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422A -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422A
KR20200024422A KR1020180101071A KR20180101071A KR20200024422A KR 20200024422 A KR20200024422 A KR 20200024422A KR 1020180101071 A KR1020180101071 A KR 1020180101071A KR 20180101071 A KR20180101071 A KR 20180101071A KR 20200024422 A KR20200024422 A KR 2020002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alignment
oyster
tube
alignmen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555B1 (ko
Inventor
박용실
Original Assignee
박용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실 filed Critical 박용실
Priority to KR102018010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각에 홀을 뚫어 자동으로 순차 정렬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패각 사이에 간격 유지용 관을 자동으로 순차 정렬시킬 수 있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소정 위치에 놓인 패각의 상방향에서 수직으로 상기 패각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을 포함한 드릴링 머신과; 상기 패각의 구멍이 뚫리기 전에 상기 패각이 놓이며, 상기 드릴링 머신에 의해 상기 패각의 구멍이 뚫리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패각이 아래로 낙하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드릴과 중심선이 일치하고 상기 받침부의 아래측에 위치하며, 구멍이 뚫린 패각이 꿰어진 채로 정렬되는 정렬 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SHELL ARRANGEMENT DEVICE FOR FARMING OYSTER}
본 발명은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각에 홀을 뚫어 자동으로 순차 정렬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패각 사이에 간격 유지용 관을 자동으로 순차 정렬시킬 수 있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하식 굴양식장에서는 가리비 껍데기(이하 "패각"이라 함)을 줄에 일정간격으로 매달아놓는 방법으로 굴을 양식하고 있다.
종래에는 패각을 매달기 위한 줄은 바닥물에 오래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된 합성수지 코팅합사를 합성수지 피복선으로 피복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수하연이라 한다.
종래의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은 바다의 수면 위에 일정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로프에 매달아 놓은 수하연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패각을 매달아 주게 되는데, 이때 수하연에 복수의 패각을 일정간격으로 매달아 주기 위해서는 수하연에 묶음매듭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켜야 한다.
그런데, 수하연에 복수의 패각을 일정간격으로 매달아주기 위해서는 수하연에 복수의 패각을 미리 꿰어놓은 다음, 복수의 패각들이 일정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수하연에 묶음매듭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복수의 패각들을 일정간격으로 매달아 준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수하연에 연결매듭을 형성하고 패각을 끼우고, 다시 연결매듭을 형성하고 패각을 교번적으로 끼는 방식에 의한다.
하지만, 하나의 수하연에 수십개의 패각들이 꿰어져야 하므로 일일히 사람의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써 매우 힘들고, 인건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88564에 '수학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으로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88564는 결속장치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패각을 수십개씩 꿰어놓아야 하지만 정작 이부분은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 역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20-0481879, 특허 10-1564082, 특허 10-1564080, 특허 10-1564081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88564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81879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408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4080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4081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굴양식용 패각의 자동 결속 장치에 우선하는 수하연에 자동으로 수십개의 패각을 정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정렬된 수십개의 패각과 패각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 유지관을 교번적으로 패각과 정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정렬된 패각들을 일정한 파이프나 철재에 위치시켜 별도 보관이 가능하고, 자동 정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된 패각 정렬 제품군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소정 위치에 놓인 패각의 상방향에서 수직으로 상기 패각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을 포함한 드릴링 머신과; 상기 패각의 구멍이 뚫리기 전에 상기 패각이 놓이며, 상기 드릴링 머신에 의해 상기 패각의 구멍이 뚫리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패각이 아래로 낙하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드릴과 중심선이 일치하고 상기 받침부의 아래측에 위치하며, 구멍이 뚫린 패각이 꿰어진 채로 순차 정렬되는 정렬 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는 좌우 한 쌍이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 각각은 수평 상태에서 서로 맞닿아 받침 형상을 하고,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서로 반대의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릴은 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패각의 구멍을 뚫는 시점에서, 상기 드릴의 선단과 상기 정렬 막대의 선단은 상기 패각이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 막대는 일자형이거나 'ㄴ'자형이고, 파이프 형태이거나 내경이 없는 철심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 막대는 수직부분과 수평부분이 결합된 'ㄴ'자 형태이고, 상기 수평부분을 지지하는 수직 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 고정부는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 막대의 일측에는 실린더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상기 수평부분에 위치한 패각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이송부와 함께 수평 이동하여 상기 정렬 막대가 꺾여지는 부분을 지지하는 수평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 상측으로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관 이송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 이송 삽입부는 상기 정렬 막대에 정렬되는 패각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관을 이송하여 패각과 교번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삽입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의 중심에는 관 삽입홀이 형성되고, 전면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관 이송 삽입부는 관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 안착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관 삽입홀과 중심점이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굴양식용 패각의 자동 결속 장치에 우선하는 수하연에 자동으로 수십개의 패각을 정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렬된 수십개의 패각과 패각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 유지관을 교번적으로 패각과 정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렬된 패각들을 일정한 파이프나 철재에 위치시켜 별도 보관이 가능하고, 자동 정렬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된 패각 정렬 제품군으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화 장치가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 자동화 장치 제작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인건비 감축과 함께 자동화 장치의 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패각간 간격유지관의 자동화 삽입장치를 추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적용된 받침부와 관 이송 삽입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의 구조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패각의 정렬 방식에 따라 도 1 및 도 2와 같은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가 개시되고,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수평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가 개시되며, 패각 간격유지를 위한 자동화 장치가 도 6 및 도 7과 같이 추가된다.
굴양식용 패각은 수하연(합성수지 코팅합사를 합성수지 피복선으로 피복한 것)에 일정 높이 마다 패각 거치부(기존에는 묶음매듭)가 형성되고, 패각 거치부에 하나의 패각이 거치되어, 수십개의 패각이 위에서 아래로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늘어선 형태로, 이를 바다 양식장에 수하식으로 내려 굴 양식산업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수하연에 매달기 전에 수십개의 패각을 수하연에 꿰기 위한 구멍을 자동으로 뚫고, 구멍이 뚫림과 동시에 일정한 형상의 정렬 막대(내홀을 갖는 파이프 또는 내홀이 없는 철심)에 순차적으로 정렬시키는 장치와, 정렬된 패각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간격유지관을 교번적으로 삽입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정렬 막대에 정렬된 패각들은 이후, 동일 공정의 별도 장치에 의해 수하연에 거치될 수 있고, 또는 독립적으로 패각들이 정렬된 정렬 막대 단위로 보관 및 저장이 가능하여 추후 별도의 자동화 장치나 수작업으로 수하연에 매달 수 있는 독립 제품의 형태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은 패각(110a)에 홀을 뚫기 전의 상태도이고, 도 2는 패각(110b)에 홀이 뚫려 정렬 막대(113)에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베이스(111), 정렬 막대(113), 드릴링 머신(115), 드릴(117), 고정부(119) 및 받침부(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1)는 장치를 지지하고 지면과 맞닿은 프레임 기능을 한다.
정렬 막대(113)는 일자 수직형 구조이고, 내홀을 갖는 파이프나 내홀이 없는 철심이 될 수 있으며,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렬 막대(113)에는 홀이 뚫린 패각들(110a, 110b)들이 순차적으로 정렬되는 부재이며, 일자 형태의 막대 구조나 하단부가 나팔관 형태 구조일 수 있고, 나팔관 형태인 경우 나팔관 부분을 체결하는 형태나 일체형 구조가 가능하다.
드릴링 머신(115)은 상단측에 위치되어, 패각에 홀을 뚫을 수 있는 장치이며, 선단부에 드릴(117)이 장착된다.
드릴링 머신(115) 또는 드릴(117)은 ①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부(119)는 패각(110a)에 구멍을 뚫을 때 패각(110a)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드릴(117)의 외측에 하나 이상 형성시킬 수 있고, ②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받침부(121)는 패각(110a)에 구멍을 뚫을 때 패각(110a)이 놓여지는 부분으로서, 도 1과 같이 패각의 구멍을 뚫기 전에는 수평 상태로 놓이고, 도 2와 같이 패각의 구멍이 뚫린 후에는 ③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로 열리는 구조를 갖는다.
받침부(121)의 열리는 구조는 바람직한 예시일 뿐이며, 수평 회전에 의해 열리든 패각이 수직 하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으면 어떤 형태도 무관하다.
드릴(117)이 패각을 뚫으면서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드릴(117)의 선단과 정렬 막대(113)의 선단은 거의 맞붙을 정도로 정렬되며, 정렬 막대(113)와 드릴(117)은 서로 중심라인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그 이유는 드릴(117)에 의해 패각에 구멍이 뚫리면, 수직 낙하시 패각이 바로 정렬 막대(113)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낙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함이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세팅된 상태에서 받침부(121)에 패각(110a)이 놓여지고, 고정부(119)에 의해 패각(110a)이 고정된 상태에서, 드릴링 머신(115) 및 드릴(117)에 의해 패각(110a)의 중심부에 구멍이 뚫리게 된다.
구멍이 뚫림과 동시에 도 2와 같이 받침부(121)가 ③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가 열리게 되면서, 패각(110a)은 정렬 막대(113)에 구멍이 끼워진 채로 수직 낙하하면서 아래측부터 순차적으로 정렬된다.
수십개의 패각들이 순차적으로 구멍이 뚫리고, 정렬 막대(113)에 순차적으로 쌓이면, 한세트의 패각 정렬이 이루어지게 되고, 패각들이 정렬된 정렬 막대(113)는 수하연에 거치될 수 있는 공정으로 이동되거나, 추후 수하연에 거치될 수 있도록 보관고에 적절하게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형 굴양식용 정렬장치에 의해 정렬된 패각들은 정렬 막대(113) 그 자체로 수하연에 자동 거치가 가능한 데, 그 예로 다음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은 수직형 굴양식용 정렬장치에 의해 패각들이 정렬된 제품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특허 10-1564080의 굴양식용 패각걸이기구를 활용하여 패각들을 순차적으로 패각 거치부에 자동 거치가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의 수평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도 1 및 도 2의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와 기본 원리는 동일하며, 단지 정렬 막대(113, 313)의 형상이 다르고, 그에 따른 패각 이동 방식이 다를 뿐이다.
본 발명의 수평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는 가공부(310), 이동부(320), 고정부(330) 및 정렬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공부(3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와 구성이 동일하고 동일한 동작에 의해 패각에 구멍을 뚫게 되며, 드릴링 머신(315), 드릴(317), 고정부(319) 및 받침부(321)를 포함하고, 각각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것과 동일하다.
이동부(320)는 패각을 이동하는 데 이용되며, 수직형의 경우는 패각이 수직 하강하므로 별도의 이동장치가 필요 없으나, 수평형의 경우는 패각이 수평 상태에서 도시된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이 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이동장치가 필요하다.
이동부(320)는 실린더(311), 수평 고정부(325) 및 이송부(327)를 포함하며, 실린더 작용에 의해 수평 고정부(325) 및 이송부(327)가 좌에서 우로 이동된다.
수평 고정부(325)는 지지판(329)에 스프링(325b)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실린더(311)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된다.
탄성적으로 이동된 수평 고정부(325)는 집게부(325a)로 하여금 제1 정렬 막대(313)를 지지하게 된다.
실린더(311)의 작용에 의해 이송부(327)가 좌에서 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수직 고정부(330)를 밀어내는 동시에 제1 정렬 막대(313)를 집게부(327a)로 지지한 상태에서 패각을 이송시키게 된다.
실린더(311)에 의해 수평 고정부(325)와 이송부(327)는 동시에 좌방향에서 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수평 고정부(325)가 스프링(325b)의 탄성에 의해 제1 정렬 막대(313)를 지지하면 이때부터 이송부(327)만 좌에서 우로 이동된다.
수직 고정부(330)는 제1 정렬 막대(313)를 거치하고 있다가, 이송부(327)에 의해 밀리면서 일단에 체결된 힌지에 의해 하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내려가게 된다.
수직 고정부(330)가 내려감과 동시에 이송부(327)에 의해 제1 정렬 막대(313)가 지지된다.
정렬부(340)는 패각을 정렬시키는 정렬 막대로서, 제1 정렬 막대(313)와 제2 정렬 막대(313a)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정렬 막대(313)는 'ㄴ'자 형이고, 제2 정렬 막대(313a)는 수직 일자형일 수 있고, 서로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렬 막대(313)는 패각들을 수평 상태로 정렬시킬 수 있는 구조이고, 제2 정렬 막대(313)는 도 1 및 도 2의 정렬 막대(113)와 동일한 기능의 수직 상태의 정렬 구조이다.
제2 정렬 막대(313a)는 필요에 의해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패각(310a)이 받침부(321)에 위치되고 고정부(319)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드릴링 머신(315)에 의해 패각 구멍이 뚫리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패각의 구멍이 뚫리면(또는 뚫리는 동시에) 받침부(321)는 하방향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열리게 되고, 패각은 수직 방향의 제1 정렬 막대(313)로 낙하한다.
그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실린더(311)가 작동하고 수평 고정부(325)는 제1 정렬 막대(313)를 거치하여 고정시킨다.
실린더(311) 작동과 동시에 이송부(327)가 이동하면서 수직 고정부(330)를 밀어내면서 힌지축을 기준으로 수직 고정부(330)가 화살표 방향으로 내려간다.
수직 고정부(330)가 내려가는 것은 패각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송부(327)는 수직 고정부(330)를 다운시킴과 동시에 수직 고정부(330)가 지지했던 제1 정렬 막대(313)를 집게부(327a)에 의해 그대로 지지하면서 수평 이동하고, 또한 패각(310a)에 접하여 좌방향에서 하방향으로 패각(310a)을 수평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정렬 막대(313)으로 구성된 경우는 선단에 패각(313a)이 빠지지 않도록 방지부가 형성되어 이 상태로 패각들이 수평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1 정렬 막대(313)의 선단에 제2 정렬 막대(313a)에 연결된 구조라면, 패각들은 제2 정렬 막대(313a)에 수직 하강되어 순차적으로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각각의 패각이 제1 또는 제2 정렬 막대(313, 313a)에 정렬된 후에는 실린더(311)의 회귀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평 고정부(325), 이송부(327), 수직 고정부(330)는 원위치된다.
제1 정렬 막대(313)에 의한 정렬의 경우는 제1 정렬 막대(313)의 선단부에 별개의 수하연을 연결하여 연속 이동 후 소정의 위치에 패각 걸이를 장착시킨 후 패각을 하나씩 이동시켜 수하식 굴양식 패각 세트를 자동으로 완성시킬 수 있다.
제2 정렬 막대(313a)에 의한 정렬의 경우는, 그 이용 가능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장치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패각간 간격유지관의 자동화 삽입장치를 추가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에 적용된 받침부와 관 이송 삽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호 120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호 320은 간견유지관이다.
간격유지관(120, 320)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정렬된 패각들에서 패각간의 사이에 위치되어 패각간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킨다.
간격유지관(120, 320)은 패각간의 소정 간격을 유지시킨다.
굴양식은 양식 전에 채묘 과정을 거치는 데, 간격유지관(120, 320)이 삽입된 정렬된 패각들은 채묘시 이용된다.
도 6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직형 굴양식용 정렬 장치를 예시로서 도시하였지만, 도 3 내지 도 5의 수평형 굴양식용 정렬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정렬 장치에 관 이송 삽입부(523)가 추가된다.
관 이송 삽입부(523)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도면의 전방방향으로 회전하며, 간격유지관(520)을 삽입시킨 채 회전하여 패각이 낙하할 때 이동하여 정렬 막대(513) 상측에 위치하여 간격유지관(520)을 낙하시킨다.
정렬 막대(513) 하단으로부터 패각 → 간격유지관 → 패각 → 간격유지관 순으로 위치 정렬된다.
도 7를 참조하여, 받침부(521)와 관 이송 삽입부(523)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그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는 관 이송 삽입부(523)가 원위치의 상태도이고, (B)는 관 이송 삽입부(525)가 간격유지관(520)을 정렬 막대(513)로 수직 낙하시킬 수 있는 위치의 상태도이다.
받침부(521)는 중심에는 관 삽입홀(717)을 형성시키는 몸체(721)와, 몸체(721)의 모서리에서 사방으로 펼쳐진 다리들(719)이 형성되고, 전면측으로는 다리(719) 사이에 가이드(715)가 형성되며, 관 삽입홀(717)을 기준으로 좌우측 제1 받침부(521a) 및 제2 받침부(521b)로 이루어진다.
관 이송 삽입부(523)는 T자 형태로, 일단은 힌지부(711)에 의한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관 이송 삽입부(523)는 힌지부(711)의 타단측에 원형홀의 관 안착부(713)가 형성된다.
관 안착부(713)는 회전에 의해 받침부(521)의 관 삽입홀(717)과 중심점이 일치된다.
먼저 (A)와 같은 위치에서 관 안착부(713)에 별도의 관 적재장치(미도시)에 의해 하나씩 간격유지관(520)이 안착된다. 이때 간격유지관(520)은 가이드(715)에 의해 하방 낙하하지 않고 관 안착부(713) 내에 세팅된다.
이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이때 간격유지관(520)은 가이드(715)와 접하여 이동되므로 낙하하지 않은 상태로 관 이송 삽입부(523)가 회전한다.
관 이송 삽입부(523)가 회전하여 관 안착부(713)와 관 삽입홀(717)의 중심점이 일치하는 위치에 놓이면, 간격유지관(520)은 하면에서 지탱해주는 부분이 없으므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자유 낙하시, 받침부(521)의 하측에는 정렬 막대(513)가 위치되므로 간격유지관(520)는 정렬 막대(513)에 끼워지게 된다.
패각(510)과 간격유지관(520)이 순차적, 교번적으로 정렬되는 구성을 살펴본다.
패각(510)은 드릴링 머신에 의해 구멍이 뚫리고, 받침부(521)가 열리면서 패각(510)은 정렬 막대(513)에 끼워진 상태로 낙하한다.
그 후, 받침부(521)가 닫히고 간격유지관(520)이 안착된 관 이송 삽입부(523)가 회전하면서 관 안착부(713)와 관 삽입홀(717)의 센터 정렬되면서 간격유지관(520)은 정렬 막대(513)에 끼워진 채로 낙하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패각(510)과 간격유지관(520)이 교번적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의 수평형 굴양식용 패각 정렬장치에서도 동일하게 교번적으로 정렬되고, 수평라인에서의 위치 이동시 패각과 간격유지관을 이송부(327)에 의해 동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11, 511 : 베이스 113, 313, 313a, 513 : 정렬 막대
115, 315, 515 : 드릴링 머신 117, 317, 517 : 드릴
119, 319, 519 : 고정부 120, 320, 520 : 간격유지관
121, 321, 521 : 받침부 310 : 가공부
311 : 실린더 320 : 이동부
325 : 수평 고정부 327 : 이송부
330 : 수직 고정부 340 : 정렬부
523 : 관 이송 삽입부 711 : 힌지부
713 : 관 안착부 715 : 가이드
717 : 관 삽입홀

Claims (9)

  1. 소정 위치에 놓인 패각의 상방향에서 수직으로 상기 패각에 구멍을 뚫기 위한 드릴을 포함한 드릴링 머신과;
    상기 패각의 구멍이 뚫리기 전에 상기 패각이 놓이며, 상기 드릴링 머신에 의해 상기 패각의 구멍이 뚫리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패각이 아래로 낙하하도록 하는 받침부와;
    상기 드릴과 중심선이 일치하고 상기 받침부의 아래측에 위치하며, 구멍이 뚫린 패각이 꿰어진 채로 순차 정렬되는 정렬 막대;를 포함하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좌우 한 쌍이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 각각은 수평 상태에서 서로 맞닿아 받침 형상을 하고,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서로 반대의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은 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패각의 구멍을 뚫는 시점에서, 상기 드릴의 선단과 상기 정렬 막대의 선단은 상기 패각이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막대는 일자형이거나 'ㄴ'자형이고, 파이프 형태이거나 내경이 없는 철심 형태인,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막대는 수직부분과 수평부분이 결합된 'ㄴ'자 형태이고,
    상기 수평부분을 지지하는 수직 고정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 고정부는 일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막대의 일측에는 실린더에 의해 수평 이동하여 상기 수평부분에 위치한 패각을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더 형성되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이송부와 함께 수평 이동하여 상기 정렬 막대가 꺾여지는 부분을 지지하는 수평 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상측으로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관 이송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 이송 삽입부는 상기 정렬 막대에 정렬되는 패각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관을 이송하여 패각과 교번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삽입하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중심에는 관 삽입홀이 형성되고, 전면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관 이송 삽입부는 관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 안착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관 삽입홀과 중심점이 일치되는,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KR1020180101071A 2018-08-28 2018-08-28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KR10227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71A KR102278555B1 (ko) 2018-08-28 2018-08-28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71A KR102278555B1 (ko) 2018-08-28 2018-08-28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22A true KR20200024422A (ko) 2020-03-09
KR102278555B1 KR102278555B1 (ko) 2021-07-16

Family

ID=6980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071A KR102278555B1 (ko) 2018-08-28 2018-08-28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66U (ko) * 1998-06-30 2000-01-25 전영민 패류양식용 공각구멍뚫기겸용 자동끈끼움기
KR101564082B1 (ko) 2013-09-26 2015-10-29 박용실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KR101564081B1 (ko) 2013-09-24 2015-10-29 박용실 굴양식용 압착형 패각걸이
KR101564080B1 (ko) 2013-09-24 2015-10-29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걸이기구
KR200481879Y1 (ko) 2013-09-24 2016-11-21 박용실 굴양식용 와이어형 패각걸이
KR20170088564A (ko)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66U (ko) * 1998-06-30 2000-01-25 전영민 패류양식용 공각구멍뚫기겸용 자동끈끼움기
KR101564081B1 (ko) 2013-09-24 2015-10-29 박용실 굴양식용 압착형 패각걸이
KR101564080B1 (ko) 2013-09-24 2015-10-29 박용실 굴양식용 패각걸이기구
KR200481879Y1 (ko) 2013-09-24 2016-11-21 박용실 굴양식용 와이어형 패각걸이
KR101564082B1 (ko) 2013-09-26 2015-10-29 박용실 굴양식용 밴드형 패각걸이
KR20170088564A (ko) 2016-01-25 2017-08-02 김윤공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555B1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722B2 (en) Garment hanging device
CN206791325U (zh) 一种畜牧业用定量喂食设备
US75884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tick for suspending loops of sausages
KR20120131010A (ko) 곶감제조용 감걸이구
CN203493329U (zh) 可转式室内悬挂架
KR20200024422A (ko) 굴양식용 패각 정렬 장치
KR101311371B1 (ko) 미역 종묘 자동 끼움장치
CN213246870U (zh) 一种烤房内的烟杆定位装置
ATE473659T1 (de)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r von tragarmen gestützten querstange
US6085691A (en) Formed treat support
US2769552A (en) Garment hanger
CN105494157A (zh) 可调节自动投食机
CN106417162B (zh) 一种平胸龟幼苗的饲养装置
CN213588599U (zh) 一种转盘式自动注射机
KR102025541B1 (ko) 굴 채묘용 패각 조립기
CN210610686U (zh) 一种免开式种鸽笼
CN205431548U (zh) 可调节自动投食机
KR20100120488A (ko) 우사용 자동 목걸이틀 구조
CN208047728U (zh) 一种农业养鸡用鸡蛋回收存储鸡窝
CN219421900U (zh) 一种家禽养殖用围栏
US20020038788A1 (en) Clothes hanger organization method and system
CN208498087U (zh) 挂架及便携式毛笔笔挂
CN217987263U (zh) 一种支架
KR20230158227A (ko) 굴 양식용 수하연의 스토퍼 자동 조립장치와 조립방법 및 패각 공급기구
US9468193B2 (en) Livestock feed retention insert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