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98B1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598B1
KR101458598B1 KR1020140030413A KR20140030413A KR101458598B1 KR 101458598 B1 KR101458598 B1 KR 101458598B1 KR 1020140030413 A KR1020140030413 A KR 1020140030413A KR 20140030413 A KR20140030413 A KR 20140030413A KR 101458598 B1 KR101458598 B1 KR 10145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moving
heat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049A (ko
Inventor
김차식
Original Assignee
김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식 filed Critical 김차식
Priority to KR102014003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5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전기밥솥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밥솥는: 상부케이스부와, 상부케이스부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상부히터부와, 상부히터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통과, 상부히터부와 내통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진공패킹부와, 상부히터부에 설치되며 진공패킹부에 의해 밀폐된 상부히터부와 내통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자동밸브부와, 내통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하부히터부와, 하부히터부를 지지하며 내통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외통과, 제1외통과 이격되어 보열공간을 형성하며 제1외통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외통 및 제2외통의 하측에 설치되며 보열공간의 온도에 따라 배기공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공기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밥솥{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 내부의 조리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 후에도 외측의 공기가 내통 내부로 유입됨을 차단하고 내통 내부가 저압의 상태를 이루는 것에 의하여 전기밥솥에 보관된 음식물의 장기 보관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밥이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구이다.
전기밥솥은 본체부에 쌀 등의 음식물을 담고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저면부에 전기로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밥솥에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었으나, 상기 밸브는 단순히 증기를 배출하거나 증기의 배출을 중지하는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나, 전기밥솥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전기밥솥의 가열 조리 후에 배출되는 증기압을 조절함이 요구되나, 종래의 전기밥솥 밸브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증기 배출 후에 개방상태로 되어 있는 밸브를 통하여 세균이 포함된 외부의 공기가 전기밥솥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전기밥솥 내측의 공기가 저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됨으로 음식물의 오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어 음식물의 저장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95995호(2011.08.26 공개, 발명의 명칭: 전자동 전기밥솥)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기호나 음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배출되는 증기압을 조절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편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음식물 보관시에 전기밥솥 외측의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전기밥솥 내측의 공기가 저압상태를 유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저장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히터부와 하부히터부가 내통에 있는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므로, 조리 대상물의 조리속도가 향상되며, 조리 대상물의 풍미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상부케이스부와, 상부케이스부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상부히터부와, 상부히터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통 및 상부히터부에 설치되어 내통과 연통하며 모터의 회전동력으로 동작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며 상부히터부와 내통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 후 다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밸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히터부는, 상부케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히터브라켓을 구비하는 상부브라켓과, 상부히터브라켓의 내측에 고정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부히터 및 내통과 마주하며 상부히터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부브라켓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을 내통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상부전열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과 마주하는 상부히터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부히터부와 내통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진공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패킹부는, 상부전열판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부전열판의 테두리가 인입되는 내측홈을 구비하는 패킹몸체와, 패킹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의 외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날개부재 및 패킹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통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날개부재는, 패킹몸체에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과 내통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날개몸체 및 내통과 마주하는 제2날개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내통의 내측면에 접하는 복수의 실링돌기를 포함하며, 진공패킹부는 상부히터부의 하측 테두리에 구비된 플랜지부에 접하여 내통이 설치된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부히터부와 내통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밸브부는, 고정판에 고정되며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구비하는 밸브케이스와, 제1장착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장착부에서 회전되며 내측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높이가 점차로 증가하는 높이조절경사돌기를 구비하는 회전조절부와, 높이조절경사돌기에 접하는 높낮이돌기를 구비하며 높이조절경사돌기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케이스부와, 이동부와 이동케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이동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바를 구비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하측으로 탄성 가압하며 회전조절부의 회전으로 탄성력이 가변되는 탄성부와, 이동케이스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제1밀폐판이 하측에 구비되는 상측밀폐부재 및 상측밀폐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내통의 내측과 연통되는 압력배출공이 구비되는 하측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케이스는,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 및 제1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측밀폐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며 배출되는 유체를 상부케이스부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압력배출관로를 구비하며 이동케이스부에 구비된 회전방지공에 삽입되어 이동케이스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방지돌기를 구비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제1장착부는 구동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면 및 제1장착면에서 돌출되어 구동부를 지지하며 제1장착면과 구동부의 사이에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방열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는, 제1장착부에 고정되는 모터 및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조절부는,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조절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는, 회전조절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동케이스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중앙에는 수직바가 관통되는 이동베이스를 포함하며, 높낮이돌기는 수직바를 중심으로 이동베이스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는, 회전조절부에 상측이 지지되고 지지판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1가압부재 및 제1가압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이동부에 상측이 지지되고 지지판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하부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히터부를 지지하며 내통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외통 및 제1외통과 이격되어 보열공간을 형성하며 제1외통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외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외통의 하측에 설치되며 보열공간의 온도에 따라 배기공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외통은, 하부히터부와 내통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외통몸체와, 제1외통몸체의 상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굽어지는 지지단차와, 지지단차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및 걸림돌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외통은, 제1외통몸체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외통몸체와, 제2외통몸체의 상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지지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외통의 상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내통과 제1외통 사이의 상측 공간을 차폐하는 지지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배출부는, 제2외통의 하부에 고정되며 온도 상승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이 상측으로 굽어지는 바이메탈몸체 및 바이메탈몸체에서 연장되어 배기공을 개폐하는 차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구동부의 동작으로 배출되는 증기압을 자동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기호나 음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조리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음식물을 보관함에 있어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자동밸브부를 통하여 전기밥솥 내외측의 공기가 유동됨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전기밥솥 내측의 공기가 고온상태에서 식어짐으로 형성된 저압의 저진공 상태를 유지하므로 음식물의 저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상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하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밸브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와 이동케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외통에 공기배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B"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킹부가 하부케이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킹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용 전기밥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상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하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자동밸브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하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와 이동케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부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외통에 공기배출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은, 상부케이스부(10), 상부히터부(20), 내통(30), 진공패킹부(40), 자동밸브부(50), 하부히터부(140), 제1외통(150), 제2외통(160) 및 공기배출부(180)를 포함한다.
전기밥솥(1)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부재의 내측에는 상부케이스부(10)와 하부케이스부(200)가 구비된다.
상부케이스부(10)와 하부케이스부(200)는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며, 상부케이스부(10)는 하부케이스부(20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동작된다.
이러한 상부케이스부(10)의 하측에 고정되는 상부히터부(20)는,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히터부(20)는, 고정판(21), 상부히터브라켓(24)을 구비하는 상부브라켓(23), 상부히터(25) 및 상부전열판(27)을 포함한다.
상부케이스부(1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판(21)은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히터(25)의 열이 상부케이스부(10)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단열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판(21)에 제1연결공(22)이 구비되며, 제1연결공(22)과 마주하는 고정판(21)의 상측에 자동밸브부(5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21)의 하부에 상부브라켓(23)이 고정되며, 상부브라켓(23)의 상측에는 상부히터(25)가 설치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한 상부히터브라켓(24)이 설치된다.
상부히터브라켓(24)은 관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히터브라켓(24)이 상부히터(25)를 감싼 상태에서 상부브라켓(23)에 고정되어 상부히터(25)가 상부브라켓(23)에 고정된다.
상부브라켓(23)과 상부전열판(27)은 열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성형된다.
상부히터브라켓(24)의 내측에 고정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부히터(25)는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내통(30)과 마주하며 상부히터(25)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전열판(27)은, 내통(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브라켓(23)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는 열을 내통(30)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부전열판(27)은 상부히터(25)에서 발생된 열을 내통(30)이 설치된 하측 방향으로 전달하므로, 상부히터부(20)의 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상부전열판(27)에 제2연결공(28)이 구비되며, 제2연결공(28)을 통하여 하측밀폐부재(130)가 설치된다.
상부히터부(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내통(30)은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 사이에 설치되는 진공패킹부(40)는, 내통(30)과 마주하는 상부히터부(2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진공패킹부(40)는,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 사이로 공기가 이동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패킹부(40)는, 상부전열판(27)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가 인입되는 내측홈(43)을 구비하는 패킹몸체(42)와, 패킹몸체(4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27)의 외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날개부재(45) 및 패킹몸체(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2날개부재(46)를 포함한다.
상부전열판(27)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가 인입되는 내측홈(43)을 구비하는 패킹몸체(42)와, 패킹몸체(4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27)의 외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날개부재(45) 및 패킹몸체(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2날개부재(46)를 포함한다.
패킹몸체(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에 연결된다.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와 마주하는 패킹몸체(42)의 내측에는 내측홈(43)이 구비되므로,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는 내측홈(43)으로 삽입되어 패킹몸체(42)가 상부전열판(27)에 결합된다.
패킹몸체(4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날개부재(45)는 상부전열판(27)의 상측에 접하며, 패킹몸체(4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날개부재(46)는 상부전열판(27)과 내통(30)의 사이로 연장된다.
제2날개부재(46)는, 상부전열판(27)과 내통(30) 사이로 공기가 이동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날개부재(46)는, 패킹몸체(42)에서 연장되어 상부전열판(27)과 내통(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날개몸체(47) 및 내통(30)과 마주하는 제2날개몸체(47)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복수의 실링돌기(48)를 포함한다.
제2날개몸체(47)에서 돌출된 실링돌기(48)는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므로, 제2날개몸체(47)와 내통(30) 사이로 이동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음식물의 보존기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패킹부(40)의 제1날개부재(45)와 패킹몸체(42)는, 상부히터부(20)의 하측 테두리에 구비된 플랜지부(29)에 접하여 내통(30)이 설치된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패킹부(40)에 의해 밀폐된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 사이에 형성된 압력은 자동밸브부(50)에 의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부히터부(20)에 설치되어 내통(30)과 연통하는 자동밸브부(50)는, 밸브케이스(52)와 구동부(65)와 회전조절부(70)와 이동부(80)와 이동케이스부(90)와 지지판(102)과 가압부재(100)와 탄성부(110)와 상측밀폐부재(120) 및 하측밀폐부재(130)를 포함한다.
자동밸브부(50)는, 모터(67)의 회전동력으로 동작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며, 상부히터부(20)와 내통(30)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 후, 다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밸브부(50)는, 밸브케이스(52), 구동부(65), 회전조절부(70), 이동부(80), 이동케이스부(90), 가압부재(100), 탄성부(110), 상측밀폐부재(120) 및 하측밀폐부재(130)를 포함한다.
상부히터부(20)의 고정판(21)에는 내통(30)의 내측과 연통되는 제1연결공(22)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판(21)의 상측에 밸브케이스(52)가 고정된다.
밸브케이스(52)는, 구동부(65)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부(55)와, 회전조절부(70)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장착부(58)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케이스(52)는, 제1장착부(55)와 제2장착부(58)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54)와, 제1케이스(5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60)를 포함한다.
구동부(65)의 모터(67)가 설치되는 제1장착부(55)는, 구동부(65)가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면(56)과, 제1장착면(56)에서 돌출되어 구동부(65)를 지지하는 방열돌기(57)를 포함한다.
구동부(65)는 방열돌기(57)에 의해 제1장착면(56)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제1장착면(56)과 구동부(65)의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부(65)의 주변에서 과열된 공기는 제1장착면(56)과 구동부(65)의 사이로 이동되어 자동밸브부(50)의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구동부(65)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장착부(55)에 이웃한 제2장착부(58)에는, 회전조절부(70), 탄성부(110), 이동부(80), 가압부재(100) 및 이동케이스부(90) 등이 설치된다.
제1케이스(54)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60)는, 상측밀폐부재(1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며 배출되는 유체를 상부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압력배출관로(62)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케이스(6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케이스몸체(61)와, 제2케이스몸체(6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압력배출관로(62) 및 제2케이스몸체(6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동케이스부(90)에 구비된 회전방지공(97)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63)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돌기(63)는, 이동케이스부(9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방지공(97)에 삽입되어 이동케이스부(90)의 회전을 구속한다.
제1장착부(55)의 내측에 고정되는 구동부(65)는, 자동밸브부(50)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65)는, 제1장착부(55)에 고정되는 모터(67)와, 모터(67)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68)를 포함한다.
구동부(65)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장착부(58)에서 회전되는 회전조절부(70)는, 구동기어(68)에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72) 및 종동기어(7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조절몸체(74)를 포함한다.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높이가 점차로 증가하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가 구비된다.
높이조절경사돌기(76)는, 회전조절몸체(74)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점차로 증가한다.
회전조절몸체(74)는 상측이 막혀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조절몸체(74)의 하측에는 가이드돌기(78)가 연결된다.
가이드돌기(78)는, 회전조절몸체(74)의 하단에서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이동케이스부(90)가 인입되며, 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에는 높이가이드홈(98)이 구비된다.
가이드돌기(78)는 이동케이스부(9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후, 이동케이스부(9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높이가이드홈(98)으로 인입된다.
회전조절부(70)의 내측에는 이동부(80)가 인입되며, 이동부(80)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하는 높낮이돌기(84)를 구비하며, 높이조절경사돌기(76)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80)는,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이동케이스부(90)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중앙에는 수직바(104)가 관통되는 이동베이스(82)와, 이동베이스(82)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높낮이돌기(84)를 포함한다.
이동베이스(8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바(104)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멍이 구비된다.
이동베이스(8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높낮이돌기(84)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하면서 상하로 이동된다. 이러한 높낮이돌기(84)는 수직바(104)를 중심으로 이동베이스(82)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동베이스(82)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는 가이드홈(86)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종방향과 이격된 걸림홈(88)도 이동베이스(82)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88)은, 이동베이스(82)의 상부 모서리에 대칭되는 홈을 형성한다.
이동부(8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동케이스는, 상측이 개구되며 하측은 막혀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조절부(7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이동케이스부(90)는, 이동부(80)의 외측에서 이동부(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케이스부(90)는, 이동부(80)가 인입되는 상측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이동케이스몸체(92)와, 이동케이스몸체(92)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94)과, 이동케이스몸체(92)의 상측에서 이동케이스몸체(9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96)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94)은 이동부(80)의 가이드홈(86)에 삽입되어 이동부(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며, 이동부(80)의 회전은 구속한다.
걸림턱(96)의 하측에 이동부(80)의 걸림홈(88)이 위치하므로, 이동부(80)가 이동케이스부(90)의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걸림홈(88)이 걸림턱(96)에 걸려서 이동부(80)의 상측 이탈을 방지한다.
이동케이스몸체(92)의 하측면에는 회전방지공(97)이 구비되며, 이동케이스몸체(92)의 외측에는 나선 형상으로 높이가이드홈(98)이 형성된다.
이동케이스몸체(92)의 중앙 하측에는 상측밀폐부재(1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측밀폐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돌기(124)는 상측밀폐부재(120)의 하측에 구비된 결합홈(99)에 삽입되므로, 상측밀폐부재(120)가 이동케이스부(90)에 결합된다.
이동부(80)와 이동케이스부(90)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부재(100)는, 원판 형상의 지지판(102)과, 지지판(102)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이동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바(104)를 포함한다.
지지판(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탄성부(110)는, 가압부재(100)를 하측으로 탄성 가압하며, 회전조절부(70)의 회전으로 탄성력이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10)는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10)는, 회전조절부(70)에 상측이 지지되고 지지판(102)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1가압부재(112)와, 이동부(80)에 상측이 지지되고 지지판(102)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2가압부재(114)를 포함하며, 제2가압부재(114)는 제1가압부재(112)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가압부재(112)는 지지판(102)을 항상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며, 제2가압부재(114)는 회전조절부(70)의 회전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힘이 조절된다.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면,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사이에 설치된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은 약하게 형성되며,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거리가 짧게 형성되면, 이동부(80)와 지지판(102)의 사이에 설치된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은 강하게 형성된다.
이동케이스부(90)의 하측에 연결되는 상측밀폐부재(120)는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밀폐부재(120)는,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1밀폐판(122)이 하측에 구비되며, 제1밀폐판(122)의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결합돌기(124)가 연결된다.
상측밀폐부재(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밀폐부재(130)는, 내통(30)의 내측과 연통되는 압력배출공(134)이 내측에 구비되며, 제1밀폐판(122)과 마주하는 제2밀폐판(132)이 상측에 구비된다.
제2밀폐판(132)은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성형된다.
제2케이스(60)의 하측에는 통공이 구비되며, 이러한 통공의 주변을 따라 연성 재질의 자동밸브패킹(137)이 설치된다.
따라서, 하측밀폐부재(130)를 통해 상부로 올라온 증기를 포함한 유체가 자동밸브패킹(137)에 접하면서 압력배출관로(62)를 통해 이동하여 자동밸브부(5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0)의 하측에는 하부히터부(140)가 설치되어 내통(30)이 위치한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히터부(140)는, 내통(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원판 형상의 하부전열부(142)와, 하부전열부(142)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히터브라켓(143)과, 하부히터브라켓(143)에 고정되는 하부히터(145)를 포함한다.
하부히터(145)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히터브라켓(143)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부히터브라켓(143)은 하부전열부(142)의 하측에 고정되므로, 하부히터(145)에서 발생된 열은 하부전열부(142)를 통해 내통(30)으로 전달된다.
하부히터부(140)를 지지하며 내통(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1외통(150)이 설치되며, 제1외통(150)의 중앙에는 내통(30)의 장착여부를 측정하는 장착감지센서부재(170)가 설치된다.
장착감지센서부재(170)는 하부전열판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며, 내통(30)의 하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외통(150)은, 하부히터부(140)와 내통(30)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외통몸체(152)와, 제1외통몸체(152)의 상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굽어져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차(154)와, 지지단차(154)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56) 및 걸림돌기(156)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지지편(158)을 포함한다.
제1외통몸체(152)는 상측이 개구된 밥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외통몸체(152)의 상단에서 외측을 향한 수평방향으로 지지단차(154)가 연장된다.
지지단차(154)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볼록한 걸림돌기(156)가 형성되며, 걸림돌기(156)의 외측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측지지편(158)이 연장된다.
제1외통(150)과 이격되어 보열공간을 형성하는 제2외통(160)은, 제1외통(15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외통(160)은, 제1외통몸체(15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외통몸체(162)와, 제2외통몸체(162)의 상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지지편(158)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지지편(164)을 포함한다.
하측지지편(164)의 외측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166)은 하부케이스부(200)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2외통(16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배기공(161)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기공(161)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180)가 제2외통(160)에 설치된다.
도 1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통(160)의 하측에 설치되는 공기배출부(180)는, 보열공간의 온도에 따라 배기공(161)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배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배출부(180)는, 제2외통(160)의 하부에 고정되며 온도 상승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이 상측으로 굽어지는 바이메탈몸체(182) 및 바이메탈몸체(182)에서 연장되어 배기공(161)을 개폐하는 차폐돌기(184)를 포함한다.
바이메탈몸체(182)는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측으로 굽어지며, 이러한 바이메탈몸체(182)의 가운데는 제2외통(16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바이메탈몸체(182)의 양측에 연결된 차폐돌기(184)는 제2외통(160)에 구비된 배기공(161)을 개폐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통(150)의 상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패킹부(190)는, 내통(30)과 제1외통(150) 사이의 상측 공간을 차폐한다.
지지패킹부(190)는, 내통(30)과 제1외통(150)의 사이에 있는 가열된 공기가, 내통(30)과 제1외통(150)의 상측으로 배출됨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킹부(190)는, 지지단차(154)에 하부가 걸려서 고정되는 제1걸림부재(192)와, 제1걸림부재(19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걸림돌기(156)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걸림부재(194)와, 제2걸림부재(194)의 외측 테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케이스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는 연장걸림부재(196)를 포함한다.
연장걸림부재(196)의 상측은 하부케이스부(200)의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연장부재(202)에 의해 가압되며, 연장걸림부재(196)의 하측에는 상측지지편(158)과 하측지지편(164)이 차례로 적층된다.
내통(30)의 상측과 마주하는 지지패킹부(190)의 측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198)가 돌출되어 내통(30)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제2외통(160)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부케이스부(200)는, 내통(30)이 삽입되는 통공이 상측에 구비되는 케이스몸체(201)와, 케이스몸체(201)의 하측을 차폐하며 제2외통(16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부재(207)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201)의 상부에는 탄성힌지부(208)가 설치되며, 이러한 탄성힌지부(208)는 상부케이스부(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부(10)는 케이스몸체(201)에 힌지 연결되며, 탄성적인 개폐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히터부(20)의 상부히터(25)와 하부히터부(140)의 하부히터(145)가 동작되어 열이 발생하면, 내통(30)의 내측에 있는 조리 대상물이 가열된다.
조리 대상물의 조리가 완료되거나, 조리 중에 필요에 따라 압력을 배출시킬 경우, 자동밸브부(50)가 동작되어 내통(30)의 내측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다.
모터(67)가 동작되어 구동기어(68)를 회전시키면, 구동기어(68)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72)가 회전하면서 회전조절부(70)가 회전된다.
회전조절부(70)의 회전으로 높이조절경사돌기(76)가 회전하면,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 높낮이돌기(8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높낮이돌기(84)와 함께 이동부(8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부(80)와 가압부재(100)의 지지판(102) 사이에 설치된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이 가변된다.
상측밀폐부재(1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114)의 탄성력이 가변되므로, 내통(30)의 내측에 있는 고압의 유체는 압력배출공(134)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측밀폐부재(12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며 압력배출관로(62)를 통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외측으로 배출되는 유체의 일부가 수직바(104)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조절부(70)의 중앙부를 통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설정된 압력 이상이 배출된 이후에는, 탄성부(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는 상측밀폐부재(120)가 하측밀폐부재(13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측밀폐부재(120)와 하측밀폐부재(130)의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내통(30)과 상부히터부(20)의 사이에 진공패킹부(40)가 설치되므로, 내통(30)의 내측을 저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리 대상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
제1외통(150)과 제2외통(160)의 사이에는 공기의 보열공간이 형성되므로, 내통(30)의 균일 가열이 가능하며, 제1외통(150)과 제2외통(160)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온도가 설정 온도로 높아지는 경우, 공기배출부(180)가 동작되어 전기밥솥(1)의 외측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제1외통(150)과 제2외통(160)의 사이에 지지패킹부(190)가 설치되므로, 제1외통(150)과 제2외통(160) 사이에 가열된 공기가 외측으로 누설됨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은, 구동부(65)의 동작으로 배출되는 증기압을 자동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기호나 음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조리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밥솥(1)에 음식물을 보관함에 있어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자동밸브부(50)를 통하여 전기밥솥(1) 내외측의 공기가 유동됨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전기밥솥(1) 내측의 공기가 고온상태에서 식어짐으로 형성된 저압의 저진공 상태를 유지하므로 음식물의 저장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B"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킹부가 하부케이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제1외통(210)이 설치되며, 제1외통(210)의 외측에 제2외통(220)이 설치된다.
제1외통(210)은, 밥솥 형상의 제1외통몸체(212)와, 제1외통몸체(212)의 상부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굽힘부재(214)를 포함한다.
제1외통(210)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제2외통(220)은, 밥솥 형상의 제2외통몸체(222)와, 제2외통몸체(222)의 상부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굽힘부재(224)를 포함하며, 제1굽힘부재(214)의 하측에 제2굽힘부재(224)가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하부케이스부(230)의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지지부재(23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지지부재(232)의 일단에 연결된 삽입부재(234)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내통(30)과 제1외통(210)의 사이에는 지지패킹부(240)가 설치되어 내통(30)과 제1외통(210)의 사이로 유출되는 유체를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킹부(240)는, 내통(30)의 상부와 제1외통(210)의 상부 사이로 인입되는 제1걸림부재(242)와, 제1걸림부재(242)에서 연장되어 제1외통(2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걸림부재(244)와, 제2걸림부재(244)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걸림부재(246)를 포함한다.
내통(3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지지패킹부(24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248)가 돌출되어 내통(30)의 외측면에 접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연장걸림부재(246)의 상측에는 링 형상의 고정커버(250)가 하부케이스부(230)에 고정되어 연장걸림부재(246)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1)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킹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0)의 외측에 제1외통(211)이 설치되며, 이러한 제1외통(211)은 밥솥 형상의 제1외통몸체(213)와, 제1외통몸체(213)의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굽어지는 제1굽힘부재(215)를 포함한다.
제1굽힘부재(215)가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패킹부(250)는, 제1굽힘부재(215)의 상측에서 내통(30)의 외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부재(252)와, 제1걸림부재(25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통(30)의 상측에 접하는 지지돌기(256)와, 제1걸림부재(252)에서 연장되어 제1굽힘부재(215)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걸림부재(2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정용 전기밥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업소용 전기밥솥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전기밥솥에도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전기밥솥 10: 상부케이스부
20: 상부히터부 21: 고정판
22: 제1연결공 23: 상부브라켓
24: 상부히터브라켓 25: 상부히터
27: 상부전열판 28: 제2연결공
30: 내통 40: 진공패킹부
42: 패킹몸체 43: 내측홈
45: 제1날개부재 46: 제2날개부재
47: 제2날개몸체 48: 실링돌기
50: 자동밸브부 52: 밸브케이스
54: 제1케이스 55: 제1장착부
56: 제1장착면 57: 방열돌기
58: 제2장착부 60: 제2케이스
61: 제2케이스몸체 62: 압력배출관로
63: 회전방지돌기 65: 구동부
67: 모터 68: 구동기어
70: 회전조절부 72: 종동기어
74: 회전조절몸체 76: 높이조절경사돌기
78: 가이드돌기 80: 이동부
82: 이동베이스 84: 높낮이돌기
86: 가이드홈 88: 걸림홈
90: 이동케이스부 92: 이동케이스몸체
94: 가이드레일 96: 걸림턱
97: 회전방지공 98: 높이가이드홈
99: 결합홈 100: 가압부재
102: 지지판 104: 수직바
110: 탄성부 112: 제1가압부재
114: 제2가압부재 120: 상측밀폐부재
122: 제1밀폐판 124: 결합돌기
130: 하측밀폐부재 132: 제2밀폐판
134: 압력배출공 137: 자동밸브패킹
140: 하부히터부 142: 하부전열부
143: 하부히터브라켓 145: 하부히터
150: 제1외통 152: 제1외통몸체
154: 지지단차 156: 걸림돌기
158: 상측지지편 160: 제2외통
161: 배기공 162: 제2외통몸체
164: 하측지지편 166: 연장편
170: 장착감지센서부재 180: 공기배출부
182: 바이메탈몸체 184: 차폐돌기
190: 지지패킹부 192: 제1걸림부재
194: 제2걸림부재 196: 연장걸림부재
198: 지지돌기 200: 하부케이스부
201: 케이스몸체 202: 내측연장부재
207: 베이스부재 208: 탄성힌지부
210: 제1외통 212: 제1외통몸체
214: 제1굽힘부재 220: 제2외통
222: 제2외통몸체 224: 제2굽힘부재
230: 하부케이스부 232: 내측지지부재
234: 삽입부재 240: 지지패킹부
242: 제1걸림부재 244: 제2걸림부재
246: 연장걸림부재 248: 지지돌기
250: 고정커버 211: 제1외통
213: 제1외통몸체 215: 제1굽힘부재
250: 지지패킹부 252: 제1걸림부재
254: 제2걸림부재 256: 지지돌기

Claims (15)

  1. 상부케이스부(10);
    상기 상부케이스부(10)에 고정되며, 하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상부히터부(20);
    상기 상부히터부(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조리 대상물이 담겨지는 내통(30);
    상기 상부히터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30)과 연통하며, 모터(67)의 회전동력으로 동작되어 가압력이 조절되며, 상기 상부히터부(20)와 상기 내통(30) 사이에 형성된 압력을 배출시킨 후 다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밸브부(50);
    상기 내통(3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으로 열을 발산시키는 하부히터부(140);
    상기 하부히터부(140)를 지지하며 상기 내통(3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외통(150);
    상기 제1외통(150)과 이격되어 보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외통(15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외통(160); 및
    상기 제1외통(150)의 상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내통(30)과 상기 제1외통(150) 사이의 상측 공간을 차폐하는 지지패킹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히터부(20)는, 상기 상부케이스부(10)에 고정되는 고정판(21);
    상기 고정판(2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히터브라켓(24)을 구비하는 상부브라켓(23);
    상기 상부히터브라켓(24)의 내측에 고정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상부히터(25); 및
    상기 내통(30)과 마주하며 상기 상부히터(25)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브라켓(23)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열을 상기 내통(30)의 내측으로 전달하는 상부전열판(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30)과 마주하는 상기 상부히터부(2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상부히터부(20)와 상기 내통(30)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진공패킹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킹부(40)는, 상기 상부전열판(27)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상부전열판(27)의 테두리가 인입되는 내측홈(43)을 구비하는 패킹몸체(42);
    상기 패킹몸체(4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전열판(27)의 외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날개부재(45); 및
    상기 패킹몸체(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2날개부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날개부재(46)는, 상기 패킹몸체(42)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부전열판(27)과 상기 내통(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날개몸체(47); 및
    상기 내통(30)과 마주하는 상기 제2날개몸체(47)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통(30)의 내측면에 접하는 복수의 실링돌기(48);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패킹부(40)는 상기 상부히터부(20)의 하측 테두리에 구비된 플랜지부(29)에 접하여 상기 내통(30)이 설치된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히터부(20)와 상기 내통(30)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밸브부(50)는, 상기 고정판(21)에 고정되며, 제1장착부(55)와 제2장착부(58)를 구비하는 밸브케이스(52);
    상기 제1장착부(55)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65);
    상기 구동부(65)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장착부(58)에서 회전되며, 내측에는 경사지게 돌출된 높이가 점차로 증가하는 높이조절경사돌기(76)를 구비하는 회전조절부(70);
    상기 높이조절경사돌기(76)에 접하는 높낮이돌기(84)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경사돌기(76)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80);
    상기 이동부(80)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8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케이스부(90);
    상기 이동부(80)와 상기 이동케이스부(9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판(102)과, 상기 지지판(102)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8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수직바(104)를 구비하는 가압부재(100);
    상기 가압부재(100)를 하측으로 탄성 가압하며, 상기 회전조절부(70)의 회전으로 탄성력이 가변되는 탄성부(110);
    상기 이동케이스부(90)의 하측에 연결되며, 제1밀폐판(122)이 하측에 구비되는 상측밀폐부재(120); 및
    상기 상측밀폐부재(12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통(30)의 내측과 연통되는 압력배출공(134)이 구비되는 하측밀폐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케이스(52)는, 상기 제1장착부(55)와 상기 제2장착부(58)를 구비하는 제1케이스(54); 및
    상기 제1케이스(54)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측밀폐부재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며 배출되는 유체를 상기 상부케이스부(1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압력배출관(62)로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케이스부(90)에 구비된 회전방지공(97)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케이스부(90)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방지돌기(63)를 구비하는 제2케이스(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장착부(55)는, 상기 구동부(65)가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면(56); 및
    상기 제1장착면(56)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부(65)를 지지하며, 상기 제1장착면(56)과 상기 구동부(65)의 사이에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방열돌기(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5)는, 상기 제1장착부(55)에 고정되는 모터(67); 및
    상기 모터(67)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70)는, 상기 구동기어(68)에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72); 및
    상기 종동기어(7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회전조절몸체(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80)는, 상기 회전조절몸체(7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이동케이스부(90)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중앙에는 상기 수직바(104)가 관통되는 이동베이스(82);를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돌기(84)는 상기 수직바(104)를 중심으로 상기 이동베이스(82)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10)는, 상기 회전조절부(70)에 상측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102)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1가압부재(112); 및
    상기 제1가압부재(112)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80)에 상측이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102)에 하측이 지지되는 제2가압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통(16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보열공간의 온도에 따라 배기공(161)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공기배출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통(150)은, 상기 하부히터부(140)와 상기 내통(30)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외통몸체(152);
    상기 제1외통몸체(152)의 상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굽어지는 지지단차(154);
    상기 지지단차(154)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56); 및
    상기 걸림돌기(156)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지지편(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통(160)은, 상기 제1외통몸체(15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외통몸체(162);
    상기 제2외통몸체(162)의 상측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측지지편(158)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지지편(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180)는, 상기 제2외통(160)의 하부에 고정되며, 온도 상승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이 상측으로 굽어지는 바이메탈몸체(182); 및
    상기 바이메탈몸체(182)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공(161)을 개폐하는 차폐돌기(1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KR1020140030413A 2014-03-14 2014-03-14 전기밥솥 KR101458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13A KR101458598B1 (ko) 2014-03-14 2014-03-14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413A KR101458598B1 (ko) 2014-03-14 2014-03-14 전기밥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66A Division KR101432165B1 (ko) 2012-12-31 2012-12-31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049A KR20140088049A (ko) 2014-07-09
KR101458598B1 true KR101458598B1 (ko) 2014-11-11

Family

ID=5173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413A KR101458598B1 (ko) 2014-03-14 2014-03-14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882B1 (ko) * 2015-01-14 2017-01-16 (주)삼미통상 전기조리기구
EP3536199B1 (en) * 2016-12-02 2020-10-07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Split-type electric pressure cooker
CN106618259A (zh) * 2017-02-22 2017-05-10 合肥舒实工贸有限公司 一种烹饪加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544U (ko) * 1996-07-24 1998-04-30 박지헌 전기보온밥손의 증기압제어장치
KR0128707Y1 (ko) * 1995-02-16 1998-10-15 정광순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JP2004049897A (ja) 2003-05-30 2004-02-19 Zojirushi Corp 炊飯器
KR200430656Y1 (ko) 2006-08-11 2006-11-1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압력 보온 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707Y1 (ko) * 1995-02-16 1998-10-15 정광순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KR980006544U (ko) * 1996-07-24 1998-04-30 박지헌 전기보온밥손의 증기압제어장치
JP2004049897A (ja) 2003-05-30 2004-02-19 Zojirushi Corp 炊飯器
KR200430656Y1 (ko) 2006-08-11 2006-11-1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압력 보온 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049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29962A (ja) 電気炊飯器
KR101458598B1 (ko) 전기밥솥
US20080190301A1 (en) Stir cooker
US20140373729A1 (en) Electric rice cooker
KR101432165B1 (ko) 전기밥솥
KR101549992B1 (ko) 전기밥솥
JP2013244107A (ja) 電気炊飯器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KR101458597B1 (ko) 전기밥솥
JP6289414B2 (ja) 調理器
KR101574791B1 (ko) 전기밥솥
JP4799271B2 (ja) 炊飯器
KR101574792B1 (ko) 전기밥솥
KR101574793B1 (ko) 전기밥솥
JP6523993B2 (ja) 炊飯器
KR102355783B1 (ko) 전기조리기
KR100827406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의 비복귀형 증기 배출장치
KR102158281B1 (ko) 진공압력용기의 일체형 진공압력조절 및 진공해제 밸브
KR20170010971A (ko) 압력밥솥 덮개
JP5348454B2 (ja) 炊飯器
KR102427182B1 (ko) 전기조리기
JP2013244106A (ja) 電気炊飯器
KR101912357B1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구조체
JP2019150412A (ja) 炊飯器
JP6998519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