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027B1 - 통발용 미끼 - Google Patents

통발용 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027B1
KR100713027B1 KR1020050105347A KR20050105347A KR100713027B1 KR 100713027 B1 KR100713027 B1 KR 100713027B1 KR 1020050105347 A KR1020050105347 A KR 1020050105347A KR 20050105347 A KR20050105347 A KR 20050105347A KR 100713027 B1 KR100713027 B1 KR 100713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squid
mackerel
artificial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1556A (ko
Inventor
강양규
Original Assignee
강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양규 filed Critical 강양규
Priority to KR102005010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02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용 인공 미끼에 관한 것으로, 10 내지 20wt%의 참치 내장과, 16 내지 36wt%의 오징어 내장과, 0.5 내지 10.8wt%의 글루텐과, 0.1 내지 0.9wt%의 리보플라빈과, 0.01 내지 0.2wt%의 OTC와, 0.01 내지 0.2wt%의 BHT와, 30 내지 50wt%의 대두박과, 0.1 내지 2wt%의 IMP와, 0.1 내지 0.9wt%의 복합아미노산과, 1 내지 9wt%의 멸치자숙액과, 0.1 내지 2wt%의 오징어유를 포함하는 인공미끼를 제공한다.
인공미끼, 미생물, 건조, 부산물, 통발

Description

통발용 미끼{bait for fish trap}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미끼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통발용 미끼에 관한 것으로, 유인활성이 우수한 천미끼를 대체 할 수 있는 유인활성이 우수하고, 취급이 간편하고 단가가 저렴한 인공 미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어업은 한일 및 한중 간의 어업협정으로 인해 연근해 어장이 대폭 감소되고, 천연미끼의 사용으로 인해 천연미끼의 보관 및 취급상 문제로 인해 어업 효율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고등어, 정어리, 오징어, 멸치, 꽁치등의 천연미끼를 냉동한 상태에서 당일 필요한 양만큼 이를 해상에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천연미끼의 경우 냉동 콘테이너를 이용하여 수입을 하기 때문에 고비용이 들고, 냉동 육상 운반, 냉동 창고 보관 및 어장까지 냉장 보관해야 한 다. 따라서 상기의 천연미끼를 어장까지 냉장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계형 어업인 1톤급 어선에도 냉동기를 장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냉동되어 있는 미끼를 자르다가 손가락 절단 등의 인사 사고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된 생미끼는 입수후 30분 만에도 건져서 바다에 그냥 버리게 되는 실정이고, 바다에 투척됨과 동시에 미세하게 분해가 되지 않는 한 부폐가 이루어져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천연미끼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미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종의 인공 미끼의 경우 결착제로 우묵가사리를 사용하고, 상온에서 30일이 경과후 바로 부폐하기 시작하여 장기 사용이 어렵고, 완전분해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며 입수후 수시간 내에 완전분해화 할 수 있어 바다 생태계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인활성이 우수하면서 취급이 간단하고 단가가 저렴한 인공미끼를 통해 어업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발용 인공 미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10 내지 20wt%의 참치 내장과, 16 내지 36wt%의 오징어 내장과, 0.5 내지 10.8wt%의 글루텐과, 0.1 내지 0.9wt%의 리보플라빈과, 0.01 내지 0.2wt%의 OTC와, 0.01 내지 0.2wt%의 BHT와, 30 내지 50wt%의 대두박과, 0.1 내지 2wt%의 IMP와, 0.1 내지 0.9wt%의 복합아미노산과, 1 내지 9wt%의 멸치자숙액과, 0.1 내지 2wt%의 오징어유를 포함하는 인공미끼를 제공한다.
또한, 10 내지 20wt%의 참치 내장과, 16 내지 36wt%의 오징어 내장과, 0.1 내지 0.9wt%의 리보플라빈과, 0.01 내지 0.2wt%의 OTC와, 0.01 내지 0.2wt%의 BHT와, 30 내지 50wt%의 대두박과, 0.1 내지 2wt%의 IMP와, 0.1 내지 0.9wt%의 복합아미노산과, 1 내지 9wt%의 멸치자숙액과, 0.1 내지 2wt%의 오징어유를 분쇄 혼합하는 단계와, 0.5 내지 10.8wt%의 글루텐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성형한 다음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물을 미생물이 혼합된 용액에 담그어 미생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미생물 처리된 상기 절단물을 음건방식을 통해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미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일정 크기는 1 내지 10cm이고, 상기 미생물 혼합된 용액은 미생물과 물이 2 : 100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용액에 30초간 담그어 미생물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유인활성이 우수한 천연 미끼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조사한 다음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인공 미끼를 개발하고자 기존의 천연 미끼를 성분을 조사하였다.
현장 설문 조사 결과 어획하고자 하는 어종 혹은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미끼의 종류가 각기 달랐으며 전국적으로 사용하는 대표 미끼로 고등어, 정어리, 멸치 3종류로 압축하였다.
상기 3 종류에 대한 선호도를 실험하였다.
하기 표 1은 3종류 천연미끼의 선호도에 관한 실험 결과이다.
회수 시간 입롱수
고등어 정어리 멸치
1 18:00~02:00 5 4 2
2 02:00~10:00 7 6 4
3 10:00~18:00 4 4 3
4 18:00~02:00 6 7 3
5 02:00~10:00 9 6 5
6 10:00~18:00 5 6 3
7 18:00~02:00 8 6 5
8 02:00~10:00 5 4 2
9 10:00~18:00 3 4 2
10 18:00~02:00 8 6 5
합계 60 53 34
상기 표 1은 50여 마리의 실험용 어족이 있는 대형 콘트리트 원형 수도에 8시간의 통발 침지 시간 동안 고등어, 정어리 및 멸치 각 100g씩 10회 투여하였다. 이때, 사육수는 고속 모래 여과기(역 여과 방식)에 의해 여과된 해수를 사용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21.1 내지 27.4도로 하였다.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3종의 유인효과는 고등어가 가장 높고 그 다음 정어리 및 멸치 순으로 높았다. 3종의 시료 모두 지방이 비교적 높은 적색어종이며, 지방산은 EPA, DHA등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하지만, 아미노산의 경우 그루타민산, 라이신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으나, 전 시료 모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적정 사용량에 관한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 하였다.
회수 시간 입롱수
50g 70g 100g
1 18:00~02:00 4 5 4
2 02:00~10:00 4 6 6
3 10:00~18:00 3 5 6
4 18:00~02:00 6 9 8
5 02:00~10:00 7 9 9
6 10:00~18:00 5 6 7
7 18:00~02:00 6 7 6
8 02:00~10:00 6 8 7
9 10:00~18:00 4 9 10
10 18:00~02:00 8 6 8
합계 53 70 71
상기 표 2는 50여 마리의 실험용 어족이 있는 대형 콘트리트 원형 수도에 8시간의 통발 침지 시간 동안 고등어를 각기 다른 양으로 10회 투여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21.1 내지 27.4도로 하였다.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통발어법에 있어 그 특성상 많은 양의 미끼는 사용치 못하므로 일반적인 사용량들을 기초로 실험하였다. 통발대비 사용되는 미끼 망의 투입최대치라할 수 있는 100g의 경우 70g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작은 양인 50g은 유인효과로 인한 입롱행동이 축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경제적인 면으로 볼때 천연미끼의 사용 적정양은 70g이 합당하다.
다음으로 부위별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다.
회수 시간 입롱수
4등분 8등분 16등분 마쇄
1 18:00~02:00 4 3 3 2
2 02:00~10:00 6 6 5 4
3 10:00~18:00 6 5 4 3
4 18:00~02:00 8 6 5 3
5 02:00~10:00 9 7 5 2
6 10:00~18:00 5 3 3 1
7 18:00~02:00 7 5 6 4
8 02:00~10:00 5 5 3 2
9 10:00~18:00 9 8 6 4
10 18:00~02:00 11 7 6 4
합계 70 55 46 29
상기 표 3은 50여 마리의 실험용 어족이 있는 대형 콘트리트 원형 수도에 8시간의 통발 침지 시간 동안 고등어를 각기 다른 등분으로 분할하여 동일 양으로 투여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21.1 내지 27.4도로 하였다.
상기 표 3에 따른 유인 효과를 살펴보면 4등분> 8등분 > 16등분 > 마쇄의 순으로 높았다. 여기서 그 등분이 늘어날수록 입롱행동이 축소되는 것을 알수 있다. 상기 실험에서 파쇄의 경우, 수심에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파망을 사용했으나, 일반어망을 만드는 제질 또한 비슷한 것으로 보아 이에 대한 기피성은 없다. 단지 유인효과가 후각 뿐 아니라 시각에도 큰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기에서는 갈수록 고비용을 들이게 되는 천연 미끼에 비해 유인효과는 기본적으로 같거나 우월하며,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대체물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어류가공과정에서 버려지는 어류의 머리부분, 껍질, 내장 등의 어류 부산물을 사용하여 그 기호성을 실험하였다.
상기 부산물을 이용한 기호성을 실험한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회수 시간 입롱수
고등어 고등어부산물 참치부산물 오징어부산물 명태부산물
1 18:00~02:00 5 3 3 3 2
2 02:00~10:00 6 5 6 5 4
3 10:00~18:00 5 4 5 5 3
4 18:00~02:00 8 5 6 3 3
5 02:00~10:00 9 6 6 5 2
6 10:00~18:00 3 2 3 4 1
7 18:00~02:00 7 4 4 6 4
8 02:00~10:00 6 4 3 4 2
9 10:00~18:00 5 3 2 4 4
10 18:00~02:00 10 4 5 6 4
합계 64 40 43 48 29
상기 표 4는 50여 마리의 실험용 어족이 있는 대형 콘트리트 원형 수도에 8시간의 통발 침지 시간 동안 고등어, 고등어 부산물, 참치 부산물, 오징어 부산물 및 명태 부산물을동일 양으로 투여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21.1 내지 27.4도로 하였다.
상기 표 4에 따른 유인 효과를 살펴보면 고등어> 오징어부산물> 참치부산물> 고등어부산물> 명태부산물 순으로 나타났다.
수중 모니터링 결과 최초의 관심은 오징어 부산물에 움직임이 활발하였으나, 최종의 입롱행동은 고등어쪽으로 이루어졌다. 즉, 오징어부산물의 최초 유인효과가 좋았고, 어류의 섭이 활동이 동심원을 이루어 그다지 넓지않은 반경으로 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산물의 부산물은 그 형태 면에서나 빠른 부패의 위험성 등으로 인해 가공시간의 신속함을 요하였다. 한편, 가공을 위해 분쇄의 과정을 거친 원재료는 그 형태가 액체상태에 가까워서 일정한 형태로 가공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분쇄한 원재료에 형태를 만들 수 있는 부재료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5는 고등어에 부재료의 결착 실험한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회수 시간 입롱수
고등어+깻묵 고등어+대두박 고등어+쌀겨
1 18:00~02:00 3 7 8
2 02:00~10:00 6 7 7
3 10:00~18:00 5 5 5
4 18:00~02:00 7 7 8
5 02:00~10:00 7 6 9
6 10:00~18:00 6 6 5
7 18:00~02:00 6 7 6
8 02:00~10:00 7 7 5
9 10:00~18:00 4 5 7
10 18:00~02:00 6 5 4
합계 57 62 64
상기 표 5는 50여 마리의 실험용 어족이 있는 대형 콘트리트 원형 수도에 8시간의 통발 침지 시간 동안 동일양의 고등어에 깻묵, 대두박 또는 쌀겨를 혼합 투여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21.1 내지 27.4도로 하였다.
상기 표 5에 따른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깻묵은 대두박이나 쌀겨에 비해 영양면에서 좋으나, 수분함량이 많고 원재료의 유인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고, 물론 다른 것은 기피 현상까지는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대체물 선호 조사의 데이터를 기초하여 참치 내장과 오징어 내장을 분쇄후 일정비율로 섞어 가장 다루기 편한 대두박을 부재료로 삼아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6은 배합률 선호도를 실험한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회수 시간 입롱수
고등어 참치내장+오징어내장 1:1 참치내장+오징어내장 2:1 참치내장+오징어내장 1: 2
1 18:00~02:00 5 2 3 4
2 02:00~10:00 7 4 6 5
3 10:00~18:00 5 3 4 6
4 18:00~02:00 8 6 6 6
5 02:00~10:00 9 5 7 8
6 10:00~18:00 4 3 4 5
7 18:00~02:00 5 5 6 4
8 02:00~10:00 6 5 4 2
9 10:00~18:00 9 7 6 7
10 18:00~02:00 12 5 6 8
합계 70 45 52 55
상기 표 6은 50여 마리의 실험용 어족이 있는 대형 콘트리트 원형 수도에 8시간의 통발 침지 시간 참치 내장과 오징어 내장의 혼합비율을 변경하여 투여하였다. 실험시 온도는 21.1 내지 27.4도로 하였다.
상기 표 6에 따른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수중모니터링 결과 분명하게 입롱행동을 보였으며, 투망최초 1시간내에는 천연미끼보다 유인효과면에서 뛰어났다. 복합성분으로 유인효과를 얻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고, 오징어 내장의 특이한 향 또는 유인성분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고착재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즉, 원재료를 분쇄하여 부재료로 결착한 후 소세지형의 성형을 하여 수조실험을 진행하였으나 투망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형태가 사라지며, 양망시에는 흔적이 남지 않을 정도로 분해가 빨리 이루어져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슈퍼겔, 글루텐, 알긴산을 선택하여 가공의 편이와 기피성이 없는 여부를 실험하였다.
고등어원형에 고착제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가공에 편의성은 슈퍼겔과 글루텐이 가장 뛰어났으며 3종모두가 천연물질에서 가공한 것이라는 공통점은 있으나 가격면이나 작업성을 판단하여 글루텐을 고착제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수소 실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는 기존에 어획하던 어장에 천연미끼와 인공미끼를 번갈아가며 투입하여 한줄에 200개의 통발을 사용하여 통발개수당 입망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한조당 100개씩은 천연미끼를 100개는 인공미끼를 사용하였다. 투망시간은 각각 무작위로 일몰전까지 실시하여, 양망시간은 현장의 실제 조업시간에 맞추어 평균 8시간 전후로 한다.
하기 표 7은 그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실험개체 입망개체수 천연미끼대비 인공미끼의 입망률(%) 비고
천연미끼 인공미끼
1 참치내장 35 26 74.2
2 오징어내장 45 38 84.4
3 모시조개 51 36 50.9
4 보리새우 60 21 35.0
5 참치내장 56 38 67.8
6 오징어내장 29 22 75.8
7 모시조개 32 11 34.3
8 보리새우 38 13 34.2
합계 346 195 56.3
상기 표 7에서 사용 생미끼는 고등어를 사용하였고, 사용 인공미끼는 마쇄하여 대두박과 글루텐을 결착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표 7에서와 같이 실험시간은 6시간 침수부터 15시간까지 다양했으나 침수 시간과 입망률은 그 다지 차이가 없다.
하기 실험에서는 앞선 표 7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하기 표 8은 원재료에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험개체 입망개체수 천연미끼대비 인공미끼의 입망률(%) 비고
천연미끼 인공미끼
1 원재료+Tau 50 42 84.0
2 원재료+Asp 45 35 77.7
3 원재료+Glu 31 24 77.4
4 원재료+Pro 29 28 96.5
5 원재료+Gly 21 13 61.9
6 원재료+Ala 64 46 71.8
7 원재료+Tau 45 25 55.5
8 원재료+Asp 11 6 60.0
9 원재료+Glu 64 49 76.5
10 원재료+Pro 37 33 89.1
11 원재료+Gly 49 22 44.8
12 원재료+Ala 50 31 62.2
합계 496 354 71.3
상기 표 8에서와 같이 복합의 성분이 협동효과를 일으켜 상승작용을 보여 포획대상 어종의 입롱행동을 자극한다.
아미노산 첨가한 원재료에 IMP(Inosin MonoPhosphate)를 첨가하였다. 하기 표 9는 IMP를 첨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험개체 입망개체수 천연미끼대비 인공미끼의 입망률(%) 비고
천연미끼 인공미끼
1 원재료+복합아미노산1+IMP 45 44 97.7
2 원재료+복합아미노산2+IMP 62 71 114.5
3 원재료+복합아미노산3+IMP 64 59 92.1
4 원재료+복합아미노산4+IMP 23 20 95.2
5 원재료+복합아미노산1+IMP 39 36 92.3
6 원재료+복합아미노산2+IMP 41 50 121.9
7 원재료+복합아미노산3+IMP 21 20 95.2
8 원재료+복합아미노산4+IMP 70 65 92.8
합계 365 365 100.0
상기 표 9에서와 같이 대부분의 천연미끼 대비 92%이상의 효율을 보였으며, 특히 복합 아미노산2의 경우에 최고 121.9%의 효율을 보였다.
상기의 실험결과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미끼를 제작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 미끼의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미끼는 10 내지 20wt%의 참치 내장과, 16 내지 36wt%의 어징어 내장과, 0.5 내지 10.8wt%의 글루텐과, 0.1 내지 0.9wt%의 리보플라빈과, 0.01 내지 0.2wt%의 OTC와, 0.01 내지 0.2wt%의 BHT와, 30 내지 50wt%의 대두박과, 0.1 내지 2wt%의 IMP와, 0.1 내지 0.9wt%의 복합아미노산과, 1 내지 9wt%의 멸치자숙액과, 0.1 내지 2wt%의 오징어유을 혼합하여 제작한다.
상기 BHT는 부틸레이티드 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의 약자이며, 상기 OTC는 옥시테트라싸이클린(Oxytetracycline)의 약자이다.
상술한 구성의 인공 미끼의 제작에 관해 설명한다.
즉, 10 내지 20wt%의 참치 내장과, 16 내지 36wt%의 어징어 내장과, 0.1 내지 0.9wt%의 리보플라빈과, 0.01 내지 0.2wt%의 OTC와, 0.01 내지 0.2wt%의 BHT와, 30 내지 50wt%의 대두박과, 0.1 내지 2wt%의 IMP와, 0.1 내지 0.9wt%의 복합아미노산과, 1 내지 9wt%의 멸치자숙액과, 0.1 내지 2wt%의 오징어유를 분쇄 혼합한 다음, 0.5 내지 10.8wt%의 글루텐을 투입하여 반죽을 실시한다. 이후, 도면에서와 같이 소세지 형으로 성형을 한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형태는 투망에 용이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크기는 1 내지 10cm이내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후, 2 : 100의 비율로 물에 미생물(bacteria, bacillus)이 혼합된 용액에 이를 30초간 담그어 미생물 처리를 실시한다. 이후, 약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여 인공미끼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은 미생물 활성을 이용한 음건방식을 통해 상온에서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고착재로 글루텐을 사용하는데 이때 글루텐의 사용량에 따라 물속에서의 사용시간이 8시간 에서 72시간까지 다양하게 사용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공미끼를 사용하여 천연미끼 구입으로 소요되는 고비용의 어업 경영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취급 및 보관이 쉬워져 조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동 보관에 따른 각종 비용과 인건 비등의 절감으로 어업 소득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완전분해되는 인공 미끼로 천연미끼를 대체함으로써 천연미끼에 의한 수질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해파리, 불가사리 등 조업에 악영향을 미치고, 바다을 황폐화 시키는 어종을 포획하여 제거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어종이 좋아하는 미끼를 사용하여 어종의 남획을 예방할 수 있고, 동물성 식탐을 보이는 성어만을 포획함으로 식물성 식탐을 가지는 치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통발 뿐만아니라, 닻 자망, 안강망등 기타 조업 방식에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레져용 낚시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천연미끼의 가공형태이므로 양식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삭제
  2. 10 내지 20wt%의 참치 내장과, 16 내지 36wt%의 오징어 내장과, 0.1 내지 0.9wt%의 리보플라빈과, 0.01 내지 0.2wt%의 OTC와, 0.01 내지 0.2wt%의 BHT와, 30 내지 50wt%의 대두박과, 0.1 내지 2wt%의 IMP와, 0.1 내지 0.9wt%의 복합아미노산과, 1 내지 9wt%의 멸치자숙액과, 0.1 내지 2wt%의 오징어유를 분쇄 혼합하는 단계와; 0.5 내지 10.8wt%의 글루텐을 투입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을 성형한 다음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물을 음건방식을 통해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인공 미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물을 미생물과 물이 2 : 100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30초간 담그어 미생물 처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미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일정 크기는 1 내지 10cm인 인공 미끼의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050105347A 2005-11-04 2005-11-04 통발용 미끼 KR10071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47A KR100713027B1 (ko) 2005-11-04 2005-11-04 통발용 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347A KR100713027B1 (ko) 2005-11-04 2005-11-04 통발용 미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556A KR20050111556A (ko) 2005-11-25
KR100713027B1 true KR100713027B1 (ko) 2007-05-04

Family

ID=3728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347A KR100713027B1 (ko) 2005-11-04 2005-11-04 통발용 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525B1 (ko) * 2020-02-17 2022-08-11 나상철 어로 통발용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239B1 (ko) * 1997-09-26 1999-12-01 염말구 어류 포획용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239B1 (ko) * 1997-09-26 1999-12-01 염말구 어류 포획용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3223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556A (ko) 200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ttle et al. Aquaculture: a rapidly growing and significant source of sustainable food? Status, transitions and potential
Alam et al. Nutritional values, consumption and utilization of Hilsa Tenualosa ilisha (Hamilton 1822)
WO2015030008A1 (ja) ウナギ用飼料、ウナギ稚魚の成育方法及び養殖ウナギの生産方法並びにウナギ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Cox et al. Feeding biology of spiny lobster larvae and implications for culture
KR100654093B1 (ko) 인공미끼 및 그 제조방법
JP2010227128A (ja) 魚類、棘皮類又は甲殻類用飼料原料の製造方法
JP5992461B2 (ja) ウナギ稚魚の成育方法及び養殖ウナギの生産方法、並びにウナギ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KR101923553B1 (ko) 배스 분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13027B1 (ko) 통발용 미끼
EP012297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eserved fish food and fish food produced
Bosch Investig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smoothhound shark (Mustelus mustelus) meat
Paterson et al. Controlling the quality of aquacultured food products
Thanh Hien et al. The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and lecithin on the production of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larvae in the Mekong Delta region of Vietnam
KR100446122B1 (ko) 숭어포 가공방법 및 가공된 숭어포
US6676981B2 (en) Preparation of virus free marine bait and product thereof
Pigott New approaches to marketing fish
Ovissipour et al. Aquatic food products
KR102288730B1 (ko) 배스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식품 제조 방법
Walford et al. The sea as a potential source of protein food
Mohamed et al. Effect of drying on proximate and microbial analysis of dried Clarias sp. and Tilapia sp. collected from Gedaref Market, Gedaref state, Sudan
Hanani Occurences of Acetes Paraguayensis in Timpuk Lake, Barangay Su’uh, Panamao, Sulu, Philippines
Budi et al. THE EFFECT OF USING DIFFERENT BAIT TYPES TO CATCH BLUE SWIMMING CRABS USING TRAPS IN BETAHWALANG WATERS OF DEMAK REGENCY
JP2023099982A (ja) 漁法の捕獲用餌又は養殖魚用餌ならびに代替魚粉原料
JP2016187337A (ja) ウニ用畜養飼料
Racioppo et al. Fish Loss/Waste and Low-Value Fish Challenges: State of Art, Advances, and Perspectives. Foods 2021, 10, 272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