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33B1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333B1
KR101571333B1 KR1020090005573A KR20090005573A KR101571333B1 KR 101571333 B1 KR101571333 B1 KR 101571333B1 KR 1020090005573 A KR1020090005573 A KR 1020090005573A KR 20090005573 A KR20090005573 A KR 20090005573A KR 101571333 B1 KR101571333 B1 KR 10157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image
sensor plate
imaging element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289A (ko
Inventor
최준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333B1/ko
Priority to US12/691,106 priority patent/US8466972B2/en
Priority to CN201010003322.3A priority patent/CN101794059B/zh
Publication of KR2010008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킴으로써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킴으로써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을 영상 표시소자에 표시하여 보여주고,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의하여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트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분야에서는,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여기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란, 불필요한 배경은 포커스-아웃(focus-out) 즉 흐릿하게 촬영되고, 강조하고 싶은 주 피사체는 포커스-인(focus-in) 즉 또렷하게 촬영되어, 주제를 확실히 부각시키기 위한 촬영 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표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되었다.
먼저, 대구경의 밝은 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즉, 얕은 심도를 만들어주는 대구경의 밝은 렌즈를 사용하여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대구경의 밝은 렌즈를 사용하면 가장 뛰어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대구경의 밝은 렌즈는 그 무게가 일반적으로 3kg 이상으로 무겁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며, 가격 또한 상당히 고가라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TS 렌즈(Tilt & Shift lens)를 사용하는 방법도 또한 적용되었다. TS 렌즈는 일반적인 렌즈와는 달리 사용자가 렌즈의 광학적 축을 임의로 왜곡시킴으로써 특정 부분 이외에는 포커스를 틀어지게 해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줄 수 있는 렌즈이다. 본래 건축물 사진 촬영시 발생하는 원근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제작된 렌즈이지만, 다수의 사용자가 TS 렌즈만의 독특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 때문에 TS 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TS 렌즈 역시 상당한 고가이며, 건축물 촬영이라는 특수한 목적으로 소량만 생산되기 때문에 이를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적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는 방법도 또한 개발되었다. 이는 주 피사체 이외의 영역에 대하여 블러링(blurring) 처리 등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흐리게 만들어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디지털 적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할 경우, 사용자가 아웃-포커싱 을 원하는 영역과 실제 블러링(blurring) 처리되는 영역을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광학적으로 발생하는 아웃-포커싱(out-focusing)에 비하여 품질 또한 상당히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킴으로써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포커스 영역의 범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되도록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는 동안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자기 부재는 각각 두 쌍씩 구비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제1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회동 축;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상기 회동 축 및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센서판; 및 상기 센서판 상에 안착되며, 입사되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포커스 영역의 범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 축은 구형 관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회동 축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는 상기 센서판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판과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자기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를 틸팅(tilting) 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판과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서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센서판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자기 부재는 각각 두 쌍씩 구비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제1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제1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센서판; 상기 제1 센서판 상에 안착되며, 입사되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포커스 영역의 범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판의 양측에는 제1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중 어느 일 측은 "└" 형태로 형성되고, 타 측은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센서판은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센서판의 양단부 중 어느 일 측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판과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자기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를 틸팅(tilting) 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판과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서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판과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가 안착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제2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센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판은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센서판의 양측에는 제2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센서판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중 어느 일 측은 "└" 형태로 형성되고, 타 측은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센서판은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제2 센서판의 양단부 중 어느 일 측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판과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자기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를 틸팅(tilting) 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센서판과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서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센서판과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키는 방법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광학적 특성과 무관하게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제어부와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로서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크게 렌즈 유닛(110)과 본체(120)로 이루어 져 있다.
렌즈 유닛(110)은 렌즈군(111)과 렌즈틀(112)로 이루어져, 피사체의 영상광을 본체(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군(111)은 복수 개의 광학 렌즈들과 조리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렌즈군(111)은 렌즈틀(112)에 장착된다.
본체(120)는, 촬상소자(121), 제어부(123), 표시부(124), 뷰 파인더(125), 셔터(126), 인쇄회로기판(PCB)(122) 및 촬상소자 틸팅(tilting) 부재(131)를 포함한다.
촬상소자(121)는 렌즈 유닛(110)을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소자(121)로서는 CCD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제어부(123)는 촬상소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피사체의 촬영, 촬상소자(121)의 제어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23)는 크게 영상 처리부(123a), 저장부(123b)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23a)는 촬상소자(121)로부터 받은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그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 수행하고, 저장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한다.
저장부(123b)에는 촬상된 영상과 제어부(123)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데, 이를 위해 SDRAM(Synchronous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24)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12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24)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부(124)는 촬상되는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24)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상태 표시뿐만 아니라, 촬상되는 영상을 보여주거나 촬상된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뷰 파인더(125)는 렌즈 유닛(110)을 통과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 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뷰 파인더(125)는, 렌즈 유닛(110)을 통과한 영상광이 진행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거울(125a)과, 거울(125a)에 의해 변경된 영상광의 초점을 조절하는 초점 스크린(125b)과, 초점 스크린(125b)을 통과한 영상광의 경로를 변경하는 프리즘(125c)과, 프리즘(125c)으로부터 방출되는 영상광을 받아들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접안 렌즈(125d)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프리즘(125c)은 5각형 프리즘(pentagonal prism)이며, 초점 스크린(125b)을 통과한 영상광을 대략 직각의 방향으로 변경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본체(1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접안 렌즈(125d)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뷰 파인더(125)는 촬상소자(121)에 결상되는 영상과 뷰 파인더(125)로 보이는 영상이 동일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뷰 파인더는 촬상소자(121)에 결상되는 영상과 뷰 파인더로 보이는 영상이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셔터(126)는 촬상소자(121)의 앞에 배치되어, 촬상 시 영상광의 양을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쇄회로기판(PCB)(122)에는 촬상소자(12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제어를 총괄하는 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촬상소자(121)와 인쇄회로기판(122) 사이에는 틸팅(tilting) 부재(131)가 개재된다. 상기 틸팅(tilting) 부재(131)에 의하여 상기 촬상소자가(121) 상기 렌즈군(111)의 광축(C)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해지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가(121) 렌즈군(도 1의 111 참조)의 광축(C)에 수직인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 촬상소자(121)의 전체 영역에 포커스가 맞게 된다. 즉, 촬상소자(121) 전체가 포커스 영역(F1)이 되고, 따라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가 나타나지 아니하며, 영상이 전체적으로 또 렷하게 촬영된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tilting) 부재(131)에 의하여 촬상소자(121)가 상기 렌즈군(도 1의 111 참조)의 광축(C)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되면, 즉 기울어지면 촬상소자(121)의 일부 영역에만 포커스가 맞게 된다. 즉, 촬상소자(121)의 일부만이 포커스 영역(F2)이 되고, 따라서 아웃-포커싱(out-focusing) 구현되어, 불필요한 배경은 포커스-아웃(focus-out) 즉 흐릿하게 촬영되고, 강조하고 싶은 주 피사체는 포커스-인(focus-in) 즉 또렷하게 촬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21)의 틸팅 메커니즘에 대하여는 도 5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가 작동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우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로 촬상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촬상할 피사체를 결정하고, 렌즈 유닛(110)의 전방에 피사체를 배치시키게 되면, 영상광은 렌즈 유닛(110)의 렌즈군(111)을 통과하여 거울(125a)에 도달하게 된다. 거울(125a)에 도달한 영상광은 초점 스크린(125b), 프리즘(125c), 접안 렌즈(125d)를 차례로 통과하여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게 된다.
사용자는 뷰 파인더(125)로 피사체를 본 상태에서 초점을 맞추고, 셔터 버튼을 누르면, 거울(125a)이 광 경로 상에서 벗어나게 되고, 영상광은 촬상소자(121)에 결상되게 된다.
촬상소자(121)는 결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123)의 영상 처리부(123a)로 전송되게 된다. 영상 처리부(123a)로 전송된 전기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데, 이는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고, 감마보정이 수행된다.
감마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는 것을 감마보정이라 한다.
영상 처리부(123a)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23a)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23a)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
영상 처리부(123a)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23a)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저장부(123b)에 저장됨으로써, 촬영이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200)은 촬상소자(201), 센서판(210), 베이스(220), 회동 축(23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 제1 전자석(261), 제2 전자석(262), 제1 영구자석(271), 제2 영구자석(272)을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베이스(220) 상에는 회동 축(23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 및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가 형성된다.
베이스(220)는 대략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그 중심부에는 회동 축(23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동 축(230)은 대략 구형 관절의 형태로 형성된 다. 즉, 베이스(220) 상에 소정의 원통 형상의 기둥이 형성되며, 그 기둥 상부에 구형(求刑)의 축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형 관절 형상의 회동 축(230)에 의하여 센서판(210) 및 센서판(210) 상에 형성된 촬상소자(201)가 사방으로 자유롭게 틸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220)의 일 모서리 부분에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와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가 서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와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의 상면(240b)(250b)은 대략 편평하게 형성되어, 그 위에 센서판(210)이 안착될 수 있다. 즉, 센서판(210)에 아무런 힘이 주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센서판(210)은 편평한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와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의 상면(240b)(250b)에 안착되므로, 촬상소자(201)는 렌즈(도 1의 111 참조)의 광축(C)에 수직인 평면과 평행하게, 즉 베이스(2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와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에는 홀(240b)(25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240b)(250b)에는 각각 제1 탄성 부재(241)와 제2 탄성 부재(251)가 배치된다. 즉, 제1 탄성 부재(241)와 제2 탄성 부재(251) 각각의 일 단부는 상기 홀(240b)(250b) 내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241) 및 제2 탄성 부재(251) 각각의 타 단부는 센서판(2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241)와 제2 탄성 부재(251)는 센서판(21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촬상소자(201)가 베이스(220)와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220)의 타 모서리 부분, 즉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와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가 형성된 모서리의 반대쪽 모서리에는 제1 전자석(261) 및 제2 전자석(262)이 배치된다. 여기서 전자석이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磁氣化)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을 의미하며, 전류의 공급과 상관없이 항상 자기(磁氣)를 유지하는 영구자석과 구분된다. 상기 제1 전자석(261) 및 제2 전자석(262)은 상기 촬상소자(201)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자기력을 제공함으로써, 촬상소자(201)가 베이스(220)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도록 한다.
한편 회동축(23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 및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 상에는 센서판(210)이 안착되며, 상기 센서판(210) 상에는 촬상소자(201)가 형성된다. 촬상소자(201)의 일 측에는 배선(211)이 연결되어 있다. 상세히, 센서판(210)은 대략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그 하면 중심부에는 상기 회동축(230)과 접하는 홈(210a)이 형성된다. 이 홈(210a)에 회동축(230)이 살짝 끼워지며, 센서판(210) 및 촬상소자(201)는 이 회동 축(230)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되는 것이다.
한편 센서판(210)의 하면에서 상기 제1 전자석(261)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제1 영구자석(271)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자석(262)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제2 영구자석(272)이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 팅(tilting) 메커니즘(2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센서판 및 촬상소자와 베이스가 평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센서판 및 촬상소자가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자석(261)에 전류가 통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센서판(210) 및 상기 센서판(210) 상에 배치된 촬상소자(201)와 베이스(220)가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탄성 부재(241)는 센서판(21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소자(201)가 베이스(220)와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전자석(261)에 전류가 통하게 한다. 즉, 제1 전자석(261)과 제1 영구자석(271)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1 전자석(261)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석(261)과 제1 영구자석(271)이 서로 끌어당기게 되고, 센서판(210)은 회동축(230)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된다. 따라서, 촬상소자(201)의 일부 영역에만 포커스가 맞게 됨으로써, 아웃-포커싱(out-focusing)이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제1 전자석(261)에 흐르는 전류를 끊어주게 되면, 제1 전자석(261)과 제1 영구자석(271) 사이의 인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제1 탄성 부재(24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센서판(210) 및 상기 센서판(210) 상에 배치된 촬상소자(201)와 베이스(220)가 다시 평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베이스(220) 측에 전자석이 배치되고 센서판(210) 측에 영 구자석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베이스(220) 측에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센서판(210) 측에 전자석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베이스(220) 측과 센서판(210) 측 모두에 전자석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회동축(23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240), 제1 탄성 부재(241), 제1 전자석(261), 제1 영구자석(271)에 의하여, 도 6에서 보았을 때 YZ 평면상에서의 센서판(210)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작동 원리를 회동축(230),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250), 제2 탄성 부재(251), 제2 전자석(262), 제2 영구자석(272)에 적용함으로써, XZ 평면상에서의 센서판(210)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즉, YZ 평면상에서의 센서판(210)의 틸팅과, XZ 평면상에서의 센서판(210)의 틸팅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제1 전자석(261)과 제2 전자석(262)에 동시에 통전을 시키되,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촬상소자(201)의 원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키는 방법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광학적 특성과 무관하게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300)은 촬상소자(301), 제1 센서판(310), 제1 베이스(32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 제1 전자석(361), 제1 영구자석(37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300)은 제2 센서판(330), 제2 베이스(340),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 제2 전자석(362), 제2 영구자석(372)을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베이스(320) 상에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및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가 형성된다.
제1 베이스(320)는 대략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부에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및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가 서로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는 대략 "┐"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센서판(310) 상에는 촬상소자(3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촬상소자(301)의 일 측에는 배선(311)이 연결된다. 제1 센서판(310)은 대략 편평한 판상 으로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축(3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312)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내부의 홀(미도시)에 끼워지며, 따라서 제1 센서판(310) 및 제1 센서판(310) 상에 형성된 촬상소자(301)는 이 회전축(312)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센서판(310)은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와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1 센서판(310)의 일 측 하단부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와 접하고, 동시에 제1 센서판(310)의 타 측 상단부는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와 접하게 된다.
여기서, 서로 접하고 있는 제1 센서판(310)의 일 측 하단부와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에는 각각 제1 전자석(361)과 제1 영구자석(371)이 매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 전자석(361)은 상기 제1 베이스(32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소정의 자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센서판(310)이 제1 베이스(320)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측에 전자석(361)이 배치되고 제1 센서판(310) 측에 영구자석(371)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측에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제1 센서판(310) 측에 전자석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측과 제1 센서판(310) 측 모두에 전자석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로 접하고 있는 제1 센서판(310)의 타 측 상단부와 제2 촬상소자 지 지 부재(322)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351)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51)는 제1 센서판(31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센서판(310)이 제1 베이스(320)와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1 센서판(310), 제1 베이스(32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 제1 전자석(361), 제1 영구자석(371)은 제1 베이스에(320) 대한 제1 센서판(310)의 틸팅, 다시 말하면 도 8에서 보았을 때 YZ 평면상에서의 틸팅을 담당한다.
다음으로, 제2 베이스(340) 상에는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및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가 형성된다.
제2 베이스(340)는 대략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부에는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및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가 서로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되고,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는 대략 "┐"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제2 센서판(330)은 대략 편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축(3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축(332)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의 홀(미도시)에 끼워지며, 따라서 제2 센서판(330)은 이 회전축(332)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센서판(330) 상에는 상술한 제1 베이스(320)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센서판(330)은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와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 센서판(330)의 일 측 하단부는 제3 촬상소 자 지지 부재(341)와 접하고, 동시에 제2 센서판(330)의 타 측 상단부는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와 접하게 된다.
여기서, 서로 접하고 있는 제2 센서판(330)의 일 측 하단부와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에는 각각 제2 전자석(362)과 제2 영구자석(372)이 매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 전자석(362)은 상기 제2 센서판(33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소정의 자기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 센서판(330)이 제2 베이스(340)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측에 전자석(362)이 배치되고 제2 센서판(330) 측에 영구자석(372)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측에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제2 센서판(330) 측에 전자석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측과 제2 센서판(330) 측 모두에 전자석이 배치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서로 접하고 있는 제2 센서판(330)의 타 측 상단부와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제2 센서판(33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 센서판(330)이 제2 베이스(340)와 평행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제2 센서판(330), 제2 베이스(340),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 제2 전자석(362), 제2 영구자석(372)은 제2 베이스에(340) 대한 제2 센서판(330)의 틸팅, 다시 말하면 도 8에서 보았을 때 XZ 평면상 에서의 틸팅을 담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30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제1 센서판 및 촬상소자와 제1 베이스가 평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은 제1 센서판 및 촬상소자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자석(361)에 전류가 통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센서판(310) 및 상기 제1 센서판(310) 상에 배치된 촬상소자(301)와 제1 베이스(320)가 평행을 이루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탄성 부재(351)는 제1 센서판(310)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센서판(310) 및 촬상소자(301)가 제1 베이스(320)와 평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전자석(361)에 전류가 통하게 한다. 즉, 제1 전자석(361)과 제1 영구자석(371)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1 전자석(361)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석(361)과 제1 영구자석(371)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따라서, 제1 센서판(310)은 회전축(312)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된다. 따라서, 촬상소자(301)의 일부 영역에만 포커스가 맞게 됨으로써, 아웃-포커싱(out-focusing)이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제1 전자석(361)에 흐르는 전류를 끊어주게 되 면, 제1 전자석(361)과 제1 영구자석(371) 사이의 척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제1 탄성 부재(351)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센서판(310)과 제1 베이스(320)가 다시 평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센서판(310), 제1 베이스(32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321),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322), 제1 전자석(361), 제1 영구자석(371)에 의하여 제1 베이스에(320) 대한 제1 센서판(310)의 틸팅, 다시 말하면 도 8에서 보았을 때 YZ 평면상에서의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작동 원리를 적용하여, 제2 센서판(330), 제2 베이스(340),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341),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342), 제2 전자석(362), 제2 영구자석(372)에 의하여 제2 베이스에(340) 대한 제2 센서판(330)의 틸팅, 다시 말하면 도 8에서 보았을 때 XZ 평면상에서의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즉, YZ 평면상에서의 제1 센서판(310)의 틸팅과, XZ 평면상에서의 제2 센서판(330)의 틸팅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제1 전자석(361)과 제2 전자석(362)에 동시에 통전을 시키되,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촬상소자(301)의 원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촬상소자를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시키는 방법으로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현함으로써, 카메라 렌즈의 광학적 특성과 무관하게 아웃-포커싱(out-focusing) 효과를 구 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부와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촬상소자가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틸팅(tilting) 부재에 의하여 촬상소자가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센서판 및 촬상소자가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틸팅(tilting)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Ⅵ-Ⅵ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센서판 및 촬상소자가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21: 촬상소자
201: 촬상소자 210: 센서판
220: 베이스 230: 회동 축
240: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241: 제1 탄성 부재
250: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251: 제2 탄성 부재
261: 제1 전자석 262: 제2 전자석
271: 제1 영구자석 272: 제2 영구자석
301: 촬상소자 310: 제1 센서판
320: 제1 베이스 321: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322: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330: 제2 센서판
340: 제2 베이스 341: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342: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351: 제1 탄성 부재
361: 제1 전자석 362: 제2 전자석
371: 제1 영구자석 372: 제2 영구자석

Claims (30)

  1. 렌즈;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포커스 영역의 범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는 동안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자기 부재는 각각 두 쌍씩 구비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제1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회동 축;
    상기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상기 회동 축 및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에 배치되는 센서판; 및
    상기 센서판 상에 안착되며, 입사되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판과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자기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를 틸팅(tilting) 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포커스 영역의 범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축은 구형 관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회동 축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는 상기 센서판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판과 상기 베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서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센서판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자기 부재는 각각 두 쌍씩 구비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와 수직인 제1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과,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평면상에서의 틸팅(tilting)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6. 제1 베이스;
    상기 제1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제1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센서판;
    상기 제1 센서판 상에 안착되며, 입사되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서판과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자기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를 틸팅(tilting) 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상기 제1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포커스 영역의 범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판의 양측에는 제1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센서판 및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중 어느 일 측은 "└" 형태로 형성되고, 타 측은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센서판은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센서판의 양단부 중 어느 일 측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1. 삭제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판과 상기 제1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서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판과 상기 제2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가 안착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상기 제2 베이스와 나란하도록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센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판은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하여 틸팅(tilting)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판의 양측에는 제2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센서판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중 어느 일 측은 "└" 형태로 형성되고, 타 측은 "┐"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센서판은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와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 및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제2 센서판의 양단부 중 어느 일 측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판과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자기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 부재는 상기 촬상소자를 틸팅(tilting) 시키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판과 상기 제3 촬상소자 지지 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전자석에 통전(通電) 되면, 상기 전자석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서 상기 촬상소자가 틸팅(tilting)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판과 상기 제4 촬상소자 지지 부재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틸팅된 촬상소자가 원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0090005573A 2009-01-22 2009-01-2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57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73A KR101571333B1 (ko) 2009-01-22 2009-01-2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12/691,106 US8466972B2 (en) 2009-01-22 2010-01-21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provide an out-of-focus effect
CN201010003322.3A CN101794059B (zh) 2009-01-22 2010-01-21 数字图像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73A KR101571333B1 (ko) 2009-01-22 2009-01-2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89A KR20100086289A (ko) 2010-07-30
KR101571333B1 true KR101571333B1 (ko) 2015-11-24

Family

ID=4233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73A KR101571333B1 (ko) 2009-01-22 2009-01-2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6972B2 (ko)
KR (1) KR101571333B1 (ko)
CN (1) CN101794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2219B2 (ja) * 2014-01-24 2016-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CN104020545B (zh) * 2014-06-23 2016-08-24 广州市雷凡建筑智能化工程有限公司 旋转式重影摄像镜头
CN106973204B (zh) * 2015-06-30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装置及具有该摄像装置的终端
CN104994263B (zh) 2015-06-30 2016-12-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装置及具有该摄像装置的终端
TWI744445B (zh) * 2017-12-22 2021-11-0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光路調整機構及其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4176A (ja) 2006-11-29 2008-06-12 Toshiba Corp 目標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785A (en) * 1986-01-10 1988-03-01 Canon Kabushiki Kaisha Focus detecting device using adjustable inclined sensing means
CN100414425C (zh) * 2004-02-02 2008-08-27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撷取不失焦影像的影像撷取装置与方法
JP2007248585A (ja) * 2006-03-14 2007-09-27 Canon Inc カメラ
KR100657522B1 (ko) * 2006-03-31 2006-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아웃 포커싱 촬영 장치 및 방법
EP1998202B1 (en) * 2007-06-01 2013-12-18 STMicroelectronics (Grenoble) SAS Mobile lens unit with detection device
KR20090015251A (ko) * 2007-08-08 200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4176A (ja) 2006-11-29 2008-06-12 Toshiba Corp 目標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4059B (zh) 2014-10-01
US8466972B2 (en) 2013-06-18
US20100182492A1 (en) 2010-07-22
KR20100086289A (ko) 2010-07-30
CN101794059A (zh)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1240B2 (en) Imaging device
JP4692850B2 (ja) 撮影装置
EP2618585A1 (en) Monocular 3d-imaging device, shading correction method for monocular 3d-imaging device, and program for monocular 3d-imaging device
KR1015713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450908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
JP4916378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ファイル及び階調補正方法
JP201010392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8712231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US8456551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mear correction method thereof
JP200531176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773242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800682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7336169A (ja) 携帯機器
KR10163510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20315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153441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06341B2 (ja) 画像撮影装置
JP2011151693A (ja) 画像処理装置
JP391898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7088747A (ja) 画像再生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撮影装置
JP2012239078A (ja) 撮影装置
JP2007049478A (ja) 携帯電子装置
KR101817658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014145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622954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