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822B1 -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822B1
KR101576822B1 KR1020090036013A KR20090036013A KR101576822B1 KR 101576822 B1 KR101576822 B1 KR 101576822B1 KR 1020090036013 A KR1020090036013 A KR 1020090036013A KR 20090036013 A KR20090036013 A KR 20090036013A KR 101576822 B1 KR101576822 B1 KR 10157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uid
position sensing
water treatment
sen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325A (ko
Inventor
안규섭
김정연
노진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8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콕크밸브는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제1커버(200); 상기 제1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300);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며 복수개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이 형성된 유체 유동부(400); 및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위치 감지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하나가 열려서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 중 하나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체 각각을 사용자에게 별도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복수개의 유체 중 현재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유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콕크밸브, 수처리장치

Description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COCK VALVE AND 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콕크밸브는 정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수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정수 등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는 하나의 콕크밸브만이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정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가열기 또는 냉각기나 탄산수 공급기 등이 구비되어 정수뿐만 아니라 온정수 또는 냉정수나 탄산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정수기 내에 이온수기가 구비되어 이온수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는 이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유체, 예컨대 정수 또는 온정수나 냉정수 또는 탄산수나 이온수 등의 개수만큼의 콕크밸브가 구비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개의 콕크밸브가 별도로 정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구비되면 수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콕크밸브를 정수기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설치하 기 위해서는 유로가 복잡해진다는 등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콕크밸브로 복수개의 유체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하나의 유출로를 통하여 복수개의 유체가 유출되어 유출로에 묻어 있는 복수개의 유체에 의해서 유출로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있다. 또한, 이온수의 경우에는 유출로를 부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도 각각의 유체가 별도로 공급되지 못하고 유출로에 남아 있는 다른 유체와 혼합되어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개의 유체 각각을 사용자에게 별도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복수개의 유체 중 현재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유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콕크밸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유체 각각을 사용자에게 별도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콕크밸브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회전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유체 중 하나가 유출되게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콕크밸브는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제1커버; 제1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사이에 위치하고,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며 복수개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과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이 형성된 유체 유동부; 및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커버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위치 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커버의 회전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개폐밸브 중 하나가 열려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 중 하나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는 제1커버와 제2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재; 제1커버에 구비되는 제1위치감지부재; 및 제1위치감지부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회로부재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2위치감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감지부재는 영구자석이고, 제2위치감지부재는 영구자석의 자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에는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커버에는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에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는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에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며, 발광부재는 제2커버의 회전위치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제1커버; 제1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과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이 형성된 유체 유동부;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커버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위치 감지부; 및 회전위치 감지부와 연결되어 제2커버의 회전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개폐밸브 중 하나를 열어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 중 하나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는 제1커버와 제2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재; 제1커버에 구비되는 제1위치감지부재; 및 제1위치감지부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회로부재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2위치감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위치감지부재는 영구자석이고, 제2위치감지부재는 영구자석의 자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유체 각각을 사용자에게 별도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유체 중 현재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유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유체 각각을 사용자에게 별도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콕크밸브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회전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유체 중 하나가 유출되게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는 제1커버(200)와 제2커버(300)와 유체 유동부(400) 및 회전위치 감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커버(20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커버(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 통과구멍(210)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 통과구멍(210)을 통해 후술할 유체 유동부(400)의 유체 유입관(410)이 통과될 수 있다. 제1커버(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 구멍(220)도 형성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 구멍(220)에는 후술할 제2커버(300)의 회전가이드 돌기(320)가 삽입되어 제2커버(30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제1커버(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감지부재 삽입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위치감지부재 삽입부(230)에는 후술할 회전위치 감지부(500)의 제1위치감지부재(520)가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 중 하나에는 후술할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가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커버(200)에는 전선통과구멍(250)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통과구멍(250)을 통해서 일측은 후술할 회전위치 감지부(500)의 회로부재(5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정수기(1)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어부(600)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턱(2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커버(200)의 키움턱(260)은 후술할 제2커버(300)의 끼움턱(360)에 대응되어서, 제2커버(300)가 제1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커버(300)는 제1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커버(300)에는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 보호관(31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출관 보호관(310) 각각에는 후술할 유체 유동부(400)의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2커버(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 돌기(32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 돌기(3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의 회전가이드 구멍(220)에 삽입되어 제2커버(30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의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 중 하나에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30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재(340)는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를 사용자가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커 버(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커버(3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유체 유동부(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와 제2커버(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체 유동부(4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1)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며 복수개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유체 유동부(4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은 전술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처리장치에 포함된 유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유체 유동부(400)의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유체 유동부(400)에는 도1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4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430)에 의해서 유체 유동부(400)가 제2커버(3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위치 감지부(5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재(510)와 제1위치감지부재(520) 및 제2위치감지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재(5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와 제2커버(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재(510)에는 전기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부재(51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에 의해서 정수기(1) 등과 같은 수처리장치에 구비될 제어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위치감지부재(520)는 도1 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의 제1위치감지부재 삽입부(230)에 삽입되어 제1커버(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위치감지부재(520)는 자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후술할 바와 같이 제2위치감지부재(530)가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도1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재(51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위치감지부재(520)가 전술된 바와 같이 자장을 형성하는 영구자석이라면,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자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예컨대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자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이외에도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된 제1커버(200)와 제2커버(300)와 유체 유동부(400)와 회전위치 감지부(5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즉 제1커버(200)와 유체 유동부(400)와 회전위치 감지부(500) 및 제2커버(300)의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100)가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00)와 제2커버(300)와 유체 유동부(400) 및 회전위치 감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100)와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콕크밸브(100)의 회전위치 감지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일측은 회전위치 감지부(5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어부(600)에 연결되는 전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위치 감지부(500)에 의해서 감지되는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하나를 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 중 하나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이하, 도7과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예로 정수기(1)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인 정수기(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10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콕크밸브(100)의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V)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개폐밸브(V)와 콕크밸브(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처리장치인 정수기(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된 물은 필터(2)를 거치면서 여과되어 정수가 된다.
정수기(1)에는 또한 냉각탱크(4)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 있다. 냉각탱크(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흐르는 냉각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증 발기관(4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정수가 흐르는 정수관(4b)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냉각탱크(4)에는 정수가 직접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증발기관(4a)에서 흐르는 냉매는 정수관(4b)을 흐르는 정수 또는 냉각탱크(4)에 유입되어 저장된 정수와 열교환하여 정수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정수관(4b)을 흐르는 정수는 냉각탱크(4)에 저장된 정수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정수관(4b)을 흐르는 정수는 냉각탱크(4)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냉정수가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4c'는 모터이고 '4d'는 플로트(float)이며 '4e'는 드레인관이다.
냉각탱크(4)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탱크(5)도 구비되어 있다. 탄산수 탱크(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가스실린더(3)와 연결되어 이산화탄소가 공급된다. 그리고, 탄산수 탱크(5)는 정수관(4b)과도 연결되어 냉정수도 공급된다. 탄산수 탱크(5)에 공급된 이산화탄소와 냉정수에 의해서 탄산수 탱크(5)에서 탄산수가 만들어진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5a'는 벤트부재'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처리장치인 정수기(1)에서 만들어진 정수와 냉정수 및 탄산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V)가 각각 구비되며 콕크밸브(100)에 연결된 관을 유동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탄산수가 유동하는 관은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동부(400)의 중앙에 형성된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배출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정수가 유동하는 관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보아서 유체 유동부(400)의 우측에 형성된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배출된다고 가정한 다. 그리고, 냉정수가 유동하는 관은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보아서 유체 유동부(400)의 좌측에 형성된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배출된다고 가정한다. 한편, 탄산수가 배출되는 경우에 발광부재(340)는 빨간색을 발광하고 냉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 발광부재(340)는 파란색을 발광하며 정수가 배출되는 경우에 발광부재(340)는 녹색을 발광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손잡이(350)를 이용하여 제2커버(300)를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는 도3에 도시된 도면에서 보아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 중 중앙에 형성된 회전위치 검출홈(240)에 멈추게 된다. 그리고,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위치감지부재(530) 중 중앙에 위치한 제2위치감지부재(530)가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한다.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한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도7에 도시된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제어부(600)에서는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탄산수가 유동하는 관에 구비된 개폐밸브(V)를 연다. 이에 따라,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가 도면에서 보아 유체 유동부(400)의 중앙에 형성된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발광부재(340)는 빨간색을 발광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탄산수가 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350)를 이용하여 제2커버(300)를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는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 홈(240) 중 도3에 도시된 도면에서 보아 우측에 형성된 회전위치 검출홈(240)에 멈추게 된다. 그리고,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위치감지부재(530) 중 최상단에 위치한 제2위치감지부재(530)가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한다.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한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도7에 도시된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600)에서는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정수가 유동하는 관에 구비된 개폐밸브(V)를 연다. 이에 따라,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가 도면에서 보아 유체 유동부(400)의 우측에 형성된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발광부재(340)는 녹색을 발광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정수가 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350)를 이용하여 제2커버(300)를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는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 중 도3에 도시된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 형성된 회전위치 검출홈(240)에 멈추게 된다. 그리고,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위치감지부재(53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제2위치감지부재(530)가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한다.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한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도7에 도시된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600)에서는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냉정수가 유동하는 관에 구비된 개폐밸브(V)를 연다. 이에 따라,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정수가 도면에서 보아 유체 유동부(400)의 좌측에 형성된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발광부재(340)는 파란색을 발광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냉정수가 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2위치감지부재(530)가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할 수 없도록, 즉 제2위치감지부재(530)의 사이에 제1위치감지부재(5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손잡이(350)를 사용하여 제2커버(300)를 회전시키면, 제2위치감지부재(530)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제어부(600)에 보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어떠한 개폐밸브(V)도 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정수나 냉정수 또는 탄산수 중 어떠한 것도 유체 유동부(400)의 유체 유입관(410)과 유체 유출관(420) 및 유출관 보호관(310)을 통해서 유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복수개의 유체 각각을 사용자에게 별도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유체 중 현재 유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유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가 조립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제2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유체 유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회전위치 감지부에 포함되는 회로부재와 제2위치감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를 사용하는 정수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 내지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콕크밸브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기 2 : 필터
3 : 이산화탄소 가스실린더 4 : 냉각탱크
4a : 증발기관 4b : 정수관
4c : 모터 4d : 플로트
4e : 드레인관 5 : 탄산수 탱크
5a : 벤트부재 100 : 콕크밸브
200 : 제1커버 210 : 유입관 통과구멍
220 : 회전가이드 구멍 230 : 제1위치감지부재 삽입부
240 : 회전위치 검출홈 250 : 전선통과구멍
260,360 : 끼움턱 300 : 제2커버
310 : 유출관 보호관 320 : 회전가이드 돌기
330 :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 340 : 발광부재
350 : 손잡이 400 : 유체 유동부
410 : 유체 유입관 420 : 유체 유출관
430 : 결합돌기 500 : 회전위치 감지부
510 : 회로부재 520 : 제1위치감지부재
530 : 제2위치감지부재 V : 개폐밸브
600 : 제어부

Claims (8)

  1.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제1커버(200);
    상기 제1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300);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수처리장치에 포함되며 복수개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이 형성된 유체 유동부(400); 및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위치 감지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하나가 열려서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 중 하나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콕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500)는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재(510);
    상기 제1커버(200)에 구비되는 제1위치감지부재(520); 및
    상기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부재(510)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2위치감지부재(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크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재(520)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크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200)에는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커버(300)에는 상기 복수개의 회전위치 검출홈(240)에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는 회전위치 검출용 스토퍼(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크밸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300)에는 발광부재(340)가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재(340)는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크밸브.
  6. 제1커버(200);
    상기 제1커버(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300);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의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원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이 형성된 유체 유동부(400);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위치 감지부(500); 및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제2커버(30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입관(410)과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개폐밸브(V) 중 하나를 열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체 유출관(420) 중 하나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도록 하는 제어부(6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감지부(500)는
    상기 제1커버(200)와 상기 제2커버(300)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회로가 구비된 회로부재(510);
    상기 제1커버(200)에 구비되는 제1위치감지부재(520); 및
    상기 제1위치감지부재(520)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로부재(510)에 복수개 구비되는 제2위치감지부재(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부재(520)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위치감지부재(530)는 상기 영구자석의 자장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090036013A 2009-04-24 2009-04-24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576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13A KR101576822B1 (ko) 2009-04-24 2009-04-24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13A KR101576822B1 (ko) 2009-04-24 2009-04-24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25A KR20100117325A (ko) 2010-11-03
KR101576822B1 true KR101576822B1 (ko) 2015-12-14

Family

ID=43403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13A KR101576822B1 (ko) 2009-04-24 2009-04-24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8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82Y1 (ko) * 2003-09-08 2003-12-06 주식회사 이온 이온수기 유로전환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482Y1 (ko) * 2003-09-08 2003-12-06 주식회사 이온 이온수기 유로전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325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793B2 (en) Faucet device selectively operatable manually or automatically
CN104321491A (zh) 龙头以及具有煮沸水装置和该龙头的组件
KR101402470B1 (ko)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KR20170125559A (ko) 정수기
KR20170125560A (ko) 정수기
KR20110109088A (ko) 물 저장 및 배출장치
WO2004092552A3 (fr) Module de refroidissement a deriva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576822B1 (ko) 콕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1560166B1 (ko) 정수기용 콕크밸브
US20140290775A1 (en) Hot water dispenser faucet with thermal barrier
KR101202013B1 (ko) 정수기 직선 급수 유로의 티자형 수도 배관 연결구를 이용한 스탠드 타입 정수기의 다중 누수 차단 구조 및 누수 차단 방법
JP4248013B2 (ja) 自動水栓
JP4584684B2 (ja) 自動水栓装置
JP2006274960A (ja) ターボ分子ポンプ装置
JP2004278761A (ja) 複合単水栓
TWI603021B (zh) On the valve and water supply device
CA2558174C (en) Faucet incorporating vandal resistant features
CA2291303C (en) Multiple discharge water faucet with self-contained filter
US20120073686A1 (en) Control valve assembly for faucet and faucet using the same
JP4248014B2 (ja) 自動水栓
JP4708950B2 (ja) 水栓
KR100867193B1 (ko) 정수기용 조명장치
JP3033944B2 (ja) コック
KR19980021682U (ko) 정수기의 냉온수탱크 유로개폐장치
CN219221350U (zh) 回转寿司设备专用立式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