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276A -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 Google Patents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276A
KR20140147276A KR20130070224A KR20130070224A KR20140147276A KR 20140147276 A KR20140147276 A KR 20140147276A KR 20130070224 A KR20130070224 A KR 20130070224A KR 20130070224 A KR20130070224 A KR 20130070224A KR 20140147276 A KR20140147276 A KR 20140147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sing
rear door
open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옥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276A/ko
Publication of KR2014014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F41H7/04Armou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도어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전투차량 후방도어를 안전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는, 전투차량의 후방측 출입구 하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출입구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후방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도어폐쇄 감지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시 상기 후방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도어잠금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언록킹 감지수단; 상기 후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개폐 스위치; 및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 도어언록킹 감지수단 및 도어개폐 스위치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개폐수단, 상기 도어잠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REAR DOOR OF COMBAT VEHICLE AND COMBAT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도어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전투차량 후방도어를 안전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갑차, 탱크, 자주포 등의 전투차량은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각종 위협요소로부터 내부에 탑승한 승무원 및 내부에 설치된 각종 장비의 안전을 위하여 방호성능이 우수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투차량에는 내부와 외부의 통로역할을 하는 출입구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출입구에는 전투차량용 도어가 설치된다.
특히, 많은 인원이 신속하게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도록 전투차량의 후방측에 큰 출입구가 구비된 경우에는, 출입구 하측에 구비된 힌지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승무원 탑승 및 하차시에 그 발판의 역할도 할 수 있는 후방도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후방도어는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특히 출입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위협요소로부터 내부의 승무원과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후방도어가 출입구를 완전하게 밀폐시킨 상태로 폐쇄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후방도어 또는 전투차량의 출입구 인근 외면에 밀폐부재가 설치되고, 후방도어를 전투차량의 외면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로 잠글 수 있는 개폐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후방도어가 전투차량의 외면에 가압되면, 밀폐부재가 후방도어와 전투차량의 외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가압되므로 출입구가 밀폐된 상태로 폐쇄된다.
종래의 개폐장치는 탑승자가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링키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개폐장치는, 조종석에 구비된 레버, 상기 레버와 연결된 다수의 링키지, 상기 링키지에 의해 회동되도록 출입구의 상측에 설치된 회동바, 상기 회동바에 고정 설치되어 회동바의 회동에 따라 후방도어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홈에 각각 걸리게 되며 후방도어를 전투차량의 내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조종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레버를 당기면, 그 힘이 다수의 링키지에 의해 전달되어 회동바가 일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회동바에 고정 설치된 걸림부재가 걸림홈에 걸려 후방도어가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출입구가 밀폐된 상태로 폐쇄된다. 한편, 후방도어의 개방은 상기 동작의 반대 방향으로 이뤄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방도어 개폐장치는, 승무원이 레버를 당기는 힘을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링키지가 구비되므로, 이러한 링키지의 유지 보수 필요성 및 고장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후방도어 개폐장치는, 탑승자가 직접 후방도어의 개폐를 확인한 후 레버를 직접 당기거나 레버를 직접 밀어서 작동되므로, 그 잠금 및 잠금 해제에 다소 많은 시간 및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20-0453548호에 기재된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실린더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걸쇠의 삽입부가 도어에 고정된 체결브래킷의 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도어가 잠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될 뿐이며, 탑승자가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탑승자가 개방 버튼을 작동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홈에 배출되어 도어의 고정이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의 도어작동기기에 의해 후방도어의 개방이 이뤄지기 때문에 탑승자가 개방 버튼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작동기기를 조작할 경우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 선행기술문헌] 등록실용신안 제20-0453548호(2011.05.02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도어개폐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함과 함께 도어잠금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이 제어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뤄지므로 개폐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차량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는, 전투차량의 후방측 출입구 하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출입구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후방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도어폐쇄 감지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시 상기 후방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도어잠금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언록킹 감지수단; 상기 후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개폐 스위치; 및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 도어언록킹 감지수단 및 도어개폐 스위치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개폐수단, 상기 도어잠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로부터 도어개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언록킹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에서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개폐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로부터 도어폐쇄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언록킹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에서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개폐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에서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잠금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록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도어의 개방시 점등상태가 되고,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시 소등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투차량의 조종수석에 설치된 후방경고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후방도어의 내측면 하단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된 복수의 풀리에 감겨진 후 실내측 저부에 고정된 와이어; 및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되되, 상기 후방도어의 반대측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감겨진 조절브래킷이 구비된 개폐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잠금수단은,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출입구 측을 향하여 신장 또는 그 반대측으로 수축되는 신축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잠금플레이트가 구비된 잠금용 유압실린더; 및 상기 후방도어의 내측면 상단측에 고정되되,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의 잠금플레이트가 삽입 또는 배출가능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 또는 도어언록킹 감지수단은 리미트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후방도어 개폐장치가 구비된 전투차량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도어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전투차량 후방도어를 안전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도어개폐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함과 함께 도어잠금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이 제어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뤄지므로 개폐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종수석에 설치된 후방경고램프를 통해 조종수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후방도어의 개폐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는, 전투차량의 후방측에 형성된 출입구(H)의 하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출입구(H)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되는 전투차량의 후방도어(D)를 개폐동작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는, 도어개폐수단(100), 도어폐쇄 감지수단(200), 도어잠금수단(300),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 도어개폐 스위치(500), 후방경고램프(700),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100)은, 상기 후방도어(D)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도어(D)를 개폐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개폐수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10), 개폐용 유압실린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110)의 일단은 상기 후방도어(D)의 내측면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10)의 타단은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된 풀리(112)에 감겨진 후 실내측 저부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110)의 일단은 상기 후방도어(D)의 내측면 하단측에 구비된 브라켓(B)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풀리(112)는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10)가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풀리(112)는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구비된 브래킷(BK)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10)는 후방도어(D)의 내측면 하단부에서 연장된 후 상기 복수의 풀리(112)를 통해 상기 브래킷(BK)의 내부를 통해 연장된 후 상기 브래킷(BK)의 일측에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풀리(112)만 도시되어 있으나, 브래킷(BK)의 내부에 풀리(112)가 더욱 구비된다.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는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는 상기 후방도어(D)의 반대측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의 단부에는 롤러 등과 같은 구름수단이 구비된 조절브래킷(122)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110)의 일부가 감겨진다.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는, 저유기(800)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유기(800)에 구비된 후방도어 개방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10)와 후방도어 폐쇄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20)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개폐작동됨에 따라 작동유 공급 또는 차단되어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가 신장하면, 상기 와이어(110)에 장력이 더욱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10)의 일단이 상기 후방도어(D)를 당기게 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폐쇄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가 수축하면, 상기 와이어(110)에 가해지는 장력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10)의 일단이 상기 후방도어(D)를 점점 놓게 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자중에 의해 개방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110)와 개폐용 유압실린더(120)는 상기 후방도어(D)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개폐수단(100)에 의해 상기 후방도어(D)의 개폐가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은,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은 후방도어(D)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은 리미트 센서, 버튼식 센서 등 접촉식 센서와 비접촉식 센서 중 임의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은 상기 출입구(H)에 근접한 위치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에 의해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은,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상태시 상기 후방도어(D)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용 유압실린더(310), 체결브래킷(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는 상기 출입구(H)에 근접한 위치의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출입구(H) 측을 향하여 신장 또는 그 반대측으로 수축되는 신축로드(310a)가 구비되며, 상기 신축로드(310a)의 단부에는 잠금플레이트(312)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는, 저유기(800)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유기(800)에 구비된 록킹 유압솔레노이(830)와 언록킹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40)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개폐작동됨에 따라 작동유 공급 또는 차단되어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브래킷(320)은 상기 후방도어(D)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플레이트(312)의 위치에 대응하는 후방도어(D)의 내측면 상단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체결브래킷(320)은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잠금플레이트(312)가 삽입 또는 배출가능하도록 체결홀(330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신장하면, 상기 잠금플레이트(312)가 상기 체결브래킷(320)의 체결홀(330h)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록킹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수축되게 작동하면, 상기 잠금플레이트(312)가 상기 체결브래킷(320)의 체결홀(330h)에서 배출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언록킹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잠금플레이트(312)의 배출 위치는, 상기 후방도어(D)의 개폐동작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와 체결브래킷(320)은 상기 후방도어(D)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잠금수단(300)에 의해 상기 후방도어(D)의 록킹 또는 언록킹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은, 상기 후방도어(D)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은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의 신장 또는 수축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은 리미트 센서, 버튼식 센서 등 접촉식 센서와 비접촉식 센서 중 임의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도어(D)의 언록킹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은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와 근접한 위치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에 의해 상기 후방도어(D)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500)는, 상기 후방도어(D)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수석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500)는, 닫힘 조작, 비조작, 열림 조작을 위한 3상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조종수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닫힘 조작 또는 열림 조작을 한 후 손을 떼면 원래의 상태인 비조작으로 자동으로 복귀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수석에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500)와 근접한 위치에 후방경고램프(700)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경고램프(700)는, 상기 후방도어(D)의 개방시 점등상태가 되고,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시 소등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600)에 대한 설명 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개폐 스위치(500)에 의해 상기 후방도어(D)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조종수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상기 후방경고램프(700)를 통해 도어의 개폐상태를 쉽게 파악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 및 도어개폐 스위치(5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개폐수단(100),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500)로부터 도어개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후방도어(D)의 개방을 위한 제어를 하며, 구체적인 개방제어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이 상기 후방도어(D)를 언록킹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가 저유기에 구비된 언록킹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40)를 개방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수축하여 상기 잠금플레이트(312)가 상기 체결브래킷(320)의 체결홀(330h)에서 배출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언록킹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에서 상기 후방도어(D)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개폐수단(100)이 상기 후방도어(D)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가 저유기에 구비된 후방도어 개방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10)를 개방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수단(100)의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120a)가 수축하여 상기 와이어(110)의 타단이 상기 후방도어(D) 측에서 멀어지게 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개방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가 저유기에 구비된 후방도어 개방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10)를 개방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후방경고램프(700)를 점등제어한다.
상기 후방도어(D)가 개방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언록킹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40)는 폐쇄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500)로부터 도어폐쇄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를 위한 제어를 하며, 구체적인 폐쇄제어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이 상기 후방도어(D)를 언록킹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도어(D)가 폐쇄동작하게 되면 장치의 고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도어(D)를 폐쇄하는 동안에는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의 잠금용 유압실린더(310)가 수축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가 저유기에 구비된 언록킹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40)를 개방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수축하여 상기 잠금플레이트(312)가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동작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400)에서 상기 후방도어(D)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개폐수단(100)이 상기 후방도어(D)를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가 저유기에 구비된 후방도어 폐쇄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20)를 개방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수단(100)의 개폐용 유압실린더(120)의 신축로드(120a)가 신장되어 상기 와이어(110)의 타단이 상기 후방도어(D) 측에 가깝도록 당겨져서 상기 후방도어(D)가 폐쇄동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도어(D)가 폐쇄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언록킹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40)는 지속적으로 개방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에서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어잠금수단(300)이 상기 후방도어(D)를 록킹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가 저유기에 구비된 록킹 유압솔레노이드 밸브(830)를 개방제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310)의 신축로드(310a)가 신장되어 상기 잠금플레이트(312)가 상기 체결브래킷(320)의 체결홀(330h)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도어(D)가 록킹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200)에서 상기 후방도어(D)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후방경고램프(700)를 소등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동작에 따르면, 조종수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500)를 열림 또는 닫힘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후방도어(D)가 안전하게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 개폐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경고램프(700)를 통해 탑승자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도어개폐수단 110:와이어
112:풀리 120:개폐용 유압실린더
200:도어폐쇄 감지수단 300:도어잠금수단
310:잠금용 유압실린더 312:잠금플레이트
330:체결브래킷 330h:체결홀
400:도어언록킹 감지수단 500:도어개폐 스위치
600:제어부 700:후방경고램프
D:후방도어 H:출입구

Claims (8)

  1. 전투차량의 후방측 출입구 하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출입구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동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후방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도어폐쇄 감지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시 상기 후방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도어잠금수단;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언록킹 감지수단;
    상기 후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방신호 또는 도어폐쇄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개폐 스위치; 및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 도어언록킹 감지수단 및 도어개폐 스위치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개폐수단, 상기 도어잠금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로부터 도어개방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언록킹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에서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개폐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폐 스위치로부터 도어폐쇄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 상기 도어잠금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언록킹하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도어언록킹 감지수단에서 상기 후방도어의 언록킹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개폐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에서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잠금수단이 상기 후방도어를 록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도어의 개방시 점등상태가 되고, 상기 후방도어의 폐쇄시 소등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투차량의 조종수석에 설치된 후방경고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일단이 상기 후방도어의 내측면 하단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된 복수의 풀리에 감겨진 후 실내측 저부에 고정된 와이어; 및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저부에 고정되되, 상기 후방도어의 반대측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감겨진 조절브래킷이 구비된 개폐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잠금수단은,
    상기 전투차량의 실내측 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출입구 측을 향하여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신축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신축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잠금플레이트가 구비된 잠금용 유압실린더; 및
    상기 후방도어의 내측면 상단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잠금용 유압실린더의 잠금플레이트가 삽입 또는 배출가능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폐쇄 감지수단 또는 도어언록킹 감지수단은 리미트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가 구비된 전투차량.
KR20130070224A 2013-06-19 2013-06-19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KR20140147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224A KR20140147276A (ko) 2013-06-19 2013-06-19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224A KR20140147276A (ko) 2013-06-19 2013-06-19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276A true KR20140147276A (ko) 2014-12-30

Family

ID=5267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224A KR20140147276A (ko) 2013-06-19 2013-06-19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2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62B1 (ko) * 2018-11-06 2020-05-29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장갑차량의 후방도어 제어시스템
KR20210106116A (ko) 2020-02-20 2021-08-30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62B1 (ko) * 2018-11-06 2020-05-29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장갑차량의 후방도어 제어시스템
KR20210106116A (ko) 2020-02-20 2021-08-30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특수 차량의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6226B2 (en) Pressure responsive blowout latch
US7357435B2 (en) Power tailgate anti-theft system
RU2583118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к вещевому отсеку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CN107939186A (zh) 可缩回把手装置、车辆和车身部件
CN102383676A (zh) 闭锁系统
CN102910052B (zh) 车辆的车身中的进入开口的控制
DE102013007154A1 (de) Kraftfahrzeug mit einem Zentralverriegelungssystem
US20210062558A1 (en) Motor vehicle handl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motor vehicle handle assembly
EP2568100B1 (de) System für eine tür
JP7177709B2 (ja) 航空機用プライバシードア、及びドアフレームアセンブリ
CA2384074A1 (en) Fast evacuation device for aircraft
CN106567629A (zh) 车辆的发动机罩闩锁组件及其致动方法
EP2449335B1 (en) Emergency opening system for vehicle door or window
US20010010430A1 (en) Drive assembly for a moveable vehicle component
CA2555444C (en) Opening and secure-closing system for doors
KR20140147276A (ko) 전투차량 후방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투차량
US9073619B2 (en) Security door and security area
JP4597688B2 (ja) スライドドア車のフラップオープナシステム
US6729072B1 (en) Integral latch and drive system for a powered sliding door
US9199578B2 (en) Tonneau cover device
US20120180469A1 (en) Heavy door assist system
KR100803551B1 (ko) 차량 도어의 개폐각 제어 시스템
EP0833995A1 (en) Opening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closure members
KR200453548Y1 (ko) 전투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DK2580412T3 (en) Vehicle door for armored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