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082B1 -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 Google Patents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082B1
KR101564082B1 KR1020130114520A KR20130114520A KR101564082B1 KR 101564082 B1 KR101564082 B1 KR 101564082B1 KR 1020130114520 A KR1020130114520 A KR 1020130114520A KR 20130114520 A KR20130114520 A KR 20130114520A KR 101564082 B1 KR101564082 B1 KR 10156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band
hook
shaped
suppor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441A (ko
Inventor
박용실
Original Assignee
박용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실 filed Critical 박용실
Priority to KR102013011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0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양식용 패각이 끼워지는 지지줄에 일정 간격으로 유지한 채 패각을 거치할 수 있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굴양식용 패각 중심홀에 삽입되는 지지줄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융착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형성한 밴드형 패각걸이는, 지지줄에 융착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길이 및 폭 가변성이 있어 패각을 연속적으로 끼우는 데 유리하며, 작업 소요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어 유용하다. 더불어 본 출원인이 개발한 패각걸이기구를 활용한다면 더욱 더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 감소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BAND TYPE SHELL HANGER FOR FARMING OYSTER}
본 발명은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양식용 패각이 끼워지는 지지줄에 일정 간격으로 유지한 채 패각을 거치할 수 있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에 관한 것이다.
굴양식은 채묘라는 과정을 거치며, 이때 패각을 해수에 담궈서 굴의 유생을 부착시키게 된다.
패각(종패)는 하나의 지지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하여 여러개를 한번에 해수에 담구게 된다.
종래에는 6 ~ 7미터의 지지줄의 중간중간에 매듭을 형성하고, 하나의 매듭에 하나의 패각이 지지되고, 패각은 그 중앙을 지지줄이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매듭 방식은 지지줄에 매듭을 만드는 작업과 패각을 끼우는 작업을 반드시 번갈아 가면 반복해야 하므로, 매듭 형성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후에는 매듭을 짓는 대신에 클립 형태를 끼우는 것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며, 클립 형태의 종패 걸이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0918 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1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0918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1호에 개시된 패각걸이는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로 이루어져 휘거나 형태의 변형성이 없어 매듭 방식과 같은 형태로 패각을 끼우고 매듭을 짓고(또는 플라스틱 사출의 패각걸이을 끼고) 하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3-00009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801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과제는, 굴양식용 패각을 동일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패각 고정 걸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굴양식용 패각의 걸이를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약을 가져올 수 있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인이 개발한 패각걸이기구를 활용할 때 본 발명의 패각걸이는 더욱 더 패각 끼우기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시간 대비 많은 양의 패각을 걸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굴양식용 패각 중심홀에 삽입되는 지지줄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폭방향으로 융착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일측선상 또는 양측선상이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선단부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거나, 중심부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어 접혀지거나, 중심부에 상기 지지줄이 융착되거나, 2겹으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지지줄이 게재되어 융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패각이 걸쳐지는 1단 걸이부와, 상기 1단 걸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1단 걸이부 보다 길고 폭이 작게 형성되는 2단 걸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패각이 걸쳐지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에 미늘과 갈고리가 형성되는 미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늘부는 상기 걸이부 측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상기 지지줄에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패각이 거치되는 걸이부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걸이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패각이 걸쳐지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는 화살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는 부분이 지그재그형으로 융착되는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가 융착된 상기 지지줄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패각을 고정시키는 보조걸이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걸이대의 선단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외주연으로는 톱니가 형성되거나, 미늘 및 갈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가 융착된 상기 지지줄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패각을 고정시키는 보조걸이대가 상기 지지줄에 거치되고, 상기 보조걸이대의 일측 선단부는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부는 미늘 및 갈고리가 형성되거나, 양측 선단부 모두 미늘 및 갈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굴양식용 패각을 동일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패각 고정 걸이를 손쉽게 할 수 있고, 굴양식용 패각의 걸이를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양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약을 가져올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이 개발한 패각걸이기구를 활용할 때 더욱 더 공정의 시간 및 작업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양한 변형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밴드형 패각걸이가 장착된 지지줄에 패각을 끼우는 패각걸이기구와 패각걸이 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의 구조, 패각을 거는 형태 및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밴드형 패각걸이는 합성수지재, 특히 패각이 걸쳐져 빠지지 않도록 중질 또는 경질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지지줄에 열융착이나 초음파 융착 또는 점착제가 도포된 접착테이프 형태로 완전히 접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줄 및 합성수지재가 맞닿는 부분까지 융착 또는 접착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밴드형 패각걸이는 합성수지재로서, PET, PE, PP, PVC, 나일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지지줄에 접착되는 형태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또는 점착제에 의한 접착(이는 접착테이프 자체가 될 수 있음)이 가능하고 이하에서는 융착을 기준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밴드형 패각걸이는 지지줄에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패각을 걸기전에 모두 융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패각을 모두 끼운 상태에서 하나씩 패각걸이를 융착하고 패각을 위치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공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패각걸이는 (a) 및 (c)의 형태가 기본이 된다.
밴드형 패각걸이(10a 내지 10d)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중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형 패각걸이(10a 내지 10d)는 지지줄(11)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로 열융착되거나 초음파 융착되어 완전히 접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a)의 밴드형 패각걸이(10a)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지지줄(11)에 감겨 융착되어 접합되어 2겹의 형태로 패각걸이가 완성될 수 있는 형태이다.
(b)의 밴드형 패각걸이(10b)는 2겹의 합성수지재를 겹쳐서 중심부를 2겹의 합성수지재 가운데에 지지줄(1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융착시켜 지지줄(11)에 완전히 접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c)의 밴드형 패각걸이(10c)는 1겹의 합성수지재의 선단를 지지줄(11)에 감긴 상태에서 융착시켜 지지줄(11)에 접합시키는 형태이다.
(d)의 밴드형 패각걸이(10d)는 1겹의 합성수지재의 중심부를 지지줄(11)에 위치시키고 이 부분을 융착시킨 형태를 갖는다.
(a-1)은 밴드형 패각걸이(10a)가 융착된 부분의 결속력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체결구(1a)가 보조체결홈(1b)에 더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보조체결구(1a) 및 보조체결홈(1b)은 지지줄(11)을 감싸고 있는 밴드형 패각걸이(10a)를 일정한 힘으로 당겨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밴드형 패각걸이(10a)를 지지줄(11)에 더욱 견고히 결속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보조체결구(1a) 및 보조체결홈(1b)은 지지줄(11)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체결구(1a)는 밴드형 패각걸이(10a)의 일측면에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체결구(1a)의 보조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서 지지줄(11)을 완전히 감싸지 않고 1/2 내지 1/3정도 감싼 형태에서 보조체결구(1a)를 당겨 보조체결홈(1b)에 삽입시키면 밴드형 패각걸이(10a)에 일정 정도의 힘이 가해지면서 지지줄(11)을 결속하는 결속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보조체결구(1a) 및 보조체결홈(1b)은 도 1의 (a)의 형태에서만 예시로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도 1의 다양한 변형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는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c)의 일측선상에 톱니(12)를 형성시킨 것이고, (b)는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c)의 양측선상에 톱니(12)를 형성시킨 것이며, (c)는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c)에서 톱니없는 일직선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도 2의 (d)는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d)의 일측선상에 톱니(12)를 형성시킨 것이고, (e)는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d)의 양측선상에 톱니(12)를 형성시킨 것이며, (f)는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d)에서 톱니없는 일직선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a, 10b)도 도 2와 같이 일측선상 또는 양측선상에 톱니가 형성될 수 있고 양측선상 모두에 톱니가 없이 형성될 수 있다.
톱니(12)는 지지줄(11) 방향으로 누윈 형상을 가지며, 패각이 측면에서 결합될 때 패각이 잘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반대로 빠져나올 때 톱니(12)에 의해 걸리는 구조를 가져 패각의 걸이후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20a, 20b)는 2단으로 형성된 예이다.
(a)의 밴드형 패각걸이(2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10c)와 같은 형태의 1단 걸이부(23a)와 1단 걸이부(23a)로부터 연장되어 그 폭이 1단 걸이부(23a) 보다 작게 형성되는 2단 걸이부(24a)로 이루어진다.
(b)의 밴드형 패각걸이(2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10d)와 같은 형태의 1단 걸이부(23b)와 1단 걸이부(23b)로부터 연장되어 그 폭이 1단 걸이부(23b) 보다 작게 형성되는 2단 걸이부(24b)로 이루어진다.
2단걸이부(24a, 24b)는 길게 형성되어 패각이 1단 걸이부(23a, 23b)에 끼워졌을 때 패각을 고정시키기 위해 패각을 감아서 1단 걸이부(23a, 23b)에 형성된 개구부(25a, 25b)에 끼워진다. 도 3의 (a)는 일측단에 패각이 걸릴 수 있는 형태이고, 도 3의 (b)는 양측단에 패각이 걸릴 수 있는 형태이다.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c, 10d)를 기준으로 변형된 예만을 도시하였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밴드형 패각걸이를 기준으로 도 3과 같은 형태의 패각걸이가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 미늘부(34a, 34b, 34c)가 더 형성된 예이다.
(a)의 밴드형 패각걸이(3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10c)와 같은 형태의 걸이부(33a)와, 걸이부(33a)로부터 연장되어 그 폭이 걸이부(33a) 보다 작고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 미늘(36a)과 갈고리(37a)가 맞닿도록 형성된 미늘부(34a)로 이루어진다.
(b)의 밴드형 패각걸이(3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10d)와 같은 형태의 걸이부(33b)와, 걸이부(33b)로부터 연장되어 그 폭이 걸이부(33b) 보다 작고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 미늘(36b)과 갈고리(37b)가 맞닿도록 형성된 미늘부(34b)로 이루어진다.
(c)의 밴드형 패각걸이(30c)는 (b)의 변형된 형태로서 미늘부(34c)가 윗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를 갖는다.
(a)와 (b)는 미늘부(34a, 34b)가 패각을 감싸면서 걸이부(33a, 33b)의 개구부(35a, 35b)에 끼워지는 형태이고, (c)는 미늘부(34c)가 패각을 감싼채로 지지줄(11)에 끼워지는 형태이다.
도 4의 예시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1의 밴드형 패각걸이(10c, 10d)를 기준으로 변형된 예만을 도시하였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밴드형 패각걸이를 기준으로 도 4와 같은 형태의 패각걸이가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각을 지지줄에 수하식 또는 측면식으로 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지지줄(11)에 융착되어 고정된 밴드형 패각걸이(10)에는 (a)와 같이 수하식으로 패각(13)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고, (b)와 같이 측면식으로 측방향에서 지지줄(11) 방향으로 패각(13)이 측면 결합된 후 개구부(15)에 T자형 고정칩(14a)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측면식으로 측방향으로 지지줄(11) 방향으로 패각(13)이 측면 결합된 후 톱니(12)부분에 와셔형 고정칩(14b)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는 패각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끼우는 수하식(또는 관통식)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구성이며, 패각을 측면에서 끼우는 측면 고정식에서는 패각을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부(또는 체결부) 역할을 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3)의 실시형태이고,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도 4의 (a) 및 (b))의 실시형태이며,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도 4의 (c))의 실시형태이다.
(a)를 참조하면, 먼저 도 3과 같은 밴드형 패각걸이(20a, 20b)를 준비한 후, 측면으로 패각(23)을 1단 걸이부(23a, 23b)에 끼우고 2단 걸이부(24a, 24b)를 패각(23)을 감아 1단 걸이부(23a, 23b)의 개구부(25a, 25b)에 끼워 패각(23)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2단 걸이부(24a, 24b)에는 일측선상 톱니를 형성시키 빠지는 것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b)를 참조하면, 먼저 도 4의 (a) 및 (b)와 같은 밴드형 패각걸이(30a, 30b)를 준비한 후, 측면으로 패각(33)을 걸이부(33a, 33b)에 끼우고 미늘부(34a, 34b)를 패각(33)을 감아 걸이부(33a, 33b)의 개구부(35a)에 갈고리(37a, 37b)을 끼워 미늘(36a, 36b)로 하여금 패각(23)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c)를 참조하면, 먼저 도 4의 (c)와 같은 밴드형 패각걸이(30c)를 준비한 후, 측면으로 패각(33)을 걸이부(33c)에 끼우고 미늘부(34c)를 패각(33)을 감아 지지줄(31)에 갈고리(37c)을 끼워 미늘(36c)로 하여금 패각(33)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c)와 같은 경우는 패각이 걸려 있는 다수개의 지지줄들끼리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밴드형 패각걸이(40a, 40b)는 상하단 구조의 패각걸이 형태를 취한다.
(a)를 참조하면, 밴드형 패각걸이(40a)는 일단이 지지줄(41)에 융착되어 접합 고정되고,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패각이 걸쳐지는 걸이부(43a)와,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패각을 감싸면서 걸이부(43a)의 개구부(45a)로 그 끝이 삽입되어 패각을 고정시키는 고정부(44a)로 이루어진다.
(b)를 참조하면, (a)는 지지줄(41)을 기준으로 일측면 방향으로만 밴드형 패각걸이(40a)가 형성되는 반면, (b)는 지지줄(41)을 기준으로 양측면 방향으로 밴드형 패각걸이(40b)가 형성되는 형태를 취하며,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의 개시된 예시들 모두를 도 7과 같은 제4 실시예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c)는 (a) 및 (b)를 이용하여 패각을 거는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밴드형 패각걸이(40a, 40b)를 준비한 후, 측면으로 패각(43)을 걸이부(43a, 43b)에 끼우고 고정부(44a, 44b)로 하여금 패각(43)을 감아 걸이부(43a, 43b)의 개구부(45a)에 끼워 패각(43)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도 1의 변형된 예시로서, 도 1에 도시된 예시들의 밴드형 패각걸이의 선단을 화살촉 모양으로 변형한 예이다.
(a)의 밴드형 패각걸이(50a)는 패각이 고정 또는 걸치되는 걸이부(53a)와, 걸이부(53a)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끝이 화살 모양을 갖는 화살촉(54a)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화살촉(54a)은 상하 화살촉이 있는 쌍방 화살촉 형태이다.
(b)는 (a)와 화살촉 모양은 같으며, (a)는 지지줄(51)을 기준으로 한쪽 측면에만 걸이부가 형성되지만, (b)는 지지줄(51)을 기준으로 걸이부가 양쪽 측면으로 형성된다.
(c)는 (a)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만 걸이부가 형성되며, 화살촉(54c)은 상단(또는 하단) 화살촉만이 외방 화살촉 형태이다.
(d)는 (c)와 같이 외방 화살촉 형태의 화살촉(54d)을 가지며, 지지줄(51)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으로 걸이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e)는 도 8의 (a) 내지 (d)의 제5 실시예인 밴드형 패각걸이를 이용한 패각을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패각(53)이 밴드형 패각걸이(50a)의 화살촉(54a) 끝단으로 인입되어 고정된다. 화살촉(54a)의 끝단이 뾰족하여 쉽게 들어오고, 화살촉(54a)이 벌어져 있어 들어간 패각이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지줄에 융착되는 부분이 지그재그형으로 융착되는 것이 다르다.
(a) 내지 (c)를 참조하면, 지지줄(61)에 융착되는 부분인 융착부(62a 내지 62c)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지그재그로 내려가면서 융착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외에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a)의 밴드형 패각걸이(60a)는 양측으로 형성되며 일자형태의 걸이를 나타내고, (b)의 밴드형 패각걸이(60b)는 양측으로 형성되며 화살촉 형태의 걸이를 나타내며, (c)의 밴드형 패각걸이(60c)는 양측으로 형성되며 미늘부를 갖는 형태이다. 이외에도 도시되지 않은 제1 내제 제5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7 실시예에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보조걸이대가 지지줄에 융착되는 부분이다.
제7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의 밴드형 패각걸이에 보조걸이대가 같은 지지줄에 다른 위치에 융착된다는 것이다.
(a)는 보조걸이대(73a)의 선단부가 톱니(74a) 형태를 가지며, (b)는 보조걸이대(73b)의 선단부가 미늘(74b) 형태를 갖는다.
보조걸이대(73a, 73b)는 밴드형 패각걸이(70a, 70b)가 융착된 부분에서 상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융착된다.
(a)의 보조걸이대(73a)의 활용은, (a-1)과 같이 밴드형 패각걸이(70a)에 패각(73)을 측면에서 안착시키고 보조걸이대(73a)의 홀(76a)에 밴드형 패각걸이(70a)를 끼워 고정시키는 형태로 활용되거나, (a-2)와 같이 밴드형 패각걸이(70a)에 패각(73)을 측면에서 안착시키고 보조걸이대(73a)의 선단부 톱니(74a)를 밴드형 패각걸이(70a)의 개구부(75a)에 끼워 고정시키는 형태로 활용된다.
(b)의 보조걸이대(73b)의 활용은 (b-1)과 같이 밴드형 패각걸이(70b)에 패각(73)을 측면에서 안착시키고 보조걸이대(73b)의 선단부 미늘(74b)을 밴드형 패각걸이(70b)의 개구부(75b)에 끼워 고정시키는 형태로 활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와 그에 따라 패각을 거치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제8 실시예에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보조걸이대가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a)는 보조걸이대(83a)의 일측 선단부는 톱니(84a) 형태를 가지며 타측 선단부는 미늘(86a)를 갖고, (b)는 보조걸이대(83b)의 양측 선단부가 미늘(86b)을 갖는 형태를 취한다. 여기서 미늘(86a, 86b)은 미늘과 갈고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의 보조걸이대(83a)의 활용은, 먼저, 지지줄(81)에 미늘(86a)이 있는 부분을 끼워 고정시키고, (a-1)과 같이 밴드형 패각걸이(80a)에 패각(83)을 측면에서 안착시키고 보조걸이대(83a)의 홀(86a)에 밴드형 패각걸이(80a)를 끼워 고정시키는 형태로 활용되거나, (a-2)와 같이 밴드형 패각걸이(80a)에 패각(83)을 측면에서 안착시키고 보조걸이대(83a)의 선단부 톱니(84a)를 밴드형 패각걸이(80a)의 개구부(85a)에 끼워 고정시키는 형태로 활용된다.
(b)의 보조걸이대(83b)의 활용은 먼저 지지줄(81)에 일측의 미늘(86b)이 있는 부분을 끼워 고정시키고, (b-1)과 같이 밴드형 패각걸이(80b)에 패각(83)을 측면에서 안착시키고 보조걸이대(83b)의 선단부 미늘(84b)을 밴드형 패각걸이(80b)의 개구부(85b)에 끼워 고정시키는 형태로 활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밴드형 패각걸이가 장착된 지지줄에 패각을 끼우는 패각걸이기구와 패각걸이 공정의 개략도이다.
먼저, 패각걸이기구(100)는 본 발명의 밴드형 패각걸이에 패각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거치시키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도구이다.
패각걸이기구(100)는 지지줄(91)이 인입되는 인입체(101)와 인입체(10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패각이 걸쳐지는 동시에 지지줄(91)이 놓여지는 수용체(102)로 이루어진다.
인입체(101)는 깔대기 또는 나팔 형태를 취하며, 수용체(102)는 긴 원통형의 막대형태를 취하고, 각각 분리될 수 있고, 각각 가로 또는 세로로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지지줄(91)에는 밴드형 패각걸이(90)가 등간격으로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되어 접합된 상태로서 활용된다.
먼저 지지줄(91)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밴드형 패각걸이(90)를 융착 접합시킨다.
그리고, 밴드형 패각걸이(90)를 패각걸이기구(100)에 삽입하기 전에 패각(93)들을 패각걸이기구(100)의 수용체(102) 외주면에 필요한 양만큼 미리 삽입해둔다.
이어서, 지지줄(91)을 패각걸이기구(100)의 인입체(101)의 입구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아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지지줄(91)은 수용체(102) 부분으로 들어가고 이어서 밴드형 패각걸이(90)는 도면기호 90a와 같이 인입체(101) 내경사면을 따라 한쪽으로 말리면서 수용체(102) 부분으로 딸려 들어가게 된다.
패각걸이기구(100)의 수용체(102) 선단부(A)로부터 지지줄(91)이 취출되고, 연이어 밴드형 패각걸이(90)가 취출된다.
이때 다음 밴드형 패각걸이(90)가 취출되기 전에 맨 끝에 있는 패각(93a)을 수용체(102)로부터 이탈시키면 하나의 패각(93a)이 하나의 밴드형 패각걸이(90)에 걸쳐지게 되며,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하나의 지지줄(91)에 순차적으로 이격된 채 패각(93)들이 밴드형 패각걸이(90)에 걸쳐져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밴드형 패각걸이(90)는 그 길이 및 폭이 가변성이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지지줄에 일괄적으로 융착하여 접합시켜 고정시킨 후에 중심에 구멍이 형성된 패각들을 강제 끼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고, 또한 본 출원인이 개발한 패각걸이기구(100)를 활용하여 패각들을 순차적으로 끼울 수 있다. 또한, 패각걸이기구(100)를 활용한다면 좀 더 편하게 빠르게 쉽게 패각을 끼울 수 있고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화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10b, 10c, 10d, 20a, 20b, 30a, 30b, 30c, 40a, 40b, 50a, 50b, 50c, 50d, 60a, 60b, 60c, 70a, 70b, 80a, 80b, 90 : 밴드형 패각걸이
11, 21, 31, 41, 51, 61, 71, 81, 91 : 지지줄
12, 74a, 84a : 톱니
13, 23, 33, 43, 53, 73, 83, 93 : 패각
14a : T자형 고정칩 14b : 와셔형 고정칩
15, 25a, 25b, 35a, 35b, 35c, 45a, 45b, 75a, 75b, 85a, 85b : 개구부
23a, 23b : 1단 걸이부 24a, 24b : 2단 걸이부
33a, 33b, 33c, 43a, 43b, 53a, 53b, 53c, 53d : 걸이부
34a, 34b, 34c : 미늘부
36a, 36b, 36c, 86a : 미늘 37a, 37b, 37c : 갈고리
44a, 44b : 고정부 54a, 54b, 54c, 54d : 화살촉
73a, 73b : 보조걸이대 74b : 미늘
76a, 87a : 홀 100 : 패각걸이기구
101 : 인입체 102 : 수용체

Claims (11)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굴양식용 패각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지지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폭방향으로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지지줄에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패각이 거치되는 걸이부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걸이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일측선상 또는 양측선상이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선단부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거나, 중심부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어 접혀지거나, 중심부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거나, 2겹으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지지줄이 게재되어 융착되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패각이 걸쳐지는 1단 걸이부와, 상기 1단 걸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1단 걸이부 보다 길고 폭이 작게 형성되는 2단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패각이 걸쳐지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에 미늘과 갈고리가 형성되는 미늘부로 이루어지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패각이 걸쳐지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선단부는 화살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형 패각걸이는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는 부분이 지그재그형으로 융착되는 형태를 갖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9.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굴양식용 패각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지지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폭방향으로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고,
    밴드형 패각걸이가 융착된 상기 지지줄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패각을 고정시키는 보조걸이대가 상기 지지줄에 융착되어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걸이대의 선단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선단부의 외주연으로는 톱니가 형성되거나 미늘 및 갈고리가 형성되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10.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굴양식용 패각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지지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폭방향으로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고,
    밴드형 패각걸이가 융착된 상기 지지줄에서 상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패각을 고정시키는 보조걸이대가 상기 지지줄에 거치되고,
    상기 보조걸이대의 일측 선단부는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부는 미늘 및 갈고리가 형성되거나, 양측 선단부 모두 미늘 및 갈고리가 형성되는,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11. 삭제
KR1020130114520A 2013-09-26 2013-09-26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KR10156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20A KR101564082B1 (ko) 2013-09-26 2013-09-26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20A KR101564082B1 (ko) 2013-09-26 2013-09-26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41A KR20150034441A (ko) 2015-04-03
KR101564082B1 true KR101564082B1 (ko) 2015-10-29

Family

ID=5303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520A KR101564082B1 (ko) 2013-09-26 2013-09-26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22A (ko) 2018-08-28 2020-03-09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38B1 (ko) * 2015-08-05 2016-01-11 곽동권 봉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799A (ja) * 2004-11-08 2006-05-25 Hiroaki Sugiyama ロープへの貝取付け構造
JP2006204284A (ja) * 2004-12-27 2006-08-10 Hiroaki Sugiyama 貝係止具と、集合貝係止具と、連続貝係止具と、ロール状連続貝係止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799A (ja) * 2004-11-08 2006-05-25 Hiroaki Sugiyama ロープへの貝取付け構造
JP2006204284A (ja) * 2004-12-27 2006-08-10 Hiroaki Sugiyama 貝係止具と、集合貝係止具と、連続貝係止具と、ロール状連続貝係止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22A (ko) 2018-08-28 2020-03-09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KR102278555B1 (ko) 2018-08-28 2021-07-16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41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2518A1 (en) Hair extension
US7748673B2 (en) Hook for supporting shower curtain and shower curtain lin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11406151B2 (en) Hair extension attachment
US20130061862A1 (en) Hair Extension
KR101564082B1 (ko)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KR101564081B1 (ko) 굴양식용 압착형 패각걸이
KR101243769B1 (ko)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JP6924101B2 (ja) つる性植物の這い上がり防止装置
JP5952570B2 (ja) 植物用の結束具
TWI767131B (zh) 捆束用帶
KR101943092B1 (ko)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EP3825249A1 (en) Binding tape, binding method, tape winding body and reel
KR101564080B1 (ko) 굴양식용 패각걸이기구
JP3520218B2 (ja) 帆立貝育成用吊下げ係止ピン
JP3130163U (ja) 巻き包み用具
JP2004154065A (ja) 筒状網体
KR101403404B1 (ko) 오징어 낚시바늘 조립체
JP5386621B1 (ja) ロープと漁網の連結方法
JP3012089U (ja) 園芸用シート
JP3024570U (ja) 園芸用ネット
JP5537054B2 (ja) 養殖用帆立貝掛止具
JP3188370U (ja) 漁網とロープの連結構造
US20080196221A1 (en) Fastening device for securing flexible sheet material
JP4773319B2 (ja) 生け花用役枝保持具
JP3801997B2 (ja) ロープ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