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447B1 -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 Google Patents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447B1
KR101567447B1 KR1020140025394A KR20140025394A KR101567447B1 KR 101567447 B1 KR101567447 B1 KR 101567447B1 KR 1020140025394 A KR1020140025394 A KR 1020140025394A KR 20140025394 A KR20140025394 A KR 20140025394A KR 101567447 B1 KR101567447 B1 KR 10156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rehabilitation
circumferential fix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849A (ko
Inventor
이성아
양효선
변연진
정다혜
강미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4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지 및 하지 재활 치교가 가능한 신발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신발몸체부와, 상기 신발몸체부 하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둘레고정부 및 상기 둘레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하부가 각각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밑창부를 포함하는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Footwear set for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재활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지 및 하지 동시 치료가 가능한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병은 진전 마비(paralysis agitans 또는 shaking palsy)라고도 하며 1817년에 James Parkinson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Thomson 등, 1991).
파킨슨병은 50세 이후 인구의 약 1%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게 되므로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과 노령 인구의 증가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파킨슨병의 병리는 흑색질 치밀부 신경원의 파괴와 이에 따른 dopamine의 결핍에 있으며, 운동불능증(akinesia), 근육 경직(muscle rigidity) 및 휴지성 떨림(resting tremor)의 세 가지 주요한 임상 증후가 나타난다.
상술한 운동불능증은 환자의 가동성이 점차 감소하고 모든 모방운동과 표현운동이 사라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서 움직임을 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보폭이 짧고 QKfms 다리운동을 몇 차례 보이다가 걸을 수 있으며 일단 걷기 시작하면 멈추기가 어렵게 된다. 결국에는 온몸에 떨림이 생기게 되고 앞굽힘자세(anteflexes position)가 되면 사지의 운동은 시간이 갈수록 느리고 팔을 흔드는 동작도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은 파킨슨병의 움직임을 증진시키기 위해 시각되먹임(visual feedback) 사용의 긍정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또한 여러 문헌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연구과제에 따르면 적절한 시각 입력이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활동들을 쉽게 수행케 하였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있어서 시각입력을 제거하였을 때에는 요구되는 운동을 실행하는데 실패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바닥에 색깔있는 선을 그어 암시를 주었을 때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암시하는 물체를 바닥으로부터 2인치(inch)올려 놓았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파킨슨병 환자 또는 기타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을 위하여 다양한 운동치료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개발된 운동치료기구들은 대다수가 동일한 운동 패턴만을 반복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운동 치료기구들은 복잡한 전기장치가 들어가기도 하였으며, 이와 같은 경우 외부전원을 사용하여야 하여 운용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단순한 형태를 이루면서도 적용이 간편한 기술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파킨슨 병과 같은 뇌질환 또는 치매 등이 있는 노인 등의 상지 운동능력 향상과 더불어 하지 능력 향상도 가능한 재활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감각적인 지각 능력과 관련된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켜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재활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외부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재활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집중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는, 사용자의 발이 수용될 수 있는 신발몸체부, 상기 신발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둘레고정부 및 상기 둘레고정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지면과 맞닿은 부분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밑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밑창부는 각각 상기 둘레고정부와 사이즈가 같고, 상기 둘레고정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결합끼움부 및 상기 결합끼움부와 연결되어 있고 지면에 맞닿을 수 있는 지지밑창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몸체부는 다수의 사용자의 발에 대응되도록 사이즈가 다르게 복수 형성되며, 상기 둘레고정부는 동일한 사이즈로 복수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신발몸체부 마다 연결되어 있고, 사이즈가 같은 상기 둘레고정부와 상기 결합끼움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밑창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복수의 상기 신발몸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끼움부는 상기 둘레고정부를 감싸 상기 둘레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밑창부들의 결합끼움부 두께는 서로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에 의하면, 재활치료 환자의 상지 근력 및 하지 근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에 의하면, 신체적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감각적 능력 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에 의하면, 기존의 재활도구와 같이 단순히 반복적인 운동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지루하지 않게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에 의하면, 재활병원, 대학병원 및 요양원 등 재활치료실이 있는 시설에 배치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를 이루는 복수 개의 신발부와 밑창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I-I선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있어서 결합끼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를 이루는 복수 개의 신발부와 밑창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는 신발부(101,102)와, 둘레고정부(111, 121) 및 밑창부(201, 202, 2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발부(101, 102)는 각각의 신발의 외형을 이루는 신발몸체부(110, 120)를 구비한다.
상기 신발몸체부(110, 120)는 종래 일반 신발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수용부(115,125)가 구비된 형태를 이룬다. 다양한 플렉시블(flexible)한 천질 또는 가죽 재질이 사용될 것이며 재활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발몸체부(110, 120)는 서로 다른 사이즈(size)를 가지는 다수 사용자의 발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 상 두 개의 신발몸체부(110, 120)만이 도시되고 있으나,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하도록 세 개 이상의 보다 많은 신발몸체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는 상기 각 신발몸체부(110,120) 하부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는 소정의 강직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는 고무류 등 합성플라스틱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밑창부(201, 202, 203)는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신고 걸을 때 다양한 다른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부가 각각 서로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 등으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밑창부(201, 202, 203) 각각은 지지밑창(230, 240, 250)와 결합끼움부(211)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밑창(230, 240, 250)는 지변에 맞닿는 기존의 신발 밑창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신고 걸을 때 서로 각 신발들 사이에 서로 다른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지지밑창(230, 240, 250) 하부는 서로 다른 형태로 절곡되거나 또는 돌기부(245) 등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45) 등은 벨크로 방식 등에 따라서 상기 지지밑창(230, 240, 250) 하부에 착탈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밑창(230, 240, 250)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세 개의 지지밑창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신발부와 같다.
상기 결합끼움부(211)는 상기 지지밑창(230, 240, 250) 각각의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끼움부(211)는 상기 신발몸체부(110, 120) 둘레에 구비된 둘레고정부(111, 121)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착탈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결합끼움부(211)와 둘레고정부(111, 121)를 이용하여 선택된 밑창부(201, 202, 203)를 선택된 신발몸체부(110, 1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밑창부(201, 202, 203) 각각에 있어서 상기 결합끼움부(211)의 최외곽 둘레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신발몸체부(110, 120) 모두가 상기 결합끼움부(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각 신발몸체부에 있어서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의 크기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밑창부(201, 202, 203)와 신발부(101, 102)의 크기를 각각 대응되는 한 쌍씩 하지 않고서 다수의 사이즈를 가지는 신발부마다 대응되는 밑창부(201, 202, 203)를 한 개씩 구비하면 되므로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의 결합과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본인의 사이즈에 맞는 신발부(101, 102)와 소정 감각을 느끼고자 하는 밑창부(201, 202, 203)를 선택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선택된 신발부의 둘레고정부(111, 121)를 둘러 감싸도록 상기 밑창부(201, 202, 203)의 결합끼움부(211)를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 외측 둘레를 따라서 끼우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결합이 완료된 신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걷도록 함과 동시에 밑창부(201, 202, 203)의 형상에 따라서 신발마다 다른 감각도 느낄 수 있게 되므로, 재활치료 환자의 하지 근력 및 감각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끼움부(211)를 상기 둘레고정부(111, 121)에 끼우는 작업을 하면서 상지 근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돌기부(245) 등의 결합과정을 통하여 집중력과 인지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있어서 결합끼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복수 개의 밑창부(230)를 구비하도록 하되, 상기 밑창부 각각에 구비된 결합끼움부(211)의 두께(T)가 각각의 밑창부마다 서로 달리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결합끼움부(211)가 둘레고정부(111, 121)를 감싸도록 한 후, 상기 신발부와 밑창부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끼움부(211)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지면서도 소정 강직성도 함께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결합끼움부(211)의 두께를 각 밑창부마다 모두 달리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본인의 상태에 따라서 상지 근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결합끼움부(211)가 구비된 밑창부(230)를 선택하여 재활치료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보다 흥미를 가지고 재활치료에 전념할 수 있게 되며, 치료하고자 하는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1, 102: 신발부
110, 120: 신발몸체부
111, 121: 둘레고정부
115, 125: 수용부
201, 202, 203: 밑창부
211: 결합끼움부
230, 240, 250: 지지밑창

Claims (4)

  1. 사용자의 발이 수용될 수 있는 신발몸체부,
    상기 신발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둘레고정부 및
    상기 둘레고정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어 있고 지면과 맞닿은 부분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밑창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밑창부는 각각
    상기 둘레고정부와 사이즈가 같고, 상기 둘레고정부와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결합끼움부 및
    상기 결합끼움부와 연결되어 있고 지면에 맞닿을 수 있는 지지밑창
    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몸체부는 다수의 사용자의 발에 대응되도록 사이즈가 다르게 복수 형성되며, 상기 둘레고정부는 동일한 사이즈로 복수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신발몸체부 마다 연결되어 있고, 사이즈가 같은 상기 둘레고정부와 상기 결합끼움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밑창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복수의 상기 신발몸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끼움부는 상기 둘레고정부를 감싸 상기 둘레고정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3. 제2항에서,
    상기 밑창부들의 결합끼움부 두께는 서로 달리 형성된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4. 삭제
KR1020140025394A 2014-03-04 2014-03-04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KR10156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94A KR101567447B1 (ko) 2014-03-04 2014-03-04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94A KR101567447B1 (ko) 2014-03-04 2014-03-04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849A KR20150103849A (ko) 2015-09-14
KR101567447B1 true KR101567447B1 (ko) 2015-11-09

Family

ID=5424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394A KR101567447B1 (ko) 2014-03-04 2014-03-04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608A (ko) 2017-09-29 2019-04-08 김형준 형광봉 와이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04A (ja) * 2000-03-16 2001-09-25 Shimano Inc ゴルフシューズセット及びゴルフシューズ
KR200370167Y1 (ko) * 2004-09-13 2004-12-16 노경섭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04A (ja) * 2000-03-16 2001-09-25 Shimano Inc ゴルフシューズセット及びゴルフシューズ
KR200370167Y1 (ko) * 2004-09-13 2004-12-16 노경섭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849A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9258B2 (en) Vibrating foot massager
Scheeren et al. Description of the Pediasuit ProtocolTM
US99498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knee rehabilitation
US20100274165A1 (en) Multi-roller massage device
US10136699B1 (en) Massaging insole for footwear with mechanic and magnetic energy
JP2017528284A (ja) マットが付着されたステッパー用足踏板
CN204428229U (zh) 防血栓防足下垂训练器
KR101567447B1 (ko) 재활치료용 신발 세트
Shah Nazar et al. Ankle Rehabilitation Robotic Systems for domestic use–a systematic review
JP2011194051A (ja) 足の健康器具
JPH08322893A (ja) サイクル運動器
Carrasco et al. Vibration motor stimulation device in smart leggings that promotes motor performance in older people
WO2022263878A1 (en) Adjustable ankle tensile fastener
JP3201544U (ja) 足指・踵荷重起立台
KR102160634B1 (ko) 운동용 타이츠
KR20100086222A (ko) 발바닥 맛사지기
Mika et al. Exoskeletons-The new technology in rehabilitation
KR200301150Y1 (ko) 지압용구
Hensel et al. Neurorehabilitation: strategies of lower extremities restoration
Faraji et al. Interactive foot orthosis (IFO) for people with drop foot
JP3122081U (ja) フットケアバンド
JP2008161651A (ja) 下駄型ローラーペダル運動装置
KR101555284B1 (ko) 의료용 전신 마사지기
JPH03207Y2 (ko)
KR101297681B1 (ko) 보행보조 로봇 시스템용 평행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