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175A -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175A
KR20220032175A KR1020200113625A KR20200113625A KR20220032175A KR 20220032175 A KR20220032175 A KR 20220032175A KR 1020200113625 A KR1020200113625 A KR 1020200113625A KR 20200113625 A KR20200113625 A KR 20200113625A KR 20220032175 A KR20220032175 A KR 2022003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uilt
smartphone holder
tripo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윙
Priority to KR102020011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175A/ko
Publication of KR2022003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는 삼각대의 베이스에 장착되며 중앙에 SLR카메라의 바디가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스마트폰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Quick shoe with built-in smartphone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LR카메라 및 스마트폰을 삼각대에 고정하도록 홀더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카메라는 성능이나 구성, 그리고 가격이나 크기 등의 특성이 유사한 몇 가지 제품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구분하는 디지털카메라의 종류는 컴팩트(Compact) 카메라, 하이엔드(High-End) 카메라,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 미러리스(mirrorless), 혹은 하이브리드(hybrid) 카메라가 있다.
컴팩트(Compact) 카메라와 하이엔드 카메라는 2000년을 전후하여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나, 그 보다 성능이 우수한 DSLR 카메라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2005년 즈음부터 시장에서 점차 외면받기 시작했다.
SLR 카메라란 렌즈와 필름 사이에 거울이나 펜타프리즘(오각형의 프리즘) 등의 광학 장치를 배치한 것이다. 렌즈를 통해 들어온 화상을 초점 스크린에 투사함과 동시에, 렌즈에 들어온 화상을 직접 반사하여 뷰 파인더에 정확히 맺히게 하기 때문에 촬영자가 보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SLR 카메라는 제품의 크기가 크고 내부 공간에도 여유가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더할 수 있으며, 다양한 렌즈를 장착하기에도 유리하다. 대부분의 SLR 카메라는 사용자가 직접 렌즈를 교환,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장착된 렌즈의 종류에 따라 사진의 특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진 연출이 필요한 전문가들이 애용한다.
SLR 카메라를 사용할 때에 손떨림을 방지하거나 셀프카메라를 찍기 위해 삼각대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진을 찍을 때에도 삼각대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SLR 카메라와 스마트폰은 크기 및 중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삼각대를 구비해야 하야 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118743호 (2012년 10월 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SLR 카메라용 삼각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까지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크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는 삼각대의 베이스에 장착되며 중앙에 SLR카메라의 바디가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스마트폰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볼트가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테두리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 홀더가 접혔을 때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부에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도록 홈모양의 스마트폰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홀더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재와, 상기 로드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SLR카메라의 바디가 안착되었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마트폰 홀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걸림동작을 하는 걸림편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내측에 장착되는 스마트폰의 바디가 안착되었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재는 상기 스마트폰 홀더가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걸림편에 걸림동작을 하는 걸림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의하면, SLR 카메라용 삼각대에 스마트폰도 거치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스마트폰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스마트폰용 삼각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부분이 가변되므로 스마트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배면방향에서 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로드가 프레임 내부로 수용되고 지지대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프레임이 본체 내부로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스마트폰이 장착되고 삼각대 베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SLR카메라가 장착되고 삼각대 베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배면방향에서 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는 삼각대의 베이스(20)에 장착되며 중앙에 SLR카메라(40)의 바디가 체결되는 볼트(121)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30)을 거치하기 위한 스마트폰 홀더(2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테두리부(110), 체결부(120), 수용부(130), 스마트폰 안착부(140) 및 미끄럼방지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테두리부(110)는 본체(100)의 외측면 테두리를 구성하며, 후술할 삼각대의 베이스(20)와 슬라이딩 장착되도록 양측면에 가이드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홈(111)은 SLR카메라에 사용되는 삼각대의 베이스(20)에 맞춰 슬라이딩 장착되도록 형상을 구비하고 본체(100)가 삼각대의 베이스(20)에서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20) 자체에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120)는 본체(100)의 중앙에 구비되어 테두리부(1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는 중앙에 SLR카메라(40)와 결합하도록 볼트(121)가 구비되며, 볼트(121)는 본체(100) 하단에서 상단으로 관통하고 본체(100)의 하단에서 볼트(121)를 조절해 SLR카메라(40)를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수용부(130)는 후술할 스마트폰 홀더(200)가 수용되도록 본체(10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수용된 스마트폰 홀더(200) 위에 SLR카메라(40)가 장착되도록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의 일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수용부(130)는 후술할 프레임(210)이 수용되는 프레임수용홈(132), 후술할 지지대(250)가 수용되는 지지대수용홈(133) 및 후술할 연결재(230)와 장착되어 SLR카메라(40)가 장착되도록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를 수용하고 고정시키는 걸림편(131)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수용홈(132)은 체결부(120)의 테두리를 둘러 싸는 형태의 홈으로 구비되며, 지지대수용홈(133)의 일부와 이어져 로드(220) 및 지지대(250)를 함께 수용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 안착부(140)는 스마트폰 홀더(200)와 인접한 테두리부(110)와 체결부(120)의 상면에 홈모양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스마트폰(30)이 스마트폰 홀더(200)에 장착되었을 때, 스마트폰(30)이 본체(100)의 하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착되도록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150)는 테두리부(110), 체결부(120) 및 스마트폰 안착부(140)의 상면에 구비되어 SLR카메라(40) 및 스마트폰(30)이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재(15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150)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이 일정한 규격으로 돌출형상되며, 스마트폰 안착부(140)의 경우 스마트폰(3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표면을 매끄러운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홀더(200)는 프레임(210), 로드(220), 연결재(230), 걸림대(231), 탄성부재(240) 및 지지대(250)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내부에 체결부(120)를 수용시키도록 관통되는 빈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서 로드(220)를 슬라이딩시켜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도록 내부에 로드(220)를 수용시키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210)은 본체(100)의 내측에서 힌지(201)로 결합되어 수용부(130)에 수용되고 반대로 힌지(201)를 통해 회전시켜 프레임(210)을 수용부(130)에서 꺼낼 수 있다. 프레임(210)은 테두리부(110)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 힌지(201)를 결합할 때, 테두리부(110)의 양측면을 관통시켜 결합되고 힌지(201)가 90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테두리부(110) 일면이 지지역할을 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외측면에 사용자가 연결재(230)를 길이방향으로 가변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로드(220)는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며, 프레임(210)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가변할 수 있다.
연결재(230)는 로드(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로드(220)가 프레임(210)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연결재(230)가 프레임(210)의 상부와 맞대어져 있으며, 연결재(230)를 길이방향으로 당기면 로드(22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가변될 수 있다.
연결재(230)는 프레임(210)과 지지대(250)가 본체(100)의 수용부(130)에 수용될 때, 프레임(210)과 지지대(250)가 수용부(130)에 고정되도록 수용부(130)의 걸림편(13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대(231)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재(230)는 수용부(130)에 수용되었을 때, SLR카메라(4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재(150)를 일면에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프레임(210) 내부에 구비되어 로드(220)가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가변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로드(220)를 프레임(210) 내부로 당기려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어, 로드(220) 상부에 구비된 연결재(230) 및 지지대(250)가 스마트폰(30)에 맞대어지면 탄성부재(240)가 탄성력으로 스마트폰(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대(250)는 양측면이 관통된 연결재(230)에 힌지(201)로 결합되며, 스마트폰(30)의 일면과 맞대어지도록 스마트폰 안착부(140)와 같은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250)는 내측에 멈춤턱(미도시)이 구비되어 연결재(230)에 결합된 힌지(201)가 90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대(250)는 연결재(230)에 결합된 힌지(201)를 통해 프레임(210)으로 회전되어 수용부(13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지지대(250)의 일단이 프레임(210)의 형상에 맞춰 홈을 구비하는 프레임조립홈(252)을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판(251)은 지지대(250)가 스마트폰 안착부(140)를 바라보는 방향에 구비되어 스마트폰(30)이 스마트폰 홀더(200)에 장착될 때, 스마트폰(30) 하부는 스마트폰 안착부(140)의 미끄럼방지부재(150)에 맞대어지고 스마트폰(30) 상부는 지지대(250)의 미끄럼방지판(251)에 맞대어지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판(251)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미끄럼방지판(251)은 스마트폰(3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표면을 매끄러운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가 SLR카메라가 장착되도록 본체에 스마트폰 홀더를 내장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서 로드가 프레임 내부로 수용되고 지지대가 접힌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프레임이 본체 내부로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스마트폰 홀더(200)의 로드(220)는 프레임(210)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240)로 인하여 프레임(210) 내부로 수용되고, 지지대(250)는 연결재(230)에 결합된 힌지(201)에 의해 회전되며 프레임조립홈(252)에 프레임(210)이 수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로드(220)는 탄성부재(240)로 인하여 길이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으며, 사용자에 의해 연결재(230)를 당겼을 때에 로드(220)가 프레임(210) 밖으로 가변될 수 있다.
지지대(250)는 멈춤턱(미도시)으로 90도 이상으로 회전될 수 없으며, 프레임(210)이 구비된 방향으로만 회전되어 프레임조립홈(252)이 프레임(210)에 맞대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스마트폰 홀더(200)는 본체(100)에 결합된 힌지(201)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부(130)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연결재(230)의 걸림대(231)가 수용부(130)의 걸림편(131)에 일면이 걸려 고정되고, 걸림대(231)와 걸림편(131)으로 인하여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본체(100)의 수용부(130)에서 다시 꺼내기 용이하도록 프레임의 외측면에 사용자가 프레임(210)과 연결재(230)의 일부를 잡아서 꺼내도록 손잡이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120)는 중앙에 볼트(121)가 구비되어 SLR카메라(40)에 형성된 홀에 볼트(121)를 장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의 하단에서 볼트(121)를 조절하여 SLR카메라(40)를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가 스마트폰 및 SLR카메라에 장착된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스마트폰이 장착되고 삼각대 베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SLR카메라가 장착되고 삼각대 베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는 스마트폰 홀더(200)가 본체(100)에 결합된 힌지(201)로 회전되고 스마트폰 홀더(200)에 구비된 지지대(250)가 길이방향으로 가변될 때, 지지대(250)와 스마트폰 안착부(140) 사이에 스마트폰(30)을 안착시킬 수 있다.
먼저, 스마트폰(30)은 로드(220)가 프레임(210)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240)와 로드(22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대(250)가 스마트폰(30)을 상하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프레임(210)의 길이보다 긴 스마트폰(30)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30)은 스마트폰 안착부(14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부재(150)와 지지대(25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판(251)에 의해 마찰력이 증대되어 스마트폰(30)을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 안착부(140)는 본체(100)의 상부보다 높이가 낮게 홈으로 구비되어 스마트폰(30)의 이탈을 방지시키고, 지지대(250)는 일단이 돌출되어 스마트폰(30)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다.
가이드홈(111)은 삼각대의 베이스(20)에 슬라이딩으로 결합되어 삼각대의 베이스(20)에 구비된 고정장치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는 스마트폰 홀더(200)가 프레임(210)에 구비된 힌지(201)로 회전되어 본체(100)에 구비된 수용부(130)에 수용될 때, 지지대(250)는 프레임(210)의 일면에 맞대어지도록 힌지(201)로 회전되고 연결재(230)의 일면에 구비된 걸림대(231)가 걸림편(131)에 맞대어져 고정된 후, 체결부(120)에 SLR카메라(40)를 볼트(121)로 결합해 안착시킬 수 있다.
먼저 SLR카메라(40)는 볼트(121)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삼각대를 사용하는 도중에 풀리지 않도록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의 상부에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미끄럼방지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볼트(121)는 본체(100)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부에서 볼트(121)를 조절하며 상단에서 볼트(121)의 일부가 돌출되어 SLR카메라(40)의 바디와 결합될 수 있다.
SLR카메라(40)는 볼트(121)에 의해 결합된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로 삼각대의 베이스(20)에 슬라이딩으로 결합되어 삼각대의 베이스(20)에 구비된 고정장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SLR카메라 전용 삼각대에 구비된 베이스(20)에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10)가 결합되어 SLR카메라(40)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30)까지 장착이 가능한 삼각대를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스마트폰 전용 삼각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30)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홀더(200)는 로드(220) 및 지지대(250)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가변되므로, 스마트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20: 삼각대 베이스 30 : 스마트폰
40 : SLR카메라 100 : 본체
110 : 테두리부 111 : 가이드홈
120 : 체결부 121 : 볼트
130 : 수용부 131 : 걸림편
140 : 스마트폰 안착부 150 : 미끄럼방지부재
200 : 스마트폰 홀더 210 : 프레임
220 : 로드 230 : 연결재
231 : 걸림대 240 : 탄성부재
250 : 지지대 251 : 미끄럼방지판

Claims (7)

  1. 삼각대의 베이스에 장착되며 중앙에 SLR카메라의 바디가 체결되는 볼트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스마트폰 홀더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볼트가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테두리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마트폰 홀더가 접혔을 때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부에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도록 홈모양의 스마트폰 안착부가 구비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홀더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재와,
    상기 로드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마트폰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SLR카메라의 바디가 안착되었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마트폰 홀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걸림동작을 하는 걸림편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내측에 장착되는 스마트폰의 바디가 안착되었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재는 상기 스마트폰 홀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걸림편에 걸림동작을 하는 걸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KR1020200113625A 2020-09-07 2020-09-07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KR20220032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25A KR20220032175A (ko) 2020-09-07 2020-09-07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625A KR20220032175A (ko) 2020-09-07 2020-09-07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75A true KR20220032175A (ko) 2022-03-15

Family

ID=8081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625A KR20220032175A (ko) 2020-09-07 2020-09-07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1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743A (ko) 2011-04-19 2012-10-29 손정호 카메라 핫슈에 연결이 가능한 삼각대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743A (ko) 2011-04-19 2012-10-29 손정호 카메라 핫슈에 연결이 가능한 삼각대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4018B (zh) 用于通讯装置的可选择性接附及拆卸的镜头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US7766562B2 (en) Support cradle and strap for large camera lens
US20080310834A1 (en) Camera Holding Device
KR20220032175A (ko) 스마트폰 홀더 내장형 삼각대 플레이트
US11300857B2 (en)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US20160373156A1 (en) Mobile device videography system
JP4110268B2 (ja) カメラ
JP2007011145A (ja) ステレオ撮影用カメラ保持装置
AU2014231348B2 (en) Holder for a mobile device to capture images
JP2011066930A (ja) ビデオカメラまたはスマートフォン等ビデオ撮影機能付き携帯機器を肩や平面へ固定する道具及びシステム
KR101713471B1 (ko) 이미지 캡처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리셉터클
Wildi The Hasselblad Manual
JP2011107398A (ja) 光学装置の支持装置
WO2019148876A1 (zh) 热靴座、热靴结构和云台系统
US20150301434A1 (en) Camera lens storage and exchange device
JP2004120490A (ja) カメラ
KR101573987B1 (ko) 카메라 홀더
CN218914389U (zh) 一种可折叠支架
KR100705016B1 (ko) 카메라용 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그네틱타입 체결장치
JP2003348414A (ja) モニター付き機器
KR20090011662U (ko) 카메라 그립 장착용 절첩식 스탠드
KR101367647B1 (ko) 가방
CN112648504A (zh) 一种摄影器移动件
KR101271647B1 (ko) 카메라에 장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고정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