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245B1 -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245B1
KR101566245B1 KR1020140073435A KR20140073435A KR101566245B1 KR 101566245 B1 KR101566245 B1 KR 101566245B1 KR 1020140073435 A KR1020140073435 A KR 1020140073435A KR 20140073435 A KR20140073435 A KR 20140073435A KR 101566245 B1 KR101566245 B1 KR 10156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knob
latch
hol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봉
이정학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태양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태양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4007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래치에 결합되는 노브로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래치가 결합되기 위한 긴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끝단에 상기 래치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탭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 끝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노브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Knob of apparatus for folding the automobile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를 잠그거나 좌석을 접는 작동장치에서 래치의 끝단에 결합되는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는 도어를 잠그거나 뒷좌석을 폴딩시켜 접기 위한 작동장치를 구비하고 사용자는 작동장치 끝단에 결합된 노브를 누르거나 뽑아서 도어의 잠금 및 해제나 뒷좌석의 접음 및 펼침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노브의 작동을 전달하는 래치는 노브에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된다.
래치에 결합되는 종래의 노브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681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졌다. 또한 사출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진 노브에 래치를 결합하기 위해 노브에는 래치가 삽입되기 위한 홀과 래치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탭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사출시에 발생하는 가스가 노브에 남게 되고 이는 가스 홀이나, 수축응력, 기포 등을 유발하였다. 특히 가스 홀은 노브의 머리 부분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래치의 조립시 래치 끝단이 빈 공간까지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어 노브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고 겉도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68109호 (1998.10.07)
본 발명은 가스 홀이나, 수축응력, 기포 등이 없고 래치가 단단히 잘 결합될 수 있는 노브를 제공한다.
또한 가스 홀이나 수축응력, 기포 등이 없고 내부에 탭 형성이 용이한 노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래치에 결합되는 노브로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래치가 결합되기 위한 긴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끝단에 상기 래치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탭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 끝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노브를 제시한다.
상기 노브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헤드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는 두텁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디에서 두텁게 형성된 부분에는 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에서 상기 헤드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에서 상기 헤드가 형성되는 쪽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래치에 결합되는 노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래치가 삽입되는 긴 홀을 가지는 바디를 사출성형하는 바디성형단계, 상기 바디성형단계에서 만들어진 바디를 냉각시키는 바디냉각단계, 냉각된 상기 바디의 긴 홀에 탭형성기구를 삽입하여 상기 래치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기 위한 탭을 형성하는 탭형성단계 및 내부에 상기 탭이 형성되는 상기 바디의 일측 끝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헤드를 성형하는 헤드성형단계를 포함하는 노브의 제조방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는 가스 홀이나, 수축응력, 기포 등이 없고 래치가 단단히 잘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디를 1차로 성형한 후 헤드를 2차로 성형함으로써 가스 몰림, 응력, 기포 등이 방지된다.
바디의 일측을 두텁게 하면 헤드를 인서트 사출로 성형하기 용이하고 회전방지 구성을 채용하여 탭형성 및 헤드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디에 채용된 이같은 특징들은 노브의 불량을 감소시키는 한편 노브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투톤의 시각적 효과를 얻어 노브의 체결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바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바디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순서도 중 탭형성단계에서 바디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순서도 중 헤드성형단계에서 사출된 수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100)는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래치(10)에 결합되는 노브(100)로서, 바디(1)와 헤드(2)를 포함한다.
바디(1)는 길이 방향으로 래치(10)가 결합되기 위한 장홀(14)이 형성되고 이 장홀(14)의 끝단에 래치(10)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탭(141)이 형성된다. 한편 헤드(2)는 바디(1)의 일측 끝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래치(10)는 자동차의 도어를 잠그거나 뒷좌석을 폴딩시켜 접기 위한 작동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노브(100)를 누르거나 뽑는 동작을 할 때 이러한 운동을 전달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나 좌석의 접음 및 펼침을 하게 한다.
이와 같이 노브(100)를 2개의 파트로 구성하면 하나로 사출하여 만들 때에 비하여 가스 홀이나, 수축응력, 기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노브를 하나의 파트로 사출하여 성형하는 경우 가스 홀이 헤드 부분에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래치가 단단하게 결합되기 어려운 요인이 된다. 노브를 2개의 파트로 구성하면 헤드 부분에 가스 홀이 발생하기 어려워 래치가 단단히 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도색 작업 없이도 노브를 2가지 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바디와 헤드를 다른 색상으로 하여 노브가 들어가 있는 상태 또는 뽑혀 있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구성하는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바디의 일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노브의 단면도이다.
바디(1)는 노브(100)의 몸체를 이루고 길이 방향으로 래치(10)가 삽입되기 위한 장홀(14)이 형성된다. 이 장홀(14)의 끝단에는 래치(10)가 결합되기 위한 탭(141)이 형성된다.
도어를 잠그는 작동장치 또는 자동차 뒷좌석을 폴딩시켜 접는 작동장치에서 래치(10)의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부분이 바디(1)의 장홀(14)의 끝단에 형성된 탭(141)에 조립된다.
바디(1)에서 헤드(2)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는 두텁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디(1)는 연장되는 제1바디파트(11)에 제1바디파트(11)와 단을 이루어 제2바디파트(12)가 형성되어 연장되고 제2바디파트(12) 끝은 투텁게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의 구성은 바디(1) 내에 형성되는 탭(141)의 응력변형을 고려한 구성이다. 만약 끝단에 크기 변화가 없이 예를 들어 일자형 기둥 형태로 바디(1)를 만드는 경우에는 2차로 헤드(2)가 인서트 사출로 형성될 때 열과 압력에 의해 탭(141)이 형성된 부분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즉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헤드(2)의 사출시 탭(141)이 형성된 부분에 열과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도록 탭(141)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이 충분한 두께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두텁게 형성된 제2바디파트(12)에는 리브(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바디파트(12)의 외측에 바디(1)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15)가 형성된다. 리브(15)는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15)는 바디(1) 내에 탭(141)을 형성할 때 바디(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디(1)에 탭(141)을 내는 공정은 바디(1)가 금형(20, 도 6 참조) 내에 있을 때 회전코어(30)를 이용한다. 회전코어(30)를 적용할 때 바디(1)가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금형(20) 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이 리브(15)가 형성되는 경우 회전코어(30)에 의해 탭(141)을 형성할 때 바디(1)에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리브(15)가 금형(2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바디(1)는 회전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향후 헤드(2)가 형성될 때 바디(1)와 헤드(2)가 단단하게 결합되게 하여 헤드(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리브(15)의 형상은 대략 Y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2차로 헤드(2)가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때 투입되는 수지의 흐름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Y자 형태의 리브(15)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2차 성형을 위한 수지가 이 리브(15)에 막혀 흐름이 분산되면서 리브(15)의 좌우측 및 상측으로 흐르면서 서서히 성형되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헤드 부분에 가스 홀이나, 수축응력, 기포 등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바디(1)에서 헤드(2)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에는 바디(1)의 폭 방향으로 홀(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헤드(2)의 회전방지를 고려한 구성이다. 2차로 헤드(2)를 성형할 때 헤드(2)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가 이 홀(16)로 유입된다. 유입된 수지가 경화되면 경화된 수지는 홀(16)에 삽입되는 핀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바디(1)와 헤드(2)는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헤드(2)가 회전하면서 겉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홀(16)의 위치 및 형상은 바디(1)에서 탭(141)이 형성된 부분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바디(1)에서 헤드(2)가 형성되는 쪽의 반대측 단부에는 홈(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홈(17)은 바디(1)에 탭(141)을 형성할 때 바디(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금형(20)에는 이 홈(17)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 있고 바디(1)가 경화되고 나면 금형(20)의 해당 부분이 홈(17)에 끼워진 형태가 되므로 탭(141)을 형성할 때에 바디(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홈(17)은 헤드(2)가 형성되는 쪽의 리브(15)와 함께 탭(141) 형성시 바디(1)가 회전하지 않도록 단단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탭(141)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헤드(2)는 바디(1)의 일측 끝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헤드(2)는 바디(1)를 1차 성형한 후 2차로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바디(1)의 일측에 성형할 수 있다.
헤드(2)는 바디(1)에서 원반 형상으로 투텁게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므로 이 또한 유사하게 원반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뽑거나 누르기 편리한 형상이다. 헤드(2)는 바디(1)에 형성된 홀(16)에 의해 바디(1)와 단단하게 결합된다.
헤드(2)는 바디(1)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디(1)와 다른 색을 사용하여 노브(100)가 투톤 형식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노브(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위와 같은 노브(100)는 바디성형단계(S1), 바디냉각단계(S2), 탭형성단계(S3), 헤드성형단계(S4)를 거쳐 완성되고 래치(10)를 결합시켜 도어잠금장치 또는 시트폴딩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먼저 바디성형단계(S1)에서는 래치(10)가 삽입되는 장홀(14)을 가지는 바디(1)를 사출성형한다. 바디성형단계(S1)에서는, 바디(1)에 형상에 대응되는 사출 금형(20)이 장착된 사출기에 수지를 투입하고 용융시켜 금형(20)으로 투입함으로써 바디(1)를 성형한다.
이 과정을 통해 바디(1)는 일단은 두텁게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브(15)와 회전방지를 위한 홈(17)을 가지며 래치(10)가 삽입되는 장홀(14)과 헤드(2)의 고정을 위한 홀(16)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바디냉각단계(S2)에서는, 바디성형단계(S1)에서 만들어진 바디(1)를 냉각시켜 단단하게 한다. 금형(20) 내의 냉각수로에 냉각수를 투입함으로써 이 공정이 이루어진다.
탭형성단계(S3)에서는, 냉각된 바디(1)의 장홀(14)에 회전코어(30)를 삽입하여 홀(16) 끝단에 래치(10)와 결합되기 위한 탭(141)을 형성한다. 바디(1)는 냉각된 상태이므로 회전코어(30)에 의해 깎여 탭(141)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는 리브(15)와 회전방지홈(17)에 의해 금형(20) 내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헤드성형단계(S4)에서는, 바디(1)의 일측 끝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헤드(2)를 성형한다. 바디(1)를 사출 금형(4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 사출 금형(40)이 장착된 사출기에 수지를 투입하고 용융시켜 금형(40)으로 투입함으로써 헤드(2)를 성형한다. 헤드(2)가 성형되는 부분은 바디(1)에 있어서 탭(141)이 형성된 부분 쪽이다. 헤드(2)를 이루게 되는 용융된 수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5)의 상부 방향(S)에서 투입되고 바디(1)의 리브(15)를 따라 3방향(D1,D2,D3)으로 서서히 채워진다.
이와 같이 바디(1)와 헤드(2)를 나누어서 성형함과 함께 바디(1)를 성형한 후 냉각하고 회전코어(30)로 탭(141)을 형성함으로써 탭(141)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 상태에서 헤드(2)를 2차로 성형함으로써 래치(10)의 조립을 위한 탭(141)의 위치 부분의 가스 몰림 현상, 응력 및 기포 발생으로 인하여 래치(10)의 고정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바디
11 : 제1바디파트 12 : 제2바디파트
14 : 장홀 141 : 탭
15 : 리브 16 : 홀 17 : 홈
2 : 헤드
10 : 래치
20, 40 : 금형
30 : 회전코어
100 : 노브
S : 수지투입방향
D1, D2, D3 : 수지확산방향

Claims (4)

  1.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래치에 결합되는 노브로서,
    사출에 의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래치가 결합되기 위한 긴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끝단에 상기 래치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탭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측 끝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서 상기 헤드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는 두텁게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반 형상의 상기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헤드의 성형을 위해 사출되는 수지의 흐름을 늦추는 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리브는 상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Y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디에서 헤드가 형성되는 쪽의 단부에는 상기 헤드의 성형을 위해 사출되는 수지가 유입되도록 폭 방향으로 홀이 더 형성되는 노브.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바디에서 상기 헤드가 형성되는 쪽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홈이 더 형성되는 노브.
  4. 삭제
KR1020140073435A 2014-06-17 2014-06-17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35A KR101566245B1 (ko) 2014-06-17 2014-06-17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35A KR101566245B1 (ko) 2014-06-17 2014-06-17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245B1 true KR101566245B1 (ko) 2015-11-05

Family

ID=5460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435A KR101566245B1 (ko) 2014-06-17 2014-06-17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2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527Y2 (ja) * 1990-08-17 1997-01-29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操作ボタン
JP2002132361A (ja) * 2000-10-25 2002-05-10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シフトレバーノブ構造
JP2002331546A (ja) * 2001-05-09 2002-11-19 Nippon Plast Co Ltd シフトノブ及びシフトノブの製造方法
JP2004188678A (ja) * 2002-12-09 2004-07-08 Hoshipura:Kk 合成樹脂製把手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527Y2 (ja) * 1990-08-17 1997-01-29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操作ボタン
JP2002132361A (ja) * 2000-10-25 2002-05-10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シフトレバーノブ構造
JP2002331546A (ja) * 2001-05-09 2002-11-19 Nippon Plast Co Ltd シフトノブ及びシフトノブの製造方法
JP2004188678A (ja) * 2002-12-09 2004-07-08 Hoshipura:Kk 合成樹脂製把手の成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800B2 (ja) クリップ
WO2015151567A1 (ja) ねじ部材、締結構造及び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の連結構造
BRPI0714849B1 (pt) Conjunto de seringa e agulha separável tendo recursos de fixação binários, seringa e método paraConjunto de seringa e agulha separável tendo recursos de fixação binários, seringa e método para fabricar um cilindro de seringa alongado para uso com um conjunto de agulha tendo um cubo
JP2012183887A (ja) 給油ノズル用ガイド装置
KR101566245B1 (ko) 자동차 좌석 폴딩 장치의 노브 및 이의 제조방법
EP2407280A1 (en) Grip, tool and method of manufaturing thereof
KR101550977B1 (ko) 해체가 용이한 플러그
US20140000734A1 (en) Fuel delivery pip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161189B2 (en) Hot runner mold for three-layer molding
JP5055422B2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製押出ブロー成形品
US9486942B1 (en) Mold interlocks
KR101709181B1 (ko)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75003B1 (ko) 플라스틱 강성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19407A (zh) 一种适于内螺牙塑件加工的注塑模具
JP3862953B2 (ja) 管連結装置
JP2005119105A (ja) 二色成形方法および二色成形品。
JP3532681B2 (ja) 防振装置の本体部の成形方法
CN220946458U (zh) 一种新型热咀
KR200363667Y1 (ko) 조립식 인서트 볼트
US11493148B2 (en) Fluid micro-injection device and flow channel assembly
TW202400282A (zh) 過濾機的具補強結構上蓋
KR19980024449U (ko) 냉각유로를 구비한 가스 사출금형의 보스부구조
KR101884522B1 (ko) 음용수 밸브 콕의 제조방법
JPH10286844A (ja) 成形品の一部に小孔を射出成形する方法及びこの成形方法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用金型
TWI620643B (zh) 開放式熱澆道澆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