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575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575B1
KR101572575B1 KR1020140191780A KR20140191780A KR101572575B1 KR 101572575 B1 KR101572575 B1 KR 101572575B1 KR 1020140191780 A KR1020140191780 A KR 1020140191780A KR 20140191780 A KR20140191780 A KR 20140191780A KR 101572575 B1 KR101572575 B1 KR 10157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vent
air
floo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16926A (en
Inventor
한중만
이준강
한영흠
김두훈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575B1/en
Publication of KR2015001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9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벤트들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배분을 최적화하도록 공조 모드를 추가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페이스 벤트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는 벤트 모드와, 공기 중의 일부는 페이스 벤트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시키는 바이레벨 모드와, 공기 중의 절반 이상을 플로어 벤트로 토출시키는 플로어 모드와, 공기 중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시키는 믹싱 모드 및 공기 중의 절반 이상을 디프로스트 벤트로 토출시키는 디프 모드로 구성된 공조 모드를 갖는 것으로서, 믹싱 모드와 디프 모드 사이에 구성되며 믹싱 모드 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고 디프 모드 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큰 범위에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 풍량이 설정되고, 믹싱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크고 디프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은 범위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이 설정되는 디포그 모드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각 벤트들로의 풍량 배분이 균일해지고 차량 실내에서 토출 바람이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유럽 국가와 같이 기후의 영향에 따라 최대 냉방 또는 최대 난방의 성능보다 균일한 풍량 배분을 통한 쾌적성의 향상을 기대하는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Disclosed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air conditioning mode is added to optimize the airflow distribution of air discharged into each of the vents in order to improve the comfort of a vehicle occupant. A floor mode for discharging at least half of the air into the floor vent, and a floor mode for discharging at least half of the air into the floor vent, A mixing mode in which a part of the air is discharged into a defrost vent and a remaining part is discharged in a floor vent, and a deep mode in which more than half of the air is discharged into a defrost vent, is configured between the mixing mode and the deep mode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floor vent is set in a range that is smaller than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floor vent in the mixing mode and larger than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floor vent in the deep mode and is larger than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defrosting vent in the mixing mode, In a range smaller than the discharge air flow to the frost vent And a discharge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is set. Therefore, as the distribution of the air flow to each vents becomes uniform, and the discharge wind from the vehicle interior is uniformly distributed without being shifted to one side,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improves, so that the maximum cooling or maximum heating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with a demand for improvement of comfort through uniform airflow distribution.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자동차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hich is mounted on a vehicle and maintains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and cleanliness of the room.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es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 heater core for the heating action, and air blown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are selectively blown to respective portions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blowing mode switching door.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구별된다.This type of air conditioner has a three-piece type in which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d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are incorporated in the air conditioner case and the blower unit is separately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er case.

도 1은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semi-center type vehic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미도시)와,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a blower (not shown), an evaporator 2 and a heater core 3, and a temperature control door 15 .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17,18)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형성된다. 송풍기는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증발기(2) 및 히터코어(3)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5)는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한다.An air inlet 11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nd a defrost vent 12a, a face vent 12b, and a floor vent 12b, which are resp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mode doors 16, (12c, 12d) are formed. The blower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0) and functions to blow air or outside air.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ar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n sequenc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and is provided with a cool air passage P1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3 and a cool air passage P1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3, Thereby regulating the opening of the flow path P2.

이 경우, 하나의 모드도어(16)는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이고, 다른 모드도어(17)는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이며, 또 다른 모드도어(18)는 플로어벤트(12c,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이다. 또한, 플로어 벤트(12c,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2d)로 분리되어 있다. 아울러,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17,18)는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면서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각 벤트(12a~12d)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is case, one mode door 16 is a defrost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defrost vent 12a, the other mode door 17 is a face door for regulating the opening of the face vent 12b, The mode door 18 is a floor door for regulating the opening of the floor vents 12c and 12d. In addition, the floor vents 12c and 12d are separated into a front seat floor vent 12c and a rear seat floor vent 12d.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and the mode doors 16, 17 and 18 are connected to an actuator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0 so as to be rotated, And adjusts the opening of the flow path to each of the vents 12a to 12d.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최대냉방 모드인 경우, 온도조절도어(15)가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 소정의 공조 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선태적으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open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closes the warm air passage P2. Accordingly, the air blown by the blower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2 through the evaporator 2 to be converted into a cool air, and then is supplied to a mixing chamber MC through the cold air flow path P1. . Thereafter, the air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is cooled by being selectively discharg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rough the vents 12a to 12d which are ope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ir conditioning mode.

또한, 최대난방 모드인 경우, 온도조절도어(15)는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 소정의 공조 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a~12d)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선택적으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Further, in the maximum heating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closes the cold air flow path P1 and opens the warm air flow path P2. Thus, the air blown by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 passes through the heater core 3 through the hot air passage P2, exchanges heat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heater core 3, And then flows to the mixing chamber MC side. Thereafter, the indoor air is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vents 12a to 12d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air conditioning mode, thereby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한편, 차량용 공조장치(1)는 모드도어(16,17,18)의 작동각에 의해 별도의 공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can implement a separate air conditioning mode by the operating angle of the mode doors 16, 17, 18.

즉, 공조 모드는 냉기/온기 또는 냉온기가 믹싱된 믹싱공기를 페이스 벤트(12b)로만 토출시키는 벤트 모드와, 냉기/온기 또는 냉온기가 믹싱된 믹싱공기 중의 일부는 페이스 벤트(12b)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12c,12d)로 토출시키는 바이레벨(B/L)모드와, 냉기/온기 또는 냉온기가 믹싱된 믹싱공기를 플로어 벤트(12c,12d)로만 토출시키는 플로어 모드와, 냉기/온기 또는 냉온기가 믹싱된 믹싱공기 중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12a)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12c,12d)로 토출시키는 믹싱 모드와, 냉기/온기 또는 냉온기가 믹싱된 믹싱공기를 디프로스트 벤트(12a)로만 토출시키는 디프 모드로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a vent mode in which the cold air / hot air or cold air mixed in the mixed air is discharged only to the face vent 12b, and a part of the mixed air in which the cold / warm air or the cold / hot air is mixed is discharged in the face vent 12b, (B / L) mode in which the floor vents 12c and 12d discharge the floor vents 12c and 12d and the floor mode in which the mixing vents 12c and 12d are mixed with the cooling / A mixing mode in which a part of the mixed air in which the cold and warm air is mixed is discharged into the deproved vent 12a and the remaining part is discharged into the floor vents 12c and 12d and the mixed air in which the cold / In the deep mode.

이와 같은 모드도어(16,17,18)들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조장치 제어용 조작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함에 따라, 그 조작스위치에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전술한 공조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The mode doors 16, 17, and 18 are operated by the driver or the occupant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of the instrument panel, so that any one of the above- .

도 2는 종래의 공조 모드별 공기의 토출 비율을 도시한 것이다.2 shows the air discharge ratio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mode.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페이스 벤트(12b)의 토출 비율은 100%이고, 바이레벨 모드 시 페이스 벤트(12b)의 토출 비율은 65%, 플로어 벤트(12c,12d)의 토출 비율은 35%로 구성된다. 또한, 플로어 모드 시 페이스 벤트(12b)의 토출 비율은 10%, 플로어 벤트(12c,12d)의 토출 비율은 65%,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토출 비율은 25%로 구성된다. 아울러, 믹싱 모드 시 페이스 벤트(12b)의 토출 비율은 10%, 플로어 벤트(12c,12d)의 토출 비율은 45%,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토출 비율은 45%로 구성된다. 또한, 디프 모드 시 플로어 벤트(12c,12d)의 토출 비율은 10%,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토출 비율은 90%로 구성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discharge rate of the face vent 12b in the vent mode is 100%, the discharge rate of the face vent 12b in the bi-level mode is 65%, the discharge rate of the floor vent 12c, The discharge rate is 35%. The discharge rate of the face vent 12b in the floor mode is 10%, the discharge rate of the floor vents 12c and 12d is 65%, and the discharge rate of the defrost vent 12a is 25%. In addition, in the mixing mode, the discharge rate of the face vent 12b is 10%, the discharge rate of the floor vents 12c and 12d is 45%, and the discharge rate of the defrost vent 12a is 45%. In the deep mode, the discharge rates of the floor vents 12c and 12d are 10% and the discharge rate of the deprost vent 12a is 90%.

하지만, 유럽 지역의 국가에서 서안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공조 모드의 MAX 성능 보다는 승객의 쾌적성 측면에서 냉방 및 난방 모드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싱 모드 및 디프 모드 이외에 추가적으로 모든 벤트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전(All) 모드가 요구된다. 또한, 토출구마다 과도한 풍량은 오히려 승객의 쾌적성을 해치게 되므로, 적절한 풍배 비율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in the European countries, due to the oceanic climate of Xi'an,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mode are required in terms of passenger comfort rather than MAX performance in air conditioning mode.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vent mode, the bi-level mode, the floor mode, the mixing mode, and the deep mode,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 all mode for discharging air to all the vents is required. Also, since an excessive air volume per outlet is rather detrimental to the comfort of passengers, a proper air distribution ratio is required.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벤트들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배분을 최적화하도록 공조 모드를 추가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an air conditioning mode is added to optimize airflow distribution of air discharged into each vent to improve the comfort of a vehicle occupan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페이스 벤트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는 벤트 모드와, 공기 중의 일부는 페이스 벤트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시키는 바이레벨 모드와, 공기 중의 절반 이상을 플로어 벤트로 토출시키는 플로어 모드와, 공기 중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시키는 믹싱 모드 및 공기 중의 절반 이상을 디프로스트 벤트로 토출시키는 디프 모드로 구성된 공조 모드를 갖는 것으로서, 공조 모드는 믹싱 모드와 디프 모드 사이에 구성되며 믹싱 모드 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고 디프 모드 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큰 범위에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 풍량이 설정되고, 믹싱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크고 디프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은 범위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이 설정되는 디포그 모드를 더 구비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nt mode for discharging air only to the face vent, a bivalent mode for discharging a part of the air into the face vent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air into the floor vent, and discharging at least half of the air into the floor vent A floor mode, a mixing mode in which a part of the air is discharged into a defrost vent and the remaining part is discharged in a floor vent, and a deep mode in which at least half of the air is discharged into a defrost vent.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a mixing mode And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floor vent is set in a range that is smaller than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floor vent in the mixing mode and larger than the blowing air amount to the floor vent in the deep mode. In the mixing mode, Is larger than the air flow rate, and in the deep mode, That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air flow than the output in a small range by de-frosted vent set depot that mode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바이레벨 모드와 플로어 모드 사이에 구성되며, 바이레벨 모드 시 페이스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크고 플로어 모드 시 페이스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은 범위에서 페이스 벤트로의 토출 풍량이 설정되고, 플로어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보다 큰 범위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 풍량이 설정되는 올(All) 모드를 더 구비한다.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etween a bi-level mode and a floor mode. In the bi-level mode, the air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face vent in a range larger than the air flow rate to the face vent, And an all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ir amount is set and the discharge air amount to the defrost vent is set in a range larger than the discharge air amount to the defrost vent in the floor mo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 벤트들로의 풍량 배분이 균일해지고 차량 실내에서 토출 바람이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킴에 따라, 유럽 국가와 같이 기후의 영향에 따라 최대 냉방 또는 최대 난방의 성능보다 균일한 풍량 배분을 통한 쾌적성의 향상을 기대하는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by uniformly distributing the airflow to the vents and distributing the air in the vehicle interior evenly without being shifted to one side, Accordingly,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which can appropriately cope with a demand for improvement of comfort through uniform air flow distribution than the performance of maximum cooling or maximum hea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일련의 로직 제어에 의해 최종적으로 탑승자는 올 모드에서 최적의 쾌적감을 얻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제어 로직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킬 수 있게 되고, 난방 모드 시 히터코어의 하류 측의 뜨거운 공기가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토출되어 디프로스트 벤트 측의 낮은 온도가 급상승함에 따라 차량 실내로의 토출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ccupant can obtain optimum comfort in the all mode by a series of logic control, and such a series of control logic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The hot ai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er core is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defrost vent so that the lower temperature of the defrost vent rises rapidly, so that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discharged air into the vehicle interior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종래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공조 모드별 공기의 토출 비율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모드별 공기의 토출 비율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 모드 시 공조 모드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난방 모드 시 공조 모드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semi-center type vehicle,
Fig. 2 shows the discharge ratio of ai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mode,
3 show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air discharge ratios of air conditioning modes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logic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the cool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control logic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the heating mode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송풍기(미도시)와, 증발기(102) 및 히터코어(103)와, 온도조절도어(115)를 포함한다.3,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a blower (not shown), an evaporator 102 and a heater core 103, And a control door 115.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16,117,118)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 페이스 벤트(112b) 및 플로어 벤트(112c,112d)가 형성된다. 송풍기는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증발기(102) 및 히터코어(103)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15)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한다.An air inlet 111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a deprost vent 112a, a face vent 112b and floor vents 112c and 112d, which are respectively opened by mode doors 116, 117 and 118, Is formed. The blower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nd functions to blow air or outside air. The evaporator 102 and the heater core 103 are sequential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02 and the heater core 103 and is provided with a cool air passage P1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103 and a warm air passage Thereby regulating the opening of the flow path P2.

이 경우, 하나의 모드도어(116)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 도어이고, 다른 모드도어(117)는 페이스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페이스 도어이며, 또 다른 모드도어(118)는 플로어벤트(112c,1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이다. 또한, 플로어 벤트(112c,112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112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112d)로 분리되어 있다. 아울러, 온도조절도어(115) 및 모드도어(116,117,118)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면서 냉,온풍유로(P1)(P2)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각 벤트(112a~112d)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is case, one mode door 116 is a defrost door that adjusts the opening of the defrost vent 112a, the other mode door 117 is a face door that regulates the opening of the face vent 112b, The mode door 118 is a floor door that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Further,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are separated into a floor vent 112c for the front seat and a floor vent 112d for the rear seat.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and the mode doors 116, 117 and 118 are connected to an actuator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cold air flow path P1 Or adjusts the opening of the flow path toward each of the vents 112a to 112d.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최대냉방 모드인 경우, 온도조절도어(115)가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2)를 거치면서 증발기(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 소정의 공조 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12a~112d)를 통해 차량 실내로 선태적으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In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opens the cold air passage P1 and closes the warm air passage P2. Accordingly, the air blown by the blower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102 through the evaporator 102 to be converted into a cool air, and then is supplied to a mixing chamber (MC) through the cold air flow path P1, . Thereafter, the indoor air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s 112a to 112d which are open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air conditioning mode, thereby cool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또한, 최대난방 모드인 경우, 온도조절도어(115)는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10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10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 소정의 공조 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12a~112d)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선택적으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In the maximum heating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closes the cold air flow path P1 and opens the warm air flow path P2. Accordingly, the air blown by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2 and then flows through the heater core 103 through the hot air flow path P2, exchanges heat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heater core 103 And then flows to the mixing chamber MC side. Thereafter, the indoor air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s 112a to 112d which are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air conditioning mode, thereby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한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모드도어(116,117,118)의 작동각에 의해 별도의 공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may implement a separate air conditioning mode by the operating angle of the mode doors 116, 117, 118.

즉, 공조 모드는 벤트 모드와, 바이레벨 모드와, 플로어 모드와, 믹싱 모드 및 디프 모드로 구성된다.That is, the air conditioning mode includes a vent mode, a bi-level mode, a floor mode, a mixing mode, and a deep mode.

벤트 모드는 페이스 벤트(112b)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며, 바이레벨(B/L) 모드는 공기 중의 일부는 페이스 벤트(112b)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112c,112d)로 토출시킨다. 그리고, 플로어 모드는 공기 중의 절반 이상을 플로어 벤트(112c,112d)로 토출시키며, 믹싱 모드는 공기 중의 일부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 토출시키고 나머지는 플로어 벤트(112c,112d)로 토출시킨다. 아울러, 디프 모드는 공기 중의 절반 이상을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 토출시킨다.In the vent mode, air is discharged only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bi-level (B / L) mode, some of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ace vent 112b and the remai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the floor mode, more than half of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the mixing mode, some of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defrost vent 112a and the remai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addition, the deep mode discharges at least half of the air to the defrost vent 112a.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모드는 올(All) 모드를 더 구비한다.In particular, the air condition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ll mode.

올 모드는 바이레벨 모드와 플로어 모드 사이에 구성된다. 이 경우, 올 모드 시의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풍량은 바이레벨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풍량보다 크고 플로어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은 범위에서 설정된다. 또한, 올 모드 시의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은 플로어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보다 큰 범위에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The all mode is configured between the bi-level mode and the floor mode. In this case,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all mode is set to a range larg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bi-level mode and small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floor mode. In additio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112a in the all mod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112a in the floor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 모드별 공기의 토출 비율을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graph showing air discharge rates of air conditioning modes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100%이고, 바이레벨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65%,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35%로 구성된다. 아울러, 플로어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15%,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70%,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15%로 구성된다. 아울러, 믹싱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15%,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50%,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35%로 구성된다. 또한, 디프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15%,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10%,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75%로 구성된다.4, the discharging rat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vent mode is 100%, the discharging rat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bi-level mode is 65%, the discharging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35 %. In addition, the discharge ratio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floor mode is 15%,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70%,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 112a is 15%. The discharge ratio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mixing mode is 15%,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50%,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 112a is 35%.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deep mode is 15%,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10%,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 112a is 75%.

이 경우, 올 모드 시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풍량의 비율은 20%이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풍량의 비율이 50%이며,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의 비율이 30%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ace vent 112b in the all mode is 20%, the ratio of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50%, an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112a is 30%.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올 모드 시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플로어 모드 시와 비교하여 감소하고 페이스 벤트(112b)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플로어 모드 시와 비교하여 증가한다. 결국, 각 벤트들로의 풍량 배분이 균일해지고 차량 실내에서 토출 바람이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탑승자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럽 국가와 같이 기후의 영향에 따라 최대 냉방 또는 최대 난방의 성능보다 균일한 풍량 배분을 통한 쾌적성의 향상을 기대하는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discharge ratio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the all mode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floor mode, and the discharge rates to the face vents 112b and the defrost vents 112a are increased do. As a result, the airflow distribution to each of the vents becomes uniform, and the discharge wind from the vehicle interior is uniformly distributed without being shifted to one side, so that the comfort of the occupant can be improv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climate like European countries,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in comfort through uniform air flow distribution over the performance of maximum cooling or maximum heating.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모드는 디포그(Defog) 모드를 더 구비한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fog mode.

디포그 모드는 믹싱 모드와 디프 모드 사이에 구성된다. 이 경우, 디포그 모드 시의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풍량은 믹싱 모드 시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고 디프 모드 시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풍량보다 큰 범위에서 설정된다. 또한, 디포그 모드 시의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은 믹싱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보다 크고 디프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보다 작은 범위에서 설정된다.The depopulation mode is configured between the mixing mode and the deep mode. In this case,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the depo mode is small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the mixing mode and is larg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n the deep mode Lt; / RTI >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112a in the damping mod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ing vent 112a in the mixing mode and smaller than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ing vent 112a in the deep mode.

즉, 디포그 모드는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풍량의 비율이 15%이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풍량의 비율이 25%이며,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풍량의 비율이 60%로 구성된다.That is, in the depo mode, the ratio of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ace vent 112b is 15%, the ratio of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25%, an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112a is 60%.

이와 같이 공조 모드가 디포그 모드를 구비함에 따라, 디프 모드에 비해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을 증가하고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감소하여 각 토출구로의 풍량 비율이 보다 균일해지며, 이로 인해 탑승자의 쾌적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디포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제상 기능은 효과적으로 달성하며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을 상승시켜 공조 성능을 향상하고 있다.As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provided with the depot mode, the discharge ratio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increased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deproster vents 112a i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deep mod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ptimiz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In this case, the discharge ratio to the defrost vent 112a is maintained at 50% or more in the depoisting mode, thereby achieving the defrost function effectively and raising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to improve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 모드 시 공조 모드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control logic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the cool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공조 모드는 냉방 모드 시 일련의 로직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즉, 공조 모드는 냉방 모드 시, 벤트 모드와, 바이레벨 모드 및 올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a series of logic in the cooling mode. That is,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the vent mode, the bi-level mode, and the all mode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the cooling mode.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방 모드인 경우 최초 벤트 모드를 작동시켜 페이스 벤트(112b)로만 공기를 토출한다. 이후에 소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바이레벨 모드로 진입하여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을 낮추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을 증가시킨다. 최종적으로, 올 모드가 작동되어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더 낮춰지고 플로어 벤트(112c,112d)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올 모드에서 최적의 쾌적감을 얻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제어 로직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cooling mode, the initial vent mode is activated to discharge air only to the face vent 112b.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apparatus automatically enters the bi-level mode to lower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and increase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Finally, the all mode is activated to lower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and increase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112d and the defrost vent 112a. Accordingly, the occupant obtains an optimal comfort feeling in the all mode, and such a series of control logic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난방 모드 시 공조 모드의 제어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FIG. 6 shows control logic of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the heating mode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공조 모드는 난방 모드 시 디프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프 모드와, 디포그 모드와, 믹싱 모드와 플로어 모드 및 올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deep mode is selected in the heating mode,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perform the deep mode, the depo mode, the mixing mode, the floor mode, and the all mode.

즉, 디프 모드 선택 시, 공조 모드는 디프 모드를 수행한 후 디포그 모드를 수행하여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을 증가하고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을 감소한다. 이후에, 믹싱 모드를 수행하여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을 증가하고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을 감소한다. 아울러, 소정 시간 경과 후 플로어 모드가 작동되어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더 증가하고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더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올 모드가 작동되어 페이스 벤트(112b)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증가하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감소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탑승자는 올 모드에서 최적의 쾌적감을 얻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제어 로직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deep mode is selected, the air conditioning mode performs the deep mode and performs the depo mode, thereby increasing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and decreasing the discharge rate to the deproster vents 112a. Thereafter, the mixing mode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and to decrease the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s 112a. In addition, after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the floor mode is activated,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further increases,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 112a further decreases. Finally, the all mode is activated so that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and the defrost vent 112a increases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decreases. Accordingly, the occupant finally obtains an optimal comfort feeling in the all mode, and such a series of control logic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또한, 탑승자가 플로어 모드를 선택한 경우, 플로어 모드의 진행 이후에 올 모드 또는 믹싱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 selects the floor mode, the passenger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perform the all mode or the mixing mode after the floor mode is progressed.

즉, 플로어 모드 선택 시, 공조 모드는 플로어 모드를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올 모드가 작동되어 페이스 벤트(112b)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증가하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감소한다. 또는 플로어 모드 선택 시, 공조 모드는 플로어 모드를 수행한 후 올 모드가 작동되어 페이스 벤트(112b)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증가하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 비율은 감소하며, 이후에 믹싱 모드가 작동되어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 비율은 감소하고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 비율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믹싱 모드가 작동된 후 최종적으로 다시 올 모드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floor mode is selected,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performed in the floor mode, and finally, the all mode is operated so that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and the defrost vent 112a increases and the discharg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The ratio decreases. Or the floor mode is selected, the air conditioning mode is performed in the floor mode, and then the all mode is operated to increase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and the defrost vent 112a and to decrease the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And then the mixing mode is operated so that the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112b decreases and the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 112a increases.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ixing mode is activated and finally the all-again mode is operated.

이러한 일련의 로직 제어에 의해, 최종적으로 탑승자는 올 모드에서 최적의 쾌적감을 얻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제어 로직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킬 수 있다.By this series of logic control, finally, the occupant obtains an optimal comfort feeling in the all mode, and such a series of control logic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조 모드는 난방 모드 시 히터코어(103)의 하류 측의 뜨거운 공기가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으로 토출되어 디프로스트 벤트(112a) 측의 낮은 온도가 급상승함에 따라, 차량 실내로의 토출 공기의 상하 온도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ir condition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ot ai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er core 103 is discharged toward the defrost vent 112a in the heating mode and the low temperature on the defrost vent 112a ris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greatly reduc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02 : 증발기
103 : 히터코어 110 : 공조케이스
115 : 온도조절도어 112a : 디프로스트 벤트
112b : 페이스 벤트 112c,112d : 플로어 벤트
116,117,118 : 모드도어
100: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2: evaporator
103: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5: Temperature control door 112a: Defrost vent
112b: face vents 112c, 112d: floor vents
116, 117, 118: Mode door

Claims (8)

페이스 벤트(112b)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는 벤트 모드와,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이 65%이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이 35%인 바이레벨 모드와,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이 70%이고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이며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인 플로어 모드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량 비율이 35%이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 비율이 50%이며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인 믹싱 모드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량 비율이 75%이고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이며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 비율이 10%인 디프 모드로 구성된 공조 모드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모드는,
상기 믹싱 모드와 상기 디프 모드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25%이고, 페이스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이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60%인 디포그 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 vent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only to the face vent 112b, a bi-level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65% and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35%,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15% and the discharge amount rate to the defrost vent 112a is 15%, the floor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mount ratio to the defrost vent 112a is 35%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50% an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15% is 75% and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15 % And a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112d) is 10%,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Wherein the depot mode is configured between the mixing mode and the deep mode and has a discharge rate ratio to the floor vent of 25%, a discharge rate to the face vent of 15%, and a discharge rate to the defrost vent of 60%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모드는,
상기 바이레벨 모드와 상기 플로어 모드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50%이고, 페이스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20%이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30%인 올(All) 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Wherein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loor vent is 50%,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is 20%, an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defrost vent is 30%, which is configured between the bi-level mode and the floor mode, ) Mode. ≪ / RTI >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냉방 모드 시 상기 공조 모드는,
상기 벤트 모드와, 상기 바이레벨 모드 및 상기 올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The vent mode, the bi-level mode, and the all mode.
제3항에 있어서,
난방 모드 시 상기 공조 모드는,
상기 디프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디프 모드와, 상기 디포그 모드와, 상기 믹싱 모드와 상기 플로어 모드 및 상기 올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advance the deep mode, the depo mode, the mixing mode, the floor mode, and the all mode when the deep mode is selected.
제3항에 있어서,
난방 모드 시 상기 공조 모드는,
상기 플로어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플로어 모드의 진행 이후에 상기 올 모드 또는 상기 믹싱 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Wherein when the floor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sequentially advances the all mode or the mixing mode after the floor mode is progressed.
페이스 벤트(112b)로만 공기를 토출시키는 벤트 모드와,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이 65%이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이 35%인 바이레벨 모드와,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이 70%이고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이며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인 플로어 모드와,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량 비율이 35%이고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 비율이 50%이며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인 믹싱 모드 및 디프로스트 벤트(112a)로의 토출량 비율이 75%이고 페이스 벤트(112b)로의 토출량 비율이 15%이며 플로어 벤트(112c,112d)로의 토출량 비율이 10%인 디프 모드로 구성된 공조 모드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 모드는,
상기 바이레벨 모드와 상기 플로어 모드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플로어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50%이고, 페이스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20%이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토출량 비율이 30%인 올(All) 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 vent mode in which air is discharged only to the face vent 112b, a bi-level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65% and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is 35%, the floor vents 112c and 112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15% and the discharge amount to the defrost vent 112a is 15%, the floor mode in which the discharge amount ratio to the defrost vent 112a is 35%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50% an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15% is 75% and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112b is 15 % And a discharge rate to the floor vents (112c, 112d) is 10%, the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Wherein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loor vent is 50%, the discharge amount to the face vent is 20%, and the ratio of the discharge amount to the defrost vent is 30%, which is configured between the bi-level mode and the floor mode, ) Mode. ≪ / RTI >
KR1020140191780A 2014-12-29 2014-12-2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72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780A KR101572575B1 (en) 2014-12-29 2014-12-2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780A KR101572575B1 (en) 2014-12-29 2014-12-2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169A Division KR20130107419A (en) 2012-03-22 2012-03-2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926A KR20150016926A (en) 2015-02-13
KR101572575B1 true KR101572575B1 (en) 2015-12-01

Family

ID=5257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780A KR101572575B1 (en) 2014-12-29 2014-12-29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5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582B1 (en) * 2019-10-22 2021-07-09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opening ratio of valve for conditioned air discharge vent for air volume control of dual mode HVAC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926A (en)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57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6431267B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113669B1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4487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N112238728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7257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10080291A (en) Control method of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9215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62773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57810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5143037A (en)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KR10176703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131358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3010741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12916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5011125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12988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75546B1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40089092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r air conditioning control of Vehicles
KR10142588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7200501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73791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703879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7285326A (en) Heat pump type cooling/heating device for vehicle
KR2016013503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