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758B1 -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758B1
KR101567758B1 KR1020130124045A KR20130124045A KR101567758B1 KR 101567758 B1 KR101567758 B1 KR 101567758B1 KR 1020130124045 A KR1020130124045 A KR 1020130124045A KR 20130124045 A KR20130124045 A KR 20130124045A KR 101567758 B1 KR101567758 B1 KR 10156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iglec
allergic
gro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687A (ko
Inventor
김영효
장태영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7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의 병용투여는 항-Siglec-F 항체 또는 항-IL-33 항체의 단독 투여에 비하여, 알러지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알러지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바, 효과적인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allergic diseases comprising anti-Siglec-8 antibody or anti-Siglec-F antibody, and anti-IL-22 antibody}
본 발명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 질환은 외부적인 환경에 존재하는 알러지 반응을 유발시키는 항원 물질 (알레르겐,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꽃가루, 동물 비듬, 계란, 우유, 콩, 밀가루, 땅콩, 등)에 대한 과민한 반응(알러지 반응)으로 인하여 피부나 기도 또는 안구 점막 등에 만성적인 염증반응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일종이다. 통상적으로 알러지 질환에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비염, 알러지 결막염,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 등이 포함된다. 알러지 질환의 발병기전에서 외부물질에 대한 IgE 항체의 매개에 의한 알러지 반응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이 핵심적인 역할을 함이 잘 밝혀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여러가지 알러지 질환들은 각각 질병의 임상적 표현양상은 다르지만 매우 비슷한 병인기전으로 발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알러지 질환 환자들에서 2가지 이상의 알러지 질환들을 동시에 앓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알러지 질환들이 스테로이드나 항알러지약제들(항히스타민제나 항류코트리엔약제, 등) 및 면역조절제(cyclosporin 등)와 같은 동일한 종류의 약제로 호전되는 점은 알러지 질환들이 비록 임상양상은 다르더라도 공통적인 알러지성 병인기전으로 발생되며 이러한 알러지성 병인기전을 억제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로 여러 가지 알러지 질환들이 동시에 치료될 수 있음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한다.
현재 알러지 질환은 외부적인 원인 알레르겐이 밝혀진 경우 이 물질에 대한 노출을 피하거나 외부물질인 원인 알레르겐을 피하로 소량씩 주사로 투여하여 원인 알레르겐에 대한 과민한 반응을 감소시키는 알러지 면역치료를 통하여 호전시킬 수 있다. 또한 알러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현재 사용되는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의 전신 혹은 국소적 투여나, 항히스타민제, 항-IgE 항체 치료제 등의 치료약물을 전신적으로 투여할 경우 한 환자에서 2 가지 이상의 알러지 질환을 가진 경우에도 각각의 질환들과 관련된 임상증상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의 알러지 질환에 대한 표준적인 약물치료법은 약물이 투여되는 동안에만 알러지 질환의 임상증상을 호전시킬 뿐 질병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직까지 알러지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완치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약제나 치료법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알러지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의 병용투여가 알러지 질환 모델에서 알러지 반응을 현저히 완화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Siglec (Sialic acid-binding immunoglobulin-like lectin)는 다수의 세포외 도메인 및 세포질 도메인을 포함하는 막관통 수용체이다. N-말단 세포외 렉틴 도메인은 특정 형태의 시알산과 결합하고, Siglec의 세포질 도메인은 1개 이상의 면역수용체 타이로신-기반 억제 모티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인간에서의 Siglec-8은 호산구, 호염구 및 비만세포의 세포막에 선별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마우스에서의 Siglec-F는 인간 Siglec-8과 가장 가까운 기능적 파랄로그 (paralog)이다.
본 발명에서 IL-33은 인터루킨-33은 IL-1 family의 일종으로 ST2 수용체에 결합하여 비만세포, 호산구, 호염기구, Th2 림프구, 상피세포 등의 다양한 세포에 작용하여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루킨-33의 작용은 전신적 Th2 반응의 증가 (up-regulation)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Siglec-8 또는 Siglec-F, 및 항 IL-33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면 모든 형태의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모노클로날항체, 폴리클로날항체, 다중특이적 항체(즉 두 개 이상의 항원 또는 두 개 이상의 에피토프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갖는 항체로서 예컨대 이특이적 항체 등을 말함), 인간화 항체, 인간 항체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항 IL-33 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는 항체의 단편, 재조합 항체, 화학적으로 수식된 항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인간화 항체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이 마우스, 토끼, 쥐, 영장류 등 비인간 종의 CDR로 대체된 항체로서 면역 거부 반응을 최소화한 항체를 말하는데, 이러한 항체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인간 항체는 내인성 면역글로불린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를 파괴시킨 마우스 등의 동물에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를 도입시키고, 그 동물에 특정 항원을 면역시켜 얻어지는 항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에서 항체의 단편의 예로서는 Fab, F(ab'), F(ab')2, scFv(중쇄나 경쇄의 Fv를 적당한 링커로 연결시킨 항체), Fv 단편, Fab/c(1개의 Fab와 완전한 Fc를 가지는 항체), 선형 항체, 항체를 단백질 절단 효소 예컨대, 파파인, 펩신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항체 단편, 단편에 대한 유전자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숙주세포에 도입·발현시켜 얻어지는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항체의 글로불린 유형도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그 글로불린 유형은 IgG, IgM, IgA, IgD, IgY 및 Ig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클로날 항체는, 조류 (예를 들면, 닭 등), 포유 동물 (예를 들면, 토끼, 염소, 말, 양, 쥐, 비인간 영장류 (원숭이, 침팬지, 고릴라) 등)에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을 면역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통상 최종 면역일부터 6 내지 60일 후에 효소 면역 측정법 (EIA 및 ELISA), 방사 면역 측정법(RIA) 등으로 항체가를 측정하고, 최대 항체가를 나타낼 때에 채혈하는 과정을 밟게 될 것이다. 항체는 면역된 동물의 혈액으로부터 당업계의 공지·관용된 방법 예컨대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모노클로날 항체는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에 특이적인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컨대 동물을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로 면역시키고, 그 면역시킨 동물로부터 비장 세포를 채취하고, 그 비장 세포를 골수종 세포주에 융합시키고, 그에 따라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생성하고, 그리고 목적으로 하는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성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동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한 세포주로부터 모노클로날 항체의 분리·회수는 당업계의 공지·관용기술에 의해서 가능하다. 상기 Siglec-F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변영역으로 포함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IL-33의 모노클로날 항체는 예를 들면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변영역으로 포함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체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 면역원으로서의 본 발명의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은 당 업계의 공지·관용된 DNA 재조합 기술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본 발명의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의 cDNA를 제작하고 그 cDNA를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그 발현 벡터를 원핵 또는 진핵 숙주 세포에 형질전환시키고 그 형질전환된 숙주 세포를 적당한 배지에서 배양하고, 그 배양액 또는 세포로부터 얻게 될 것이다. 상기 cDNA는 GenBank 등의 유전자/단백질 테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유전자 서열 또는 본 명세서가 제공하는 서열에 기초하여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제작 가능하다. 이러한 cDNA의 제조에는 포스포아미다이트법 등을 이용하는 DNA 합성 장치, RT-PCR 법,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목적하는 cDNA를 얻기 위한 혼성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PCR 방법 등에 의해서 목적하는 cDNA를 증폭할 수도 있다.
발현 벡터에는 본 발명의 표적 단백질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을 코딩하는 DNA 이외에 조절 요소 (element), 예를 들면 프로모터, 인핸서,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리보솜, 결합 부위, 복제 개시점, 터미네이터, 선택 마커, 단리·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지 펩티드 서열 (예컨대 히스티딘 반복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숙주 세포는 세균 등의 원핵 세포, 및 효모, 곤충 세포, 포유 동물 세포 등의 진핵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숙주 세포 또는 그 배양물로부터 본 발명의 표적 단백질의 정제에는 한외 여과, 겔 여과,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표지 펩티드가 결합된 경우), HPLC,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전점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이나 이들을 조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면역원으로서의 본 발명의 표적 단백질은 그 단편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의 단편)이나 전장의 단백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편이나 전장의 단백질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항체도 본 발명의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의 병용투여는 항-Siglec-F 항체 또는 항-IL-33 항체의 단독 투여에 비하여, 알러지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알러지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바, 효과적인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 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동물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ⅰ)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ⅱ)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ⅲ) 질환 또는 질병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알러지성 질환은 알러지 반응을 유발시키는 항원 물질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발생하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과민성(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 (asthma), 알러지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러지성 비염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Siglec-8 또는 Siglec-F, 및 IL-33에 대한 항체나 siRNA, shRNA 등을 포함하는 것 외에 통상적으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것이다. 여기서 "제약상 허용되는"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 (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 (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물,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글리세롤, 에탄올, 폴리알콜(예, 만니톨, 소르비톨),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 저장 수명을 연장하거나 유효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보존제, 항산화제, 습윤제, 유화제, 완충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존제, 항산화제, 습윤제 등으로서 적당한 것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상 용액, 현탁액, 시럽, 정제, 환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경구적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정맥내, 피하, 복강내, 근육내 주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그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함유량, 질병의 중증 정도, 환자의 체중, 약물형태, 투여 경로, 투여 기간에 따라 의학적 전문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일 0.01㎍/kg 내지 100mg/kg 범위 내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항체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Siglec-8 항체 및/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의 병용투여는 항-Siglec-F 항체 또는 항-IL-33 항체의 단독 투여에 비하여, 알러지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알러지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바, 효과적인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설치류 동물 모델에서 알러지성 비염 및 천식을 유도하기 위한 민감화/항원자극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각 군별 기도 저항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각 군별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분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대조군, B: 비염군, C: 항-IL-33 항체 단독투여군, D: 항-Siglec-F 항체 단독투여군, E: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 병용투여군.
도 4는 각 군별 폐조직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대조군, B: 비염군, C: 항-IL-33 항체 단독투여군, D: 항-Siglec-F 항체 단독투여군, E: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 병용투여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 실험동물의 준비
8 내지 10주령의, 무병원성 60 마리의 암컷 BALB/c 마우스를 Orient Bio (Seongnam,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마우스는 12 시간 명/암 사이클의 제어된 환경에서 사육하였으며, 무-OVA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게 하였다.
실시예 2: 민감화 ( Sensitization ) 및 항원 자극 ( Antigen Challenge )
설치류 동물 모델에서 알러지성 비염 및 천식을 유도하기 위한 민감화/항원자극 프로토콜은 도 1 및 하기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원체-부재 조건하에서, 1, 5, 14, 및 21 일째 되는 날에 OVA 10 ㎎/㎖의 OVA를 10 ㎕ (100㎍/마리), 40 ㎎/㎖의 알룸 (Alum) 50 ㎕ (2㎎/마리), PBS 90㎕ 총 150㎕씩 마우스에 복강내 주입하였다.
22일부터 35일째까지 매일 총 14회, 비강내 (i.n.) OVA 자극 (마우스 당 50 ㎕의 4 mg/mL의 OVA)을 수행하였다. 모든 동물을 마지막 비강내 OVA 자극 후 24시간에 희생하였으며, 혈액, 기관지 세척액 (BAL fluid), 및 기방조직을 수집하였다. 마우스 항- Siglec-F 항체 (모노클로날 Rat IgG2A 클론 no. 238047; R&D Systems, Minneapolis, MN) 및 항-IL-33 항체 (rmIL-33;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Catalog # 3626-ML)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서, 토끼 대조 IgG (정제된 정상 토끼 IgG, R&D Systems)를 사용하였다.
22, 24, 26, 28, 30, 32, 34, 및 35 일째 되는 날 하기 조건의 처리를 수행하였다.
정상군의 경우, 복강 및 비강 내로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비염군 (n = 10)의 경우, 복강 및 비강 내로 알부민을 투여하였다. IgG 군의 경우, 복강 및 비강 내로 알부민을 투여하여 알러지를 유발한 뒤, 대조 IgG (3.6㎍)를 자극 30분 전에 복강투여 하였다. IL-33 단독투여군 (n = 10)은 알러지 유발 후 항-mIL-33 (3.6㎍)를 자극 30분 전에 복강 투여하였다. Siglec-F 단독투여군 (n = 10)은 알러지 유발 후, 항-mSiglec-F (10㎍)를 자극 1시간 전, 2일 중 1회씩 복강내 투여하였다. 병용투여군 (n = 10)은 복강 및 비강 내로 알부민 투여하여 알러지 유발 후, Anti-mIL-33(3.6㎍)를 자극 30분 전에, 항-mSiglec-F (10㎍)를 자극 전 1시간 전에 2일 중 1회씩 복강 내 투여하였다.
실시예 3: 기도 저항에 대한 항- IL -33 항체 및 항- Siglec -F 항체의 병용투여의 효과
기도 저항에 대한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의 병용투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50 mg/ml의 매타콜린 (methacholine)을 동물 모델에 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를 기압 체적 기록계 챔버 (All Medicus, Seoul, Korea)에 위치시키고, 바세린 리딩을 수행하고 3분의 평균을 내었다. 에어로졸화 된 메타콜린을 메인챔퍼의 주입구를 통하여 3분간 분무하였다. 리딩을 수행하고 각 분무 후 3분의 평균을 내고, Penh (enhanced pause)를 결정하였다 Penh은 메타콜린에 의한 기도저항 측정 단위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바셀린 Penh에 의하는 경우를 100 %로 볼 때, Penh의 증가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의 단독 투여시에 비하여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의 병용 투여시 기도저항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분비에 대한 항- IL -33 항체 및 항- Siglec -F 항체의 병용투여의 효과
기관지 세척액에서의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대한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의 병용 투여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기관지 세척액의 회수를 위하여, 기관에 폴리에틸렌 튜브를 삽입하고 1 mL 식염수로 4시간동안 (총 4 mL) 기관지 세척을 수행하였다. 기관지 세척액에서 IL-5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을 ELISA 키트 (Biosource, Camarillo, C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하였고 알려진 표준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용투여군(E)에서는 IL-33 단독 투여군 (C) 및 Siglec-F 단독 투여군 (D)보다 IL-5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항- IL -33 항체 및 항- Siglec -F 항체의 병용 투여 동물모델의 폐조직 관찰
항-IL-33 항체 및 항-Siglec-F 항체의 병용 투여 동물모델의 폐조직 관찰을 위하여, 각 동물실험군의 폐 조직 사진을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용투여군(E)에서는 IL-33 단독 투여군 (C) 및 Siglec-F 단독 투여군 (D)에 비하여 파란색으로 나타나는 염증세포의 침윤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항-Siglec (Sialic acid-binding immunoglobulin-like lectin)-8 항체 및 항-Siglec-F 항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체; 및 항-IL (Interlukin)-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IgG, IgM, IgA, IgD, IgY 및 Ig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 (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 (allergic rhinitis), 천식 (asthma), 알러지성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 (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 (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항-Siglec (Sialic acid-binding immunoglobulin-like lectin)-8 항체 및 항-Siglec-F 항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체; 및 항-IL (Interlukin)-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 (asthma), 알러지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식품 조성물.
  7. 항-Siglec (Sialic acid-binding immunoglobulin-like lectin)-8 항체 및 항-Siglec-F 항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체; 및 항-IL (Interlukin)-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질환은 과민성(anaphylaxis),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 (asthma), 알러지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러지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및 약품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24045A 2013-10-17 2013-10-17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7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045A KR101567758B1 (ko) 2013-10-17 2013-10-17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045A KR101567758B1 (ko) 2013-10-17 2013-10-17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87A KR20150044687A (ko) 2015-04-27
KR101567758B1 true KR101567758B1 (ko) 2015-11-11

Family

ID=5303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045A KR101567758B1 (ko) 2013-10-17 2013-10-17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2521A4 (en) * 2016-01-14 2019-11-20 AnaptysBio, Inc. INHIBITION OF ALLERGIC REACTION USING AN IL-33 INHIBITOR
KR20200010866A (ko) 2018-07-23 2020-01-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US10836820B2 (en) 2014-01-10 2020-11-17 Anaptysbio, Inc.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 with antibodies directed against interleukin-33 (IL-33)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39931A1 (en) 2014-02-28 2015-09-03 Christopher Robert Bebbingt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iglec-8 associated diseases
US10604577B2 (en) 2015-10-22 2020-03-31 Allako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ystemic mastocytosis
JP2020518638A (ja) * 2017-05-05 2020-06-25 アラ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レルギー性眼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4610A1 (en) * 2007-05-18 2008-11-27 Medimmune, Llc Il-33 in inflammatory dise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4610A1 (en) * 2007-05-18 2008-11-27 Medimmune, Llc Il-33 in inflammatory disea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Immunol. Vol. 183, pages 5333-5341 (20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6820B2 (en) 2014-01-10 2020-11-17 Anaptysbio, Inc. Method of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 with antibodies directed against interleukin-33 (IL-33)
EP3402521A4 (en) * 2016-01-14 2019-11-20 AnaptysBio, Inc. INHIBITION OF ALLERGIC REACTION USING AN IL-33 INHIBITOR
KR20200010866A (ko) 2018-07-23 2020-01-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87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58B1 (ko)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 및 항-IL-33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Vissers et al. Allergen immunotherapy induces a suppressive memory response mediated by IL-10 in a mouse asthma model
Kuehr et al. Efficacy of combination treatment with anti-IgE plus specific immunotherapy in polysensit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easonal allergic rhinitis
van de Veen et al. Novel mechanisms in immune tolerance to allergens during natural allergen exposure and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EP3204025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bacterial strains
Li et al. Short ragweed pollen triggers allergic inflammation through Toll-like receptor 4–dependent thymic stromal lymphopoietin/OX40 ligand/OX40 signaling pathways
CN111939261B (zh) 以il-4r抑制剂治疗嗜酸性食管炎的方法
DE69931377T2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ig-e assozierten krankheiten und zusammensetzungen zur verwendung in diesen verfahren
US2021025373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ease-related cachexia
EP0841946B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TW202332696A (zh) 治療發炎症狀的方法
US10961321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CN104995212A (zh) 以il-4r拮抗剂治疗特应性皮炎的方法
KR101747139B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20090087426A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Hosoki et al. Myeloid differentiation protein 2 facilitates pollen-and cat dander–induced innate and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US11518801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abetes and diabetic complications
JP2018519362A (ja) 炎症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ペプチド及びこの用途
JP2009542682A (ja) 細胞接着分子の発現を調節するための組成物
KR20150044680A (ko) 항-Siglec-8 항체 또는 항-Siglec-F 항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ufnagl et al. Intranasal tolerance induction with polypeptides derived from 3 noncross-reactive major aeroallergens prevents allergic polysensitization in mice
Fang et al. A mouse allergic asthma model induced by shrimp tropomyosin
Padayachee et al. The nose as a route for therapy. Part 2 immunotherapy
Hou et al. (-)-Asarinin inhibits mast cells activation as a Src family kinase inhibitor
AT503297B1 (de) Allergen-spezifische antikör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