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895B1 - 로켓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로켓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895B1
KR101573895B1 KR1020130124535A KR20130124535A KR101573895B1 KR 101573895 B1 KR101573895 B1 KR 101573895B1 KR 1020130124535 A KR1020130124535 A KR 1020130124535A KR 20130124535 A KR20130124535 A KR 20130124535A KR 101573895 B1 KR101573895 B1 KR 101573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t launching
rocket
launching tube
tub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78A (ko
Inventor
김병화
강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신화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정공 filed Critical (주)신화정공
Priority to KR102013012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8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41F1/08Multibarrel guns, e.g. twin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5/0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 F41G5/14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for vehicle-borne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켓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는 다련장 등의 고각 구동을 위한 로켓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로켓발사관의 전후방향 무게 중심을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일방에 내장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로켓발사관이 고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고각 회전 중심이 로켓발사관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어 로켓발사관의 회전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켓발사 장치{APPARATUS FOR LAUNCHING ROCKET}
본 발명은 로켓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는 다련장 등의 고각 구동을 위한 로켓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련장 등의 로켓발사 장치는 기동성 확보를 위해 차량에 탑재되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로켓발사 장치는 금속재로 이루어는 고중량의 로켓발사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비교적 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 방식의 구동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즉, 유압 구동 장치는 로켓발사관의 후측 하단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여 유압실린더를 수축 또는 팽창시켜, 로켓발사관을 전방 또는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하지만, 종래의 유압 방식의 구동 장치는 유압을 조절하기 위해 유압 펌프, 유압호스, 오일쿨러,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가 복잡해지고 무게 및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탑재차량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기동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복수의 로켓발사관이 설치되더라도, 상술한 한계에 의해 단일의 유압 구동 장치로 구동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압 방식의 구동 장치는 로켓발사관의 후단에 회동축을 마련하여 로켓발사관의 회전 반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동력손실이 증가하며 고각조절 속도가 저하되고, 높은 구동력 및 넓은 구동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로켓발사관의 회전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로켓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압 구동 장치를 채용함에 따른 복잡한 구조, 고중량, 과체적 등의 문제점들을 배제할 수 있는 로켓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켓발사관의 회동시 동력손실 및 고각조절 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로켓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로켓발사관이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고각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로켓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로켓발사관의 전후방향 무게 중심을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일방에 내장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로켓발사관이 고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의 둘레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외측면에 지지프레임이 체결되는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로켓발사관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수평 상태를 이룰 때, 로켓발사관의 전측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관의 전측 하면에는 잠금돌기가 마련되고, 수평지지대는,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수평지지관과, 수평지지관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용되는 수평지지바와, 수평지지바의 길이 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는 완충 스프링과, 수평지지바에 체결되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단면에는 잠금홀이 형성되되, 잠금홀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되는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는 잠금 수단과, 잠금 수단의 하단에 체결되며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복수의 판재를 서로 이격시키고 잠금홀을 확경시키는 회동 스프링을 포함하며, 로켓발사관의 전방 회동시, 로켓발사관의 하중에 의해 수평지지바 및 잠금 수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잠금홀이 잠금돌기를 향하여 축경되어 밀착 고정시키고, 로켓발사관의 상방 회동시, 로켓발사관의 하중이 해제되어 완충 스프링이 수평지지바 및 잠금 수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잠금홀이 잠금돌기로부터 확경되어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관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로켓발사관 각각에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로켓발사관 각각의 회동 동작을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고각 회전 중심이 로켓발사관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어 로켓발사관의 회전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전기 모터 방식의 구동 장치를 채용하더라도 충분한 구동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 및 저중량, 저체적인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탑재시 작은 차량으로 충분한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의 회동시 동력손실 및 고각조절 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복수의 로켓발사관이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고각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교체 및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이 전후방향으로 수평 상태가 될 때 이를 지지하고 고정함으로써, 이동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 및 각종 구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내장되는 구동 모터 및 각종 구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10), 지지 프레임(120), 구동 모터(130),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 및 수평지지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바닥면을 이루며, 지지 프레임(120), 구동 모터(130),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 및 수평지지대(150) 등의 타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토대를 이룬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111)과, 하부 베이스 프레임(112)을 구비하며, 상부 베이스 프레임(111) 및 하부 베이스 프레임(112) 사이에 베이스 프레임 구동 모터(113)를 구비함으로써, 하부 베이스 프레임(112)에 대하여 상부 베이스 프레임(111)을 좌우 방향으로 360°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10)을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원이 차단된 경우, 인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수동구동 수단(114)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부 베이스 프레임(112)을 사용하고자 하는 지면, 차량, 선박 등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고정용 로켓발사 장치, 차량용 로켓발사 장치 또는 선박용 로켓발사 장치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 바람직하게는 상부 베이스 프레임(1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로켓발사관(10)의 전후방향 무게 중심을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로켓발사관(10a, 10b)을 구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에서, 우측의 로켓발사관(10a)을 일례로 살펴보면, 지지 프레임(120)은 로켓발사관(10a)의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지지 프레임(120a)과, 로켓발사관(10a)의 좌측에 마련되는 중앙 지지 프레임(120b)의 한 쌍으로 마련된다. 우측 지지 프레임(120a)은 로켓발사관(10a)의 우측에, 바람직하게는 로켓발사관(10a)을 수용하는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의 우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중앙 지지 프레임(120b)은 로켓발사관(10a)의 좌측에, 바람직하게는 로켓발사관(10a)을 수용하는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의 좌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종래에 로켓발사관의 후단을 고각 회동축으로 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로켓발사관(10a)의 전후 방향의 무게 중심에 우측 지지 프레임(120a) 및 중앙 지지 프레임(120b)의 회동축을 체결함으로써, 고각 회전 중심이 로켓발사관(10a)의 무게 중심에 위치되어 로켓발사관(10a)의 회전 모멘트, 즉 고각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로켓발사관(10a)의 회동 반경을 최소화함으로써, 회동시 동력손실 및 고각조절 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120)은 하단의 베이스 프레임 체결부로부터 상단의 로켓발사관 체결부까지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전방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공간만큼 수평지지대(15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a, 120b) 중 적어도 일방에 내장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로켓발사관(10)이 고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킨다. 즉, 로켓발사관(10a)의 회전 모멘트, 즉 고각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구동 장치 대신에, 전기 모터 방식의 구동 장치를 채용하더라도 충분한 구동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간단한 구조 및 저중량, 저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탑재시 작은 차량으로 충분한 기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 모터(130)에 의한 동력전달 방식은 동력전달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로켓발사관(10)을 복수개로 구비하는 경우, 로켓발사관(10a, 10b) 각각에 구동 모터(130)를 구비하여, 로켓발사관(10a, 10b) 각각의 회동 동작을 서로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우측의 로켓발사관(10a)에 대해서는 우측 지지 프레임(120a)에 구동 모터(130)를 마련하며, 좌측의 로켓발사관(10b)에 대해서는 좌측 지지 프레임(120c)에 구동 모터(130)를 마련한다. 여기서, 중앙 지지 프레임(120b)은 우측의 로켓발사관(10a)과 좌측의 로켓발사관(10b) 사이에 마련되어, 각각의 로켓발사관(10a, 10b)을 별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우측의 로켓발사관(10a)과 좌측의 로켓발사관(10b) 사이에 두 개의 중앙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중앙 지지 프레임에도 구동 모터(130)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복수의 로켓발사관이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고각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130)는 회전축을 로켓발사관(10)의 측면에 바로 체결하여 직접 회동축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4와 같이, 웜과 웜힐(131)의 외주면에 맞물리는 감속기(132)를 구비하고, 감속기(132)에 구동 모터(130)를 연결함으로써, 회동 속도를 조절하여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전원이 차단된 경우, 인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수동구동 수단(133)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은 로켓발사관(10)의 둘레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외측면에 지지프레임(120)이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로켓발사관(10)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로켓발사관(10)의 상하좌우 각각의 면을 감싸도록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은 상측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a), 하측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b), 좌측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c) 및 우측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d)의 4개의 판상 프레임으로 마련되며, 로켓발사관(10)의 각 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140a, 140b, 140c, 140d)은 서로 접하는 모서리 부분에서도 서로 접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120)은 실질적으로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의 외측면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140)에 의해 로켓발사관(10)을 보호할 수 있으며, 로켓발사관(10)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로켓발사관(10)을 교체 및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평지지대(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로켓발사관(10)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수평 상태를 이룰 때, 로켓발사관(10)의 전측 하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지지대(150)는,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체결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수평지지관(151)과, 수평지지관(151)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용되는 수평지지바(152)와, 수평지지바(152)의 길이 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는 완충 스프링(153)과, 수평지지바(152)에 체결되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단면에는 잠금홀(154)이 형성되되, 잠금홀(154)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되는 복수의 판재(155a, 155b, 155c, 155d)로 형성되는 잠금 수단(155)과, 잠금 수단(155)의 하단에 체결되며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복수의 판재(155a, 155b, 155c, 155d)를 서로 이격시키고 잠금홀(154)을 확경시키는 회동 스프링(156)을 포함한다.
한편, 로켓발사관(10)의 전측 하면에는 잠금돌기(1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평지지대(150)의 동작특성을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먼저 도 6의 (a)와 같이 로켓발사관(10)의 전방 회동시, 로켓발사관(10)의 하중에 의해 완충 스프링(153)이 수축된다. 완충 스프링(153)의 수축에 연동하여 수평지지바(152)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수평지지바(152)의 상단에 체결되는 잠금 수단(155)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관(151)의 개방된 상단으로 잠금 수단(155)이 점차적으로 수용되면서,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잠금 수단(155)의 원통형상에 의해, 잠금 수단(155)의 외주면이 수평지지관(151)의 내주면에 점차적으로 밀착되어 압박된다. 이에 따라, 잠금 수단(155)의 각 판재(155a, 155b, 155c, 155d)는 회동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대한 반발력을 작용시키면서 잠금홀(154)이 형성된 중심부를 향하여 회동된다. 즉, 잠금 수단(155)의 각 판재(155a, 155b, 155c, 155d)가 중심부로 오므라드는 형상으로 잠금홀(154)이 잠금돌기(11)를 향하여 축경됨으로써, 잠금돌기(11)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고중량의 로켓발사관(10)의 하중에 의해 잠금돌기(11)에 대한 고정력이 제공되어 보다 안전하게 수평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로켓발사관이 전후방향으로 수평 상태가 될 때 이를 지지하고 고정함으로써, 이동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와 같이 로켓발사관(10)의 상방 회동시, 로켓발사관(10)의 하중이 해제되고 완충 스프링(153)이 팽창된다. 완충 스프링(153)의 팽창에 연동하여 수평지지바(152)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수평지지바(152)의 상단에 체결되는 잠금 수단(155)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관(151)의 개방된 상단으로부터 잠금 수단(155)이 점차적으로 돌출되면서,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잠금 수단(155)의 원통형상에 의해, 잠금 수단(155)의 외주면이 수평지지관(151)의 내주면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압박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잠금 수단(155)의 각 판재(155a, 155b, 155c, 155d)에는 회동 스프링(156)의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잠금홀(154)이 형성된 중심부의 외측을 향하여 회동된다. 즉, 잠금 수단(155)의 각 판재(155a, 155b, 155c, 155d)가 중심부로부터 펼쳐지는 형상으로 잠금홀(154)이 잠금돌기(11)로부터 확경됨으로써, 잠금돌기(11)로부터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켓발사 장치는, 잠금 상태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10b : 로켓발사관
11 : 잠금돌기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상부 베이스 프레임
112 : 하부 베이스 프레임
113 : 베이스 프레임 구동 모터
114, 133 : 수동구동 수단
120, 120a, 120b, 120c : 지지 프레임
130 : 구동 모터
131 : 웜과 웜힐
132 : 감속기
140, 140a, 140b, 140c, 140d :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
150 : 수평지지대
151 : 수평지지관
152 : 수평지지바
153 : 완충 스프링
154 : 잠금홀
155, 155a, 155b, 155c, 155d : 잠금 수단
156 : 회동 스프링

Claims (5)

  1. 바닥면을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로켓발사관의 전후방향 무게 중심을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한 쌍의 상기 지지 프레임 중 적어도 일방에 내장되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로켓발사관이 고각을 이루도록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로켓발사관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수평 상태를 이룰 때, 상기 로켓발사관의 전측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로켓발사관의 전측 하면에는 잠금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지지대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수평지지관과,
    상기 수평지지관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용되는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의 길이 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는 완충 스프링과,
    상기 수평지지바에 체결되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단면에는 잠금홀이 형성되되, 상기 잠금홀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되는 복수의 판재로 형성되는 잠금 수단과,
    상기 잠금 수단의 하단에 체결되며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복수의 상기 판재를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잠금홀을 확경시키는 회동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켓발사관의 전방 회동시, 상기 로켓발사관의 하중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바 및 상기 잠금 수단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잠금홀이 상기 잠금돌기를 향하여 축경되어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로켓발사관의 상방 회동시, 상기 로켓발사관의 하중이 해제되어 상기 완충 스프링이 상기 수평지지바 및 상기 잠금 수단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잠금홀이 상기 잠금돌기로부터 확경되어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발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켓발사관의 둘레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판상으로 마련되며, 외측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이 체결되는 로켓발사관 수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발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켓발사관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로켓발사관 각각에 상기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로켓발사관 각각의 회동 동작을 서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켓발사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30124535A 2013-10-18 2013-10-18 로켓발사 장치 KR10157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35A KR101573895B1 (ko) 2013-10-18 2013-10-18 로켓발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35A KR101573895B1 (ko) 2013-10-18 2013-10-18 로켓발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78A KR20150045178A (ko) 2015-04-28
KR101573895B1 true KR101573895B1 (ko) 2015-12-04

Family

ID=5303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535A KR101573895B1 (ko) 2013-10-18 2013-10-18 로켓발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2851A (zh) * 2016-09-22 2017-02-08 杜忠华 一种用于发射装置的随动装夹机构
BR112019027723A2 (pt) * 2017-08-17 2020-09-15 Mac Jee Industria De Defesa Ltda módulo de lançamento de foguetes e veiculo de lançamento de foguetes
CN111043905B (zh) * 2019-11-05 2020-09-01 蓝箭航天空间科技股份有限公司 火箭后支点支撑调整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22B1 (ko) * 2011-01-27 2011-09-28 국방과학연구소 능동방호용 폐쇄형 발사장치
US8490532B2 (en) * 2009-08-05 2013-07-23 Chemring Countermeasures Limited Trainable launc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532B2 (en) * 2009-08-05 2013-07-23 Chemring Countermeasures Limited Trainable launcher
KR101067722B1 (ko) * 2011-01-27 2011-09-28 국방과학연구소 능동방호용 폐쇄형 발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78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895B1 (ko) 로켓발사 장치
CN113700793B (zh) 无人机
US9004431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JP6769700B2 (ja) 航空機の降着装置ハンドリング用ドーリーと、それを用いる降着装置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取り外し方法
US20200191235A1 (en) Shock absorber of gimbal, gimbal assembly, and movable photographing device
CN107579331A (zh) 一种同步收展反射面的伞状可展开天线
KR200485102Y1 (ko) 다용도 보트 받침 장치
KR101320627B1 (ko) 댐퍼
JP6549880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支持構造
KR100986012B1 (ko) 공압식 수목 보호 지지대
CN106660763A (zh) 框架支撑件
KR101814518B1 (ko) 리프팅 장치
KR101697618B1 (ko) 감시경계용 소형로봇
KR101698976B1 (ko)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JPWO2019031539A1 (ja) モーションベース
JP6308078B2 (ja) ワーク昇降装置
CN214790335U (zh) 拍摄设备的减震支架和减震装置
JP6592397B2 (ja) 振動試験機
KR101144922B1 (ko) 선박용 사다리 승강장치
JP2007186087A (ja) 航空機脚
CN108082459B (zh) 起落架及飞行器
CN213279815U (zh) 用于拍摄模块的调节稳定装置、拍摄装置和可移动平台
CN215554222U (zh) 一种无人航空器多源融合监测装置
CN218064294U (zh) 一种便携式空压机稳定组合座
JP2009149189A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ダンパ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