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987B1 - 카메라 홀더 - Google Patents

카메라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987B1
KR101573987B1 KR1020130153781A KR20130153781A KR101573987B1 KR 101573987 B1 KR101573987 B1 KR 101573987B1 KR 1020130153781 A KR1020130153781 A KR 1020130153781A KR 20130153781 A KR20130153781 A KR 20130153781A KR 101573987 B1 KR101573987 B1 KR 10157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older
frame body
frame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045A (ko
Inventor
폴 티. 장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폴 티.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폴 티. 장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9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8Camera cases, e.g. of ever-ready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착용 가능한 카메라 홀더가 개시된다. 본 카메라 홀더는, 카메라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홀더 본체, 홀더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카메라 홀더가 착용된 경우 카메라 홀더에 수용된 카메라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홀더 본체를 고정시키는 벨트 및 카메라 홀더를 착용시키기 위한 스트랩이 걸리는 스트랩 걸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홀더{CAMERA HOLDER}
본 발명은 카메라 홀더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이동성 및 사용성이 편리한 카메라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문 사진가들이 자주 쓰는 DSLR 카메라 또는 SLR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와, 여러 특성을 가지는 렌즈들, 그리고 때로는 렌즈 후드, 외장 배터리, 외장 플래쉬 라이트(External Flash light)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구성품들로 이루어진 카메라를 가지고 다닐 때, 통상 카메라를 카메라 가방에 넣거나 카메라 홀더 등에 걸쳐서 이동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렌즈, 렌즈 후드, 외장 배터리, 외장 플래쉬 라이트 등이 조립된 카메라를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카메라 가방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카메라 가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렌즈, 렌즈 후드, 외장 배터리, 외장 플래쉬 라이트 등을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카메라 가방에 넣어 보관해야 하므로, 카메라를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는, 카메라 홀더 또는 스트랩 등과 같은 간편한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빨리 촬영해야 하는 상황(예를 들면, 기자 회견, 시민 집회, 결혼식 등의 행사 등)을 고려하여 카메라 전체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고, 몸에 고정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뛰거나, 의자에 앉을 때 등과 같은 사용자의 움직임 발생시 몸과의 마찰 및 덜렁거림으로 인하여 카메라가 쉽게 손상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보호하고, 카메라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홀더는, 카메라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 홀더가 착용된 경우 상기 카메라 홀더에 수용된 카메라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홀더 본체를 고정시키는 벨트 및 상기 카메라 홀더를 착용시키기 위한 스트랩이 걸리는 스트랩 걸이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이동성이 좋으며, 카메라 사용시 카메라를 쉽게 빼낼 수 있고, 사용후에는 카메라를 간단히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울기 조절부를 이용하여, 몸에 착용된 카메라 홀더 내 카메라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사진 찍는 자세로 임할 수 있는 편리한 기울기(사진찍는 자세로 임할 수 있는 최단 괘적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는 바,사용자의 사용 편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된 홀더 본체의 일면을 통해 카메라 렌즈가 노출 가능하여, 카메라 렌즈가 조립된 상태로 홀더 본체에 수용되므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할 때 재조립 과정없이 바로 꺼내어 촬영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파지부도 개방된 홀더 본체의 일면을 통해 노출 가능하여, 사용자는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홀더 본체의 일면으로 노출된 카메라의 파지부를 잡고 바로 촬영할 수 있으므로, 재빨리 촬영해야 하는 상황(예를 들면, 기자 회견, 시민 집회, 결혼식 등의 행사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외장 배터리 및 외장 플래쉬 라이트도, 개방된 홀더 본체의 일면을 통해 노출 가능하여, 카메라의 외장 배터리 및 외장 플래쉬 라이트가 조립된 상태로 홀더 본체에 수용되므로, 상술한 편리함들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몸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구성품들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효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홀더 본체의 내부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이 홀더 본체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메라 홀더에 카메라를 수용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 홀더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에 카메라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 및 이에 내장된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에 카메라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에 카메라가 수용된 상태에서의 기울기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1)는, 크게 카메라(C)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홀더 본체(10), 홀더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20),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홀더 본체를 고정시키는 벨트(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은 홀더 본체(10)의 내부에서 홀더 본체(10)에 지지되어 홀더 본체(10)를 보강하고, 카메라 홀더(1)에 수용된 카메라(C)가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 프레임(20)은 홀더 본체(10) 보다 높은 경도의 견고한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20)은, 도 3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몸체(21), 제2 프레임 몸체(22) 및 경첩(26)과, 회전부(23) 및 회전 각도 제한부(24)를 포함하는 기울기 조절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몸체(21)는 경첩(26)을 통해 제2 프레임 몸체(22)와 연결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구부러져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면은, 사용자의 카메라 홀더(1) 착용시,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는 면으로, 평평한 형태일 수 있다.
제2 프레임 몸체(22)는 경첩(26)을 통해 제1 프레임 몸체(21)의 제1 면과 연결되고, 카메라의 렌즈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경첩(26)은 제1 프레임 몸체(21) 및 제2 프레임 몸체(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 몸체(21) 및 제2 프레임 몸체(22)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제1 프레임 몸체(21) 및 제2 프레임 몸체가 경첩의 최대 각도로 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프레임 몸체(22)에 제1 프레임 몸체(21)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프레임 몸체(21)와 제2 프레임 몸체(22) 사이의 각도는 작아지면서, 제2 프레임 몸체(22)는 제1 프레임 몸체(21)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의 파지부(103)(구체적으로, 카메라(C)의 셔터가 위치되어 촬영시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가 위치하는 방향(도 4의 스트랩 걸이(50-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1 프레임 몸체(21)의 제2 면의 길이(d1)는 제2 프레임 몸체(22)의 길이(d2)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홀더에 수용된 카메라(C)의 파지부(103)는 d3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홀더에 수용된 카메라(C)의 파지부(103) 및 렌즈부(104)의 사이의 틈에는 제2 프레임 몸체(22)의 일부 영역(22-1)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메라 홀더(1)를 착용하는 경우, 일부 영역(22-1)은 수용된 카메라(c)에 대한 중력 가속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울기 조절부는, 제1 프레임 몸체(21)에 위치하는 회전부(23), 회전 각도 제한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3)는, 카메라 홀더(1)가 착용된 경우 카메라 홀더(1)에 수용된 카메라(c)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 몸체(21)에 위치한 회전축(25)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23)는 상기 기울어진 정도의 고정을 위하여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각도 제한부(24)는, 도 5와 같이, 회전부(23)의 회전 가능 각도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각도 제한부(24)는 제1 고정부와 결합하여 회전부(23)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 제2 고정부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양자 택일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고정부가 돌출부로 구현되는 경우, 제2 고정부는 오목부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회전부(23)를 원하는 기울기 정도로 회전시키고, 제1 고정부를 회전 각도 제한부(24)의 제2 고정부에 끼움으로써, 회전부(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메라 홀더(1)를 착용한 경우, 카메라 홀더(1)에 수용된 카메라(c)의 기울어진 정도는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 조절부의 기능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홀더 본체(10)는 지지 프레임(20)을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 프레임(2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홀더 본체(10)는 제1 프레임 몸체(21)를 감싸는 제1 홀더 본체(11), 제1 홀더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프레임 몸체(22)를 감싸는 제2 홀더 본체(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홀더 본체(11)는 제1 프레임 몸체(21)의 형상을 따라 제1 프레임 몸체(2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홀더 본체(12)는 제1 홀더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프레임 몸체(22)의 형상을 따라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홀더 본체(12)의 판면에는 벨트(35)의 고정을 위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홀더 본체(11), 제2 홀더 본체(12)에 의하여 카메라(C)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0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공간(10a)은 제1 홀더 본체(11), 제2 홀더 본체(12)에 의하여 폐쇠된 영역 외에는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도 1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정면, 배면, 하부면은 폐쇠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좌측면, 우측면, 상부면을 개방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파지부(103), 렌즈부(104), 외장 배터리(101) 및 외장 플래쉬 라이트(102)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 가능할 수 있다.
즉, 도 1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카메라 렌즈(104)의 길이가 긴 카메라(C)도, 개방된 홀더 본체(10)의 우측면을 통해 노출 가능하여, 카메라 렌즈(104)가 조립된 상태로 홀더 본체(10)에 수용되므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할 때 재조립 과정없이 바로 꺼내어 촬영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카메라의 파지부(103)도 개방된 홀더 본체(10)의 좌측면을 통해 노출 가능하여, 사용자는 벨트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홀더 본체(10)의 좌측면으로 노출된 카메라의 파지부(103)를 잡고 바로 촬영할 수 있으므로, 재빨리 촬영해야 하는 상황(예를 들면, 기자 회견, 시민 집회, 결혼식 등의 행사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카메라의 외장 배터리(101) 및 외장 플래쉬 라이트(102)도, 개방된 홀더 본체(10)의 좌측면을 통해 노출 가능하여, 카메라의 외장 배터리(101) 및 외장 플래쉬 라이트(102)가 조립된 상태로 홀더 본체(10)에 수용되므로, 상술한 편리함들이 더욱 커질 수 있다.
한편, 벨트(35)는 돌출부(30)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기 위한 복수 개의 구멍(35a,35b,35c,35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벨트(35)의 구멍(35a,35b,35c,35d)을 돌출부(30)에 끼움으로써, 제1 홀더 본체(11)와 제2 홀더 본체(1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거나, 벨트(35)의 구멍(35a,35b,35c,35d)을 돌출부(30)에서 뺌으로써 제1 홀더 본체(11)와 제2 홀더 본체(1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벨트(35)는 홀더 본체(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벨트(35)는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렌즈(104)의 직경에 따라, 돌출부(30)에 끼우는 구멍(35a,35b,35c,35d)을 다르게 하여 수용 공간(10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0)의 헤드는 구멍(35a,35b,35c,35d)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구멍(35a,35b,35c,35d)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구멍(35a,35b,35c,35d)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가 구멍(35a,35b,35c,35d)을 통과할 때에는 홀더 본체(10)의 유연한 재질 특성에 따라, 구멍(35a,35b,35c,35d)은 돌출부(31)가 통과 가능할 정도로만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 본체(10)는 가죽, 천, 플라스틱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홀더(1)의 배면에는 홀더 본체(10)를 몸에 착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트랩(40)이 걸리는 스트랩 걸이(50-1,50-2)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랩(40)은 카메라 홀더(1)를 어깨에 메기 위한 어깨끈이거나, 허리에 두르기 위한 허리끈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어깨 또는 허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카메라 홀더(1)를 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스트랩 걸이(50-1,50-2)는 어깨끈과 대응하여 어깨끈의 양단이 걸리는 어깨끈 고리 또는, 허리끈과 대응하여 허리끈이 통과하여 걸리는 허리끈 걸이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 홀더(1)를 어깨에 메거나 또는 허리에 두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에 카메라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카메라 홀더(1)를 어깨끈을 사용하여 어깨에 멜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홀더(1)에 카메라(C)를 수용시키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 홀더(1)의 수용 공간(10a)의 크기를 작게 조절 하여, 카메라 홀더(1)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제1 프레임 몸체(21) 및 제2 프레임 몸체가 경첩(26)의 소정 각도로 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프레임 몸체(22)에 제1 프레임 몸체(21)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경첩(26)의 회전 운동으로 제1 프레임 몸체(21)와 제2 프레임 몸체(22) 사이의 각도는 작아지면서, 제2 프레임 몸체(22)는 제1 프레임 몸체(21)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홀더(1)의 수용 공간(10a)의 크기는 최대한으로 작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돌출부(30)를 구멍(35d)를 끼움으로써, 카메라 홀더(1)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로 고정 시킬 수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카메라 홀더(1)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인 상태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에 카메라가 수용된 상태에서의 기울기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회전부(23)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홀더(1)에 수용된 카메라(c)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 홀더(1)에 수용된 카메라(c)의 무게에 따라 카메라(c)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c)의 장시간 소지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홀더(1)가 스트랩(40)에 의해 몸에 착용되었을 때, 카메라(C)의 파지부(103) 및 렌즈부(104)의 사이의 틈에는 제2 프레임 몸체(22)의 일부 영역(22-1)이 위치되어 카메라(C)가 받쳐짐으로써, 카메라(C)의 낙하가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부피가 큰 카메라 가방과는 달리,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이동성이 좋으며, 카메라 사용시 카메라(C)를 쉽게 빼낼 수 있고, 사용후에는 카메라(C)를 간단히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프로(pro)용 카메라 홀더와는 달리, 카메라(C)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C)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구성품들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효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 본체(10)의 내부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20)이 더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20)이 홀더 본체(10)를 보강함으로써, 홀더 본체(10)가 느슨해진 경우 카메라(C)의 낙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홀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멍의 개수는 4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시에 잠금 기능을 하기 위해 벨트의 구멍 및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으나,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공지된 범위의 다른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 : 카메라 홀더 10 : 홀더 본체
11 : 제1 홀더 본체 12 : 제2 홀더 본체
21 : 제1 프레임 몸체 22 : 제2 프레임 몸체
23 : 회전부 24 : 회전 각도 제한부
30 : 돌출부 35 : 벨트
40 : 스트랩 50 : 스트랩 걸이

Claims (12)

  1. 착용 가능한 카메라 홀더에 있어서,
    카메라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 홀더가 착용된 경우 상기 카메라 홀더에 수용된 카메라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홀더 본체를 고정시키는 벨트; 및
    상기 카메라 홀더를 착용시키기 위한 스트랩이 걸리는 스트랩 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울기 조절부가 위치하고, 일부 면이 평평한 형태인 제1 프레임 몸체;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감싸는 형태로 구부러진 형태인 제2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 프레임 몸체가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에 근접하도록, 또는 상기 제2 프레임 몸체가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에 근접하도록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파지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에 회전축이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기울어진 정도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가능 각도를 제한시키고,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전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홀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를 감싸는 제1 홀더 본체; 및
    상기 제1 홀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감싸는 제2 홀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1 홀더 본체, 상기 제2 홀더 본체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홀더 본체, 상기 제2 홀더 본체에 의하여 폐쇠된 영역 외에는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파지부, 렌즈부, 외장 배터리 및 외장 플래쉬 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 본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제1 홀더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기 위한 복수 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일부 영역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 및 파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어깨끈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 걸이는 상기 어깨끈의 양단이 걸리는 어깨끈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홀더 본체 보다 높은 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홀더.
KR1020130153781A 2013-12-11 2013-12-11 카메라 홀더 KR10157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81A KR101573987B1 (ko) 2013-12-11 2013-12-11 카메라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781A KR101573987B1 (ko) 2013-12-11 2013-12-11 카메라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45A KR20150068045A (ko) 2015-06-19
KR101573987B1 true KR101573987B1 (ko) 2015-12-02

Family

ID=5351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781A KR101573987B1 (ko) 2013-12-11 2013-12-11 카메라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9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941A (ja) 2005-07-27 2007-02-08 Olympus Imaging Corp 携帯用撮像機器、携帯用撮像機器用のハンドグリップ
KR200467694Y1 (ko) * 2012-05-31 2013-07-01 폴 티. 장 카메라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3941A (ja) 2005-07-27 2007-02-08 Olympus Imaging Corp 携帯用撮像機器、携帯用撮像機器用のハンドグリップ
KR200467694Y1 (ko) * 2012-05-31 2013-07-01 폴 티. 장 카메라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045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644B2 (ja) 改良型カメラ搬送システム及び方法
ES2381156T3 (es) Dispositivo de cámara
US9402016B1 (en) Electronic device mount
JP2018515798A (ja) 携帯デジタル装置用の一体型拡張および機械的保護システム
JP2008199586A (ja) 多機能収納器具
US20060151563A1 (en) Wearable device-securing system
JP2005523471A (ja) 一体型レンズ付属物、遮光材およびカメラレンズカバー
KR200467694Y1 (ko) 카메라 홀더
KR101028070B1 (ko) 삼각대가 구비된 카메라용 배낭
KR102059389B1 (ko) 카메라 가방
KR101573987B1 (ko) 카메라 홀더
JP3133640U (ja) カメラケース
KR101018317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 카메라 지지 장치
JP2007105091A (ja) カメラバッグ
WO2008013503A1 (en) Dual-function body support for a tripod
JP4032480B2 (ja) ビデオカメラ用キャリングケース
JP3217153U (ja) タブレット型端末収納ケース
JPS60202432A (ja) 撮影機材の保持装置
KR101120384B1 (ko) 카메라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네스
KR20220033291A (ko) 셀프카메라용 액세서리 세트
KR20220032175A (ko)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JP2004062125A (ja) カメラの交換レンズホルダ
KR101367647B1 (ko) 가방
KR200252481Y1 (ko) 카메라 휴대용 벨트
CA2807311A1 (fr) Dispositif accessoire d`appareil mobile pour la prise de photos/videos, systeme et procedes asso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