을 할 수 있다. 즉,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이 0.1 중량부 미만의 값이 되면, 탄입자의 침강 속도가 빨라져서, 균일하며 용이하게 스프레이 등을 하기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기 곤란해지고, 두발끼리도 부착하기 쉬워져, 그 결과, 뻣뻣해짐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한 값이 되면, 소정의 유동성을 나타내기 곤란해져, 그와 반대로, 균일하며 용이하게 스프레이 등을 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2 ~ 13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1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8 ~ 5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5. 백색 무기 재료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범위 내이면, 백색 무기 재료(이하, 분말 담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탄입자 100 중량부 당 0.5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 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한 경우,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비교적 다량으로 이용하지 않으면, 브라운 등의 발색성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가한 경우에, 백색 무기 재료를 소정량 포함함으로써, 탄입자의 흑색에 대항하여, 그 착색제를 효과적으로 발색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및 그 밖의 착색제와의 조합에 의하여, 브라운 등의 원하는 발색성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즉, 이러한 백색 무기 재료는, 브라운 등의 발색성을 얻기 위해 첨가된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를 담지한 상태에서 두발에 부착하게 된다. 그 결과, 이러한 착색제를 담지한 백색 무기 재료는, 탄입자의 사이에 점재(點在)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브라운 등의 원하는 발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백색 무기 재료의 첨가량이 0.5 중량부 미만의 값이 되면, 그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탄입자 이외의 발색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백색 무기 재료의 첨가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한 값이 되면, 백색 무기 재료의 백색의 영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백색 무기 재료의 첨가량을 2 ~ 25 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20 중량부의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종류
또한, 백색 무기 재료의 종류로서는, 산호 분말, 탄산칼슘 및 시라스 벌룬(Sirasu-ballo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백색 무기 재료는,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도, 착색제로서 의 탄입자와의 조합에 의하여, 브라운 등의 원하는 발색성을 더욱 양호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밖의 백색 무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카올린, 벤트나이트, 세리라이트, 산화아연, 산화티탄, 침강성 탄산칼슘, 황산칼슘, 초크 가루, 경석 가루, 누에고치 가루, 분말 결정 셀룰로스, 호분(胡粉), 양모 가루, 면섬유 가루, 스타치, 발포스티롤 수지 분말 및 유리아 수지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2) 수평균 입자 직경
또한, 분말 담체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0.1 ~ 15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분말 담체의 수평균 입자 직경이 0.1 μm 미만의 값이 되면, 효과적으로 볼륨감을 향상시키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분말 담체의 수평균 입자 직경이 150 μm를 초과한 값이 되면, 분말 담체 자체의 색채가, 두발의 광택에 대해 과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말 담체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1 ~ 10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50 μm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6. 그 밖의 배합 성분
또한, 적절히 이하에 나타내는 배합 성분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유제
증모 착색 염모료에 유분(油分)을 부여하여, 처리한 두발에 윤기를 냄과 동시에,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굳어짐 방지 등의 효과를 내기 위한 유제(油劑)로는, 예를 들면, 동백유, 피마자유, 물 첨가 우지(牛脂), 라놀린, 스쿠알렌, 미트로우, 유동 파라핀, 피트스테롤, 세타놀,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플루토닉, 옥틸데카놀, 트리옥탄산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유산세틸, 구연산트리에틸 등을 들 수 있다.
(2) 분말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각 배합 성분에 분산 효과를 부여하거나, 처리한 두발에 있어서 찰랑찰랑한 느낌 등을 부여하기 위한 분말제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덱스트린, 세린, 아미호프LL(아지노모토(주)) 등을 들 수 있다.
(3) 증점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점도를 향상시켜 탄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거나, 처리한 두발에서의 볼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키산탄검, 카티온화 구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4) 안정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의 점도 등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안정제로는, 예 를 들면, 아스코르빈산인산마그네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5) 계면 활성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각 배합 성분에 분산 효과를 부여하거나, 처리한 두발에서의 균일한 염모감 등을 부여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천연계 계면 활성제로서, 레시틴, 무크로지엑기스, 콜라겐형 계면 활성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티온형 계면 활성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도데실벤젠슬폰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라고 함)라우릴황산나트륨, POE야자유지방산아민유산염, POE슬포호박산나트륨, N-야자유지방산-L-글루타민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노니온형 계면 활성제로는, POE노닐페닐에테르, POE경화피마자유, POE라놀린알코올, 글리세릴모노오레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펜타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니온형 계면 활성제로는, 염화세틸트리메틸클로라이드, 염화라우릴피리디늄, POE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니온형 계면 활성제로는, 라우릴아미노디프로피온산나트륨,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야자유알킬-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조리늄베타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극성형 계면 활성제로는, POE라우릴에테르카르본산, 오레일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6) 윤활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각 배합 성분에 분산 효과를 부여하거나, 처리한 두발에 균일한 염모감 등을 부여하거나, 또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사용한 경우의 막힘 방지 등의 효과를 내기 위한 윤활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린, 실리콘, 변성 실리콘, 로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콘의 일종인 디메틸실리콘은,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를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구성한 경우에도 탄입자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윤활제의 첨가량은,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1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7) 보습제
또한, 처리한 두발에 대한, 이른바 촉촉함을 부여하기 위한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피로리돈카르본산소다, 키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알로에 엑기스, 당근 엑기스, 센브리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8) 두발 상태 개량제
또한, 처리한 두발에 대한 두발 상태 개량제로는, 예를 들면, 가수 분해 콜라겐, 폴리펩타이드, 시스틴염, 라놀린 지방산, 레시틴, 밍크유, 뽕나무 엑기스, 해초 엑기스, 티오글리콜산 등을 들 수 있다.
(9) 자외선 흡수제
또한, 처리한 두발에 대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시녹세이트, 옥시벤존, 파라메톡시케이파산에틸헥실에스테르, 파라아미노안식향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10) 산 알칼리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산 알칼리제로는, 예를 들면, 염산, 인산, 유산, 피틴산, 수산화나트륨, 암모니아수, 탄산 구아니진, 아미노메틸프로파놀, 트리에탄올아민, 몰포닌 등을 들 수 있다.
(11) pH 조정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pH 조정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호박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12) 이온 봉쇄제
또한, 증모 착색 염모료에서의 이온 봉쇄제로는, 에데트산염, 히드록시에탄포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13) 향료
또한 향료로는, 예를 들면, 리노랄, 쟈스민유, 장미수, 천연 향료, 조제 향료, 목초(木酢), 차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는, 용기 내에,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부착제, 용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 분사제를 포함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착색제가,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200 μm의 범위 내의 값인 탄입자이며,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탄입자의 첨가량을 1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용제의 첨가량을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며,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의 첨가량을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이다. 즉, 에어졸형이므로, 증모 착색 염모료가 미스트(mist) 상태로 분무되므로, 한 올 한 올의 두발에 대해 탄입자를 더욱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 제 2 실시 형태에서, 제 1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에어졸로서 사용되는 용기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에어졸 내압캔을 사용할 수 있고, 용기 내에 착색제 등의 내용물을 충전한 후, 밸브, 버튼 또는 캡 등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는,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소정량 포함하고 있으므로, 분사 불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모 착색 염모료를 완전하게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즉,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소정량 포함하도록 하지 않은 경우에는, 탄입자가 침강하여 케이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에어졸 캔을 흔들어 교반(攪拌)한 경우에도, 스프레이 노즐 내에서 발생한 케이킹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분쇄하기가 곤란해진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노즐을 에어졸 캔의 저면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할 필요가 있으나, 그 결과, 증모 착색 염모료를 완전하게 끝까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설령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했다고 해도, 탄입자의 케이킹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사용 시에 케이킹한 탄입자가 스프레이 노즐 내로 침입한 경우에는, 분사 불량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한편,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는, 상 술한 바와 같이,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소정량 포함하게 하고 있으므로, 탄입자의 침강에 의한 케이킹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노즐을 에어졸 캔의 저면까지 신장할 수 있어, 증모 착색 염모료를 완전하게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분사제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디메틸에테르 및 액화 석유 가스, 또는 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분사제로서 이들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증모 착색 염모료의 성분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용기 내를 가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폐해에 대해서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분사제의 첨가량을, 용기의 용량 100 볼륨%에 대해 30 ~ 85 볼륨% 범 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분사제의 첨가량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증모 착색 염모료를 보다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분사제의 첨가량이 30 볼륨% 미만의 값이 되면, 분사력이 과도하게 부족하여, 증모 착색 염모료를 균일하게 분무하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분사제의 첨가량이 85 볼륨%를 넘는 값이 되면, 분사력이 과도하게 커져, 오히려 증모 착색 염모료를 균일하게 부착시키기가 곤란해지거나, 사용 시에 두발이 잘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사제의 첨가량을 용기의 용량 100 볼륨%에 대해 40 ~ 80 볼륨%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 70 볼륨%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
1. 증모 착색 염모료의 제조
(1) 탄입자의 제조
(1)-1 조립(造粒)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분쇄의 목탄(34)(수종:소나무)을 분쇄기(31), 송풍기(32) 및 집진기(33)로 이루어진 탄입자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소정 입경의 탄입자로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쇄기(31)에 대해 길이 80 cm 정도의 미분쇄된 목탄(34)을 1 ~ 2 개씩 투입해, 입자 형상으로 될 때까지 분쇄했다. 이러 한 분쇄는 분쇄기(31)와 동시에 송풍기(32) 및 집진기(33)를 가동시켜 실시했다. 또한, 탄입자의 역류를 막기 위해, 집진기(33) 속에 수용되어 있는 미도시의 에어백의 60% 정도가 축적 상태에서 새로운 에어백으로 교환했다.
(1)-2 수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
또한,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전자 현미경 사진 및 화상 처리 장치를 조합하여 측정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입자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배율 3 만배의 사진을 얻은 후, CCD를 이용해 촬영한 후에, 화상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하였다. 그 후, 미타니 상사(주) 제품인 WIN ROOF 등의 범용 화상 처리 소프트를 이용해, 화상 중에 투영된 임의의 탄입자 100 개 이상의 수평균 입자 직경(장경(長徑))을 구하여,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2) 혼합
얻어진 탄입자 및 그 밖의 성분을, 아래의 조성이 되도록 혼합하여, 증모 착색 염모료의 원액을 얻었다. 또한 각각의 성분의 첨가 비율(중량부)은, 부착제를 100 중량부로 한 경우의 값이다.
(착색제)
·탄입자 100 중량부
(부착제)
·아크릴수지알카놀아민액 100 중량부
(고오 화학(주) 제품, 플러스 사이즈 L-53)
(윤활제)
·폴리디메틸실리콘 20 중량부
(틱소트로피성 부여제) 20 중량부
실리카미립자(일본 에어로실제(Aerosil製), #200) 5 중량부
(용제)
·99% 에틸알코올 260 중량부
(3) 충전
이어서, 얻어진 증모 착색 염모료의 원액과, 분사제로서의 디메틸에테르를 용적 380 ml인 에어졸 내압캔에 충전했다. 아울러, 이 때의 분사제의 첨가량은, 에어졸 내압캔의 용적 100 볼륨%에 대해 70 볼륨%이며, 에어졸 내압관 내의 압력은 0.43 MPa였다.
2. 평가
(1) 볼륨감의 평가
얻어진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이용하여, 볼륨감의 평가를 실시했다. 즉, 100 명의 피실험자의 두발에 대해, 얻어진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20 초간 골고루 분무했다. 이어서, 볼륨감을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100 명 중, 90 ~ 100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100 명 중, 70 ~ 89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100 명 중, 40 ~ 69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100 명 중, 0 ~ 39 명이 충분한 볼륨감의 향상을 실감했다.
(2) 염모 농도의 평가
또한, 얻어진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이용하여 염모 농도의 평가를 실시했다. 즉, 100 명의 피실험자의 두발에 대해, 얻어진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20 초간 골고루 분무했다. 이어서, 염모 농도를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100 명 중, 90 ~ 100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100 명 중, 70 ~ 89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100 명 중, 40 ~ 69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100 명 중, 0 ~ 39 명이 충분한 염모 농도라고 판단했다.
(3) 내수성의 평가
또한, 얻어진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이용하여 내수성의 평가를 실시했다. 즉, 10 명의 피실험자의 두발에 대해, 얻어진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20 초간 골고루 분무했다. 이어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분무한 후, 1 분간 자연 건조시킨 후의 피실험자의 두발에 대해 50 ml의 물을 분무기를 이용해 골고루 분무했다. 이어서, 착색제가 용출된 물이 피실험자의 이마 또는 목으로 유출 되는지의 여부를 관찰하여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10 명에게서, 각각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10 명에게서, 각각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미약하게 확인되었다.
△:10 명에게서, 각각 매우 가까운 거리라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확인되었다.
×:10 명에게서, 각각 착색제가 용출된 물의 유출이 명확히 확인되었다.
(4) 탄입자의 침강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증모 착색 염모료의 원액을 메스실린더에 수용한 상태에서 정치(靜置)하고, 탄입자의 침강량을 측정하여 탄입자의 침강성을 평가했다. 실시예 1의 결과를, 도 7 중의 특성 곡선 A로 나타낸다. 또한, 도 7 중의 특성 곡선 B로, 실리카 미립자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서의 탄입자의 침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이들 특성 곡선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리카 미립자를 소정량 첨가한 증모 착색 염모료로는, 50 시간 경과한 경우에도 거의 탄입자가 침강되어 있지 않고, 그 결과는, 100 시간부터 200 시간 경과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한편, 실리카 미립자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증모 착색 염모료로는, 24 시간에 절반 정도의 탄입자가 침강하고, 50 시간에 75% 정도의 탄입자가 침강했다. 따라서, 실리카 미립자를 소정량 첨가한 증모 착색 염모료를 스프레이 캔에 이용한 경우, 케이킹하지 않고 50 시간 경과한 경우에도 양호한 스프레이 특성(볼륨감의 평가 및 염모 농도의 평가)을 얻을 수 있고, 그 결과는 100 시간부터 200 시간 경과한 경우에도 마찬 가지였다. 반면, 실리카 미립자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증모 착색 염모료로는, 50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현저한 케이킹이 발생되어, 양호한 스프레이 특성(볼륨감의 평가 및 염모 농도의 평가)을 얻을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50 μm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볼륨감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150 μm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1 μm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의 수평균 입자 직경을 300 μm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 외의 착색제로서, 추가로 적색 202 호 2.5 중량부 및 황색 401 호 1 중량부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 외의 착색제로서, 추가로 적색 202 호 20 중량부 및 황색 401 호 1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제를 비닐피로리돈 / 초산비닐 공중합체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활제로서의 디메틸실리콘을 이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를 수평균 입자 직경 5 μm의 활성탄(수종:소나무)으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입자와 수평균 입자 직경 5 μm의 죽탄으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카본블랙을 30 중량부, 분말 담체로서의 수평균 입자 직경 5 μm의 탈크 10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카본블랙 10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16473936-pat00001
Figure 112009016473936-pat00002
[실시예 12 ~ 15]
실시예 12 ~ 15에서는,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로서의 실리카 미립자의 첨가량을, 1 중량부, 3 중량부, 8 중량부 및 10 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리카 미립자 볼륨감 염모 농도 내수성
실시예 1 5 중량부
실시예 12 1 중량부
실시예 13 3 중량부
실시예 14 8 중량부
실시예 15 10 중량부
[실시예 16 ~ 19]
실시예 16 ~ 19에서는,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로서의 실리카 미립자를, 알긴산소다로 바꾸고, 또한 그 첨가량을 1 중량부, 5 중량부, 8 중량부 및 10 중량부로 바꾼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알긴산소다 볼륨감 염모 농도 내수성
실시예 16 1 중량부
실시예 17 5 중량부
실시예 18 8 중량부
실시예 19 10 중량부
[실시예 20 ~ 23]
실시예 20 ~ 21에서는, 백색 무기 재료로서의 산호 분말을, 10 중량부 및 20 중량부, 각각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2 ~ 23에서는, 백색 무기 재료로서의 산호 분말을, 10 중량부 및 20 중량부, 각각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를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산호 분말 볼륨감 염모 농도 내수성
실시예 20 10 중량부
실시예 21 20 중량부
실시예 22 10 중량부
실시예 23 20 중량부
본 발명에 따른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이를 이용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는, 증모 착색 염모료에 있어서, 착색제로서 탄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내수성 또는 발색 성을 발휘하여, 두발을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소정의 염모 농도로 염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자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두발의 볼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탄입자가 갖는 우수한 흡수성 등에 의하여, 땀 등의 수분과 접촉한 경우에도 용출 및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를 소정량 포함하므로써, 탄입자의 침강에 의한 케이킹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이를 이용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에 의하면, 사용 환경 등에 따르지 않고, 두발의 상태 또는 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입자의 케이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증모 착색 염모료를 끝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증모 착색 염모료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뿐만 아니라, 부착제의 종류 또는 배합량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내수성 또는 발색성이 우수하므로, 백발 염색용 크림 또는 속눈썹 수정용 크림으로서도 매우 적합하다.
도 1(a) 및 도 1(b)는 염모 농도의 차이 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착색제의 첨가량과 볼륨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착색제의 첨가량과 염모 농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착색제의 첨가량과 내수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스프레이 노즐 하단에서의 탄입자의 케이킹 대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탄입자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의 탄입자의 침강성 평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스프레이 캔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두발(피처리 후)
11: 두발
12: 탄입자
12a~c: 분말 담체
13: 부착제
20: 에어졸형 증모 착색 염모료
21: 캡
22: 분사구
23: 용기
24: 스프레이 노즐
25: 교반 볼
26: 하단
27: 저면
30: 탄입자 제조 장치
31: 분쇄기
32: 송풍기
33: 집진기
34: 미분쇄 목탄

Claims (11)

  1. 용기 내에, 착색제로서의 탄입자, 부착제, 용제, 틱소트로피(Thixotropy)성 부여제로서의 실리카 미립자, 및 분사제를 포함한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로서,
    상기 착색제가, 수평균 입자 직경이 2 ~ 30 ㎛의 범위 내의 값인 탄입자이며,
    상기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탄입자의 첨가량을 50 ~ 15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상기 용제의 첨가량을 30 ~ 1,00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며,
    상기 실리카 미립자의 첨가량을 0.1 ~ 2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상기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백색 무기 재료를 제외함)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탄입자 이외의 착색제의 첨가량을, 상기 탄입자 100 중량부 당 0.5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고,
    백색 무기 재료로서, 산호 분말 및 시라스 벌룬(Sirasu-balloon), 또는 어느 일방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백색 무기 재료의 첨가량을, 상기 탄입자 100 중량부 당 10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입자로서 목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윤활제를 포함하며, 해당 윤활제의 첨가량을 부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1 ~ 30 중량부 범위 내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제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모너머와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모노머를 포함한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에서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아미노알코올을 에스테르 결합시켜 이루어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에틸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제가 디메틸에테르 및 액화 석유 가스,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KR1020090023294A 2009-03-18 2009-03-18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KR101579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294A KR101579459B1 (ko) 2009-03-18 2009-03-18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294A KR101579459B1 (ko) 2009-03-18 2009-03-18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04A KR20100104704A (ko) 2010-09-29
KR101579459B1 true KR101579459B1 (ko) 2015-12-22

Family

ID=4300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294A KR101579459B1 (ko) 2009-03-18 2009-03-18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390A1 (ja) * 2020-01-21 2021-07-29 株式会社ピノーレ 着色染毛料及びエアゾール型着色染毛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5575A1 (en) 1993-01-04 1994-07-21 Eastman Chemical Company Hairspray formulations
JP2003313114A (ja) 2002-04-19 2003-11-06 Fukuyo Shibata 整髪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7035A (en) * 1983-08-22 1986-01-28 Gaf Corporation Low molecular weight hair spray
KR20090022984A (ko) * 2007-08-28 2009-03-04 가부시키가이샤 피노레 증모 착색 염료 및 에어졸형 증모 착색 염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5575A1 (en) 1993-01-04 1994-07-21 Eastman Chemical Company Hairspray formulations
JP2003313114A (ja) 2002-04-19 2003-11-06 Fukuyo Shibata 整髪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704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5777B2 (ja) エアゾール用増毛着色染毛料
JP4380540B2 (ja) 化粧品組成物
EP2332519A1 (en) Powder cosmetic material
EP3369412B1 (en) Method for producing pressed make-up powder
EP3650006A1 (en) Cosmetic ink, inkjet printing ink containing same, ink cartridge, and cosmetic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4141483A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2262308B1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JP5123294B2 (ja) フレーク状ガラス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1579459B1 (ko) 증모 착색 염모료 및 에어졸용 증모 착색 염모료
JP2023525773A (ja) メーキャップ密着力強化及び化粧汚れ防止のための陽イオン性化粧料組成物
TW201922967A (zh) 噴墨用印墨組成物、噴墨匣及化妝裝置
JP2000169342A (ja) 固形粉末化粧料
EP3695828A1 (en) Cosmetic ink, inkjet ink containing this, ink cartridge and cosmetic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2004262887A (ja) 2層型化粧料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H0699281B2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2012516888A (ja) 一時毛髪塗布剤組成物
JPS6366111A (ja) 球状の有機複合粘土鉱物を配合した化粧料
CN108366937B (zh) 化妆品组合物
JP2818831B2 (ja) 睫用化粧料
US20180235850A1 (en) Cosmetic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8113514A (ja) 複合粒子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6663715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WO2019156165A1 (ja) 加飾用粉末分散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