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92B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792B1
KR101574792B1 KR1020140187581A KR20140187581A KR101574792B1 KR 101574792 B1 KR101574792 B1 KR 101574792B1 KR 1020140187581 A KR1020140187581 A KR 1020140187581A KR 20140187581 A KR20140187581 A KR 20140187581A KR 101574792 B1 KR101574792 B1 KR 10157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moving
he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427A (ko
Inventor
김차식
Original Assignee
김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식 filed Critical 김차식
Priority to KR102014018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전기밥솥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하부히터부를 구비하는 하부케이스부와, 하부케이스부에 힌지 연결되는 상부케이스부와, 상부케이스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개폐버튼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부와, 개폐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 및 개폐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케이스부를 들어올리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밥솥{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케이스부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밥이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구이다.
전기밥솥은 본체부에 쌀 등의 음식물을 담고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저면부에 전기로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밥솥에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었으나, 상기 밸브는 단순히 증기를 배출하거나 증기의 배출을 중지하는 상태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95995호(2011.08.26 공개, 발명의 명칭: 전자동 전기밥솥)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조리가 완료된 이후 전기밥솥의 내측을 저압으로 유지하여 음식물의 저장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저압상태를 해제하고 전기밥솥의 상부케이스부를 들어올리는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압상태가 해제된 전기밥솥의 상부케이스부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상부케이스부와, 상부케이스부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상부히터부와, 상부히터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통과, 상부히터부에 설치되어 내통과 연통하며 전기에너지의 사용으로 발생된 회전동력으로 동작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며 상부히터부와 내통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 후 다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밸브부와, 상부케이스부 또는 상부히터부에 설치되며 상부히터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부온도센서와, 내통의 내측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측정센서 및 상부케이스부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케이스부에 설치되며, 하부케이스부에 내통이 안착될 때 내통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내통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되는 감지스위치부를 포함하며, 감지스위치부는, 내통이 안착되는 하부케이스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통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히터부는, 상부케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히터브라켓과, 상부히터브라켓의 내측에 고정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부히터 및 내통과 마주하며 상부히터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히터브라켓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을 내통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상부전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밸브부는, 고정판에 고정되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구비하는 밸브케이스와, 제1장착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장착부에서 회전되며 내측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높이가 점차로 증가하는 높이조절경사돌기를 구비하는 회전조절부와, 높이조절경사돌기에 접하는 높낮이돌기를 구비하며 높이조절경사돌기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케이스부와, 이동부와 이동케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이동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바를 구비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하측으로 탄성 가압하며 회전조절부의 회전으로 탄성력이 가변되는 탄성부와, 이동케이스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제1밀폐판이 하측에 구비되는 상측밀폐부재 및 상측밀폐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통의 내측과 연통되는 압력배출공이 구비되는 하측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하부히터부 및 하부히터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하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부의 잠금을 해제하는 개폐버튼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부와, 개폐센서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 및 개폐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케이스부를 들어올리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저압상태가 해제된 전기밥솥의 상부케이스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개폐버튼부를 회전시키면, 개폐버튼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부에 의해 개폐구동부가 동작되어 상부케이스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므로 상부케이스부의 열림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상부케이스부와 내통과 하부케이스부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부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부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센서부와 개폐구동부와 전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구동부와 전달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센서부와 개폐구동부와 전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스위치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스위치부가 내통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와 이동케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용 전기밥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상부케이스부와 내통과 하부케이스부로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부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부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센서부와 개폐구동부와 전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구동부와 전달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센서부와 개폐구동부와 전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스위치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스위치부가 내통을 감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와 이동케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은, 하부케이스부(140), 상부케이스부(10), 개폐센서부(180), 개폐구동부(190), 전달부(200), 상부히터부(20), 내통(30), 진공패킹부(40), 자동밸브부(50), 하부히터부(150), 외통(170), 개폐센서부(180), 개폐구동부(190), 전달부(200), 감지스위치부(210), 내부온도측정센서(220), 상부온도센서(230) 및 하부온도센서(240)를 포함한다.
전기밥솥(1)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부(10)와 하부케이스부(140)는 힌지 연결되며, 하부케이스부(140)의 상측에 상부케이스부(10)가 설치된다. 상부케이스부(10)와 하부케이스부(140)는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며, 상부케이스부(10)는 하부케이스부(14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므로 내통(3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부(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하우징(12)과, 상부하우징(12)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4)를 포함한다.
상부히터부(20)는 프레임부(14)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케이스부(10)의 내측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히터부(20)는, 고정판(21), 상부히터브라켓(24), 상부히터(25) 및 상부전열판(27)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4)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판(21)은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히터(25)의 열이 프레임부(14)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단열 기능을 구비한다. 고정판(21)에 제1연결공(22)이 구비되며, 제1연결공(22)과 마주하는 고정판(21)의 상측에 자동밸브부(50)가 설치된다.
상부전열판(27)의 상측에는 상부히터(25)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한 상부히터브라켓(24)이 설치된다. 상부히터브라켓(24)은 관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히터브라켓(24)이 상부히터(25)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판(21)에 고정되어 상부히터(25)가 고정판(21)에 고정된다.
상부히터브라켓(24)과 상부전열판(27)은 열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성형된다. 상부히터브라켓(24)의 내측에 고정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부히터(25)는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내통(30)과 마주하며 상부히터(25)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전열판(27)은, 내통(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히터브라켓(24)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열을 내통(30)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부전열판(27)은 상부히터(25)에서 발생된 열을 내통(30)이 설치된 하측 방향으로 전달하므로, 상부히터부(20)의 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부전열판(27)에 제2연결공(28)이 구비되며, 제2연결공(28)을 통하여 하측밀폐부재(130)가 설치된다.
상부히터부(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내통(30)은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온도센서(230)는 상부케이스부(10) 또는 상부히터부(20)에 설치되며, 상부히터부(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상부온도센서(230)는 상후히터부(20)를 구성하는 상부히터브라켓(24) 또는 상부전열판(27) 등에 설치된다. 상부온도센서(230)는 상부히터부(20)에 직접 접하여 상부히터부(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부히터부(2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부히터부(20) 또는 상부히터부(20)의 동작으로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부온도센서(23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조리물에 따라 상부히터부(20)의 설정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내부온도측정센서(220)는 내통(30)의 내측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상부케이스부(10) 또는 상부히터부(20)를 포함한 다양한 설치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온도측정센서(220)는 상부전열판(27)의 중심에 설치된다. 상부전열판(27)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내부온도측정센서(220)의 하측은 내통(30)의 내측공간과 연통되므로 내통(30)의 내측공간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하부온도센서(240)는 하부히터부(150)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된다. 하부온도센서(240)는 외통(170)이나 하부히터부(150)를 구성하는 부품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온도센서(240)는 하부히터부(150)에 직접 접하여 하부히터부(15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하부히터부(15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하부히터부(150) 또는 하부히터부(150)의 동작으로 가열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부온도센서(24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조리물에 따라 하부히터부(150)의 설정온도 제어가 가능하다.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패킹부(40)는, 내통(30)과 마주하는 상부히터부(2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진공패킹부(40)는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의 사이로 공기가 이동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패킹부(40)는, 상부전열판(27)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가 인입되는 내측홈(43)을 구비하는 패킹몸체(42)와, 패킹몸체(4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27)의 외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날개부재(45)와, 패킹몸체(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2날개부재(46)를 포함한다.
패킹몸체(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에 연결된다.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패킹몸체(42)의 내측에는 내측홈(43)이 구비되므로,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는 내측홈(43)으로 삽입되어 패킹몸체(42)가 상부전열판(27)에 결합된다.
패킹몸체(4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부재(45)는 상부전열판(27)의 상측에 접하며, 패킹몸체(4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부재(46)는 상부전열판(27)과 내통(30)의 사이로 연장된다.
제2날개부재(46)는, 상부전열판(27)과 내통(30) 사이로 공기가 이동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날개부재(46)는, 패킹몸체(42)에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27)과 내통(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날개몸체(47) 및 내통(30)과 마주하는 제2날개몸체(47)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복수의 실링돌기(48)를 포함한다.
제2날개몸체(47)에서 돌출된 실링돌기(48)는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므로, 제2날개몸체(47)와 내통(30) 사이로 이동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음식물의 보존기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패킹부(40)의 제1날개부재(45)와 패킹몸체(42)는, 상부히터부(20)의 하측 테두리에 접하여 내통(30)이 설치된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패킹부(40)에 의해 밀폐된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 사이에 형성된 압력은 자동밸브부(50)에 의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부히터부(20)에 설치되어 내통(30)과 연통하는 자동밸브부(50)는, 밸브케이스(52)와 구동부(65)와 회전조절부(70)와 이동부(80)와 이동케이스부(90)와 지지판(102)과 가압부재(100)와 탄성부(110)와 상측밀폐부재(120) 및 하측밀폐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밸브부(50)는, 상부케이스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통(30)과 연통하며 전기에너지의 사용으로 발생된 회전동력으로 동작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며, 상부케이스부(10)와 내통(30)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 후 다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히터부(20)의 고정판(21)에는 내통(30)의 내측과 연통되는 제1연결공(22)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판(21)의 상측에 밸브케이스(52)가 고정된다.
밸브케이스(52)는, 구동부(65)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부(55)와, 회전조절부(70)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장착부(58)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케이스(52)는, 제1장착부(55)와 제2장착부(58)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54)와, 제1케이스(5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60)를 포함한다.
구동부(65)의 자동밸브모터(67)가 설치되는 제1장착부(55)는, 구동부(65)가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면(56)과, 제1장착면(56)에서 돌출되어 구동부(65)를 지지하는 방열돌기(57)를 포함한다.
구동부(65)는 방열돌기(57)에 의해 제1장착면(56)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제1장착면(56)과 구동부(65)의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부(65)의 주변에서 과열된 공기는 제1장착면(56)과 구동부(65)의 사이로 이동되어 자동밸브부(50)의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구동부(65)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장착부(55)에 이웃한 제2장착부(58)에는, 회전조절부(70), 탄성부(110), 이동부(80), 가압부재(100) 및 이동케이스부(90) 등이 설치된다.
제1케이스(5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60)는, 상측밀폐부재(1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며 배출되는 유체를 상부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압력배출관로(62)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6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케이스몸체(61)와, 제2케이스몸체(6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압력배출관로(62) 및 제2케이스몸체(6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동케이스부(90)에 구비된 회전방지공(97)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63)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돌기(63)는, 이동케이스부(9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방지공(97)에 삽입되어 이동케이스부(9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장착부(55)의 내측에 고정되는 구동부(65)는, 자동밸브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65)는, 제1장착부(55)에 고정되는 자동밸브모터(67)와, 자동밸브모터(67)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68)를 포함한다.
구동부(65)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장착부(58)에서 회전되는 회전조절부(70)는, 구동기어(68)에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72) 및 종동기어(7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조절몸체(74)를 포함한다.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높이가 점차로 증가하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가 구비된다.
높이조절경사돌기(76)는, 회전조절몸체(74)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점차로 증가한다.
회전조절몸체(74)는 상측이 막혀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조절몸체(74)의 하측에는 가이드돌기(78)가 연결된다.
가이드돌기(78)는, 회전조절몸체(74)의 하단에서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이동케이스부(90)가 인입되며, 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에는 높이가이드홈(98)이 구비된다.
가이드돌기(78)는 이동케이스부(9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후, 이동케이스부(9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높이가이드홈(98)으로 인입된다.
회전조절부(70)의 내측에는 이동부(80)가 인입되며, 이동부(80)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하는 높낮이돌기(84)를 구비하며, 높이조절경사돌기(76)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80)는,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동케이스부(90)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중앙에는 수직바(104)가 관통되는 이동베이스(82)와, 이동베이스(82)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높낮이돌기(84)를 포함한다.
이동베이스(8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바(104)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구비된다.
이동베이스(8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돌기(84)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하면서 상하로 이동된다. 이러한 높낮이돌기(84)는 수직바(104)를 중심으로 이동베이스(82)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동베이스(82)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가이드홈(86)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종방향과 이격된 걸림홈(88)도 이동베이스(82)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88)은, 이동베이스(82)의 상부 모서리에 대칭되는 홈을 형성한다.
이동부(8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케이스부(90)는 상측이 개구되며 하측은 막혀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조절부(7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이동케이스부(90)는, 이동부(80)의 외측에서 이동부(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케이스부(90)는, 이동부(80)가 인입되는 상측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이동케이스몸체(92)와, 이동케이스몸체(92)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94)과, 이동케이스몸체(92)의 상측에서 이동케이스몸체(9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96)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94)은 이동부(80)의 가이드홈(86)에 삽입되어 이동부(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이동부(80)의 회전은 구속한다.
걸림턱(96)의 하측에 이동부(80)의 걸림홈(88)이 위치하므로, 이동부(80)가 이동케이스부(90)의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걸림홈(88)이 걸림턱(96)에 걸려서 이동부(80)의 상측 이탈을 방지한다.
이동케이스몸체(92)의 하측면에는 회전방지공(97)이 구비되며, 이동케이스몸체(92)의 외측에는 나선 형상으로 높이가이드홈(98)이 형성된다.
이동케이스몸체(92)의 중앙 하측에는 상측밀폐부재(1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측밀폐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돌기(124)는 상측밀폐부재(120)의 하측에 구비된 결합홈(99)에 삽입되므로, 상측밀폐부재(120)가 이동케이스부(90)에 결합된다.
이동부(80)와 이동케이스부(90)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부재(100)는, 원판 형상의 지지판(102)과, 지지판(102)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이동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바(104)를 포함한다.
지지판(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부(110)는, 가압부재(100)를 하측으로 탄성 가압하며, 회전조절부(70)의 회전으로 탄성력이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10)는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10)는, 회전조절부(70)에 상측이 지지되고 지지판(102)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1가압부재(112)와, 이동부(80)에 상측이 지지되고 지지판(102)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2가압부재(114)를 포함하며, 제2가압부재(114)는 제1가압부재(112)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가압부재(112)는 지지판(102)을 항상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며, 제2가압부재(114)는 회전조절부(70)의 회전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힘이 조절된다.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면,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사이에 설치된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은 약하게 형성되며,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거리가 짧게 형성되면,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사이에 설치된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은 강하게 형성된다.
이동케이스부(90)의 하측에 연결되는 상측밀폐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밀폐부재(120)는,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밀폐판(122)이 하측에 구비되며, 제1밀폐판(122)의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기(124)가 연결된다.
상측밀폐부재(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밀폐부재(130)는, 내통(30)의 내측과 연통되는 압력배출공(134)이 내측에 구비되며, 제1밀폐판(122)과 마주하는 제2밀폐판(132)이 상측에 구비된다.
제2밀폐판(132)은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성형된다.
제2케이스(60)의 하측에는 통공이 구비되며, 이러한 통공의 주변을 따라 연성 재질의 자동밸브패킹(137)이 설치된다.
따라서, 하측밀폐부재(130)를 통해 상부로 올라온 증기를 포함한 유체가 자동밸브패킹(137)에 접하면서 압력배출관로(62)를 통해 이동하여 자동밸브부(5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부(10)와 힌지 연결된 하부케이스부(140)는 내통(30)이 삽입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내통(30)을 가열시키는 하부히터부(150)가 하부케이스부(14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부(140)는 몸체하우징(141)과 베이스하우징(142)과 개폐버튼부(143)를 포함한다. 몸체하우징(141)의 하측에 베이스하우징(142)이 결합되며, 상부케이스부(10)의 회전을 구속하는 개폐버튼부(143)는 몸체하우징(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케이스부(140)와 상부케이스부(10)는 탄성힌지부(147)에 의해 연결되며, 탄성힌지부(147)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케이스(148)는 하부케이스부(140)에 고정된다.
내통(30)의 하측에는 하부히터부(150)가 설치되어 내통(30)이 위치한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히터부(150)는, 내통(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원판 형상의 하부전열부(152)와, 하부전열부(152)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히터브라켓(154)과, 하부히터브라켓(154)에 고정되는 하부히터(156)를 포함한다.
하부히터(156)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히터브라켓(154)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히터브라켓(154)은 하부전열부(152)의 하측에 고정되므로 하부히터(156)에서 발생된 열은 하부전열부(152)를 통해 내통(30)으로 전달된다.
하부히터부(150)를 지지하며 내통(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외통(170)이 설치된다.
외통(17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배기공(172)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기공(172)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160)가 외통(17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외통(170)의 하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160)는, 내통(30)과 외통(170) 사이에 있는 공기의 온도, 즉 보열공간의 온도에 따라 배기공(172)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배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배출부(160)는, 외통(170)의 하부에 고정되며 온도 상승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이 상측으로 굽어지는 바이메탈몸체(162) 및 바이메탈몸체(162)에서 연장되어 배기공(172)을 개폐하는 차폐돌기(164)를 포함한다. 바이메탈몸체(162)는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측으로 굽어지며, 이러한 바이메탈몸체(162)의 가운데는 외통(17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바이메탈몸체(162)의 양측에 연결된 차폐돌기(164)는 외통(170)에 구비된 배기공(172)을 개폐한다.
외통(170)의 상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패킹부(145)는, 내통(30)과 외통(170) 사이의 상측 공간을 차폐한다.
지지패킹부(145)는, 내통(30)과 외통(170)의 사이에 있는 가열된 공기가, 내통(30)과 외통(170)의 상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센서부(180)는 상부케이스부(10)의 잠금을 해제하는 개폐버튼부(143)의 동작을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센서부(180)는, 개폐버튼부(143)의 회전으로 가압되는 스위치돌기(182)와, 스위치돌기(182)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제1스위치(184)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부(10)에 걸려서 상부케이스부(10)의 회전을 구속하는 개폐버튼부(143)의 내측에는 개폐버튼돌기(144)가 돌출된다. 상부케이스부(10)를 개방하기 위해 개폐버튼부(143)를 회전시키는 경우, 개폐버튼부(143)의 개폐버튼돌기(144)가 하부케이스부(140)의 상측으로 돌출된 스위치돌기(182)를 가압한다.
스위치돌기(182)는 개폐버튼돌기(144)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개폐버튼돌기(144)에 접하면서 하부케이스부(14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스위치돌기(182)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는 제1스위치(184)는 스위치돌기(182)의 하측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개폐구동부(190)는 개폐센서부(18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부케이스부(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구동부(190)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92)이며, 구동모터(192)의 일측에는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구동축(194)이 구비된다.
구동모터(192)는 베이스하우징(142)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하우징(196)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개폐구동부(190)의 상측에 전달부(200)와 이동바(209)가 설치된다.
전달부(200)는 개폐구동부(19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케이스부(10)를 들어올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200)는, 개폐구동부(190)의 동작으로 회전되며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사면(204)이 상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높이조절하우징(202)과, 경사면(204)에 접하는 받침돌기(208)를 구비하며 높이조절하우징(202)의 상측에 위치하며 높이조절하우징(202)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동몸체부(206) 및 이동몸체부(206)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몸체부(206)와 함께 이동되어 상부케이스부(1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이동바(209)를 포함한다.
높이조절하우징(202)의 내측에는 개폐구동부(190)의 구동축(194)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구동축(194)의 회전으로 높이조절하우징(202)은 회전된다. 높이조절하우징(202)의 상측 테두리에는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하가는 경사면(204)이 설치된다.
경사면(204)에 접한 상태로 이동몸체부(206)가 설치되며, 높이조절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몸체부(206)는 상하 이동된다. 이동몸체부(206)는 몸체부(207)와 받침돌기(208)를 포함한다. 몸체부(207)의 중앙에는 이동바(209)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몸체부(207)와 함께 이동바(209)가 상하 이동된다.
몸체부(207)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돌기(208)가 돌출되며, 높이조절하우징(202)의 회전에 따라 받침돌기(208)를 지지하는 경사면(204)의 높이가 변하므로 받침돌기(208)와 함께 이동몸체부(206)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동바(209)는 하부케이스부(140)의 몸체하우징(141)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케이스부(10)가 내통(30)의 상측을 차폐할 때는 몸체하우징(141)의 내측에 있으며, 상부케이스부(10)가 열리는 경우에는 몸체하우징(14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케이스부(1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도 3,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0)의 장착여부를 측정하는 감지스위치부(210)는 하부케이스부(140)에 설치되며, 하부케이스부(140)에 내통(30)이 안착될 때 내통(30)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내통(30)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되는 제어부(도시생략)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스위치부(210)는, 내통(30)이 안착되는 하부케이스부(14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통(30)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승강부재(212)와, 승강부재(212)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제2스위치(214)를 포함한다.
승강부재(212)는 하부케이스부(14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통(30)에 압착되어 하부케이스부(14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승강부재(212)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 제2스위치(214)가 동작되어 내통(30)의 안착여부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히터부(20)의 상부히터(25)와 하부히터부(150)의 하부히터(156)가 동작되어 열이 발생하면, 내통(30)의 내측에 있는 조리 대상물이 가열된다.
조리 대상물의 조리가 완료되거나, 조리 중에 필요에 따라 압력을 배출시킬 경우, 자동밸브부(50)가 동작되어 내통(30)의 내측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다.
자동밸브모터(67)가 동작되어 구동기어(68)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68)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72)가 회전하면서 회전조절부(70)가 회전된다.
회전조절부(70)의 회전으로 높이조절경사돌기(76)가 회전하면,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 높낮이돌기(8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높낮이돌기(84)와 함께 이동부(8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부(80)와 가압부재(100)의 지지판(102) 사이에 설치된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이 가변된다.
상측밀폐부재(1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이 가변되므로, 내통(30)의 내측에 있는 고압의 유체는 압력배출공(134)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측밀폐부재(12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며 압력배출관로(62)를 통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수직바(104)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조절부(70)의 중앙부를 통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설정된 압력 이상이 배출된 이후에는, 탄성부(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상측밀폐부재(120)가 하측밀폐부재(13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측밀폐부재(120)와 하측밀폐부재(130)의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내통(30)과 상부히터부(20)의 사이에 진공패킹부(40)가 설치되므로, 내통(30)의 내측을 저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리 대상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내통(30)과 외통(170)의 사이에는 공기의 보열공간이 형성되므로, 내통(30)의 균일 가열이 가능하며, 내통(30)과 외통(1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높아지는 경우, 공기배출부(160)가 동작되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내통(30)과 외통(170)의 사이에 지지패킹부(145)가 설치되므로, 내통(30)과 외통(170) 사이에 가열된 공기가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할 수 있다.
자동밸브부(50)가 동작되어 내통(30)의 내측에 있는 공기의 저압상태가 완화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부(10)를 개방하기 위해 개폐버튼부(143)를 회전시키는 경우, 개폐버튼부(143)에 구비된 개폐버튼돌기(144)가 스위치돌기(182)를 가압하여 제1스위치(184)를 동작시킨다.
제1스위치(184)의 동작으로 개폐구동부(190)가 동작되어 구동축(194)이 회전되면, 구동축(194)과 함께 높이조절하우징(202)이 회전된다.
높이조절하우징(202)의 경사면(204)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는 받침돌기(208)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바(209)도 이동몸체부(206)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케이스부(14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케이스부(10)를 설정된 높이만큼 들어올린다.
자동밸브부(50)가 동작되어도 내통(30)의 내측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으므로 상부케이스부(10)의 개방에 어려움이 발생되나, 이동바(209)가 상부케이스부(1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동작과 함께 또는 이동바(209)의 동작 이후에 상부케이스부(10)를 개방하는 경우, 상부케이스부(10)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케이스부(10)에 내통(30)이 안착될 때 내통(30)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내통(30)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되는 감지스위치부(210)를 사용하므로 내통(30)의 장착 여부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압상태가 해제된 전기밥솥(1)의 상부케이스부(10)를 들어올리기 위해 개폐버튼부(143)를 회전시키면, 개폐버튼부(143)의 회전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부(180)에 의해 개폐구동부(190)가 동작되어 상부케이스부(1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므로 상부케이스부(10)의 열림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65)의 동작으로 배출되는 증기압을 자동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기호나 음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조리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밥솥(1)에 음식물을 보관함에 있어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자동밸브부(50)를 통하여 전기밥솥(1) 내외측의 공기가 유동됨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전기밥솥(1) 내측의 공기가 고온상태에서 식어짐으로 형성된 저압의 저진공 상태를 유지하므로 음식물의 저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정용 전기밥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업소용 전기밥솥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전기밥솥에도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전기밥솥 10: 상부케이스부 12: 상부하우징
14: 프레임부 20: 상부히터부 21: 고정판
22: 제1연결공 24: 상부히터브라켓 25: 상부히터
27: 상부전열판 28: 제2연결공 30: 내통
40: 진공패킹부 42: 패킹몸체 43: 내측홈
45: 제1날개부재 46: 제2날개부재 47: 제2날개몸체
48: 실링돌기 50: 자동밸브부 52: 밸브케이스
54: 제1케이스 55: 제1장착부 56: 제1장착면
57: 방열돌기 58: 제2장착부 60: 제2케이스
61: 제2케이스몸체 62: 압력배출관로 63: 회전방지돌기
65: 구동부 67: 자동밸브모터 68: 구동기어
70: 회전조절부 72: 종동기어 74: 회전조절몸체
76: 높이조절경사돌기 78: 가이드돌기 80: 이동부
82: 이동베이스 84: 높낮이돌기 86: 가이드홈
88: 걸림홈 90: 이동케이스부 92: 이동케이스몸체
94: 가이드레일 96: 걸림턱 97: 회전방지공
98: 높이가이드홈 99: 결합홈 100: 가압부재
102: 지지판 104: 수직바 110: 탄성부
112: 제1가압부재 114: 제2가압부재 120: 상측밀폐부재
122: 제1밀폐판 124: 결합돌기 130: 하측밀폐부재
132: 제2밀폐판 134: 압력배출공 137: 자동밸브패킹
140: 하부케이스부 141: 몸체하우징 142: 베이스하우징
143: 개폐버튼부 144: 개폐버튼돌기 145: 지지패킹부
147: 탄성힌지부 148: 커버케이스 150: 하부히터부
152: 하부전열부 154: 하부히터브라켓 156: 하부히터
160: 공기배출부 162: 바이메탈몸체 164: 차폐돌기
170: 외통 172: 배기공 180: 개폐센서부
182: 스위치돌기 184: 제1스위치 190: 개폐구동부
192: 구동모터 194: 구동축 196: 지지하우징
200: 전달부 202: 높이조절하우징 204: 경사면
206: 이동몸체부 207: 몸체부 208: 받침돌기
209: 이동바 210: 감지스위치부 212: 승강부재
214: 제2스위치 220: 내부온도측정센서 230: 상부온도센서
240: 하부온도센서

Claims (5)

  1. 상부케이스부(10);
    상기 상부케이스부(10)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상부히터부(20);
    상기 상부히터부(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통(30);
    상기 상부히터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30)과 연통하며, 전기에너지의 사용으로 발생된 회전동력으로 동작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며, 상기 상부히터부(20)와 상기 내통(30)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 후 다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밸브부(50);
    상기 상부케이스부(10) 또는 상기 상부히터부(20)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히터부(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부온도센서(230);
    상기 내통(30)의 내측공간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측정센서(220); 및
    상기 상부케이스부(10)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케이스부(140)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부(140)에 상기 내통(30)이 안착될 때 상기 내통(30)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상기 내통(30)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동작되는 감지스위치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스위치부(210)는, 상기 내통(30)이 안착되는 상기 하부케이스부(14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통(30) 상부 둘레에 접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승강부재(212); 및
    상기 승강부재(212)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제2스위치(214);를 포함하며,
    상기 내통(3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하부히터부(150); 및
    상기 하부히터부(150)의 온도를 측정하는 하부온도센서(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히터부(20)는, 상기 상부케이스부(10)에 고정되는 고정판(21);
    상기 고정판(21)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히터브라켓(24);
    상기 상부히터브라켓(24)의 내측에 고정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부히터(25); 및
    상기 내통(30)과 마주하며 상기 상부히터(25)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히터브라켓(24)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을 상기 내통(30)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상부전열판(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밸브부(50)는, 고정판(21)에 고정되며, 제1장착부(55)와 제2장착부(58)를 구비하는 밸브케이스(52);
    상기 제1장착부(55)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65);
    상기 구동부(65)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장착부(58)에서 회전되며, 내측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높이가 점차로 증가하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를 구비하는 회전조절부(70);
    상기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하는 높낮이돌기(84)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경사돌기(76)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80);
    상기 이동부(8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케이스부(90);
    상기 이동부(80)와 상기 이동케이스부(9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102)과, 상기 지지판(102)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바(104)를 구비하는 가압부재(100);
    상기 가압부재(100)를 하측으로 탄성 가압하며, 상기 회전조절부(70)의 회전으로 탄성력이 가변되는 탄성부(110);
    상기 이동케이스부(90)의 하측에 연결되며, 제1밀폐판(122)이 하측에 구비되는 상측밀폐부재(120); 및
    상기 상측밀폐부재(1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통(30)의 내측과 연통되는 압력배출공(134)이 구비되는 하측밀폐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부(10)의 잠금을 해제하는 개폐버튼부(143)의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센서부(180);
    상기 개폐센서부(18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190); 및
    상기 개폐구동부(19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케이스부(10)를 들어올리는 전달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40187581A 2014-12-23 2014-12-23 전기밥솥 KR10157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81A KR101574792B1 (ko) 2014-12-23 2014-12-23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81A KR101574792B1 (ko) 2014-12-23 2014-12-23 전기밥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867A Division KR101549992B1 (ko) 2013-07-15 2013-12-31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427A KR20150079427A (ko) 2015-07-08
KR101574792B1 true KR101574792B1 (ko) 2015-12-08

Family

ID=5379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581A KR101574792B1 (ko) 2014-12-23 2014-12-23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963A (ja) * 2001-10-05 2003-06-24 Zojirushi Corp 調圧式炊飯ジャ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4963A (ja) * 2001-10-05 2003-06-24 Zojirushi Corp 調圧式炊飯ジャ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427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9962A (ja) 電気炊飯器
KR101820113B1 (ko) 온도센서 및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구
KR101549992B1 (ko) 전기밥솥
KR102540026B1 (ko) 취사기 및 그를 갖는 조리기기
US20140373729A1 (en) Electric rice cooker
WO2018157408A1 (zh) 用于烹饪器具的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2013244107A (ja) 電気炊飯器
KR101458598B1 (ko) 전기밥솥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KR101574791B1 (ko) 전기밥솥
KR101432165B1 (ko) 전기밥솥
KR101574792B1 (ko) 전기밥솥
KR101574793B1 (ko) 전기밥솥
JP4000531B2 (ja) 加熱調理器
KR101458597B1 (ko) 전기밥솥
KR101891541B1 (ko) 듀얼 히팅 방식의 전기 그릴
KR101710039B1 (ko)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1710036B1 (ko)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1819222B1 (ko)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1819224B1 (ko) 승강식 스팀노즐을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102158281B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JP3420974B2 (ja) 圧力調理器
US20240122392A1 (en) Cooking system with steam
KR20180010780A (ko) 전기밥솥의 온도센서 방수구조체
KR102275838B1 (ko) 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