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196B1 -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196B1
KR101578196B1 KR1020140006936A KR20140006936A KR101578196B1 KR 101578196 B1 KR101578196 B1 KR 101578196B1 KR 1020140006936 A KR1020140006936 A KR 1020140006936A KR 20140006936 A KR20140006936 A KR 20140006936A KR 101578196 B1 KR101578196 B1 KR 10157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ain plate
plate
space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839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디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디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4000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1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9Magnetic decorative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사무실의 내부를 다수의 사무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에 설치되며, 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메인플레이트의 측면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자석이 마련된 탈착블럭과, 탈착블럭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무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는 파티션에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에 물품을 거치하는 수단인 탈착블럭 및 거치유닛을 자력결합시키므로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거치유닛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품의 거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Supporting board for 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사무실 내에 마련된 파티션에 설치되어 사무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을 제공하는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일반 사무실이나 각종 매장등에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면서도 내부공간을 다수의 사무공간으로 분할하여 개인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티션은 사각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는 패널과, 패널의 양측에 부착되는 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코너연결을 위한 코너연결기둥이 마련된다. 프레임의 하부에는 전신이 인입되는 공간과,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티션은 다수개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거나 직각 또는 십자형으로 상호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로 내부공간을 분할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파티션의 측면에 브라켓을 부착하여 문서 및 물품을 거치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5313호에는 물품을 걸 수 있는 파티션용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파티션용 브라켓은 파티션과 블록을 결속하는 ㄷ자 모양의 클램프, 클램프와 거치봉을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체결구멍과 파티션 벽면에 블록을 고정하는 수단인 블록고정나사로 구성된 블록, 두 블록의 거치봉체결구멍에 끼워 물품걸이, 카렌다 등을 매달 수 있는 거치봉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파티션용 브라켓은 블록들에 의해 지지된 거치봉으로 물품의 거치위치가 제한되므로 물품의 거치 범위가 비교적 협소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파티션에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에 물품을 거치하는 거치수단이 자력결합되는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는 사무실의 내부를 다수의 사무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에 설치되며, 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측면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자석이 마련된 탈착블럭과, 상기 탈착블럭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무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거치유닛은 결합부에 의해 상기 탈착블럭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부가 마련된 거치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공간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사무용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선반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공간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마련된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공간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거치프레임에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안착시 상기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마련된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통이 상기 공간부에 삽입시 상기 거치프레임에 간섭되어 상기 수납통을 상기 거치프레임에 거치시키는 거치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납통의 상단에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상기 거치프레임의 걸릴 수 있도록 걸고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납통의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납통의 상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탈착블럭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에 다수의 결합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탈착블럭의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된 복수의 인입홈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는 파티션에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에 물품을 거치하는 수단인 탈착블럭 및 거치유닛을 자력결합시키므로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거치유닛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품의 거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거치보드가 설치된 파티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100)는 사무실의 내부를 다수의 사무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10)에 설치되는 메인플레이트(11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10)에 탈착되는 탈착블럭(120)과, 상기 탈착블럭(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무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130)을 구비한다.
메인플레이트(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파티션(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메인플레이트(11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단에는 파티션(10)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륵 클램핑부재(111)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부재(111)는 파티션(10)의 상단이 삽입되는 설치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메인플레이트(110)의 상단부에, 메인플레이트(110)의 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판(112)과, 상기 제1연장판(112)의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제2연장판(113)을 구비한다.
이때, 메인플레이트(110)는 탈착블럭(120)이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블럭(120)은 거치유닛(130)이 결합되는 본체(121)와, 본체(121)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메인플레이트(110)에 자력결합되는 고정자석(122)을 구비한다.
본체(1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면에 상기 고정자석(122)이 삽입되는 설치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설치구는 상기 본체(121)의 일측면으로부터 본체(121)의 내부로 소정 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121)는 상면 타측에 후술되는 거치유닛(130)의 인입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석(122)은 상기 본체(121)의 설치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일측면이 본체(121)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자석(122)은 자력을 발생시켜 본체(121)를 메인플레이트(110)에 결합시킨다.
거치유닛(130)은 결합부(134)에 의해 본체(1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거치프레임(131)과, 상기 거치프레임(131)에 설치되는 선반부재(132)를 구비한다.
거치프레임(131)은 상하방향을 관통된 사각의 공간부(133)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봉을 가상의 사각궤도를 따라 절곡하여 제작한다. 거치프레임(131)은 선반부재(13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34)는 상기 본체(121)의 상면 타측에 하방으로 인입된 복수의 인입홈(135)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135)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131)의 양단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삽입돌기(136)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돌기(136)는 거치프레임(131)과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부재(132)는 상기 공간부(133)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131)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플레이트(137)와, 상기 안착플레이트(137)의 양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거치프레임(131)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마련된 복수의 결합부재(138)를 구비한다.
안착플레이트(137)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거치프레임(131)에 안착시 상기 공간부(133)를 덮을 수 있도록 거치프레임(131)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안착플레이트(137)는 상부에 사무용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무용품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138)는 안착플레이트(137)의 양단부에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들은 메인플레이트(110)의 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또한, 삽입홈들은 거치프레임(131)의 양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부 및 상호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거치유닛(130)은 거치프레임(131)에 선반부재(132)를 설치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거치유닛(13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프레임(131)에 고리를 갖는 물품이나 컵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프레임(131)으로부터 선반부재(132)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거치프레임(13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환형으로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100)의 설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티션(10)의 상단에 클램핑부재(111)를 결합하여 메인플레이트(110)를 파티션(10)에 설치한다. 사용자가 물품을 거치하기 원하는 위치의 메인플레이트(110)에 탈착블럭(120)을 자력결합시키고, 본체(121)의 상면에 마련된 인입홈(135)에 삽입돌기(136)를 삽입시켜 거치프레임(131)을 탈착블럭(120)에 결합시킨다. 탈착블럭(120)에 결합된 거치프레임(131)에 선반부재(132)를 결합하고, 선반부재(132)의 상면에 사무용품을 안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100)는 파티션(10)에 설치된 메인플레이트(110)에 물품을 거치하는 수단인 탈착블럭(120) 및 거치유닛(130)을 자력결합시키므로 메인플레이트(110)에 대해 거치유닛(1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품의 거치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탈착블럭(120)이 메인플레이트(110)에 자력결합되는 사무용품의 거치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거치유닛(23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거치유닛(230)은 선반부재(132) 대신에 거치프레임(131)에 설치되는 필기구 수납부재(23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131)은 원형의 공간부(133)가 마련되게 환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기구 수납부재(231)는 상기 공간부(133)에 삽입되며,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234)이 마련된 수납통(232)과, 상기 수납통(232)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통(232)이 상기 공간부(133)에 삽입시 상기 거치프레임(131)에 간섭되어 상기 수납통(232)을 상기 거치프레임(131)에 거치시키는 복수의 거치부재(233)를 구비한다.
수납통(232)은 상기 공간부(133)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필기구를 상기 삽입공간(234)으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통(232)은 성형성이 우수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재(233)들은 삽입공간(234)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수납통(232) 상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재(233)들은 수납통(232)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단부가 거치프레임(131)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통(232)은 거치프레임(131)의 공간부(133)에 삽입시 거치부재(233)들에 의해 거치프레임(131)에 거치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300)는 사무실의 내부를 다수의 사무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10)에 설치되는 메인플레이트(31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310)에 탈착되는 복수의 탈착블럭(320)과, 상기 탈착블럭(3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무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330)을 구비한다.
메인플레이트(3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파티션(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메인플레이트(31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단에는 파티션(10)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륵 클램핑부재(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클램핑부재(111)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의 클램핑부재(11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메인플레이트(310)는 탈착블럭(320)이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플레이트는 탈착블럭(32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311)는 메인플레이트의 측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탈착블럭(320)은 거치유닛(330)이 결합되는 본체(321)와, 본체(321)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메인플레이트(310)에 자력결합되는 고정자석(미도시)을 구비한다.
본체(3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후술되는 거치유닛(330)의 인입홈(33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석은 메인플레이트(310)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321)의 측면에 고정되며, 측면이 본체(321)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자석(122)은 자력을 발생시켜 본체(321)를 메인플레이트(310)에 결합시킨다.
거치유닛(330)은 결합부(332)에 의해 본체(3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거치프레임(331)과, 상기 거치프레임(331)에 설치되는 선반부재(332)를 구비한다.
거치프레임(331)은 상하방향을 관통된 사각의 공간부(133)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을 가상의 사각궤도를 따라 절곡하여 제작한다. 거치프레임(331)은 선반부재(33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332)는 상기 본체(321)의 상면 타측에 하방으로 인입된 인입홈(333)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3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331)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삽입돌기(334)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돌기(334)는 거치프레임(331)과 동일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돌기(334)들은 거치프레임(132)의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부재(332)는 상기 공간부(133)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331)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플레이트(335)와, 상기 거치프레임(331)에 상기 안착플레이트(335)가 안착시 상기 거치프레임(331)으로부터 상기 안착플레이트(33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33)에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플레이트(335)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부재를 구비한다.
안착플레이트(335)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거치프레임(331)에 안착시 상기 공간부(133)를 덮을 수 있도록 거치프레임(331)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안착플레이트(335)는 상부에 사무용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무용품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재는 공간부(133)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공간부(133)의 면적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 수납부재(3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필기구 수납부재(350)는 상기 공간부(133)에 삽입되며, 내부에 필기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간(234)이 마련된 수납통(232)과, 상기 수납통(232)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통(232)이 상기 공간부(133)에 삽입시 상기 거치프레임(331)에 간섭되어 상기 수납통(232)을 상기 거치프레임(331)에 거치시키는 거치부재(35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거치프레임(331)은 원형의 공간부(133)가 마련되게 환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납통(232)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의 수납통(232)과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수납통(232)의 상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납통(232)의 상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다. 거치부재의 외경이 확장된 부분에 의해 수납통(232)이 공간부(133)에 삽입시 거치프레임(331)에 간섭되어 수납통(232)을 거치프레임(331)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110: 메인플레이트
111: 클램핑부재
112: 제1연장판
113: 제2연장판
120: 탈착블럭
121: 본체
122: 고정자석
130: 거치유닛
131: 거치프레임
132: 선반부재
133: 공간부
134: 결합부
135: 인입홈
136: 삽입돌기

Claims (10)

  1. 사무실의 내부를 다수의 사무공간으로 분할하는 파티션에 설치되며, 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측면에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자석이 마련된 탈착블럭과;
    상기 탈착블럭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무용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결합부에 의해 상기 탈착블럭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부가 마련된 거치프레임과,
    상기 공간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사무용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된 선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공간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상기 안착면이 마련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거치프레임에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안착시 상기 거치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안착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고,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는 상기 탈착블럭의 일부가 삽입되어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에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다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탈착블럭의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된 복수의 인입홈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프레임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KR1020140006936A 2014-01-20 2014-01-20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KR10157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936A KR101578196B1 (ko) 2014-01-20 2014-01-20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936A KR101578196B1 (ko) 2014-01-20 2014-01-20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39A KR20150086839A (ko) 2015-07-29
KR101578196B1 true KR101578196B1 (ko) 2015-12-23

Family

ID=5387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936A KR101578196B1 (ko) 2014-01-20 2014-01-20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629B1 (ko) 2015-09-24 2019-01-23 김도원 파티션용 화이트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958A (ja) * 2000-11-08 2002-05-21 Kazuhiro Ohinata ボトル類の吊下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114Y2 (ja) * 1989-10-05 1995-05-24 コクヨ株式会社 棚装置
KR100966351B1 (ko) * 2008-05-23 2010-06-28 주식회사 까사미아우피아 칸막이용 판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958A (ja) * 2000-11-08 2002-05-21 Kazuhiro Ohinata ボトル類の吊下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839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120B2 (en) Clips for coupling devices to support members extending between structural members
US9861198B2 (en) Bracket to support a shelf
US20190374048A1 (en) Product display belt and assembly
KR101578196B1 (ko) 파티션용 물품 거치보드
JP5802985B2 (ja) 仕切りシステムを有する引出し
CN108050763B (zh) 冰箱抽屉分隔件、冰箱抽屉及具有其的冰箱
GB2456412A (en) Iron Holder with Movable Retaining Means
KR101631490B1 (ko) 악세사리용 거치장치
US9247808B1 (en) Hingable support shelf
US9361812B2 (en) Modular storage component
KR101320361B1 (ko) 모듈식 수납장치
KR20190080096A (ko)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KR101333922B1 (ko) 조립식 다용도 수납꽂이
JP3117475U (ja) 書庫等の整理棚における仕切り板の固定装置
CN211075732U (zh) 车门内板总成和车辆
CN217031790U (zh) 应用于冰箱的搁物架组件及冰箱
JP2017209146A (ja) マグネット付きフック
KR102284764B1 (ko) 멀티빔구조를 통한 부속의 결속이 용이한 칸막이
CN114383373A (zh) 应用于冰箱的搁物架组件及冰箱
CN220694983U (zh) 一种置物板组件
KR20090102486A (ko) 조립식 책꽂이
KR20130060607A (ko) 고정장치
KR200482317Y1 (ko) 복합 선반
KR20160004426U (ko) 조립식 벽 선반
JP2018000450A (ja) 棚板の支持構造及び棚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