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66B1 - 호스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66B1
KR101419466B1 KR1020120006345A KR20120006345A KR101419466B1 KR 101419466 B1 KR101419466 B1 KR 101419466B1 KR 1020120006345 A KR1020120006345 A KR 1020120006345A KR 20120006345 A KR20120006345 A KR 20120006345A KR 101419466 B1 KR101419466 B1 KR 10141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mpression washer
pipe
connection structur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289A (ko
Inventor
김보섭
Original Assignee
김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섭 filed Critical 김보섭
Priority to KR102012000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6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external piece comprising segments pressed against the hose by wedge 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for hoses with one end terminating in a radial flange or collar

Abstract

호스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배관구에 호스(hose)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구조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구의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와;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호스의 단부에 끼워지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washer)와; 일단이 상기 압착와셔에 삽입된 상기 호스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구와 연통되어 상기 호스와 상기 배관구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몸체와, 일면이 상기 배관구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하는 호스 연결 구조는,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용이하게 연결시켜 배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 연결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hose}
본 발명은 호스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배관 작업을 수행할 때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배관 파이프와 가요성의 호스는 그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연결부위에서 유체의 누설없이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한편, 싱크대, 식기세척기, 세탁기, 정수기 등의 물을 사용하는 제품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용 호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수용 호스는 주택 등의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위에서 용수의 누설이 없도록 배수용 호스와 배수관을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가요성의 주름 호스(102)를 외주면에 수나사부(108)가 형성된 배관구(106)에 연결하기 위해, 결합너트(110)의 관통구를 통해 주름 호스(102)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주름 호스(102)의 단부에 접속구(104)의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접속구(104)의 타단을 배관구(106)의 내부를 삽입시킨 후, 수나사부(108)에 상응하는 암나사부(112)가 형성된 결합너트(110)를 배관구(106)에 나사결합하여 연결하였다.
배관구(106)에 삽입되는 접속구(104)의 타단에는 고무 패킹(114)이 삽입되어 있어 결합너트(110)와 배관구(106)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되면서 주름 호스(102)와 배관구(106)를 기밀하게 연통 된다.
한편, 주름 호스(102)와 접속구(104)의 연결은, 접수구(104)의 일단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접속구(104)의 일단을 주름 호스(102)의 내부를 삽입시킨 후 접착제를 경화시켜 서로를 기밀하게 연결한다.
그러나, 주름 호스(102)는 배관되는 위치에 따라 일정 길이를 절단하고 배관구(106)에 결합하여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주름 호스(102)와 접속구(104)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접착제의 도포과 경화시간으로 인해 배관 작업속도가 지연되고, 접착제의 접착불량과 시간경과에 따른 접착력 저하로 인해 연결부위에서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85020호(1998.7.14)
본 발명은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배관구에 호스(hose)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구조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스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구의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와;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호스의 단부에 끼워지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washer)와; 일단이 상기 압착와셔에 삽입된 상기 호스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구와 연통되어 상기 호스와 상기 배관구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몸체와, 일면이 상기 배관구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하는, 호스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압착와셔에는, 고리 형상의 상기 압착와셔의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된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스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주름관일 수 있으며, 상기 압착와셔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관은 상기 압착와셔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함입되는 함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와셔의 일단은 상기 관통구를 향하도록 상기 압착와셔가 상기 호스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압착와셔의 타단에는, 상기 압착와셔에서 돌출된 상기 주름관의 나사산에 접하도록 경사돌부가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함입되는 함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와셔의 일단이 상기 함입홈을 향하도록 상기 압착와셔가 상기 호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의 일면과 상기 배관구의 상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배관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와셔의 상기 경사외주면에 상응하여 상기 결합너트의 상기 단턱의 단부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내주를 따라 상기 압착와셔의 상기 경사외주면과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구는, 일단이 배수구에 접속되는 관상의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출구의 타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관상의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멀티 연결 소켓의 상기 복수의 유입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용이하게 연결시켜 배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요성의 호스와 배관구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분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분해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배관구(12), 수나사부(14), 호스(16), 주름관(18), 나사산(20), 결합너트(22), 관통구(24), 단턱(25), 암나사부(26), 경사면(27, 48), 압착와셔(28), 경사외주면(30), 나사홈(32), 절개부(34), 경사돌부(36), 어댑터(38), 플랜지(40), 몸체(41), 함입홈(42), 패킹(44), 가압링(46), 멀티 연결 소켓(49), 유출구(50), 유입구(5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는, 단부에 수나사부(14)가 형성되는 배관구(12)에 호스(hose)(16)를 연결하는 호스 연결 구조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스(16)가 관통하는 관통구(24)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턱(25)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구(12)의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되는 결합너트(22)와; 상기 관통구(24)를 관통한 상기 호스(16)의 단부에 끼워지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경사외주면(30)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washer)(28)와; 일단이 상기 압착와셔(28)에 삽입된 상기 호스(16)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구(12)와 연통되어 상기 호스(16)와 상기 배관구(12)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몸체(41)와, 일면이 상기 배관구(12)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40)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38)를 포함하여, 가요성의 호스(16)와 배관구(12)를 용이하게 연결시켜 배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요성의 호스(16)와 배관구(12)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배관구(12)는 경질의 파이프로서, 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4)가 형성되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스(16)는, 자유롭게 휠 수 있는 가요성의 관으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사산(20)이 형성되는 주름관(18), 외주면에 나사산이 없는 단면이 일정한 형태의 호스 등을 포함한다.
결합너트(22)는, 배관구(12)에 나사결합되는 부재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의 일단에는 호스(16)가 관통하는 관통구(24)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턱(25)이 형성되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배관구(12)의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된다.
결합너트(22)의 내주면에는 배관구(12)의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되어 결합너트(22)는 배관구(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결합너트(22)의 일단부에는 중공부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단턱(25)이 형성되며, 고리 형상의 단턱(25)이 형성하는 관통구(24)를 통해 호스(16)가 삽입된다.
압착와셔(28)는, 배관구(12)에 대한 결합너트(22)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되어 호스(16)를 어댑터(38)에 기밀하고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부재로서, 결합너트(22)의 관통구(24)를 관통한 호스(16)의 단부에 끼워지는 고리 형태의 부재로서,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경사외주면(30)이 형성된다.
어댑터(38)(adapter)는, 호스(16)와 배관구(12)를 연통시키는 매개체로서, 일단이 압착와셔(28)에 삽입된 호스(16)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배관구(12)와 연통되어 호스(16)와 배관구(12)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몸체(41)와, 일면이 배관구(12)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몸체(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0)를 포함한다.
관상의 몸체(41)는 호스(16)와 배관구(1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호스(16)와 배관구(12)를 연통시키며, 몸체(4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0)의 일면은 배관구(12)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플랜지(40)의 일면과 배관구(12)의 단부면 사이에 패킹(44)이 개재되도록 몸체(41)의 타단에 패킹(44)을 끼워 결합너트(22)를 배관구(12)에 나사결합 함에 따라 어댑터(38)와 배관구(12)를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댑터(38)가 배관구(12)와 분리되어 일단이 호스(16)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배관구(12)에 삽입되어 호스(16)와 배관구(12)를 연통시키고 있으나, 배관구(12)에 어댑터(38)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댑터(38)의 타단이 배관구(12)와 연통되도록 하고 플랜지(40)와 배관구(12)의 단부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호스(16)는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댑터(38)의 일단의 외경을 호스(16)의 내경과 동일 또는 보다 크게 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어댑터(38)의 일단을 호스(16)의 내부를 삽입시킬 수 있다.
압착와셔(28)의 타단에 비해 단면이 작은 압착와셔(28)의 일단은 결합너트(22)의 관통구(24)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압착와셔(28)의 타단은 어댑터(38)의 플랜지(40)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너트(22)와 배관구(12)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와셔(28)의 일단부가 관통구(24)에 압입되면서 경사외주면(30)에 의해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28)의 내부가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와셔(28)의 내면이 어댑터(38)의 일단에 결합된 호스(16)의 외주면을 압착하면서 접지력을 증가시켜 어댑터(38)와 호스(16)를 기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너트(22)와 배관구(12)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와셔(28)의 경사외주면(30)과 관통구(24)를 형성하는 단턱(25)이 서로 접하게 되는데, 압착와셔(28)의 경사외주면(30)이 관통구(24)에 미끌어지면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턱(25)의 단부에는 경사외주면(30)과 실질적으로 동일 경사를 갖는 경사면(2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너트(22)의 단턱(25)과 압착와셔(28)의 경사외주면(30) 사이에 가압링(46)을 개재시켜 압착와셔(28)가 가압링(46)에 압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링(46)은 단턱(25)에 지지되도록 관통구(24)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이유로 내면에는 압착와셔(28)의 경사외주면(30)과 상응하는 경사면(48)이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38)의 플랜지(40)의 타면에는 몸체(41)의 외주를 따라 함입되는 함입홈(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면이 작은 압착와셔(28)의 일단이 함입홈(42)을 향하도록 압착와셔(28)가 호스(16)에 결합될 수 있고, 압착와셔(28)의 타단은 결합너트(22)의 단턱(2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결합너트(22)와 배관구(12)의 나사결합에 따라 결합너트(22)의 단턱(25)은 압착와셔(28)의 타단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와셔(28)의 일단부가 함입홈(42)에 압입되면서 경사외주면(30)에 의해 압착와셔(28)의 내부가 좁아지고, 압착와셔(28)의 내면은 어댑터(38)의 일단에 결합된 호스(16)의 외주면을 압착하면서 접지력을 증가시켜 어댑터(38)와 호스(16)를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압착와셔(28)가 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호스(16)가 압착와셔(28)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압착와셔(28)의 내경이 호스(16)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작되는 경우에는 일측이 절개되는 않은 폐합된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28)를 사용하여 어댑터(38)와 호스(16)를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압착와셔(28)에는,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28)의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된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절개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압착와셔(28)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결합너트(22)와 배관구(12)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와셔(28)의 일단부가 관통구(24)에 압입되면서 경사외주면(30)에 의해 절개부(34)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압착와셔(28)의 내부가 좁아지고, 이에 따라 압착와셔(28)의 내면이 어댑터(38)의 일단에 결합된 호스(16)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배관구(12)에 연결하기 위한 호스(16)가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사산(20)이 형성되는 주름관(18)인 경우, 압착와셔(28)의 내면에 주름관(18)의 나사산(20)에 상응하는 나사홈(32)을 형성하여, 압착와셔(28)를 주름관(18)에 나사결합 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너트(22)와 배관구(12)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와셔(28)의 경사외주면(30)에 의해 압착와셔(28)의 내부가 좁아지면서 압착와셔(28)의 내면이 어댑터(38)의 일단에 결합된 호스(16)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접지력이 증가되고, 아울러 주름관(18)의 나사산(20)의 압착와셔(28)에 대한 지압력이 증가되어 보다 기밀하고 견고하게 주름관(18)을 배관구(12)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착와셔(28)로 경질이고 일측이 절개된 압착와셔(28)를 사용함으로써 지압력을 높일 수 있다.
주름관(18)과 배관구(12)의 보다 기밀하고 견고한 연결을 위해 주름관(18)의 단부를 압착와셔(28)의 타단에서 일부 돌출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압착와셔(28)에서 돌출된 주름관(18)의 나사산(20)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도록 돌출된 나사산(20)의 경사와 상응하게 압착와셔(28)의 타단에 경사돌부(36)를 돌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사돌부(36)는 함입홈(42)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시공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보면,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18)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주름관(18)의 일단을 결합너트(22)의 관통구(24)에 관통시킨다. 다음에, 결합너트(22)의 관통구(24)를 관통한 주름관(18)의 단부에 압착와셔(28)를 나사결합한다. 이때 주름관(18)의 단부가 압착압셔(28)에서 일부 돌출되도록 하여 압착와셔(28)의 경사돌부(36)가 돌출된 주름관(18)의 나사산(20)을 지지하도록 한다. 다음에, 타단에 패킹(44)이 결합된 어댑터(38)의 일단을 주름관(18)의 내부로 삽입한다. 다음에, 어댑터(38)의 타단이 배관구(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너트(22)를 돌려 배관구(12)에 결합너트(22)를 나사결합한다. 결합너트(22)와 배관구(12)의 나사결합에 따라 압착와셔(28)가 결합너트(22)의 관통구(24)에 압입되면서 주름관(18)을 어댑터(38)에 기밀하게 연결하고, 어댑터(38)는 패킹(44)이 압착되면서 배관구(12)에 기밀하게 연결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를 적용하여 주름관(18)을 멀티 연결 소켓(49)의 유입구(52)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최근 주거 환경의 발달에 따라 싱크대, 식기세척기, 정수기, 세탁기 등 용수를 사용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택에는 이러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의 수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정된 배수구를 통하여 다양한 제품의 용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멀티 연결 소켓(49)이 사용될 수 있다.
멀티 연결 소켓(49)은, 일단이 배수구에 접속되는 관상의 유출구(50)와, 유출구(50)와 연통되며 유출구(50)의 타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관상의 복수의 유입구(52)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복수의 유입구(52)에 다양한 제품의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가 각각 결합된다.
멀티 연결 소켓(49)의 유입구(52)로서 상술한 배관구(12)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유입구(52)의 단부 외측에 수나사부(14)를 형성하고, 수나사부(14)에 상응하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된 결합너트(22)를 사용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주름관(18)를 유입구(52)에 기밀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주름관(18)이 아닌 외주면에 나사산(20)이 없는 단면이 일정한 형태의 호스(16)를 배관구(12)에 연결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호스(16)의 외주면에 나사산(20)이 없기 때문에 압착와셔(28)의 접지력으로 호스(16)를 어댑터(38)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어댑터(38)의 일단의 외경을 호스(16)의 내경과 동일 또는 보다 크게 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어댑터(38)의 일단을 호스(16)의 내부를 삽입시켜 호스(16)의 지압력을 더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2 : 배관구 14 : 수나사부
16 : 호스 18 : 주름관
20 : 나사산 22 : 결합너트
24 : 관통구 25 : 단턱
26 : 암나사부 27, 48 : 경사면
28 : 압착와셔 30 : 경사외주면
32 : 나사홈 34 : 절개부
36 : 경사돌부 38 : 어댑터
40 : 플랜지 41 : 몸체
42 : 함입홈 44 : 패킹
46 : 가압링 49 : 멀티 연결 소켓
50 : 유출구 52 : 유입구

Claims (10)

  1. 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배관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요성의 주름관을 연결하는 호스 연결 구조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일단에는 상기 주름관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관구의 수나사부에 상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결합너트와;
    내면에 상기 주름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관통한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나사결합되고,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여 단면이 확대되어 경사외주면이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된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압착와셔(washer)와;
    일단이 상기 압착와셔에 삽입된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배관구와 연통되어 상기 주름관과 상기 배관구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몸체와, 일면이 상기 배관구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하는, 호스 연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함입되는 함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와셔의 일단은 상기 관통구를 향하도록 상기 압착와셔가 상기 주름관에 결합되며,
    상기 압착와셔의 타단에는,
    상기 압착와셔에서 돌출된 상기 주름관의 나사산에 접하도록 경사돌부가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함입되는 함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와셔의 일단이 상기 함입홈을 향하도록 상기 압착와셔가 상기 주름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일면과 상기 배관구의 상단면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배관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와셔의 상기 경사외주면에 상응하여 상기 결합너트의 상기 단턱의 단부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호스 연결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내주를 따라 상기 압착와셔의 상기 경사외주면과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구는,
    일단이 배수구에 접속되는 관상의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출구의 타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관상의 복수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멀티 연결 소켓의 상기 복수의 유입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
KR1020120006345A 2012-01-19 2012-01-19 호스 연결 구조 KR10141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45A KR101419466B1 (ko) 2012-01-19 2012-01-19 호스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345A KR101419466B1 (ko) 2012-01-19 2012-01-19 호스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89A KR20130085289A (ko) 2013-07-29
KR101419466B1 true KR101419466B1 (ko) 2014-07-17

Family

ID=4899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345A KR101419466B1 (ko) 2012-01-19 2012-01-19 호스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69B1 (ko) * 2021-02-10 2021-05-06 (주) 대전통일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KR20210158023A (ko) 2020-06-23 2021-12-30 박경자 싱크 호스 연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180B1 (ko) * 2013-09-12 2014-02-28 승진산업 (주) 무용접 방폭용 케이블 그랜드 조립체
KR101700063B1 (ko) * 2016-03-18 2017-01-25 한병량 호스 연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361Y1 (ko) * 1991-11-12 1993-08-16 동아종합산업 주식회사 금속 나선관용 연결구
KR19980025998U (ko) * 1996-11-07 1998-08-05 오승일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110022236A (ko) * 2009-08-27 2011-03-07 김보섭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361Y1 (ko) * 1991-11-12 1993-08-16 동아종합산업 주식회사 금속 나선관용 연결구
KR19980025998U (ko) * 1996-11-07 1998-08-05 오승일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110022236A (ko) * 2009-08-27 2011-03-07 김보섭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8023A (ko) 2020-06-23 2021-12-30 박경자 싱크 호스 연결 구조
KR102416874B1 (ko) * 2020-06-23 2022-07-05 박경자 싱크 호스 연결 구조
KR102248469B1 (ko) * 2021-02-10 2021-05-06 (주) 대전통일 응결수 이중배관 소켓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89A (ko) 201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466B1 (ko) 호스 연결 구조
CN107477283A (zh) 具有振动补偿器的管路接头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409770B1 (ko) 호스 연결 구조
KR101773751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2416874B1 (ko) 싱크 호스 연결 구조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CN211259951U (zh) 一种不锈钢波纹管快速连接用管件
KR200424262Y1 (ko) 유체이송관의 연결관 접속구조
WO2006112604A1 (en) Rubber packing for pipe connection
JP6604558B2 (ja) 管接続構造の製造方法
RU2701360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имеющая сквозную полость с поперечным сечением уменьшающегося размера, сопло, которое может быть соединено с указ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и распыляющий конец, содержащий указанное сопло, соединенное с указанной прокладкой
WO2002057678A1 (en) Improved tube fitting sealing member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102461456B1 (ko) 정수기용 압착형 피팅 장치
ITVI980078A1 (it) Raccordo per tubi
KR200363157Y1 (ko) 유리 섬유강화플라스틱 관체의 이음구조
KR101288009B1 (ko) 배수구 연결 소켓
KR200439725Y1 (ko) 배관 이음용 연결관
CN210050426U (zh) 一种万向球头软管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KR200302781Y1 (ko) 호스 연결체
KR200432883Y1 (ko) 관 연결구
KR101993759B1 (ko) 의료용 캐필러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