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575B1 -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575B1
KR101564575B1 KR1020150006928A KR20150006928A KR101564575B1 KR 101564575 B1 KR101564575 B1 KR 101564575B1 KR 1020150006928 A KR1020150006928 A KR 1020150006928A KR 20150006928 A KR20150006928 A KR 20150006928A KR 101564575 B1 KR101564575 B1 KR 10156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egg
powder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유섬
주영철
Original Assignee
인유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유섬 filed Critical 인유섬
Priority to KR102015000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23K1/1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1/14
    • A23K1/1603
    • A23K1/175
    • A23K1/1753
    • A23K1/182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란율 향상 사료첨가물 조성물은 콩배아분말,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과 같은 영양물질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란계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산란계용 사료를 급이하면 산란율이 높아지고 난중무게도 증가하며, 계란색과 부화율도 좋아지고 강건성이 좋아져 폐사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feed additives for egg layering}
본 발명은 가금류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배아,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과 같은 영양물질을 이용한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란계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가금류의 산란계 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계란 한 개당 생산 비용을 최소화시켜 생산비를 절감하여 최대의 이익을 추구하는 데 있다.
따라서, 산란계를 기르는 축산 농가에서는 최대의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서 산란율 및 난중을 높이고, 연파란율, 사료섭취율 및 폐사율을 낮추기 위해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란계의 산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산란계의 유전적 속성, 산란계의 일령 및 산란 개시일, 온도, 습도, 빛, 환기 조건 등을 포함한 계사의 환경 조건 및 충분한 영양공급을 위한 사료와 항생제 또는 사료 첨가제의 품질 등을 들 수 있다.
현재까지, 산란계에 사용되고 있는 사료 첨가제로는 비타민류(비타민 A, B, C, D, E, K)와 필수 광물질(칼슘, 인, 마그네슘, 갈륨, 황, 망간, 철, 구리, 요오드, 아연, 코발트, 셀레늄, 몰리브덴, 비소)의 영양 물질, 장내 유해균을 억제하고 유익균을 안정화하는 생균제 및 장내 독소를 흡착하는 무기 흡착제(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 등)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키틴 키토산 함유 산란계용 영양제 조성물을 급여하여 산란율이 향상되며(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999-0079585호), 유카 추출물을 포함한 사료 첨가제를 투여하여 사료 요구율과 산란율이 향상되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999-0048387호) 등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가지 사료 첨가제가 산란계의 산란율 증대를 위해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종류들의 사료첨가제 만으로는 산란율 및 난중은 높이고, 연파란율, 사료섭취량 및 폐사율은 낮추어 농가의 최대 이윤 추구에 완벽하지는 못한 실정이다.
또한 산란계는 다른 가축보다 가장 스트레스에 민감한 축종으로서 최근 고능력 계군의 육종과 더불어 사양형태가 대규모화, 자동화되면서 계군에게 미치는 스트레스는 더욱 가중되고 있고 닭장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관리되다 보니 자연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거의 매일 계란을 한 개씩 생산하다 보니 많은 영양소를 필요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 활동이 증가되어 비타민 및 광물질의 소모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는 복합적인 고영양 사료첨가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란율 향상을 위한 고영양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를 가금류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가금류의 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란율 향상을 위하여 콩배아 분말, 맥주효모, 아연과 같은 영양물질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란율 향상을 위하여 콩배아,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과 같은 영양물질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산란율 향상을 위하여 상기 사료첨가 조성물을 0.1~10 중량% 포함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를 가금류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가금류의 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란율 향상 사료첨가물 조성물은 콩배아분말,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과 같은 영양물질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란계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산란계용 사료를 급여하면 산란율이 높아지고 난중무게도 증가하며, 계란색과 부화율도 좋아지고 강건성이 좋아져 폐사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콩배아분말, 효모 및 아연을 포함하는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는 콩배아분말 50~84 중량%, 맥주효모 15~40 중량%, 아연 1~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콩배아,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콩배아분말,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 스테비아, 향료를 첨가하되, 콩배아 50 중량%, 인진쑥분말 20 중량%, 맥주효모 20 중량%, 탄산칼슘 7.2 중량%, 아연 2 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는 콩배아분말 50 중량%, 인진쑥분말 25 중량%, 맥주효모 22.2 중량%, 아연 2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산란율 향상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산란율 향상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콩배아분말은 두유공장에서는 두유제조과정에서 분리해낸 콩배아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두유제조 시 콩배아가 포함되어 제조될 경우 두유에 비린 맛에 거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배아를 분리해 내는데 콩 배아의 양은 전체의 1.5% 정도로 100㎏를 가공하면 1.5㎏ 정도가 나온다.
콩배아에는 조단백이 40.73%, 조지방이 11.85%, 가용무질소물이 34.15%, 조섬유 8.85%, 조회분이 4.41% 인 것으로 나타나(한국표준사료성분 홈페이지 참조) 고단백 영양체일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 성분인 isoflavone과 soyasapon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isoflavone은 자엽에 0.13~0.35%, 배아는 0.97~2.07%가 함유되어 있으며, soyasaponin은 콩 전체에 0.1~0.5%가 함유되어 있으나, 부위별로 볼 때 자엽에 0.2~0.3%, 배아에 약 2%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중에 콩 이소플라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과 작용이 비슷해 식물성에스트로겐(Phytoestrogen)으로 불리며, 전립선암, 유방암을 비롯한 결장암, 폐암, 피부암 등의 유발 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각종 항암효과 뿐만 아니라 뼈의 칼슘 흡수율을 증가시켜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 예방, 골밀도 증진, 노화방지 및 항산화활성 기능이 있어 지속적인 배란이 요구되는 산란계에 이소플라본이 풍부한 콩배아 분말을 급여 시 칼슘흡수 및 난각형성 등 생리활성을 촉진하여 산란율을 높인다.
하지만 콩 배아에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떫고 쓴맛과 더불어 콩 특유의 비린내를 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저하시키므로 콩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콩 껍질 및 배아와 같은 부산물은 그 이용도가 극히 제한적이어서 가축의 사료나 퇴비 등으로 활용되고 일부는 폐기물로 처리되는데 이를 사료화하기 위해서는 볶거나 쪄서 비린맛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한 다음 건조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맥주효모는 맥주발효 시 사용하는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체를 회수하여 건조 분말화하여 사용하는데 사료첨가제, 건강기능식품 항생제 대체, 설사 및 변비 개선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되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특히 효모는 고단백 식품영양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펩타이드, 유기산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풍부한 육수의 감칠맛을 부여하여 식미를 개선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 콩배아분말의 이미를 완화시켜주고 풍부한 영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연은 구리, 망간과 함께 닭의 난각형성 과정에 필수적인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며 칼슘의 이동에 관여하여 난각 강화에 효과적이며 동시에 면역과정에 필요한 효소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력 증강과 함께 백신 접종을 전후한 항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탄산칼슘이 주성분인 석회석 분말은 양계사료의 중요한 칼슘공급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체로 칼슘의 함량이 35~40% 정도이며, 특히, 칼슘은 난각형성 등에 중요하여 산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므로, 한국사양표준(가금)에서는 병아리 시기(0~16주) 약 1%, 산란초기 (1%~32주) 3.7%, 산란말기 (55주 이후) 4.0%로 주령이 많아질수록 칼슘 요구량이 늘어나는 데, 이는 수령이 들수록 계란이 커져 그만큼의 계란 껍질이 만들어지기 위해서 더 많은 칼슘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산란계가 가지는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한 적정 칼슘 요구량에서 약간의 과부족분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칼슘양이 적으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난각질에 문제가 생기며, 많이 모자라면 난소와 난관, 벼슬 등이 작아지고, 연란을 생산하게 되는데, 특히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로 혈액 내 이온화 칼슘 칼슘양이 적어지며 칼슘공급해도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연란이 발생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석회를 다량급여해도 닭이 스스로 조절하여 섭취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석회 다량공급에 따른 흡수장해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산란계에 급여 시 칼슘양이 적으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난각질에 문제가 생기며, 칼슘양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사료섭취량과 산란율도 줄며, 난각질도 나빠진다. 따라서 산란계의 경우 다량의 칼슘 공급하기보다는 콩배아의 이소플라본이나 아연과 같이 닭의 난각형성 과정에 필수적인 효소들을 활성화시키고 칼슘의 이동에 관여하여 난각 강화에 효과적인 성분들을 포함하도록 사료를 배합해 급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콩배아분말, 효모 및 아연의 조합을 통해 산란계에 고단백 영양분을 보충할 뿐만 아니라 칼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는바, 상기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는 콩배아분말 50~84 중량%, 맥주효모 15~40 중량%, 아연 1~10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진쑥은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를 가리키며,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나는데 봄철에 한 뼘쯤 자란 것을 베어 그늘에 말려서 약으로 쓴다. 인진쑥에는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질, 회분, 칼슘, 인, 철분,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나이아신 등 매우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으며, 인진쑥은 발암곰팡이와 발암독물을 억제하는 힘이 매우 세서 항암제로서도 전망이 있다. 인진쑥의 주요 성분인 쿠마린, 클로로겐산과 카페인, 향기 성분 등이 발암물질인 곰팡이독소인 Mycotoxin의 생성을 100퍼센트 억제하고, 인진쑥 열수추출물은 암세포를 21퍼센트 억제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는 등 항균제 및 항생제 대용으로 산란계 사료로 급여 시 닭의 항병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실제로 선행 특허 제 10-1087269호에는 약쑥 발효물을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하여 계란의 보존성을 증진시키고 난황 색깔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계란의 난각 강도가 강화된 계란을 생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비타민 E는 토코페롤(tocopherol)이라고도 불리며 항불임성 비타민이라고도 하는데,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이 강하고 부족할 경우 번식능력을 저해하고 근위축증(筋萎縮症)을 일으킨다.
또한 감미료인 스테비아와 향료는 닭사료 급여시 콩배와와 인진쑥분말의 이미를 완화시키고 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란율 향상 사료첨가제는 콩배아분말, 효모, 아연 이외에도 추가로 탄산칼슘과 인진쑥분말, 비타민E, 스테비아, 향료 등을 더 포함하며 이때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콩배아 50 중량%, 인진쑥분말 20 중량%, 맥주효모 20 중량%, 탄산칼슘 7.2 중량%, 아연 2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콩배아분말 50 중량%, 인진쑥분말 25 중량%, 맥주효모 22.2 중량%, 아연 2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의 비율로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는 통상의 사료 성분을 추가로 첨가 혼합하고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함유시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사료로 제조하던가 또는 압출성형 등의 방법에 따라 펠렛 등 사료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40℃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 및 유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란계용 사료 첨가제의 1회 섭취량은 산란계 체중 2kg 당 0.1 내지 1g으로 1일 1 내지 3회, 바람직하게는 2회 복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콩배아분말, 효모 및 아연 등을 포함하는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란계용 영양사료를 섭취한 산란계는 항산화 및 항노화 작용을 가져 저항력이 증진되어 효과가 있다. 또한 산란율이 높아지고 난중무게도 증가하며, 계란색과 부화율도 좋아지고 강건성이 좋아져 폐사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당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 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콩배아분말,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 스테비아를 60~100 mesh 정도로 각각 분말화 하였다. 콩배아 50 중량%, 인진쑥분말 20 중량%, 맥주효모 20 중량%, 탄산칼슘 7.2 중량%, 아연 2 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산란율 향상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급여 사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콩배아분말, 인진쑥분말, 맥주효모, 아연, 비타민E, 탄산칼슘, 스테비아, 향료 60~100mesh 정도로 각각 분말화한 다음, 콩배아 50 중량%, 인진쑥분말 25 중량%, 맥주효모 22.2 중량%, 아연 2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산란율 향상 사료 첨가제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급여 사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기본적인 산란계용 사료만을 급여하여 사료첨가제 없는 상태의 산란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2>
P사의 산란계용 사료첨가제를 시중에서 구입하였고, 이를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같이 산란계용 사료에 동일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실험예> 산란율 향상 사료첨가제의 혼합 투입
실시예 1, 2의 방법으로 각각 제조한 산란율 향상 사료첨가제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급여 사료를 준비하여 로만브라운 산란계가 산란전기인 20주령이 되었을 때 4군으로 나누어 31일 동안 투여하였고, 물은 지하수를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교예 1와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산란계용 사료를 준비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를 급여하였다.
1. 산란계용 닭의 폐사율
하기 표 1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급여군과 범용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비급여군(비교예 1, 비교예 2)으로 실험군을 설정한 후 닭의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표 1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군에서 폐사 개체수가 적었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군의 1개월간 폐사율은 0~10%, 범용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군의 1개월간 폐사율은 30%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사료 첨가한 비교예 2의 폐사율은 20%로 나타나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이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
  비교예1
무첨가
비교예2
타 사료첨가제
실시예1
A배합
실시예2
B배합
  10마리기준 10마리기준 10마리기준 10마리기준
폐사숫자 3 2 1 0
생존수수 7 8 9 10
폐사율% 30% 20% 10% 0%
2. 사료급여량 및 증체량
증체량은 실험개시와 실험종료시 체중을 측정하여 구했으며, 사료급여량은 매일 수당 평균 143~145g 씩 실험사료를 급여한 양을 표시하였다. (이 실험 사료 중 사료 첨가제 함량이 0.2 중량%임)
사료급여량
  비교예1
무첨가
비교예2
타 사료첨가제
실시예1
A배합
실시예2
B배합
일차 145g 145g 145g 145g
1일 145g 145g 145g 145g
2일 145g 145g 145g 145g
3일 145g 145g 145g 145g
4일 145g 145g 145g 145g
5일 145g 145g 145g 145g
6일 145g 145g 145g 145g
7일 145g 145g 145g 145g
8일 145g 145g 145g 145g
9일 145g 145g 145g 145g
10일 145g 145g 145g 145g
11일 145g 145g 145g 145g
12일 145g 145g 145g 145g
13일 145g 145g 145g 145g
14일 143g 143g 143g 143g
15일 143g 143g 143g 143g
16일 143g 143g 143g 143g
17일 143g 143g 143g 143g
18일 143g 143g 143g 143g
19일 143g 143g 143g 143g
20일 143g 143g 143g 143g
21일 143g 143g 143g 143g
22일 143g 143g 143g 143g
23일 143g 143g 143g 143g
24일 143g 143g 143g 143g
25일 143g 143g 143g 143g
26일 143g 143g 143g 143g
27일 143g 143g 143g 143g
28일 143g 143g 143g 143g
29일 143g 143g 143g 143g
30일 143g 143g 143g 143g
31일 143g 143g 143g 143g
닭 10마리 평균 증체량 :
 일 비교예1
무첨가
비교예2
타 사료첨가제
실시예1
A배합
실시예2
B배합
1일 4.21kg 3.95kg 3.97kg 4.18kg
31일 4.35kg 4.13kg 4.18kg 4.39kg
증체량 140g 180g 201g 210g
표 3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군에서 증체량이 컸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군의 1개월 후 증체량은 201~210g, 범용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군의 1개월 후 증체량은 140g 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사료 첨가한 비교예 2의 증체량은 180g 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이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산란율
하기 <표4>와 같이, 실험예 1과 실험예 2에 따른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급여군과 범용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비급여군으로 실험군을 설정한 후 닭의 산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의 산란율 56.6%에 비하여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산란율이 70~73%로 향상되었다.
한달간 산란 숫자 :
경과 일수 비교예1
무첨가
비교예2
다른사료 첨가
실시예1
A배합
실시예2
B배합
1일 x x 0 0
2일 0 0 0 0
3일 x 0 0 0
4일 0 0 x x
5일 x x x x
6일 0 0 0 0
7일 x x 0 0
8일 0 0 0 0
9일 0 0 x x
10일 x x 0 0
11일 0 0 0 0
12일 0 x x 0
13일 x 0 0 0
14일 x x x 0
15일 0 0 0 x
16일 0 x 0 0
17일 x 0 0 0
18일 0 0 x x
19일 x 0 x 0
20일 0 x 0 0
21일 x x 0 0
22일 0 0 x x
23일 x 0 0 0
24일 0 x 0 0
25일 0 0 0 0
26일 x x x 0
27일 0 0 x x
28일 0 0 0 0
29일 x x 0 0
30일 0 x 0 0
31일 x 0 0 x

평균
 
종란17개 종란18개 종란21개 종란22개
산란평균 56.6% 산란평균 60% 산란평균 70% 산란평균 73%
4. 난중(계란무게) :
한달간의 난중 단위 g
 경과일수 비교예1
무첨가
비교예2
다른사료 첨가
실시예1
A배합
실시예2
B배합
1 60 59.5 58 58.1
2 60.1 59 57.7 58
3 60 59.8 57.9 58.8
4 60.2 59 58 58.5
5 60 59.5 57.5 59
6 59.8 59 58 58.8
7 60 59 58 59
8 59.5 60 58.2 59.1
9 60 60.1 58.4 59
10 60.1 59 59.5 59.3
11 59.9 60 59.8 59.6
12 60 59 59.5 59.8
13 59.7 60.1 60 59.7
14 60.2 60 60.2 60.3
15 60 59.3 60.3 60.5
16 59.9 59.6 60.1 60.5
17 59.4 60.1 60.4 60.7
18 60.1 60 60.5 60.6
19 60.3 59.8 60.4 60.7
20 59.5 59.9 60.6 60.8
21 59.2 60 60.5 60.7
22 59.9 60.1 60.6 60.9
23 60 59.9 60.3 60.8
24 59.7 60.1 60.7 61
25 59.5 60.2 60.6 61
26 60.1 59.2 60.8 60.9
27 60.2 59.7 60 61
28 59.7 60 61 61
29 59.9 59.8 61.3 61.1
30 60.2 60.5 61.4 61.3
31 60 60.1 61.5 61.2
한달평균무게
31일
59.9 59.7 59.7 60.1
최초난중 60g 59.5 58 58.1
난중증가 0.1g감소 0.2g증가 1.7g증가 2g증가
난중은 매일 채집한 계란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처리구별로 측정하였는데, 비교예는 0.1g 감소되었는데 반하여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1.7g, 2g으로 각각 증가되어 계란 무게의 향상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부화율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른 한달간의 부화율은 다음 <표6>과 같이 나타났다.
한달간의 부화율
 구분 비교예1
무첨가
비교예2
다른사료 첨가
실시예1
A배합
실시예2
B배합
총종란수 170개 180개 210개 220개
부화율% 75 76 80 85
병아리발생수 128수 137수 168수 187수
무첨가계군비교   9수 40수 59수
종란의 생명은 산란율과 함께 부화율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란율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부화율도 비교예 75%에 비하여 80~85%로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콩배아분말, 효모 및 아연 등을 포함하는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란계용 영양사료를 섭취한 산란계는 저항력이 증진되어 폐사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고, 또 산란율이 높아지고 난중무게도 증가하며, 계란색과 부화율도 좋아지고 강건성이 좋아짐으로써 산란계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콩배아분말, 효모 및 아연을 포함하고,
    인진쑥분말, 비타민E, 탄산칼슘, 스테비아, 향료를 추가로 더 포함하되,
    콩배아 50 중량%, 인진쑥분말 20~25 중량%, 맥주효모 15~27.2 중량%, 탄산칼슘 1~7.2 중량%, 아연 1~2 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4. 콩배아분말, 효모 및 아연을 포함하고,
    인진쑥분말, 비타민E, 스테비아, 향료를 더 포함하되,
    콩배아분말 50 중량%, 인진쑥분말 25 중량%, 맥주효모 22.2 중량%, 아연 2중량%, 비타민E 0.5 중량%, 스테비아 0.1 중량%, 향료 0.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란계용 사료 조성물.
KR1020150006928A 2015-01-14 2015-01-14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KR10156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28A KR101564575B1 (ko) 2015-01-14 2015-01-14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28A KR101564575B1 (ko) 2015-01-14 2015-01-14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575B1 true KR101564575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928A KR101564575B1 (ko) 2015-01-14 2015-01-14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95A (ko) * 2017-11-24 2019-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온화한 아연을 포함하는 종란 부화율 향상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622A (ja) * 1999-11-05 2001-05-15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家禽用飼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622A (ja) * 1999-11-05 2001-05-15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家禽用飼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295A (ko) * 2017-11-24 2019-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온화한 아연을 포함하는 종란 부화율 향상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026790B1 (ko) 2017-11-24 2019-10-01 대한민국 이온화한 아연을 포함하는 종란 부화율 향상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21843B (zh) 一种食用鸽不同生长时期饲料的配方及喂养方法
CN102599367B (zh) 一种后备蛋鸡用中草药复合预混料
CN104000034A (zh) 促进饮食的中猪保健型饲料
CN101268807A (zh) 一种无公害饲料添加剂
CN102144737A (zh) 蛋鸡饲料
Ali et al. Highly effective dietary inclusion of laurel (Laurus nobilis) leaves on productive traits of broiler chickens
CN103349158B (zh) 一种野猪饲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286577A (zh) 温室养殖模式专用中华鳖幼鳖粉状配合饲料
CN114009591A (zh) 一种改善畜禽生长性能和肉品质的天然饲料添加剂及其用途
CN103636927A (zh) 一种健康环保型肉牛用的颗粒型饲料
Deka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neem (Azadirachta indica) leaf powder on the performance of commercial broiler chicken
CN105433033A (zh) 含有刺梨提取物的肉鸡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Eid et al. Effect of replacement of soybean meal with duckweed (Lemna minor)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in Nile tilapia fingerlings
KR101564575B1 (ko) 산란율 향상을 위한 사료첨가제
CN105495014A (zh) 雏乌鸡饲料组合物
CN102987066A (zh) 一种改性花生秸秆猪饲料的制备方法及其制得的猪饲料
CN107307229B (zh) 一种改善淘汰蛋鸡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74016B (zh) 一种提高肉鸡鸡肉品质的饲料及使用方法
CN105053645A (zh) 一种日照麻鸡蛋鸡产蛋期专用饲料的制作方法
CN106615949B (zh) 一种含青绿菊苣的鹅饲料
Sedghi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arley malt extract and malt vinegar on growth performance, jejunal morphology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CN104664081A (zh) 一种猪饲料添加料及降低造肉成本的猪饲料
CN104304801A (zh) 温室养殖模式专用中华鳖成鳖粉状配合饲料
CN104171726A (zh) 一种环保减排的断奶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804947A (zh) 川陈皮素在制备改善猪肉品质的饲料添加剂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