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54B1 -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54B1
KR101577954B1 KR1020150126811A KR20150126811A KR101577954B1 KR 101577954 B1 KR101577954 B1 KR 101577954B1 KR 1020150126811 A KR1020150126811 A KR 1020150126811A KR 20150126811 A KR20150126811 A KR 20150126811A KR 101577954 B1 KR101577954 B1 KR 101577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air
air clea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윤연진
Original Assignee
(주)신영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에어텍 filed Critical (주)신영에어텍
Priority to KR102015012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는,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방전전극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전극을 포함하며,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이 덕트 상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정화유닛 및 상기 공기정화유닛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이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 for Duct Having Support Unit}
본 발명은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공기정화유닛이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집진 및 정화하여 배출시키는 공기정화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공기 정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대전된 전극에 오염물질을 집진시키는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방식의 공기정화장치는 기존의 UV 또는 오존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비해 그 성능 및 안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건물 등에서는, 덕트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방식의 공조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플라즈마 방식의 공기정화장치를 덕트에 적용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플라즈마 방식의 공기정화장치의 성능을 최대화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성능 및 안전성을 최대화하여 공조시스템의 덕트에 적용시키기 위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는,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방전전극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전극을 포함하며,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이 덕트 상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정화유닛 및 상기 공기정화유닛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이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방전전극에 접촉되어 접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덕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덕트 내부에 유동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의 후방에 구비된 가이드부는 타측 끝단이 내측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보조지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유닛의 전면은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물 등 공조시스템의 덕트에 최적화시킬 수 있어 공기정화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덕트 내에 노출된 공기정화유닛을 지지유닛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지지유닛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다양한 부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정화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지지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가 덕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에 있어서, 공기정화유닛(11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10)에 있어서, 지지유닛(120)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는 공기정화유닛(110)과, 지지유닛(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공기정화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인가유닛(130)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정화유닛(110) 및 상기 지지유닛(12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건물 등에 구비된 공조시스템을 구성하는 덕트에 하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상태로, 덕트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은,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112)과, 상기 방전전극(112)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방전전극(112)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전극(114)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전극(112)은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집진전극(114)은 상기 방전전극(112)의 둘레에 원통형으로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방전전극(112)에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 상기 방전전극(112)과 상기 집진전극(114) 사이에 플라즈마가 발생하게 되며, 집진전극(114)이 대전되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집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전극(112)과 상기 집진전극(114) 사이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관(116)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방전전극(112)과, 유전체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전극(114)에는 복수의 통과홀(114a)이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집진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공기정화유닛(110)은, 하나의 전압인가유닛(13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은 복수 개가 횡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되며, 이에 따라 집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며, 이는 덕트의 내부에 충분한 노출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의 공기정화유닛(110)은 횡 방향의 외력에 의해 취약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지지유닛(12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유닛(120)은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이 관통되는 관통홀(122a)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유닛(120)은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소정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이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120)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2)에는 복수의 공기정화유닛(11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1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20)은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상기 방전전극에 접촉되어 접지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유닛(120)에는 상기 지지유닛(120)과 연결된 접지라인이 더 구비되어 접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가 덕트(10)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는 전압인가유닛(130)이 덕트(10)의 외부에 노출되고, 공기정화유닛(110)이 덕트(10)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는 덕트(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할 경우 공기정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은 덕트(10) 내의 기류, 진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횡 방향의 외력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은 지지유닛(120)을 통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을 지지하여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나 이상의 상기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물론, 상기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 발생량 등을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더불어 이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이온화 강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 있어, 전방이라 함은 상기 덕트(10)의 상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하며, 후방이라 함은 상기 덕트(10)의 하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하 설명에 있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상단이라 함은, 상기 덕트용 공기정화유닛(110)의 설치 방향과 관계 없이 전압인가유닛(130)의 반대 측에 위치된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끝단을 말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공기정화유닛(110), 지지유닛(120) 및 전압인가유닛(130) 등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유닛(120)이 하나의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120)은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복수 개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횡 방향의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길이가 기준보다 길어질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20)의 개수 및 그 설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공기정화유닛(110) 및 전압인가유닛(130)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유닛(120)이 지지부(122) 외에 고정부(123)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23)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122)에 연결되고, 타측이 덕트(1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123)는 상기 지지부(122)를 덕트에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22)가 상기 공기정화유닛(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여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3)는 상기 덕트(10)에 접촉되므로, 별도의 접지라인 없이도 접지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덕트(20)의 동일한 위치에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설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직경이 넓은 덕트(20)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유닛(120)이 지지부(122) 외에, 상기 지지부(122)의 전방에 구비된 가이드부(124)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 다르다.
상기 가이드부(124)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12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덕트(20) 내부에 유동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는 한 쌍이 동일한 위치에 대칭되도록 설치되므로, 각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 사이에 공백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24)는 공기정화 효율을 보다 높이기 위해 상기 공백영역으로 진입하는 기류를 가이드하여 공기정화유닛(110)의 본체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4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지지유닛(120)의 가이드부(124a, 124b)는 상기 지지부(122)의 전방 및 후방 모두에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유닛(120)은 상기 지지부(122)의 전방 측으로 연결된 제1가이드부(124a) 및 후방 측으로 연결된 제2가이드부(124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기류를 보다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음은 물론, 방향에 관계 없이 지지유닛(120)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5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지지유닛(120)의 제2가이드부(125)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125)는 타측 끝단이 내측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덕트(20) 내의 공기가 한 쌍의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각 지지유닛(12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진입하였을 때, 이를 상기 제2가이드부(125)의 형상을 따라 진입 방향의 역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맴돌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미처 정화되지 못한 공기가 다시 공기정화유닛(110)에 의해 정화될 수 있는 추가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덕트용 공기정화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공기정화유닛(110), 지지유닛(120) 및 전압인가유닛(130) 등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덕트(3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홈(142)이 형성된 보조지지유닛(14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이 다르다.
이와 같은 설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직경이 작은 덕트(30)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보조지지유닛(140)에 의해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횡 방향의 외력에 대한 내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유닛(140)의 전면(141)은, 상기 공기정화유닛(110)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조지지유닛(140) 측으로 유동되는 기류가 상기 보조지지유닛(140)의 전면(141)의 경사를 따라 상기 공기정화유닛(110) 측으로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20, 30: 덕트 100: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110: 공기정화유닛 112: 방전전극
114: 집진전극 114a: 통과홀
116: 수용관 120: 지지유닛
122: 지지부 122a: 관통홀
123: 고정부 124, 125: 가이드부
130: 전압인가유닛 140: 보조지지유닛
142: 고정홈

Claims (8)

  1. 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방전전극과의 사이에 발생되는 플라즈마에 의해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전극을 포함하며,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이 덕트 상에 고정된 상태로 덕트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정화유닛; 및
    상기 공기정화유닛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이 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방전전극에 접촉되어 접지를 수행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덕트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덕트 내부에 유동되는 기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유닛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의 후방에 구비된 가이드부는 타측 끝단이 내측 방향으로 만곡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보조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유닛의 전면은 상기 공기정화유닛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KR1020150126811A 2015-09-08 2015-09-08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KR101577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11A KR101577954B1 (ko) 2015-09-08 2015-09-08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811A KR101577954B1 (ko) 2015-09-08 2015-09-08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54B1 true KR101577954B1 (ko) 2015-12-16

Family

ID=5508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11A KR101577954B1 (ko) 2015-09-08 2015-09-08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303B1 (ko) * 2019-02-14 2019-09-03 대한민국 플라즈마를 이용한 sac형 함정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200107345A (ko) * 2019-03-07 2020-09-16 신광선 플라즈마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570782B1 (ko) * 2022-11-16 2023-08-28 (주)신영에어텍 플라즈마를 이용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0300A (ja) * 1992-12-25 1994-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ト型電気集じん装置
JPH07265736A (ja) * 1994-03-31 1995-10-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
JPH07265738A (ja) * 1994-03-31 1995-10-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
JPH07265734A (ja) * 1994-03-31 1995-10-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0300A (ja) * 1992-12-25 1994-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クト型電気集じん装置
JPH07265736A (ja) * 1994-03-31 1995-10-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
JPH07265738A (ja) * 1994-03-31 1995-10-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
JPH07265734A (ja) * 1994-03-31 1995-10-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303B1 (ko) * 2019-02-14 2019-09-03 대한민국 플라즈마를 이용한 sac형 함정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200107345A (ko) * 2019-03-07 2020-09-16 신광선 플라즈마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249732B1 (ko) * 2019-03-07 2021-05-10 (주)신영에어텍 플라즈마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2570782B1 (ko) * 2022-11-16 2023-08-28 (주)신영에어텍 플라즈마를 이용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WO2024106590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신영에어텍 플라즈마를 이용한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71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577954B1 (ko)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용 공기정화장치
KR100724556B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US7594954B2 (en) Method of air purification from dust and electrostatic filter
KR101287915B1 (ko)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KR100708547B1 (ko) 전기 집진기
PL233491B1 (pl) Elektrostatyczny filtr powietrza
CN105737267B (zh) 电离式空气净化装置
WO2014083933A1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JP2002273133A (ja) 空気清浄機
CN111940139A (zh) 自生风空气净化器
KR20110133079A (ko) 멀티힐릭스핀 이오나이저를 갖는 허니컴 집진부를 포함한 전기집진장치
JP2007311285A (ja) 空気清浄装置
KR20150025009A (ko) 워터가이드를 이용한 워터필름 습식 공기정화장치 및 워터가이드에 구비되는 와이어 배치방법
KR102282045B1 (ko) 함진농도에 따라 공급전압을 조절하는 에너지절감형 양방향전기집진장치
KR20030075696A (ko) 공기 청정기의 전기식 집진 필터
US11707712B2 (en) Device to remove polar molecules from an air stream
KR20220099441A (ko)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
CN107737671B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20090084430A (ko) 음이온 및 양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공기정화장치
JPH0226141B2 (ko)
KR100234072B1 (ko) 전기집진용 이온화장치
JPH10128153A (ja) 電子式空気清浄器
KR20150109193A (ko) 이온발생기용 방전전극 및 이를 구비한 이온발생기
KR20110027917A (ko) 단일 구조의 차량용 이온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