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614B1 - 호스 연결 유닛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614B1
KR101563614B1 KR1020150003255A KR20150003255A KR101563614B1 KR 101563614 B1 KR101563614 B1 KR 101563614B1 KR 1020150003255 A KR1020150003255 A KR 1020150003255A KR 20150003255 A KR20150003255 A KR 20150003255A KR 101563614 B1 KR101563614 B1 KR 10156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se
hole
compress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섭
Original Assignee
김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섭 filed Critical 김보섭
Priority to KR102015000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파이프에 호스(hose)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유닛으로서,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가압홀이 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호스에 삽입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면의 단부가 상기 배관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걸림바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와;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압착홀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제1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을 관통하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상기 압착홀에 삽입되는 압착패킹을 포함하는, 호스 연결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호스 연결 유닛{Unit for connecting hose}
본 발명은 호스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파이프와 호스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호스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 식기세척기, 세탁기, 정수기 등의 물을 사용하는 제품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용 호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수용 호스는 주택 등의 시공시 바닥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 등의 배관 파이프와 연결되어 생활용수가 실외로 배수된다.
그리고, 다용도실이나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는 주택의 난방을 위한 온수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온수 분배기에는 난방 배관에서 발생하는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에어밸브와 배관 파이프를 배수용 호스로 연결하여 습기를 가진 에어를 실외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 파이프와 호스를 서로 연결하여 배관 작업을 수행할 때 배관 파이프와 호스는 그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연결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없이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배관 파이프의 단부에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호스 연결구를 설치하고, 호스 연결구의 호스 연결관에 호스가 끼워진 상태에서 채결밴드를 호스 연결관이 삽입된 호스의 외주에 감은 후,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밴드를 조여 배관 파이프와 호스를 서로 연결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은 사용 중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풀림으로 인해 견고하게 배관 파이프와 호스가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밴드,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배관 후 미관상 좋지 못하고 강재로 이루어진 날카로운 체결밴드 등에 사람의 다칠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호스 연결 유닛에 대한 발명을 한국에 특허출원하고 제10-1409770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발명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포장 시 제품간의 눌림 등에 의해 압착패킹의 변형이 발생하여 시공 시 압착패킹의 변형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고, 다수의 부품을 시공 단계에서 조립하게 되어 시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2232호(2004.04.17.)
본 발명은 배관 파이프와 호스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호스 연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미리 조립될 수 있어 포장이나 운반 과정에서 압착패킹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 과정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배관 파이프와 호스를 결합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파이프에 호스(hose)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유닛으로서,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가압홀이 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호스에 삽입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면의 단부가 상기 배관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걸림바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와;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압착홀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제1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을 관통하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상기 압착홀에 삽입되는 압착패킹을 포함하는, 호스 연결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거치부는, 하면의 단부가 상기 배관 파이프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며 상기 거치부의 하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에 삽입되는 접속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파이프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호스 연결 유닛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스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의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관에 끼워지며, 상기 거치부의 하면과 상기 배관 파이프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밀폐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패킹에는, 상기 압착패킹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제2 경사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패킹이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경사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는 함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바의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에는 상기 걸림바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가압판을 관통하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걸림홀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걸림바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은, 상기 가압홀의 외주를 따라 하향 연장되는 관 상의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의 내주에는 상기 제1 경사외주면에 상응하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패킹의 상기 압착홀의 내주에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관에 끼워져 상기 압착패킹이 고정되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 파이프는, 일단이 배수구에 접속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와 연통되며 상기 유출관의 타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복수의 유입관을 포함하는 멀티 연결 소켓의 상기 복수의 유입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은, 배관 파이프와 호스를 용이하게 연결시켜 배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호스와 배관 파이프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부품이 미리 조립될 수 있어 포장이나 운반 과정에서 압착패킹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 과정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배관 파이프와 호스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어댑터 및 압착패킹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가압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어댑터 및 압착패킹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의 가압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호스 연결 유닛(10), 배관 파이프(12), 수나사부(14), 호스(16), 결합너트(18), 중공부(20), 암나사부(22), 가압턱(24), 관통구(26), 가압판(28), 가압홀(30), 걸림홀(32), 가압부(33), 가압경사면(35), 연결관(36), 거치부(38), 걸림바(40), 걸림턱(41), 체결홈(42), 함입홈(44), 접속관(46), 밀폐패킹(48), 압착패킹(50), 압착홀(52), 제1 경사외주면(54), 제2 경사외주면(56), 단턱(58, 59), 멀티 연결 소켓(60), 유출관(62), 유입관(64), 고리부(66), 연장부(68)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은, 배관 파이프(12)에 호스(16)(hose)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유닛(10)으로서, 상기 호스(16)가 관통하는 가압홀(30)이 형성되는 가압판(28)과; 상기 호스(16)에 삽입되는 연결관(36)과, 상기 연결관(36)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면의 단부가 상기 배관 파이프(12)의 단부에 결합되는 거치부(38)와, 상기 거치부(38)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판(28)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압판(28)을 지지하는 걸림바(40)를 구비하는 어댑터(34)(adapter)와;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압착홀(52)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제1 경사외주면(54)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30)을 관통하는 상기 호스(16)의 단부가 상기 압착홀(52)에 삽입되는 압착패킹(50)을 포함한다.
배관 파이프(12)는 경질의 파이프로서, 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4)가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관 파이프(12)에는, 싱크대, 식기세척기, 세탁기, 정수기 등의 생활오수와, 온수 분배기의 습기를 가진 에어의 배수를 위한 배수용 호스(16)가 연결된다.
호스(16)는, 자유롭게 휠 수 있는 가요성의 관이나 경질의 파이프로서,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판(28)은, 호스(16)가 관통하는 가압홀(30)이 형성되고, 가압홀(30)의 내주면은 후술한 압착패킹(50)의 제1 경사외주면(54)을 가압하여 압착패킹(50)의 내주면이 연결관(36)에 삽입된 호스(16)를 가압하여 호스(16)와 연결관(36)을 밀봉하게 된다.
어댑터(34)(adapter)는,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를 연통시키는 매개체로서, 압착패킹(50)이 끼워진 호스(16)에 삽입되는 연결관(36)과, 연결관(36)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면의 단부가 배관 파이프(12)의 단부에 결합되는 거치부(38)와, 거치부(38)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가압판(28)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압판(28)을 지지하는 걸림바(40)를 포함한다.
어댑터(34)는, 거치부(38)가 배관 파이프(1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관 파이프(1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배관 파이프(12)와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34)가 배관 파이프(12)와 별개로 구성되는데, 어댑터(34)와 배관 파이프(12)의 연통을 위하여, 어댑터(34)의 거치부(38)의 하면에는 연결관(36)과 연통되며 배관 파이프(12)에 삽입되는 접속관(46)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관(36)과 접속관(46)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연결관(36)은 호스(16)에 결합되고, 접속관(46)은 배관 파이프(12)에 결합되어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를 서로 연통시킨다. 연결관(36)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부(38)의 하면의 단부는 배관 파이프(12)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접속관(46)과 배관 파이프(12)와 밀폐를 위하여, 접속관(46)과 배관 파이프(12) 사이에는 밀폐패킹(48)이 개재될 수 있다. 거치부(38)의 하면과 배관 파이프(12)의 상단부 사이에 밀폐패킹(48)이 개재되도록 접속관(46)에 밀폐패킹(48)을 끼워 결합너트(18)의 나사결합 등에 의해 어댑터(34)를 배관 파이프(12)로 가압하면, 밀폐패킹(48)이 압착되면서 어댑터(34)와 배관 파이프(12)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된다.
밀폐패킹(48)의 내경은, 밀폐패킹(48)을 접속관(46)에 끼울 때, 접속관(46)의 외주면이 밀폐패킹(48)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패킹(48)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바(40)는 어댑터(34)의 거치부(38)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가압판(28)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압판(28)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바(4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1)에 의해 가압판(28)이 지지되도록 구성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바(40)의 걸림턱(41)에 체결홈(42)을 형성하고, 가압판(28)에는 걸림바(40)의 위치에 상응하여 가압판(28)을 관통하는 걸림홀(32)을 형성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41)이 걸림홀(32)에 삽입되면서, 걸림홀(42)의 단부가 걸림턱(41)의 체결홈(42)에 삽입되면서 가압판(28)이 걸림바(40)에 지지된다.
압착패킹(50)에는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압착홀(52)이 형성되고, 압착패킹(50)의 상단에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콘 형상의 제1 경사외주면(54)이 형성된다. 가압홀(30)을 관통하는 호스(16)의 단부는 압착홀(52)에 삽입되며, 압착홀(52)에 삽입된 호스(16)에는 어댑터(34)의 연결관(36)이 삽입된다.
압착패킹(50)의 상부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콘(cone) 형태로 제작하면 압착패킹(50)의 상부에는 제1 경사외주면(54)이 형성될 수 있다. 압착홀(52)의 내경은, 호스(16)의 외주면이 압착패킹(50)의 내주면에 접하면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단면이 작은 압착패킹(50)의 상단부는 가압판(28)의 가압홀(30)에 끼워지며, 가압판(28)의 가압에 따라 가압홀(30)이 압착패킹(50)의 제1 경사외주면(54)을 가압하게 되어 압착패킹(50)의 압착홀(52)이 좁아지게 된다. 좁아진 압착패킹(50)의 압착홀(52)의 내주면은 연결관(36)에 결합된 호스(16)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연결관(36)에 대한 호스(16)의 접지력을 증가시켜 연결관(36)에 호스(16)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가압판(28)의 가압홀(30)의 가압에 따른 연결관(36)에 대한 호스(16)의 접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압판(28)에는 가압홀(30)의 외주를 따라 하양 연장되는 관 상의 가압부(33)가 형성될 수 있고, 가압부(33)의 내주에는 압착패킹(50)의 제1 경사외주면(54)에 상응하는 가압경사면(35)이 형성될 수 있다. 콘 형태의 압착패킹(50)에 상응하여 가압판(28)에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가압경사면(35)을 형성하는 것이다. 압착패킹(50)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압착패킹(50)의 하부에는, 압착패킹(50)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는 제2 경사외주면(56)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거치부(38)의 상면에는 압착패킹(50)이 하단이 삽입되도록 제2 경사외주면(56)의 형상에 상응하여 거치부(38)의 상면에서 함입되는 함입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압착패킹(50)의 하부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콘(cone) 형태로 제작하면 압착패킹(50)의 하부에는 제2 경사외주면(56)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착패킹(50)의 하부에 제2 경사외주면(56)이 형성됨에 따라 거치부(38)의 상면에는 압착패킹(5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경사면의 형상에 상응하여 함입홈(44)이 형성된다.
압착패킹(50)의 하부가 거치부(38)의 함입홈(44)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판(28)의 가압홀(30)에 압착패킹(50)의 상부가 끼워지며, 가압판(28)의 가압에 따라 가압홀(30)과 함입홈(44)의 측벽은 압착패킹(50)의 제1 경사외주면(54)과 제2 경사외주면(56)를 각각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패킹(50)의 상부와 하부에서 호스(16)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연결관(36)에 대한 호스(16)의 접지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압착패킹(50)의 압착홀(52)의 내주에는 호스(16)의 단부가 지지되고 연결관(36)에 끼워져 압착패킹(50)이 고정되도록 단턱(5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스 연결 유닛(10)의 조립 과정에서, 압착패킹(50)을 어댑터(34)에 결합하게 되는데, 압착패킹(50)이 연결관(36)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압착홀(52)의 내주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턱(58)을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턱(58)이 형성하는 내주의 크기는, 압착패킹(50)을 연결관(36)에 끼울 때, 압착홀(52)에 형성되는 단턱(58)의 내주가 연결관(36)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패킹(50)이 연결관(36)에 끼워진 상태에서 호스(16)를 연결관(36)에 끼우면, 호스(16)의 내주면에 연결관(36)의 외주면에 접하게 되고 호스(16)의 외주면은 압착홀(52)의 내주면에 접하면서 단부가 단턱(58)의 상부에 지지되게 된다.
한편, 압착홀(52)의 내주에 형성되는 단턱(58)은 경질의 호스(16)와 연결관(36)의 밀폐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경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호스(16)의 경우, 연결관(36)을 호스(16)에 삽입한 상태에서 압착패킹(50)의 압착홀(52)이 경질의 호스(16)를 가압하더라도 연결관(36)에 대한 호스(16)의 접지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관(36)이 삽입된 경질의 호스(16)의 단부에서 밀폐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압착홀(52)의 단턱(58)에 연결관(36)을 끼운 후 경질의 호스(16)의 단부가 단턱(58)에 지지되도록 호스(16)를 압착홀(52)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판(28)으로 압착패킹(50)을 가압하면, 압착패킹(50)의 상부와 하부에서 경질의 호스(16)의 외주면과 호스(16)가 삽입되지 않은 연결관(36)을 가압하여 연결관(36)이 삽입된 경질의 호스(16)의 단부에서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어댑터(34)의 접속관(46) 및 연결관(36)에 밀폐패킹(48)과 압착패킹(50)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가압판(28)을 걸림바(40)의 걸림턱(41)에 고정하면, 어댑터(34), 밀폐패킹(48), 압착패킹(50), 가압판(28)을 하나의 유닛으로 미리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패킹(50)이 어댑터(34)의 가압부(33)와 가압판(28)에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포장이나 운반과정에서 다른 부품의 접촉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조립된 호스 연결 유닛(10)은 시공 과정에서 시공 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즉, 미리 조립된 호스 연결 유닛(10)의 접속관(46)을 배관 파이프(12)의 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호스(16)를 결합너트(18)를 관통시키고 미리 조립된 호스 연결 유닛(10)의 연결관(36)에 끼운 후, 가압판(28)이 체결홈(42)에서 이탈되도록 가압판(28)을 압착패킹(50) 방향으로 밀고 결합너트(18)를 배관 파이프(12)에 나사결합하면 가압판(28)이 압착패킹(50)을 압착하면서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가 기밀하게 연결된다.
한편, 걸림바(40)의 걸림턱(41)의 위치가 적절한 경우에는, 가압판(28)이 체결홈(42)에서 이탈되도록 가압판(28)을 배관 파이프(12) 방향으로 미는 것만으로도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가압판(28)이 체결홈(42)에서 이탈되도록 가압판(28)을 강제적으로 압착패킹(50) 방향으로 밀어 가압판(28)이 압착패킹(50)을 가압하면 탄성의 압착패킹(50)은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28)은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걸림바(40)의 걸림턱(41)이 반대 방향으로 밀리는 가압판(28)을 지지하도록 걸림턱(41)의 위치를 설정하여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를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 파이프(12)에 대한 결합너트(18)의 나사결합에 따라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가 기밀하게 연결되는 형태를 제시한다.
결합너트(18)는, 단부에 수나사부(14)가 형성된 배관 파이프(12)에 나사결합되는 부재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20)가 형성되고, 중공부(20)의 일단에는 호스(16)가 삽입되는 관통구(26)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압턱(24)이 형성되며, 중공부(20)의 내주면에는 배관 파이프(12)의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2)가 형성된다.
중공부(20)의 내주면에는 배관 파이프(12)의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너트(18)가 배관 파이프(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결합너트(18)의 일단부에는 중공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가압턱(24)이 형성되며, 고리 형상의 가압턱(24)이 형성하는 관통구(26)를 통해 호스(16)가 삽입된다. 그리고, 중공부(20)의 타단 방향에서는 후술할 가압판(28)이 삽입되어 가압턱(24)이 가압판(28)의 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을 이용하여 호스(16)와 배관 파이프(12)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34)의 접속관(46) 및 연결관(36)에 밀폐패킹(48)과 압착패킹(50)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가압판(28)을 걸림바(40)의 걸림턱(41)에 고정하여 어댑터(34), 밀폐패킹(48), 압착패킹(50), 가압판(28)을 하나의 유닛으로 미리 조립하여 둔다. 다음에, 다음에, 호스(16)의 일단이 결합너트(18)의 관통구(26)에 관통되도록 호스(16)를 결합너트(18)에 끼운다. 다음에, 호스(16)의 단부를 미리 조립된 호스 연결 유닛(10)의 연결관(36)에 끼운다. 다음에, 미리 조립된 호스 연결 유닛(10)의 접속관(46)을 배관 파이프(12)의 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판(28)을 체결홈(42)에서 이탈되도록 압착패킹(50) 방향으로 민다. 배관 파이프(12)에 결합너트(18)를 나사결합함에 따라 가압판(28)이 체결홈(42)에 이탈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결합너트(18)를 배관 파이프(12)에 나사결합한다. 결합너트(18)의 나사결합에 따라 결합너트(18)의 가압턱(24)은 가압판(28)을 가압하게 되고, 압착패킹(50)의 제1 경사외주면(54)이 가압판(28)의 가압홀(30)에 의해 압착되면서 호스(16)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배관 파이프(12)에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을 적용하여 호스(16)를 멀티 연결 소켓(60)의 유입관(64)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최근 주거 환경의 발달에 따라 싱크대, 식기세척기, 정수기, 세탁기 등 용수를 사용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택에는 이러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정된 배수구를 통하여 다양한 제품의 용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멀티 연결 소켓(60)이 사용될 수 있다.
멀티 연결 소켓(60)은, 일단이 배수구에 접속되는 유출관(62)과, 유출관(62)와 연통되며 유출관(62)의 타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복수의 유입관(64)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복수의 유입관(64)에 다양한 제품의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16)가 각각 결합된다.
멀티 연결 소켓(60)의 유입관(64)으로서 상술한 배관 파이프(12)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유입관(64)의 단부 외측에 수나사부(14)를 형성하고,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2)가 형성된 결합너트(18)를 사용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호스(16)를 유입관(64)에 기밀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의 어댑터(34) 및 압착패킹(5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례는, 호스(16)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을 압착패킹(50)의 압착홀(52)에 형성하지 않고, 연결관(36)의 하단 외주에 호스(16)의 단부가 지지되는 단턱(59)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어댑터(34)의 연결관(36)이 호스(16)에 삽입되면 호스(16)의 단부가 연결관(36)의 하단에 위치하는 단턱(59)에 지지되고, 압착패킹(50)의 압착홀(52)이 호스(16)의 외주면과 호스(16)가 삽입되지 않은 연결관(36)의 단턱(59)을 감싸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판(28)으로 압착패킹(50)을 가압하면, 가압홀(30)과 함입홈(44)의 측벽은 압착패킹(50)의 제1 경사외주면(54)과 제2 경사외주면(56)를 각각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패킹(50)의 상부와 하부에서 경질의 호스(16)의 외주면과 호스(16)가 삽입되지 않은 연결관(36)을 가압하여 연결관(36)이 삽입된 경질의 호스(16)의 단부에서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는, 걸림바(40)의 걸림턱(41)에 체결홈(42)을 형성하지 않은 형태로서, 압착패킹(5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가압판(28)을 지지하도록 걸림턱(41)의 위치를 설정하여 어댑터(34), 밀폐패킹(48), 압착패킹(50), 가압판(28)을 하나의 유닛으로 미리 조립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유닛(10)의 가압판(28)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압판(28)의 형상을 원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압착패킹(50)을 가압하는 부분과 걸림바(40)에 고정하는 부분을 분리한 형태로서, 가압홀(30)이 형성된 고리부(66)에 걸림바(40)의 위치에 상응하여 연장부(68)를 두고 연장부(68)에 걸림홀(32)을 형성한 형태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호스 연결 유닛 12: 배관 파이프
14: 수나사부 16: 호스
18: 결합너트 20: 중공부
22: 암나사부 24: 가압턱
26: 관통구 28: 가압판
30: 가압홀 32: 걸림홀
33: 가압부 35: 가압경사면
36: 연결관 38: 거치부
40: 걸림바 41: 걸림턱
42: 체결홈 44: 함입홈
46: 접속관 48: 밀폐패킹
50: 압착패킹 52: 압착홀
54: 제1 경사외주면 56: 제2 경사외주면
58, 59: 단턱 60: 멀티 연결 소켓
62: 유출관 64: 유입관
66: 고리부 68: 연장부

Claims (11)

  1. 배관 파이프에 호스(hose)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유닛으로서,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가압홀이 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호스에 삽입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면의 단부가 상기 배관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서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압판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압판을 지지하는 걸림바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와;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는 압착홀이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제1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을 관통하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상기 압착홀에 삽입되는 압착패킹을 포함하는, 호스 연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하면의 단부가 상기 배관 파이프의 상단에 지지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며 상기 거치부의 하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관 파이프에 삽입되는 접속관을 더 포함하는, 호스 연결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파이프의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스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가압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 파이프의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를 더 포함하는, 호스 연결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에 끼워지며, 상기 거치부의 하면과 상기 배관 파이프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밀폐패킹을 더 포함하는, 호스 연결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패킹에는,
    상기 압착패킹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제2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패킹이 하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경사외주면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는 함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의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가압판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에는 상기 걸림바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가압판을 관통하는 걸림홀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의 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걸림바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가압홀의 외주를 따라 하향 연장되는 관 상의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의 내주에는 상기 제1 경사외주면에 상응하는 가압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패킹의 상기 압착홀의 내주에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관에 끼워져 상기 압착패킹이 고정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호스의 단부가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파이프는,
    일단이 배수구에 접속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와 연통되며 상기 유출관의 타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복수의 유입관을 포함하는 멀티 연결 소켓의 상기 복수의 유입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유닛.
KR1020150003255A 2015-01-09 2015-01-09 호스 연결 유닛 KR10156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55A KR101563614B1 (ko) 2015-01-09 2015-01-09 호스 연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255A KR101563614B1 (ko) 2015-01-09 2015-01-09 호스 연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614B1 true KR101563614B1 (ko) 2015-10-27

Family

ID=5442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255A KR101563614B1 (ko) 2015-01-09 2015-01-09 호스 연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6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1268A (ja) 2006-12-18 2008-07-03 Fuji Xerox Co Ltd 継手構造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3204638A (ja) 2012-03-27 2013-10-07 Waterworks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Co Ltd 管継手、管継手に使用する仮止め用スペーサー及び管継手の組み付け方法
KR101409770B1 (ko) 2012-04-18 2014-07-02 김보섭 호스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1268A (ja) 2006-12-18 2008-07-03 Fuji Xerox Co Ltd 継手構造及び液滴吐出装置
JP2013204638A (ja) 2012-03-27 2013-10-07 Waterworks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Co Ltd 管継手、管継手に使用する仮止め用スペーサー及び管継手の組み付け方法
KR101409770B1 (ko) 2012-04-18 2014-07-02 김보섭 호스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1009119B1 (pt) Acoplamento de mangueira sanitário
KR101506467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0568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100027369A (ko) 유체파이프의 분기지관 접속구조
KR101409770B1 (ko) 호스 연결 구조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563614B1 (ko) 호스 연결 유닛
JP2011226631A (ja) 蛇口用給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140040315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200386397Y1 (ko)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101419466B1 (ko) 호스 연결 구조
KR102084957B1 (ko) 원터치 피팅 이음새 장치
KR20160003491A (ko) 고압용기의 하이드로 테스트용 플랜지 커버
KR100914153B1 (ko) 파이프연결압륜 어셈블리
KR20160061108A (ko) 수도꼭지용 급수관 커넥터 조립체
KR101288009B1 (ko) 배수구 연결 소켓
US20120103436A1 (en) Two-handle Type Faucet Having a double Anti-reverse function to prevent waste materials from flowing backward into the faucet when disaster happens
KR200393518Y1 (ko) 수도꼭지 연결구 구조
KR200352795Y1 (ko) 온수분배기 유량조절밸브의 경질관의 관접 소켓
KR101500272B1 (ko) 관이음 조립체
KR102416874B1 (ko) 싱크 호스 연결 구조
KR101807458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체결구조
KR200482163Y1 (ko) 싱크대 배수호스용 멀티 커플링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