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247B1 -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247B1
KR101566247B1 KR1020130162099A KR20130162099A KR101566247B1 KR 101566247 B1 KR101566247 B1 KR 101566247B1 KR 1020130162099 A KR1020130162099 A KR 1020130162099A KR 20130162099 A KR20130162099 A KR 20130162099A KR 101566247 B1 KR101566247 B1 KR 10156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fastening
fixing
coupling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377A (ko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경민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민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민금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2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고정물에 접촉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를 피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결합함에 있어, 결합부와 고정부의 결합부위에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하므로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피고정물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피고정물과 접촉되며 끼움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끼움홀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홀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가압장치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신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판재, 트렁크의 내부, 파티션 등의 피고정물에 지지대상물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 트렁크의 내부, 파티션 등의 피고정물에 지지대상물을 지지시킬 경우 너트를 구비하는 지지장치를 통해 지지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장치는, 피고정물에 접촉되며 상기 너트가 결합되는 판 형상의 결합부와, 상기 피고정물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 형상의 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상물이 상기 체결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너트는 상기 결합부에 스폿(SPOT)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경우 상기 너트는 결합부에 국부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스폿 용접이 행해 지지 않은 부분에 간격이 발생되며, 이렇게 결합부와 너트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됨에 따라 상호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부와 너트 간의 결합력이 저하됨에 따라 비교적 중량의 지지대상물을 체결부에 지지시킬 경우 상기 체결부가 지지대상물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체결부에 가해진 지지대상물의 하중이 상기 너트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상기 너트가 결합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지지대상물이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85550호(2007.12.0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고정물에 접촉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를 피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결합함에 있어, 결합부와 고정부의 결합부위에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하므로서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피고정물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피고정물과 접촉되며 끼움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끼움홀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홀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가압장치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신장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과 접촉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일부분이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장부는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될 경우 열 공급장치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신장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에 의하면, 신장부가 프레스 등의 가압장치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어 삽입홈의 빈 공간 전체를 메꾸면서 결합됨에 따라, 결합부와 고정부의 결합부위에서 간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결합부와 고정부간의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결합부와 고정부를 결합함에 있어, 종래의 스폿(SPOT) 용접방식이 아닌 프레싱 방식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부와 고정부의 결합부위가 깔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가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에 적용된 결합부와 고정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에 적용된 결합부와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가 피고정물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에 적용된 결합부와 고정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에 적용된 결합부와 고정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는 피고정물(30)에 관통 설치되는 체결부(10), 상기 피고정물(30)과 접촉되는 결합부(20), 상기 체결부(10)가 체결되며 상기 결합부(20)를 피고정물(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0)는 상기 결합부(20)를 상기 피고정물(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볼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10)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물(30)에 관통설치되는 바디부(101), 상기 바디부(101)의 끝단에 연결형성되는 헤드부(102)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101)는 상기 피고정물(30)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피고정물(3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02)는 상기 피고정물(30)의 후방에 위치되며, 그 단면이 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1) 중 상기 피고정물(3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지지대상물(미도시)가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상물은 상기 바디부에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고정물(30)은 판재, 트렁크의 내면, 파티션 등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피고정물(30)은 판재, 트렁크의 벽면, 파티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피고정물(30)에는 상기 체결부(10)가 체결될 수 있는 나선홀(30a)이 관통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피고정물(30)에는 나선홀(30a) 대신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02)는 바디부(101) 및 피고정물(30)의 열공급부(50)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항상 피고정물(3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20)는 일면이 상기 피고정물(30)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0)를 통해 피고정물(30)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재질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상측에 상기 피고정물(30)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의 단턱(2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단턱(201)이 피고정물(30)의 끝단에 걸쳐지는 형태로 피고정물(30)에 접촉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결합부(20)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홀(20a)이 서로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끼움홀(20a)에는 상기 체결부(10)가 체결되는 고정부(22)가 끼움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22)는 다시 제1부재(221)와 제2부재(222)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221)는 평평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이 상기 결합부(20)의 배면 중 끼움홀(20a)의 양측면과 맞닿는다.
상기 제2부재(222)는 상기 제1부재(221)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부재(221)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끼움홀(20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부재(222)는 일부분이 상기 끼움홀(20a)상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결합부(2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221)와 제2부재(222)에는 상기 체결부(10)가 체결되는 나선홀(2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부재(221)와 제2부재(2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221)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222)는 육각형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결합부(20)의 일면이 상기 피고정물(30)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하되, 나선홀(22a)이 상기 체결부(1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단턱(201)이 피고정물(30)의 끝단에 걸쳐지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부(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바디부(101)의 나선이 상기 나선홀(22a)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20)가 피고정물(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부재(222)의 양측면, 즉 상기 끼움홀(20a)상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삽입홈(2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홀(20a)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222a)에 결합되는 신장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장부(21)는 상기 결합부(20)와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222)가 끼움홀(20a)에 끼워졌을 경우 상기 삽입홈(222a)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0)를 받침대(미도시)의 상면에 올려놓은 다음 공지의 프레스 등의 가압장치(40)로 상기 신장부(21)의 상면을 프레싱하면, 상기 신장부(21)는 가압장치(4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신장된다.
상기 신장부(21)는 신장됨에 따라 일부분이 상기 삽입홈(222a)의 내부로 이동되어 삽입홈(222a)의 빈 공간 전체를 메꾸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신장부(21)의 신장된 부분이 삽입홈(222a)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222a)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2a)을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이유는, 가압장치(40)를 통해 상기 신장부(21)의 상면을 프레싱하면, 대략 신장부(21)의 높이 방향 중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윗 부분의 신장량이 아랫 부분의 신장량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222a)을 전술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신장부(21)가 삽입홈(222a)의 공간에 알맞게 신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부(21)에 대한 가압장치(40)의 가압시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신장부(21)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 할 수 있다. 상기 신장부(21)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경우 상기 신장부(21)와 고정부(22)의 결합력이 저하되므로, 상기 신장부(21)에는 충분한 가압시간이 부여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가압장치(40)의 가압력 만으로 신장부(21)의 신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압시간이 부족하여 신장부(21)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결합부(20)와 고정부(22)의 결합이 불안정할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받침대(미도시)의 상면에 열공급부(50)를 올려놓고 상기 열공급부(50)의 상면에 결합부(20)를 올려놓는다.
상기 열공급부(50)는 공지의 다리미 등과 같이 내부에 열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열선이 발열됨으로 인해 상기 신장부(21)를 가열한다.
이후, 상기 열공급부(5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결합부(20)에 일체로 형성된 신장부(21)에 열을 공급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신장부(21)는 열 변형되어 신장이 용이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가압장치(40)로 상기 신장부(21)를 프레싱하면 상기 신장부(21)는 가압장치(4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과 열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어 용이하게 신장된다.
상기 신장부(21)의 신장된 일부분은 상기 삽입홈(222a)의 내부로 이동되어 삽입홈(222a)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열공급부(50)에 전원을 차단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가압장치(40)를 신장부(21)에서 이격시키면 상기 신장부(21)가 삽입홈(222a)에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222a)의 내부로 이동된 신장부(21)는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되어 상기 신장부(21)와 고정부(22)는 일체화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신장부(21)와 고정부(22)의 결합력이 우수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체결부 101 : 바디부
102 : 헤드부 20 : 결합부
20a : 끼움홀 21 : 신장부
22 : 고정부 22a,30a : 나선홀
221 : 제1부재 222 : 제2부재
222a : 삽입홈 30 : 피고정물
40 : 가압장치 50 : 열공급부

Claims (4)

  1. 피고정물에 전후진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피고정물과 접촉되며 끼움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끼움홀에 끼움고정되며 상기 체결부가 체결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홀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가압장치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신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과 접촉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일측으로 연결되며 일부분이 상기 결합부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2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삽입홈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신장부는 가압장치에 의해 가압될 경우 열 공급장치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신장이 용이한 지지장치.



KR1020130162099A 2013-12-24 2013-12-24 지지장치 KR10156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99A KR101566247B1 (ko) 2013-12-24 2013-12-24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99A KR101566247B1 (ko) 2013-12-24 2013-12-24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77A KR20150074377A (ko) 2015-07-02
KR101566247B1 true KR101566247B1 (ko) 2015-11-05

Family

ID=537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99A KR101566247B1 (ko) 2013-12-24 2013-12-24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2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628A (ja) 2002-09-25 2004-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スペーサクリップ
JP2009097682A (ja) 2007-10-19 2009-05-07 Tomoki Okada 板材に対するインサートの固着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628A (ja) 2002-09-25 2004-04-15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スペーサクリップ
JP2009097682A (ja) 2007-10-19 2009-05-07 Tomoki Okada 板材に対するインサートの固着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77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427B2 (ja) 断熱ガラスユニット用の溶着可能接続具を有するスペーサ装置
CN106837966B (zh) 膨胀铆钉连接和膨胀铆钉连接的安装方法
KR101655029B1 (ko)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레스 장치
KR101566247B1 (ko) 지지장치
CN103975196B (zh) 具体用于发光二极管模块和类似物的模块支座和散热器
KR101169448B1 (ko) 선반 지지체
ES2823295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a unión de soldadura por fricción para la unión de, como mínimo, dos componentes de tipo placa
JP6263639B2 (ja) 自動車ドアトリム接合装置
CN106870531B (zh) 缩短流钻螺钉操作的周期时间的方法
KR101579571B1 (ko) 공구 진열대
KR101652637B1 (ko)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JP6490636B2 (ja) 抽斗サイドウォールパーツ
KR200453619Y1 (ko) 전기용접기용 케이블접속단자
JP3115443U (ja) 自動車ボデーの修理装置
CN1956640B (zh) 散热器扣具及散热装置
KR20170091283A (ko) 케이블 트레이
JP2004120192A (ja) 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取付装置
ES2555525T3 (es) Procedimiento para unir un elemento de fijación con una pieza de trabajo
KR101736945B1 (ko) 건축외장패널용 지지장치
KR101678497B1 (ko) 진동 융착기의 접합 면 가열장치
KR100984410B1 (ko) 의류건조기용 히터모듈
JP4112434B2 (ja) 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による鉄筋の定着材接合方法
CN216488962U (zh) 铆压装置
JP2018044345A (ja) 建物躯体に外装板を取り付けるためのアンカー金物
JP4831460B2 (ja) スラブ分岐器用電気融雪装置構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