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800B1 -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800B1
KR101566800B1 KR1020150049681A KR20150049681A KR101566800B1 KR 101566800 B1 KR101566800 B1 KR 101566800B1 KR 1020150049681 A KR1020150049681 A KR 1020150049681A KR 20150049681 A KR20150049681 A KR 20150049681A KR 101566800 B1 KR101566800 B1 KR 10156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rill
bait
fishing
weight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균
부순심
Original Assignee
김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균 filed Critical 김영균
Priority to KR102015004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처리방법은 냉동 크릴을 염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한 해수 800~1800중량부의 혼합액에 10~60분간 침적시키는 발열 자숙 처리 단계와, 수분 제거 크릴을 보존액 중에 침지하는 보존 처리 단계와, 크릴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의 메타인산염을 균질하게 살포하는 육질 향상 처리 단계와, -80~-18℃로의 냉동 동결 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따르면, 크릴에 단단하고 치밀한 육질을 부여함으로써 낚시 바늘에 꿰어 투척 중 또는 투척 후 물속에서 떨어져 이탈될 우려가 적음은 물론, 크릴에 크릴 본연의 인광과 색채 및 광택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맛과 냄새를 보유하게 하며, 크릴을 낚시미끼로서 최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함으로써, 바다낚시에 있어 대상어의 유혹에 효과적인 낚시미끼를 제공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PROCESSING METHOD FOR KRILL AS A FISHING BAIT}
본 발명은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 크릴의 발열 자숙 처리에 이어, 보존 처리하고, 육질 향상 처리를 하고, 건조 방지 처리하는 것에 의해, 크릴을 낚시미끼로서 최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릴(krill)은 흔히'크릴새우'또는'남극새우'라고 불리워지나, 정확하게는 크릴은 절지동물문 갑각아문 연갑강 십각목 장미아목에 속하는 다리 10개의 새우류가 아니라 다리 12개의 연갑강 난바다곤쟁이목에 속하며, 추정 서식량이 가장 크고 또한 다량으로 포획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남극크릴( Euphausia superba )로서, 연어, 대구, 청어, 고등어, 정어리 및, 수염고래의 주요한 먹이원이다.
크릴은 알라닌, 메티오닌, 플로린과 같은 아미노산과 비타민 및 무기염류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어 유어(遊漁)의 낚시미끼와 어류 양식용 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불소 함량이 높은 관계로 식용으로는 현재 별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전형적인 바다낚시 미끼로서는 크릴, 갯지렁이, 갑각류 및 패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 중에서도 크릴은 남빙양에서 4~6월에 포획되어 냉동 보관되고 연중 판매되어 바다낚시의 만능 미끼로서 미끼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크릴은 크기와 냉동 상태 등에 따라 미끼용과 밑밥용으로 구분되며, 특히 상품이 사용되는 미끼용은 미가공 크릴은 물론, 첨가물을 넣거나 열을 가해 살짝 익힌 크릴 등 다양한 가공품들이 시판되고 있다.
밑밥용이 아닌 미끼용 크릴은 어류의 식욕을 이용하여 대상어를 유혹하는 수단이므로 크릴 본연의 색채 및 광택과 형태를 유지하며 적절한 맛과 냄새를 보유하여야 하고, 특히 육질이 풀어지거나 무르면 낚시 바늘에 꿰어 투척하는 동안 또는 투척 후 물속에서 쉽게 떨어져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 육질이 단단하여야 하며 이러한 단단한 육질은 대상어의 유혹에도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 들어 크릴은 거의 모든 어종에 대하여 가장 우선하는 미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감성돔, 벵에돔, 참돔 등의 돔 종류를 비롯하여, 벤자리, 망상어, 학꽁치, 고등어, 전갱이는 물론, 부시리나 방어 등과 같은 회유 어종에게도 두루 잘 먹히므로, 찌낚시 또는 맥낚시를 할 때 최우선적으로 준비하게 되는 미끼이다.
통상적으로 크릴은 어획 후 1∼2시간이 경과하면 티로시나아제에 의하여 약 0℃의 저온에서도 두부와 흉부가 흑화(黑化)될 뿐만 아니라, 프로테아제에 위한 단백질의 자기 소화 현상이 진행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크릴은 포획 직후 -40℃ 이하로 급속 동결되어 국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동결 처리된 크릴을 수분제거하거나 가공처리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동결된 크릴새우를 해동시켜야 하므로 이 때 크릴의 원형 내지 원상태를 최대한 그대로 보존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으며, 또한 바다낚시를 위한 이송 시 크릴이 해동되어 급속한 품질 열화(劣化)가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가공처리를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85-0006483호는 크릴에 알긴산 칼슘 피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과 염화칼슘 수용액 중에 차례로 침지하여 점성이 있는 알긴산 칼슘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릴새우 낚시밥 및 그 제법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평5-168383호는 원료 미끼와 증점제와 축광제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염화칼슘 용액으로 겔화 피복하고 동결하여 이루어지며, 증점제로서 3중량% 이상의 알긴산소다(알긴산나트륨)가 사용된 낚시 미끼를 개시(開示:disclose)하고 있다.
국제공개 WO 96/028021는 겔화제로서의 알기산염과 미끼로 된 균질 혼합물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466호는 수분 제거 크릴새우와 동결방지 첨가제로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동결방지용 집어제와 그 제조방법을 교시(敎示: teaching)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578625호는 해동시킨 냉동 크릴새우에 염화칼슘 용액을 분사하는 육질강화단계, 알긴산소다 용액에 침수시키는 부패방지처리단계, 크릴새우를 자연건조시키는 수분제거단계, 일정량의 크릴새우를 급속 냉동시키는 냉동단계로 이루어지는 낚시미끼용 크릴새우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패방지처리단계와 수분제거단계의 사이에 알칼리성 수용액에 20~40분간 침수시켜 크릴새우 표면에 형성된 박막을 강화시키는 표면경화처리단계가 더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급속냉동법에 의한 낚시미끼용 크릴새우의 가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85-0006483호(1985.10.14. 공개) 일본 공개특허 평5-168383호(1993.07.02. 공개) 국제공개 팜플릿 WO 96/028021(1996.09.19. 국제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9466호(2005.03.18.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0578625호(2006.05.03.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낚시 바늘에 꿰어 투척 중 또는 투척 후 물속에서 떨어져 이탈될 우려를 저감시키고자 크릴에 단단하고 치밀한 육질을 부여할 수가 있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위의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크릴 본연의 인광과 색채 및 광택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맛과 냄새를 보유하게 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크릴을 낚시미끼로서 최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 aspect)에 따르면, (A) 크릴 냉동괴(冷凍塊)에 해수를 분사하여 크릴 개체를 낱개 단위로 분리하는 개체 분리 단계와, (B) 냉동 크릴을 염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한 해수 800~1800중량부의 혼합액에 10~60분간 침적시키는 발열 자숙(煮熟) 처리 단계와, (C) 수분 제거 크릴을 글루코노델타락톤이 0.1~0.25중량% 포함된 솔빈산칼륨 0.1~2중량% 수용액 중에 1~5분간 침지하는 보존 처리 단계와, (D) 크릴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의 메타인산염을 균질하게 살포하는 육질 향상 처리 단계와 (E) -80~-18℃로의 냉동 동결 처리 단계로 구성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한 육질 향상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크릴을 0.1~1중량%의 규산소다 용액에 20~30분간 침적시키는 표면 경화 처리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냉동 동결 처리 단계 직전에 10~20% 글리세린 용액을 크릴 표면에 분무하는 표면 처리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따르면, 크릴에 단단하고 치밀한 육질을 부여함으로써 낚시 바늘에 꿰어 투척 중 또는 투척 후 물속에서 떨어져 이탈될 우려가 적음은 물론, 크릴에 크릴 본연의 인광과 색채 및 광택과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맛과 냄새를 보유하게 하며, 크릴을 낚시미끼로서 최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함으로써, 바다낚시에 있어 대상어의 유혹에 효과적인 낚시미끼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이용되는 소용돌이형분사체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크릴(krill)'이라는 용어는 남빙양에서 통상 4~6월에 포획되어 급속 냉동 보관된 남극크릴( Euphausia superba )을 의미하며, 통칭 크릴새우 또는 남극새우라 불리워지는 것을 이른다.
남빙양에서 포획된 크릴은 변패 방지를 위하여 포획 직후 -40℃ 이하로 급속 동결시켜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크릴괴의 형태로 만들어져 국내로 도입되며, 도입된 냉동 상태의 크릴괴는 크릴 각 개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해동시킨 다음, 필요한 가공처리를 한 후, 다시 분리된 개별 개체 상태로 급속 재냉동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크릴의 탄력 있는 육질과 인광 보유 상태의 원형대로 보존되어 판매됨으로써, 낚시 바늘에 손쉽게 꿰어지되 투척 과정이나 해수 중에서 쉽게 탈리되지 않음은 물론, 해수 중에서 인광을 유지함으로써 대상어가 쉽게 유혹될 수 있으므로, 크릴은 바다낚시의 연중 만능 미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은 기본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A) 발열 자숙 처리 단계:
냉동 크릴을 염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한 해수 800~1800중량부의 혼합액에 10~60분간, 특정하게는 20~40분간 침적시킴으로써, 염화칼슘의 바닷물에 대한 용해에 따른 발열 반응에 의해 크릴의 단백질을 부분적으로 변성 응고시킴으로써 육질을 탄력적으로 강화시킴과 아울러, 크릴 중에 포함된 효소 티로시나아제와 프로테아제를 변성 실활(失活)시킴으로써 이들 효소에 의한 자기 소화 및 흑화 현상의 방지 및 조직의 연화를 방지한다.
이 때 해수와 염화칼슘의 비율 및 침적 시간에 따라 육질의 강, 중, 약의 정도를 대상 어종, 계절, 크릴의 냉동 상태, 크릴의 육질 상태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B) 보존 처리 단계:
수분 제거 크릴을 보존액 중에 침지한다.
상기한 보존 처리 단계에서의 보존액은 솔빈산칼륨 0.1~2중량%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수용액 중에 1~5분간 침지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상기한 보존 처리는 방부 처리와 같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0.1~1중량%의 아스콜빈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임의 선택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보존 처리 단계에서의 솔빈산칼륨 수용액에 글루코노델타락톤을 0.1~0.25중량%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한 글루코노델타락톤을 첨가하면 크릴의 탄력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산화방지와 표면 pH를 낮춰 보존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C) 육질 향상 처리 단계:
육질 향상 처리 단계에 있어서는, 크릴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의 메타인산염을 균질하게 살포한다.
상기한 메타인산염으로서는 메타인산 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육질의 보수성을 높이고 단백질의 연화 또는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결착성을 높이게 된다.
(D) 냉동 동결 처리 단계:
-80~-18℃, 특정하게는 -20~-25℃의 온도가 될 때까지 금속 냉동 동결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발열 자숙 처리 단계에 앞서, 해수를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크릴 냉동괴(冷凍塊)에 골고루 분사하여 크릴 개체를 상호 분리하는 크릴 개체 분리 단계를 수행하게 되며, 해수를 사용하면 포획된 환경 그대로 해동되면서 육질이 물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해수를 호스 등을 이용하여 분사하며, 이때 호스 등의 끝단에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용돌이형분사체(62)를 구성하여 소용돌이를 일으켜 분사 효과를 상승시킨다.
이 소용돌이형분사체(62)는, 해수의 분사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분사되는 해수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호스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형성부(64)가 형성되고, 이 나사산형성부(64)로부터 그 아래쪽으로는 중공형이고 원추 형상을 갖는 바디부(6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바디부(65)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에어가 최종 분사되는 홀인 다수개의 해수홀(66)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65)의 외면에는 나선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해수홀(66)과 일치되는 나선형의 해수이동안내홈(68)이 형성되며, 이 해수이동안내홈(68)은 해수홀(66)로부터 분사되는 해수의 분사방향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소용돌이형분사체(62)의 해수홀(66) 및 나선형의 해수이동안내홈(68)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회전하는 동시에 와류를 형성하면서 크릴 냉동괴에 분사됨으로써, 크릴 냉동괴에 고르게 분사하여서 크릴 개체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발열 자숙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발열 자숙 처리된 크릴을 건져 내어 바닥이 망체로 된 박스 등에 담아 정치한 상태로 실온에서 20~30분간 방치하는 수분 제거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보존 처리 단계 후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상기한 육질 향상 처리 단계와 수분 제거 단계에 후속하여 크릴을 0.1~1중량%의 규산소다 용액에 20~30분간 침적시키는 표면 경화 처리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크릴의 각질을 단단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표면 경화 처리 단계 후에는 실온에서 30~40분간 정치하여 수분을 충분히 자연 건조 제거하는 수분 제거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보존 처리 단계, 특정하게는 상기한 표면 경화 처리 단계 및 수분제거 단계에 후속하여, 대상 어종에 맞는 크기 별로 크릴을 분류하는 개체 분류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개체 분류 단계에서는, 어종 별로 먹이 활동에 적합한 사이즈로 분류함으로써 낚시인들이 선택한 공략 대상 어종에 더욱 부합하는 크릴 낚시미끼를 선택적으로 특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부연하면, 크릴의 크기가 3.5~4cm 정도인 것은 벵에돔이나 기타 어종용으로, 그리고 크기가 4~5cm 정도인 것은 감성돔이나 광어용으로, 크기가 5cm 정도 이상인 것은 방어나 부시리 또는 황돔용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진공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선택적으로 냉동 동결 처리 단계 직전에 10~20% 글리세린 용액을 크릴 표면에 분무하는 표면 처리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 단계는 냉동 과정에서의 수분 증발에 따른 표면 건조를 방지함과 아울러, 크릴의 탄력감과 신선도 유지를 위한 것이다.
상기한 냉동 동결 처리 단계에 후속해서는 진공 포장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공기 중의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한 수분 증발로 인한 건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크릴을 가공된 상태 그대로에 가까운 신선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서리 발생 현상을 방지하여, 크릴을 낚시미끼용으로서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62 : 소용돌이형분사체 64 : 나사산형성부
65 : 바디부 66 : 해수홀
68 : 해수이동안내홈

Claims (4)

  1.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A) 크릴 냉동괴(冷凍塊)에 해수를 분사하여 크릴 개체를 낱개 단위로 분리하는 개체 분리 단계;
    (B) 냉동 크릴을 염화칼슘 100중량부에 대한 해수 800~1800중량부의 혼합액에 10~60분간 침적시키는 발열 자숙(煮熟) 처리 단계;
    (C) 수분 제거 크릴을 글루코노델타락톤이 0.1~0.25중량% 포함되어 있는 솔빈산칼륨 0.1~2중량% 수용액 중에 1~5분간 침지하는 보존 처리 단계;
    (D) 크릴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의 메타인산염을 균질하게 살포하는 육질 향상 처리 단계; 및
    (E) -80~-18℃로의 냉동 동결 처리 단계로 구성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육질 향상 처리 단계에 후속하여 크릴을 0.1~1중량%의 규산소다 용액에 20~30분간 침적시키는 표면 경화 처리 단계가 더욱 수행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동 동결 처리 단계 직전에 10~20% 글리세린 용액을 크릴 표면에 분무하는 표면 처리 단계가 더욱 수행되는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KR1020150049681A 2015-04-08 2015-04-08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KR10156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681A KR101566800B1 (ko) 2015-04-08 2015-04-08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681A KR101566800B1 (ko) 2015-04-08 2015-04-08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800B1 true KR101566800B1 (ko) 2015-11-06

Family

ID=5460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681A KR101566800B1 (ko) 2015-04-08 2015-04-08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8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25B1 (ko) 2005-03-04 2006-05-11 조여자 개별급속냉동법에 의한 낚시미끼용 크릴새우의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25B1 (ko) 2005-03-04 2006-05-11 조여자 개별급속냉동법에 의한 낚시미끼용 크릴새우의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54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moke-infusing proteinaceous foods and smoke-infused such proteinaceous food product so-obtained
KR100654093B1 (ko)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Boziaris Introduction to seafood processing—Assuring quality and safety of seafood
Oehlenschläger et al. Basic facts and figures
KR100930976B1 (ko) 간 고등어의 제조방법
KR101566800B1 (ko) 낚시미끼용 크릴의 가공처리방법
KR101791879B1 (ko) 뽕잎분말이 함유된 자반고등어 및 이의 제조방법
NO840689L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konserverte fiskeprodukter.
JP2006050945A (ja) 食品用品質改良剤、食品品質改良方法及び該食品用品質改良剤を含有する食品
Maeda et al. Post-catch fish handling for high quality fish products
JP2012520065A (ja) 魚介すり身製品の保存におけるアルカリ金属ラクテートの使用
US20090074908A1 (en) Crustacean bait
US2011001432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ady to use aquatic animal food kept in frozen storage
Gökoğlu et al. Crustacean shellfish
JP2010200726A (ja) 長期保存性フライ加工食品の製造方法
KR20180010835A (ko) 반건조 및 반숙된 가공 생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공 생선
KR100886059B1 (ko) 송어건조방법
JP2009273403A (ja) スモーク魚介類の製造方法
JP3875956B2 (ja) 釣り餌及びその製造方法
Parvathy Drying and salting of fish
Ovissipour et al. Aquatic food products
JP7121687B2 (ja) 釣り餌および釣り餌の製造方法
JPS6142550B2 (ko)
KR102658577B1 (ko) 생선의 식감을 개선하는 천연 추출물 함유 염지액 및 이를 이용한 염장 생선 제조방법
KR102087792B1 (ko) 애완동물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