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196B1 -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196B1
KR101568196B1 KR1020130148408A KR20130148408A KR101568196B1 KR 101568196 B1 KR101568196 B1 KR 101568196B1 KR 1020130148408 A KR1020130148408 A KR 1020130148408A KR 20130148408 A KR20130148408 A KR 20130148408A KR 101568196 B1 KR101568196 B1 KR 101568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trol
control room
sliding door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714A (ko
Inventor
허재관
류승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1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은, 선체의 거주구로부터 엔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장비가 배치되는 엔진 컨트롤 룸(ENGINE CONTORL ROOM, ECR)까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엘리베이터에 배치되는 제1 미닫이 도어유닛; 및 제1 미닫이 도어유닛에 대응하도록 엔진 컨트롤 룸에 배치되는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ENGINE CONTROL ROOM AND ELEVATOR DO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를 상호 연결하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조선해양시스템에서 거주구에서 ECR(Engine Control Room)로 들어가기 위한 엘리베이터 출입문의 경우, 일반적으로 Safety 를 위하여 미닫이(엘리베이터 측) 와 여닫이(ECR 측)로 구성된다.
이처럼 거주구에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ECR로 들어가는 출입문의 경우 미닫이(엘리베이터 측)와 여닫이(ECR 측)의 이중 도어 구성으로 되므로, 이러한 구조적인 부분은 조선해양시스템의 안전(Safety) 관점에서 법률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사항이다.
일 예로, 거주구에서 엘리베이터를 통해 ECR로 가는 도중에 ECR에 화재를 비롯한 문제가 생겼을 경우, 출입문이 한 번에 열리면 안되므로, 모든 출입문이 일괄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기계적 인터록 및 ECR 측에 여닫이 문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론 안전 관점에서 ECR로 향하는 문이 한 번에 자동으로 열리지만 않게 하며, 수동으로 열림 스위치를 눌렀을 때 문이 열리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열림 스위치는 고장 안정성(Failure Safety)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고장 폐쇄(Fail Close) 기능을 갖추도록 회로를 구성하며, 전원 고장(Power failure)시 수동으로 열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그러나, 종래의 ECR 측 도어는, 여닫이로 구성되어 있어, ECR과 외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열림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ECR과 외부의 압력차이로 인해 여닫이 시 수동으로 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기존의 ECR 측 여닫이 문 구성의 경우 ECR에서 엘리베이터 측으로 이동할 때 엘리베이터 측 문이 열리면서 기계적 인터록(Interlock)이 해제되고, 이를 알리는 램프가 점등되는 순간을 주시하였다가 문을 열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한 점이 있다. 사용자는 램프가 점등될 때가지 주시하여야 하므로 피로를 느낄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83601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ECR 로 향하는 문을 열 때 ECR과 엘리베이터 내부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한 도어의 고장이 없으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때 많은 노력과 힘을 쓸 필요가 없어지며, 사용자 측면에서 램프 등을 주시할 필요 없이 문이 열리는 순간을 좀 더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거주구로부터 엔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장비가 배치되는 엔진 컨트롤 룸(ENGINE CONTORL ROOM, ECR)까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엘리베이터에 배치되는 제1 미닫이 도어유닛; 및 상기 제1 미닫이 도어유닛에 대응하도록 상기 엔진 컨트롤 룸에 배치되는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포함하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은,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을 투시할 수 있도록 유리창이 마련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본체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 상기 도어본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본체에 마련되는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 및 상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자동개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은, 상기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이 개방된 후,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인터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거주구의 엘리베이터가 엔진 컨트롤 룸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가 엔진 컨트롤 룸에 도착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을 개방한 후,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유리창을 통해 내부의 안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내부가 안전하면,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잠금을 도어인터록모듈에 의해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인터록모듈의 잠금이 해제된 후,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에 의해 개방하며, 혹은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이 고장에 의해 개방되지 않으면 수동 개폐용 손잡이에 의해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의 도어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내부 상태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개방이 차단됨과 동시에 경고 및 비상 알람이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잠금을 상기 도어인터록모듈에 의해 해제하는 경우, 상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에 의한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개방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ECR 로 향하는 문을 열 때 ECR과 엘리베이터 내부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한 도어의 고장이 없으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때 많은 노력과 힘을 쓸 필요가 없어지며, 사용자 측면에서 램프 등을 주시할 필요 없이 문이 열리는 순간을 좀 더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이 탑재된 선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에 대응하도록 ECR에 마련되는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과, ECR에 마련되는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개방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은, 선체(100)의 거주구(110)로부터 엔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장비가 배치되는 엔진 컨트롤 룸(120, ENGINE CONTORL ROOM, ECR)까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엘리베이터(122)에 배치되는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과,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에 대응하도록 엔진 컨트롤 룸(120)에 배치되는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에 대응하는 ECR(120)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이 기존의 여닫이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여 미닫이 방식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ECR(120)의 여닫이 도어는, ECR(120)의 내부와 외부 압력 차이가 있을 경우, 개방하기가 쉽지 않았다.
즉 여닫이 도어는, 한쪽의 회전축에 도어가 회전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압력 차이가 있을 경우, 그 만큼의 압력 차이를 극복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이 가해져야 하는데, 전동 또는 수동의 회전력에 의해서 쉽게 개방되지 않으며, 고장이 자주 발생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ECR(120)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은,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과 작동방식이 거의 같으며, 압력 차이에 영향을 적게 받는 미닫이 방식으로서, ECR(120)로 향하는 문을 열 때 ECR(120)과 엘리베이터(122) 내부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한 도어의 고장이 없으며,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할 때 많은 노력과 힘을 쓸 필요가 없어지며, 사용자 측면에서 램프 등을 주시할 필요 없이 문이 열리는 순간을 좀 더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122)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선체(100)에 탑재되어 있는 거주구(110)로부터 ECR(120)까지 운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은, 통상의 엘리베이터(122)에 설치되는 도어장치에 해당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은, 슬라이드 더블 도어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리니어 가이드가 있는 전동방식으로 작동된다.
엘리베이터(122)의 이동경로에 배치되는 ECR(120)은, 엘리베이터(122)의 대응하여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은, 엘리베이터(122)에서 작업자가 하차함과 동시에 바로 ECR(120)로 진입할 수 있도록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은, 엔진 컨트롤 룸(120)을 투시할 수 있도록 유리창(132)이 마련되는 도어본체(131)와, 도어본체(13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본체(131)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와, 도어본체(131)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도어본체(131)에 마련되는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과,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에 의해 도어본체(131)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자동개폐유닛(139)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은, ECR(120)의 내벽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본체(131)와, 도어본체(131)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개폐유닛(139)을 포함하는데, 작업자에 의해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이 가압될 때, 도어본체(131)는 ECR(120)이 개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본체(131)를 이동시키는 자동개폐유닛(139)은,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전동방식으로, 통상적인 엘리베이터(122)의 도어 측 구동요소들을 포함하므로 세부적인 요소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어본체(131)에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 마련되는데, 이러한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는 도어본체(131)가 자동개폐유닛(139)에 의해 개폐되지 않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이 개방된 후, 도어본체(131)의 유리창(132)을 통해 내부상황을 확인한 후,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을 눌러 도어본체(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본체(131)가 자동 개폐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에 의해 도어본체(1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은,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이 개방된 후,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잠금 해제가 가능한 도어인터록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어본체(131)의 유리창(132)을 통해서 ECR(120)의 내부 상황을 확인한 후,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 또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에 의해 도어본체(131)를 개방시킬 수 있으나, 도어인터록모듈(140)가 해제되지 않으면 도어본체(131)가 이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도어인터록모듈(140)은,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이 개방될 때, ECR(120)의 내부 상황에 의해 도어본체(131)가 강제로 개방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유리창(132)을 통해 ECR(120)의 내부 상황을 확인하지 않고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을 습관적으로 눌러 도어본체(131)를 개방하려는 행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에 대한 도어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에 대한 도어제어방법은, 거주구(110)의 엘리베이터(122)가 엔진 컨트롤 룸(120)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122)가 엔진 컨트롤 룸(120)에 도착한 후,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을 개방하는 단계와, 엘리베이터(122)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을 개방한 후, 엔진 컨트롤 룸(120)의 유리창(132)을 통해 내부의 안전을 확인하는 단계와, 엔진 컨트롤 룸(120)의 내부가 안전하면 엔진 컨트롤 룸(120)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잠금을 도어인터록모듈(140)에 의해 해제하는 단계와, 도어인터록모듈(140)의 잠금이 해제된 후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을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에 의해 개방하며, 혹은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이 고장에 의해 개방되지 않으면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에 의해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ECR(120)로 이동하는 작업자는, 거주구(110) 외 다른 장소에서 엘리베이터(122)를 탑승한 상태에서 ECR(120)에 도착할 있으며, 거주구(110)에서 엘리베이터(122)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122)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22)가 ECR(120)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미닫이 도어유닛(125)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도어본체(131)의 유리창(132)을 통해 ECR(120)의 내부가 안전하진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전한 경우에는 도어인터록모듈(140)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어인터록모듈(140)이 해제되면, 도어본체(131)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자동 개폐용 스위치 버튼이 눌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본체(131)가 개방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ECR(120)로 진입하여 정확한 현황을 살피면서 관리 및 정비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어본체(131)가 자동개폐유닛(139)에 의해서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135)에 의해 도어본체(131)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엔진 컨트롤 룸(120)의 내부 상태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을 가압하는 경우,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개방이 차단됨과 동시에 경고 및 비상 알람이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 컨트롤 룸(120)의 안전 상태는, 유해가스 또는 화재, 누전 발생 등과 같은 비상사태로서, 이러한 엔진 컨트롤 룸(120)의 정황은, 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자동 인식될 수 있으며, 자동개폐유닛(139)이 이러한 센서 및 카메라에 연동되어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개폐 작동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도어인터록모듈(140)이 전동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서는 도어인터록모듈(140)이 잠금 해제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때에는, 엔진 컨트롤 룸(120)의 비상 상황이, 외부적으로 알려질 수 있도록 외부에 있는 비상등 또는 비상 사이렌과 같은 비상 알람이 작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중앙컨트롤센터를 통한 자동 경고 방송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엔진 컨트롤 룸(120)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잠금을 도어인터록모듈(140)에 의해 해제하는 경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에 의한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개방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인터록모듈(140)이 해제된다 하여 제2 미닫이 도어유닛(130)의 도어본체(131)가 개방된다면, 작업자의 안전 상황을 살피지 못한 실수로 인한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컨트롤 룸(120)의 내부에 비상 상황일 경우에는, 도어인터록모듈(140)에 의해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 측으로부터 자동개폐유닛(139)을 작동시키는 신호가 차단될 수 있으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 자체의 전원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반면에, 엔진 컨트롤 룸(120)의 내부 상황이 안전 상황이면,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137)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자동개폐유닛(139)을 작동시키는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선체 110: 거주구
120: 엔진 컨트롤 룸, ECR 122: 엘리베이터
125: 제1 미닫이 도어유닛 130: 제2 미닫이 도어유닛
131: 도어본체 132: 유리창
135: 수동 개폐용 손잡이 137: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
139: 자동개폐유닛 140: 도어인터록모듈

Claims (6)

  1. 선체의 거주구로부터 엔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장비가 배치되는 엔진 컨트롤 룸(ENGINE CONTORL ROOM, ECR)까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엘리베이터에 배치되는 제1 미닫이 도어유닛; 및
    상기 제1 미닫이 도어유닛에 대응하도록 상기 엔진 컨트롤 룸에 배치되는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은,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을 투시할 수 있도록 유리창이 마련되는 도어본체;
    상기 도어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본체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용 손잡이;
    상기 도어본체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어본체에 마련되는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 및
    상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에 의해 상기 도어본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자동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은, 상기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이 개방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의 작동 가능상태 또는 불가능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입력을 받는 도어인터록모듈을 더 포함하고,
    엔진 컨트롤 룸 내부에는, 엔진 컨트롤 룸의 유해가스, 화재, 누전이 있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상기 도어인터록모듈의 작동을 차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거주구의 엘리베이터가 엔진 컨트롤 룸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가 엔진 컨트롤 룸에 도착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1 미닫이 도어유닛을 개방한 후,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유리창을 통해 내부의 안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내부가 안전하면,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의 작동 가능상태 또는 불가능상태로 설정할 수 있도록 도어인터록모듈이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이 작동 가능상태가 되면,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에 의해 개방하며, 혹은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이 고장에 의해 개방되지 않으면 수동 개폐용 손잡이에 의해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 룸의 내부 상태가 안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자동 개폐용 푸시버튼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제2 미닫이 도어유닛의 개방이 차단됨과 동시에 경고 및 비상 알람이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엔진 컨트롤 룸 내부에는, 엔진 컨트롤 룸의 유해가스, 화재, 누전이 있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상기 도어인터록모듈의 작동을 차단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30148408A 2013-12-02 2013-12-02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KR10156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408A KR101568196B1 (ko) 2013-12-02 2013-12-02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408A KR101568196B1 (ko) 2013-12-02 2013-12-02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14A KR20150063714A (ko) 2015-06-10
KR101568196B1 true KR101568196B1 (ko) 2015-11-11

Family

ID=5350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408A KR101568196B1 (ko) 2013-12-02 2013-12-02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1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714A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8962B2 (en) Hatch cover manager
US10252883B2 (en)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KR101486167B1 (ko) 방화도어 자동폐쇄장치
GB2494229A (en) A fastening device with remote monitoring
EP2568100B2 (de) System für eine tür
JP5014657B2 (ja) 入退出監視システム
CN109098610B (zh) 电动的门驱动装置和安全门
KR102189861B1 (ko) 2개의 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JP5562511B2 (ja) ドア制限装置
KR101568196B1 (ko) 엔진 컨트롤 룸과 엘리베이터의 도어시스템 및 이의 도어제어방법
KR101918809B1 (ko) 전자잠금장치와 개방유지장치를 구비한 반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93728A (ko)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20138574A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JP2006219956A (ja) 自動ゲート開閉システム
KR100731999B1 (ko) 리모컨을 이용한 셔터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EP2192562A1 (de) Fluchttürsteuerungsgerät und Türsystem
CN209990286U (zh) 一种带报警和二次保险功能的驾驶区防护隔离设施围门锁
KR101464471B1 (ko)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KR102113881B1 (ko) 방범기능 및 방화기능이 개선된 도어락 시스템
WO2019073536A1 (ja) 鉄道車両用錠装置
US20240011340A1 (en) Door Gap Lock
KR101755275B1 (ko) 상황 알림기능을 갖는 비상문 잠금 시스템
JP5757589B2 (ja) エレベータの煙感知器点検口
KR20140147276A (ko)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KR20120124267A (ko) 전동차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