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083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083B1
KR101563083B1 KR1020140040181A KR20140040181A KR101563083B1 KR 101563083 B1 KR101563083 B1 KR 101563083B1 KR 1020140040181 A KR1020140040181 A KR 1020140040181A KR 20140040181 A KR20140040181 A KR 20140040181A KR 101563083 B1 KR101563083 B1 KR 10156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s
nozzle
lid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690A (ko
Inventor
이현승
류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0566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6308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910741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356720B/zh
Priority to CN201610631140.8A priority patent/CN106213753B/zh
Priority to SG11201606371TA priority patent/SG11201606371TA/en
Priority to CN201810113674.0A priority patent/CN108175172B/zh
Priority to CN201580000692.2A priority patent/CN105163626B/zh
Priority to CN201910740538.9A priority patent/CN110451097B/zh
Priority to PCT/KR2015/001066 priority patent/WO2015115868A1/ko
Priority to CN201910740520.9A priority patent/CN110419846B/zh
Publication of KR20150092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690A/ko
Publication of KR10156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285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applying the contents, e.g. brushes, rollers, pads, spoons, razors,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에 퍼프가 결합된 뚜껑; 및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퍼프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의 노즐이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이 가압부의 내부에 위치한 퍼프의 표면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여, 퍼프의 전면에 고르게 화장품을 묻힐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의 하강에 의해 퍼프에 화장품이 분사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퍼프가 결합된 뚜껑을 잡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퍼프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화장품 용기에서 퍼프를 꺼내어 사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퍼프를 떨어뜨려 화장품이 낭비되거나 퍼프가 오염될 수 있고, 퍼프를 분실할 우려도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직접 찍어 발라야 하므로, 찍어 바르는 과정에서 화장품이 균일하지 않게 사용될 수 있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프레이 형태의 용기 본체에 화장품을 보관하고,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단에 퍼프가 고정된 커버를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커버가 용기 본체의 노즐 부분을 가압하면 노즐을 통해 퍼프의 하방으로 화장품이 분사됨으로써 퍼프의 표면으로 화장품이 새어나오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기 본체를 파지한 상태로 퍼프에 묻은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도록 하는 제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는 퍼프에 묻어있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 용기 본체를 잡고 화장품을 피부에 발라야 하므로, 용기 본체의 크기로 인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품이 소모됨에 따라 용기 본체의 무게가 달라지므로, 사용자는 용기 본체를 파지함에 있어서 익숙함을 얻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퍼프를 피부에 두드리는 압력이 불규칙하게 생성되어 화장품을 원하는 양만큼 사용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커버를 통해 퍼프의 하방에 화장품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화장품이 퍼프를 관통하여 퍼프의 상부 표면으로 새어 나와야 하므로, 퍼프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못한 화장품은 사용되지 못하고 낭비될 수 있으며, 퍼프의 내부에는 항상 화장품이 잔류할 수밖에 없어 퍼프를 청결하게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퍼프의 상부 표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가 커버를 이용해 화장품을 배출시키면, 용기 본체의 분사 압력에 따라 퍼프의 하방에 공급된 화장품 일부가 퍼프를 강하게 관통함에 따라 퍼프의 상부 표면을 벗어날 수 있어, 화장품을 낭비할 수 있는 동시에 주변에 화장품이 튀어 사용자가 불편함 및 불쾌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2750호(2013.10.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레이 방식의 용기 본체의 상부에 가압부를 구비하고, 가압부의 상단에는 뚜껑이 결합되도록 하며, 뚜껑의 하부에 고정된 퍼프가 가압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가압부가 하강하여 용기 본체의 노즐을 가압할 때 화장품이 원활하게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여 화장품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닿는 퍼프의 표면에 화장품이 직접 분사됨에 따라 퍼프 전면에 화장품이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피부에 고르게 화장품을 바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부에 의해 화장품이 분사되더라도, 분사되는 화장품은 가압부의 내부에서 퍼지면서 퍼프에 전달될 뿐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퍼프의 표면에 직접 화장품이 분사되므로, 화장품이 퍼프를 관통하여 표면에 새어나오도록 하는 종래 제품과 대비할 때 화장품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퍼프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을 눌러 화장품이 분사될 때 함께 분사되는 가스 성분에 의해 가압부 내부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여 화장품이 뚜껑과 가압부의 결합 부분을 따라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하부에 퍼프가 결합된 뚜껑; 및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퍼프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화장품을 수용하는 스프레이 용기; 및 상기 스프레이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상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면 상방이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승강 제어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정 높이를 갖되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화장품이 관통되도록 하는 화장품 토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화장품 토출공의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노즐에 결합되는 노즐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 또는 내경이 확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제어부는, 외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홈은, 수평 홈 및 수직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수평 홈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차단하고, 상기 수직 홈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승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제어부는, 외측에 상기 승강 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상기 승강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수직 홈에 위치할 때 상기 승강 돌기가 인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사되는 화장품에 포함된 가스 성분이, 상기 퍼프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출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퍼프를 고정하며, 상기 퍼프를 관통한 가스 성분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측 배출공이 형성되는 퍼프 고정부; 및 상기 퍼프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가스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 배출공이 외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일측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뚜껑이 결합될 때 상기 톱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톱니 결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부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프는, 상기 노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화장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의 노즐이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이 가압부의 내부에 위치한 퍼프의 표면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여, 퍼프의 전면에 고르게 화장품을 묻힐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분사되는 화장품이 가압부의 내부에서만 퍼지면서 퍼프에 전달되도록 하여, 분사압력이 높더라도 화장품이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화장품의 낭비를 방지하고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퍼프의 표면에 화장품이 분사되도록 하여, 피부에 닿지 않는 퍼프의 표면으로 화장품을 공급하는 종래 제품의 방식과 대비할 때 화장품의 사용량을 절감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퍼프의 표면에 화장품이 직접 분사되도록 하여 퍼프에 충분한 화장품이 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퍼프를 비틀거나 필요 이상의 압력으로 피부에 누를 필요 없이 가볍게 톡톡 두드리기만 해도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품이 피부에 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하부에 퍼프가 결합된 뚜껑을 파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퍼프를 피부에 두드릴 수 있으므로, 뚜껑보다 무겁고 부피가 큰 용기 본체를 파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장품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분사될 때 배출되는 가스 성분이 가스 배출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부의 내부 공간 압력이 가스 성분에 의해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가스 성분이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뚜껑(110), 퍼프(120), 가압부(130), 승강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0)는, 화장품 용기(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용기 본체(100)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직경보다 높이가 큰 형태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용기 본체(100)의 재질을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용기 본체(100)는 스프레이 용기(101)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프레이 용기(101)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재질이 금속으로 한정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스프레이 용기(101), 노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 용기(101)는,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상태의 화장품을 수용하며, 노즐(102)을 통해 스프레이 용기(101)의 내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내부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프레이 용기(101)는 상부에 단턱(10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턱(1011)은 승강 제어부(140)의 안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단턱(1011)에 승강 제어부(140)의 하단이 밀착되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승강 제어부(140)는 화장품의 배출을 위해 가압부(130)의 승강을 구현하는데, 가압부(130)는 후술할 가이드 돌기(133)가 승강 제어부(140)의 가이드 홈(141)을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위치 또는 승강될 수 없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이 제어될 수 있다.
노즐(102)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상단 중앙에 구비되어, 가압에 의해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한다. 노즐(102)은 일반적인 스프레이 용기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노즐(102)의 가압 시 스프레이 용기(101)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품이 배출되는 원리 및 구조는 일반적인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노즐(102)은 일정 높이만큼 상단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노즐(102)의 적어도 일부분은 가압부(1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노즐(102)의 전부분이 가압부(130)에 의해 둘러싸인다면 가압부(130)의 하강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가압부(130)는 노즐(102)의 일부분만을 둘러싸면서 노즐(1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0)에 둘러싸이지 않은 노즐(102)의 높이는 가압부(130)의 승강 높이가 된다.
노즐(102)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상면에 구비되며 하단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노즐(102)은 노즐(102)을 상하로 관통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압부(130)는 노즐(102)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노즐(102)은 중심축 기준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노즐(102)에 고정된 가압부(130)는 노즐(10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130)의 회전을 가능케 하는 것은, 가압부(130)의 가이드 돌기(133)가 승강 제어부(140)의 가이드 홈(14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노즐(102)은 측단면이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압부(130)의 결합을 허용하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130)와 노즐(102)은 서로 회전을 허용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30)는 노즐(10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노즐(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노즐(102)에 정량 토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압부(130)를 이용하여 노즐(102)를 가압할 경우, 1회 가압 시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양을, 가압부(130)로 노즐(102)을 가압하는 회수를 변경해 가면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뚜껑(110)은, 하부에 퍼프(120)가 결합되며, 후술할 가압부(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뚜껑(110)은 용기 본체(100)에서 화장품이 배출될 때 뚜껑(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퍼프(120)의 하부 표면이 화장품에 노출되도록 하여, 피부에 직접 닿는 퍼프(120)의 표면에 화장품이 충분히 묻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뚜껑(11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뚜껑(110)은 손잡이부(111), 퍼프 고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11)는, 상면에 손잡이(1111)가 형성된다. 손잡이부(111)는 상면이 움푹하게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함몰된 면에 손잡이(1111)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11)는 접시 모양으로 함몰된 곡면 형태의 상면에, 측단면이 럭비공 모양이나 기타 사용자의 파지를 돕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 손잡이(111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뚜껑(110)을 편리하게 잡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뚜껑(110)의 하부에 퍼프(120)가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뚜껑(110)을 파지한 상태로 퍼프(120)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손잡이부(111)의 손잡이(1111) 표면에는 마찰면 또는 돌기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퍼프 고정부(113)는, 퍼프(120)를 고정한다. 퍼프 고정부(113)는 손잡이부(111)의 하단에 결합되며, 퍼프(120)가 뚜껑(110)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퍼프 고정부(113)는 제1 퍼프 고정부(1131)와 제2 퍼프 고정부(1132)로 분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퍼프 고정부(1131)에는 퍼프(120)가 덧씌워지며, 제2 퍼프 고정부(1132)는 퍼프(120)가 씌워진 제1 퍼프 고정부(1131)를 손잡이부(111)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퍼프 고정부(1131)는 적어도 일부분이 실리콘 재질일 수 있으며,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퍼프 고정부(1131)는 하부가 퍼프(120) 내부에 삽입되어, 스펀지 등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형상 유지가 곤란한 퍼프(120)가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제1 퍼프 고정부(1131)는 상부가 제2 퍼프 고정부(1132)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보다 큰 단면적을 갖되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조로 제작되어,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상부가 압축된 상태로 제2 퍼프 고정부(1132)의 하면 구멍을 관통한 뒤 본래 형상을 회복함에 따라, 제1 퍼프 고정부(1131)와 제2 퍼프 고정부(1132)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제1 퍼프 고정부(1131)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도 제2 퍼프 고정부(11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퍼프 고정부(1131)와 제2 퍼프 고정부(1132)는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뚜껑 내부에 퍼프가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가 뚜껑 내부의 퍼프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뚜껑은 용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퍼프 고정부(113)를 통해 뚜껑(110)이 퍼프(120)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뚜껑(110)을 파지한 상태로 퍼프(12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이용하여 퍼프를 손가락에 고정시켜서 화장품을 찍어 발랐으나, 본 실시예는 손잡이부(111)의 하부에 퍼프(120)가 고정된 퍼프 고정부(113)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에 탄성끈을 끼우는 등의 불편을 감수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퍼프(120)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뚜껑(110)을 잡은 상태로 퍼프(12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손가락이 퍼프(120)와 접촉하지 않아도 되므로 손가락에 화장품이 묻어 화장품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퍼프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용기 본체를 잡고 퍼프를 이용해야 했으므로 용기 본체의 무게 및 크기로 인해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뚜껑(110)에 퍼프(120)를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화장품을 피부에 바르도록 할 수 있다.
뚜껑(110)은, 가압부(130)에 결합된 상태로 가압부(13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는데, 노즐(102)을 따라 분사되는 화장품은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을 지나 퍼프(120)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00)가 스프레이 용기(101)에 화장품을 수용할 경우, 화장품은 가스 성분과 함께 또는 가스 성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성분이 가압부(130)의 내측 공간에 유입되는데, 가압부(130)의 상면은 뚜껑(110)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가압부(130)의 내측 공간 압력이 상승하면서 가스 성분과 화장품 등이 뚜껑(110)의 외측면을 따라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가스 배출로(114)를 구비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가스 배출로(114) 등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가스 성분이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뚜껑(110)은,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사되는 화장품에 포함된 가스 성분이, 퍼프(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출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스 배출로(114)는 손잡이부(111)에 형성되는 외측 배출공(1112)과, 퍼프 고정부(113)에 형성되는 내측 배출공(1133) 사이에 연통된 공간을 의미한다.
외측 배출공(1112)은, 손잡이부(111)의 외면에 형성되어 가스 성분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때 외측 배출공(11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 성분은, 내측 배출공(1133)을 통해 유입된 가스 성분일 수 있다.
사용자가 화장품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111)를 파지한 상태로 뚜껑(110)을 이용해 가압부(130)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외측 배출공(1112)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배출공(1112)은 손잡이부(111)에 형성된 손잡이(1111)의 일단에 치우치게 형성하고 손잡이(1111)의 양측에 구비하여,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외측 배출공(1112)은 막히지 않도록 하여 가스 성분의 원활한 배출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외측 배출공(1112)은, 손잡이부(1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배출공(1112)이 손잡이부(111)의 측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1111)를 파지하더라도 손가락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배출공(1112)은 사용자가 뚜껑(110)을 잡을 때 사용자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손잡이(1111)의 양측면이나 손잡이부(111)의 상면, 측면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외측 배출공(1112)의 위치를 위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외측 배출공(1112)은 손잡이부(111)의 하면을 제외한 외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손잡이부(111)의 하면에 외측 배출공(1112)을 형성한다면 외측 배출공(1112)은 가스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고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다시 인입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내측 배출공(1133)은, 퍼프 고정부(113)의 하면에 형성되어 퍼프(120)를 관통한 가스 성분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내측 배출공(1133)을 따라 유입된 가스 성분은 뚜껑(110)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내부로 유입되며,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내부는 손잡이부(111)의 내부 및 외측 배출공(1112)과 연통되어 가스 성분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퍼프(120)는 스펀지 형태 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퍼프(120)를 향해 분사되는 가스 성분은 분사압력에 의해 퍼프(120)를 관통할 수 있으며, 퍼프(120)의 하면을 상방 관통한 가스 성분은 내측 배출공(1133)을 통해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내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로(114)를 따라서, 손잡이부(111)의 외측 배출공(1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 성분의 흐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화장품 용기(10)에서 가압부(130)가 하강할 때, 1차적으로 노즐(102)을 통해서 화장품이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며, 이때 화장품에는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이 완전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면, 가스 성분에 의해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가스 성분은 결국 뚜껑(110)과 가압부(130)의 결합 부분을 통해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가스 성분에 포함된 화장품이 함께 빠져나와 화장품 용기(10)의 외관을 오염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러한 가스 성분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별도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1차로 배출된 가스 성분은, 퍼프(120)를 관통하여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내측 배출공(1133)을 따라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가스 성분은 제1 퍼프 고정부(1131)의 상부를 통해 손잡이부(111)의 내부로 유입되고, 손잡이부(111)에 형성된 외측 배출공(1112)을 통해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100)로부터 화장품이 분사될 때 분사된 화장품에 포함된 가스 성분이, 내측 배출공(1133)과 외측 배출공(1112)에 연결되는 가스 배출로(114)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성분이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에서 빠져나가지 못하여 가압부(130)와 뚜껑(110)의 결합 부분을 따라 누출될 수 있는 문제를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이 스프레이 용기(101)로부터 고압으로 분사될 때, 순간적으로 화장품이 결정화되어 분체로 날리게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화장품이 퍼프(120)를 거쳐서 가스 배출로(114)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 분체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해 사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퍼프(120)는, 뚜껑(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화장품을 바르기 위해 사용된다. 퍼프(120)는 섬유 집합체, 합성수지 발포체(통상, 스펀지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장품을 흡착하여 찍어 바르기가 용이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이때 퍼프(120)는 테두리가 곡면 처리된 원반이나 원통 형상, 럭비공 형상, 구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프(120)는 뚜껑(110)의 제1 퍼프 고정부(1131)에 씌워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으며, 물론 퍼프(120)는 접착제 등에 의해서도 뚜껑(110)에 결합될 수 있고, 퍼프(120)와 뚜껑(110)은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퍼프(120)는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오염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퍼프(120)가 제1 퍼프 고정부(1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필요 시 사용자가 화장품에 의해 오염된 퍼프(120)를 다른 깨끗한 퍼프(120)로 교체함으로써 위생적으로 퍼프(120)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퍼프(120)의 상태에 따라 퍼프(120)를 제1 퍼프 고정부(1131)에서 벗겨내는 등의 방식으로 제1 퍼프 고정부(1131)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함으로써, 청결하게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120)는, 후술할 가압부(130)에 구비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로 화장품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퍼프(120)는, 노즐(102)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화장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스프레이 용기(101)로부터 노즐(102)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이 퍼프(120)에 충분히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노즐(102)과 퍼프(120)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노즐(102)로부터 분사되어 퍼프(120)에 묻는 화장품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격 거리가 증가하면 퍼프(120)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화장품이 분포되나, 지나치게 이격 거리가 커지면 퍼프(120)의 바깥쪽(가압부(130)의 내측)까지 화장품이 분사되고, 이격 거리가 감소하면 퍼프(120)에 화장품이 묻는 부분의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는 일례로 5 내지 20mm일 수 있고, 물론 이는 퍼프(120)의 크기나 노즐(102)의 분사압력, 화장품의 점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퍼프(120)는, 화장품이 묻은 표면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표면이 되도록 하여, 종래의 화장품 용기와는 달리 퍼프(120)의 내부에 화장품이 스며들지 않더라도 화장품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 사용량을 절감하고 퍼프(120)의 위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가압부(130)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승강에 의해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화장품의 배출을 제어한다. 가압부(130)는 용기 본체(100)의 스프레이 용기(101) 상부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는 스프레이 용기(101)의 단턱(1011)에 결합된 승강 제어부(140)를 통해 용기 본체(100)와 간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승강 제어부(140)는 용기 본체(100)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가압부(130)는 승강 제어부(140)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노즐(102)을 가압함으로써 노즐(102)을 통해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하고, 상승하여 노즐(102)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화장품의 배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30)는, 상부에 뚜껑(1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뚜껑(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퍼프(120)가 가압부(13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퍼프(120)가 가압부(130)의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은, 가압부(130) 내부에서 화장품이 분사될 때 퍼프(120)에 고르게 화장품이 묻도록 하기 위함이며, 뚜껑(110)이 가압부(13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분사되는 화장품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가압부(130)의 상부는 뚜껑(110)이 결합됨에 따라 상방이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다만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사되는 화장품 중 가스 성분은 뚜껑(110)에 구비된 퍼프(120)와 가스 배출로(114)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압부(130)는, 나사 방식 또는 홈/돌기 방식 등을 통해 뚜껑(110)과 체결될 수 있으며, 뚜껑(11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뚜껑(110)의 하부에는 퍼프(120)가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는 퍼프(120)를 수시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뚜껑(110)과 가압부(130)는 일체의 회전을 구현하면서도 뚜껑(110)이 가압부(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홈/돌기 방식으로 체결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130)는 상단에 원형의 뚜껑 결합 홈(134)이 형성되며, 뚜껑(110)은 뚜껑 결합 홈(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뚜껑 결합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뚜껑 결합 돌기(112)는 뚜껑(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11)의 하부 외측에 구비될 수 있고, 뚜껑 결합 돌기(112)가 가압부(130)의 뚜껑 결합 홈(134)에 인입될 때 뚜껑(110)이 가압부(130)의 상방을 밀폐시킬 수 있다.
물론 반대로 가압부(130)의 상단에 돌기가 형성되고 뚜껑(110)의 하단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뚜껑(110)과 가압부(130)의 체결 구조를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뚜껑(110)에 의해 가압부(130)가 회전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뚜껑(110)을 통해 후술할 가이드 돌기(133) 및 가이드 홈(141)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압부(130)를 직접 잡고 회전시켜서 가이드 돌기(133)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가압부(130)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노즐(102)을 가압할 수 있으며, 가압부(130)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이면, 가압부(130)는 노즐(102)을 가압하여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가압부(130)는 다시 노즐(102)에 의해 상방으로 반발력을 받아 원위치를 회복할 수 있다.
가압부(130)는 노즐(102)에 결합된 상태로 노즐(102)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으며, 가압부(130)의 하강에 의해 노즐(102) 또한 하강하도록 하여 스프레이 용기(101)로부터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노즐(102)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이 가압부(130)의 내부로 전달되어야만 퍼프(120)에 묻을 수 있으므로, 가압부(130)는 화장품이 관통되도록 하는 화장품 토출공(131)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토출공(131)은 가압부(130)에서 노즐(102)의 상방에 형성되며 가압부(13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토출공(131)은 화장품이 일정 범위로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역 원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화장품 토출공(131)은 화장품이 관통되는 구멍의 형태이면 충분하고, 그 형태를 상기로 한정하지 않는다.
화장품 토출공(131)에는 노즐 결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결합부(132)는, 화장품 토출공(131)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일정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노즐(102)의 주변을 감싸면서 노즐(102)에 결합된다. 노즐 결합부(132)는 내경이 노즐(102)의 외경과 일치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어, 노즐 결합부(132)에 노즐(102)이 끼워질 때 노즐(102)과 가압부(1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노즐 결합부(132)는 노즐(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노즐 결합부(132)는 내경이 노즐(10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노즐(102)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노즐(102)과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102)의 회전이 어려울 시 가압부(130)의 회전을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다만 노즐(102)과 가압부(130)가 충분히 결합되었을 때 노즐 결합부(132)의 하단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노즐 결합부(132)와 스프레이 용기(101) 상면 간의 이격 거리가 가압부(130)의 최대 하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노즐 결합부(132)가 노즐(102)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가압부(130)가 분리되지 않고 노즐(10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노즐 결합부(132)의 두께는 노즐(102)의 반발력이나 가압부(13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즐 결합부(132)는, 내부에 노즐 가압부(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노즐 가압부는 직접적으로 노즐(102)을 가압하는 구성이며, 노즐(10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노즐 결합부(132)는 노즐(102)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이고, 화장품 토출공(131)은 노즐(102)의 상부에 개방된 형태로서 구비되어 화장품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 경우 노즐 결합부(132)와 노즐(102) 간의 결합력만으로는, 가압부(130)의 하강 시 노즐(102)이 가압부(130)에 깊게 삽입됨에 따라 화장품의 분사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노즐 가압부를 구비하고, 노즐 가압부가 노즐(102)의 상단에 밀착되도록 하며, 가압부(130)가 하방으로 움직이더라도 노즐(102)이 필요 이상으로 노즐 결합부(13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노즐 가압부는 가압부(130)에 노즐(102)이 삽입되는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노즐 가압부의 내경은 노즐(102)의 내경보다는 클 수 있다. 이는 노즐 가압부의 내경을 노즐(10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다면 노즐(102)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이 노즐 가압부에 막혀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히 공급될 수 없기 때문이다.
화장품 토출공(131)의 내부에는, 화장품 토출공(131)을 구획하는 격벽(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은 '+'자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화장품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화장품이 퍼프(120)에 고르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130)는, 상부가 일정 높이를 갖되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이다. 가압부(130)는 화장품이 분사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에 퍼프(1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0)의 상단에 뚜껑(110)이 결합되어 가압부(130)의 상부가 뚜껑(11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뚜껑(110)이 가압부(130)의 상단에 결합될 때 퍼프(120)는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가압부(130)가 하강하면 노즐(102) 및 화장품 토출공(131)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이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한 뒤 퍼프(120)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가압부(130)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 또는 내경이 확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절단된 역 원뿔 형태일 수 있으며, 내경의 확장 기울기는 화장품 토출공(131)의 형태, 화장품의 분사 각도나 속도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승강 제어부(140)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압부(130)의 승강을 제어한다. 승강 제어부(140)는 용기 본체(100)의 단턱(1011)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승강 제어부(140)와 용기 본체(100) 사이의 결합력은, 승강 제어부(140)의 승강을 제한하는 동시에 회전도 제한하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용기 본체(100)를 잡고 가압부(130)를 회전시켜서 가이드 돌기(133)가 가이드 홈(141) 내부에서 움직이도록 할 경우, 승강 제어부(140)가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 돌기(133)가 가이드 홈(141) 내부에서 이동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승강 제어부(140)의 상면에는 개구(142)가 형성되어 노즐(102)이 노출될 수 있다. 승강 제어부(140)의 개구(142)를 통해 노출된 노즐(102)은, 가압부(130)의 노즐 결합부(132)에 결합되어 승강됨에 따라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승강 제어부(140)는 외곽에 단턱(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승강 제어부(140)의 단턱에는 가압부(130)의 외곽 하단이 밀착될 수 있다. 가압부(130)의 외곽 하단이 승강 제어부(140)의 외곽 상단에 밀착되는 경우는 가압부(130)가 하강하여 화장품이 배출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가압부(130)의 외곽 하단이 승강 제어부(140)의 외곽 상단에서 이격되는 경우는 가압부(130)가 상승하여 화장품의 배출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가압부(130)가 하강하면 가압부(130)는 노즐(102)에 의해 상방으로 반발력을 받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가압부(130)는 외곽 하단이 승강 제어부(140)의 외곽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승강 제어부(14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홈(141)이 형성될 수 있고, 가압부(13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돌기(133)가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133)가 가이드 홈(141)의 수평 홈(1411) 및 수직 홈(1412)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승강 제어부(140)를 기준으로 가압부(130)의 승강이 일어나거나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설명할 때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화장품이 분사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화장품이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130)의 외곽 하단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단턱(1011)에 결합된 승강 제어부(140)의 외곽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130)의 노즐 결합부(132) 역시 하단이 스프레이 용기(101)의 상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있으며, 노즐(102)의 상단에는 노즐 가압부가 밀착되어 있다.
노즐(102)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분사되지 않는 위치에 놓여있을 수 있으며, 외력이 없다면 노즐(102)은 도 3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가압부(130)와 뚜껑(110)은 외력에 의해 모두 하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가압부(130)의 외곽 하단과 승강 제어부(140)의 외곽 상단 사이의 이격 거리와, 그리고 노즐 결합부(132)와 스프레이 용기(101)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짧은 거리만큼,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102)이 노즐 가압부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가압부(130)가 하강하면 노즐 가압부가 노즐(102)을 하방으로 밀어 내리게 된다. 따라서 스프레이 용기(101)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품은 노즐(102)을 통해서 상방으로 분출되며, 이때 화장품은 화장품 토출공(131)을 거쳐서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에 인입되고,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있는 퍼프(120)에 전달됨으로써 퍼프(120)의 표면에 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퍼프(120)가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압부(130)를 하방으로 움직여서, 화장품이 스프레이 용기(101)로부터 배출되어 퍼프(120)의 표면에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퍼프(120)를 피부에 가볍게 두드려서 화장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에서 승강 제어부(140)가 가압부(130)의 하강을 제어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가압부(130)의 하강이 제한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6은 가압부(130)의 하강이 허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압부(130)는 내측에 가이드 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이나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가압부(130)의 가이드 돌기(133)에 대응하여, 승강 제어부(140)는, 외측에 가이드 돌기(133)가 안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133)는 가이드 홈(141)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홈(141)은, 수평 홈(1411) 및 수직 홈(1412)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수평 홈(1411)과 수직 홈(1412)은 연통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홈(141)에 안착된 가이드 돌기(133)는 수평 홈(1411)에서 수직 홈(1412)으로, 또는 수직 홈(1412)에서 수평 홈(1411)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수평 홈(14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턱(1413)이 형성되어 있는데, 턱(1413)은 가이드 돌기(133)의 움직임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3)는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 홈(1411)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 턱(1413)을 넘어가면서 이동하게 되고, 턱(1413)은 가이드 돌기(133)의 이동을 위해 필요한 외력을 일정 이상으로 제한하면서, 사용자가 가이드 돌기(133)의 이동을 진동이나 소리 등으로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턱(1413)은 가압부(130)의 승강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33)의 위치를 구속하거나, 가압부(130)의 승강이 가능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33)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수평 홈(1411)의 수평 길이가 가이드 돌기(133) 및 1개의 턱(1413)이 수용될 만큼의 크기를 갖는다면, 턱(1413)은 수평 홈(1411)과 수직 홈(1412)을 구분하는 위치에 1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가압부(130)의 내측에는 승강 돌기(135)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돌기(135)는 가압부(130)의 승강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며, 승강 돌기(135)에 대응되도록 승강 제어부(140)에는 외측에 승강 돌기(135)가 안착되도록 하는 승강 홈(143)이 구비될 수 있다.
승강 홈(143)은, 가이드 돌기(133)가 가이드 홈(141)의 수직 홈(1412)에 위치할 때 승강 돌기(135)가 인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가압부(130)가 하강한 상태에서 가압부(1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승강 돌기(135)는, 가이드 돌기(133)가 수평 홈(1411)에 위치해 있을 때 외력에 의해 가압부(130)가 강제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승강 돌기(135)는 승강 홈(143)에 인입되어야만 가압부(130)가 하강되도록 하며, 승강 홈(143)에 인입되지 않으면 승강 제어부(140)의 상면에 걸려 가압부(13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에서 가이드 돌기(133)는, 가이드 홈(141)의 수평 홈(1411)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이드 돌기(133)의 움직임은 좌우 방향으로만 가능할 뿐,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구속된다.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수평 홈(1411) 외에, 승강 돌기(135)에 의해서도 제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돌기(133)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라 함은 가이드 돌기(133)가 구비된 가압부(130)의 상하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가이드 돌기(133)가 가이드 홈(141)의 수평 홈(1411)에 위치하면, 가압부(130)의 승강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가압부(130)가 하강할 수 없으므로 가압부(130)에 의한 노즐(102)의 가압 역시 이루어질 수 없고, 즉 화장품의 배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133)는 가이드 홈(141)의 수직 홈(1412)에 위치하고, 승강 돌기(135)는 승강 홈(143)에 인입되므로, 가이드 돌기(133)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30)가 승강될 수 있으며, 가압부(130)의 하강 시 스프레이 용기(101)에 수용된 화장품이 노즐(102)을 통해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을 거쳐 퍼프(12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가이드 돌기(133)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바, 이는 화장품이 분사되고 있거나 분사된 후의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이와 같은 가이드 돌기(133)와 가이드 홈(141)은 정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 돌기(133)가 승강 제어부(140)의 외측에 구비되고, 가이드 홈(141)이 가압부(13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이 경우 가이드 홈(141)은 'ㄴ'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돌기(133)가 수평 홈(1411)과 수직 홈(1412)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돌기(133)가 구비된 가압부(130)가 회전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앞서 용기 본체(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102) 자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가압부(130)는 노즐(102)과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여 가이드 돌기(133)를 움직일 수 있다.
반면 노즐(102)의 회전이 불가한 경우나 노즐(102) 회전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외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노즐(102)은 고정된 상태로 가압부(130)만 별도로 회전하여 가이드 돌기(133)가 가이드 홈(14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가압부(130)의 회전에 따라서 가압부(130)의 하강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압부(130)의 가이드 돌기(133)를 수평 홈(1411)에 위치시켜서 가압부(130)가 외력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뚜껑(110) 및 가압부(130)의 결합 구조가 일 실시예와 상이하다. 나머지 구성은 일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면 부호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두 구성이 동일한 구성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강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뚜껑(110)은, 일측에 톱니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톱니부(115)는 뚜껑(110)의 퍼프 고정부(113)의 측면 둘레(구체적으로는 제2 퍼프 고정부(1132)의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부(111)의 하부 둘레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부(115)는 뚜껑(110)이 가압부(130)에 결합될 때 가압부(1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압부(130)는, 뚜껑(110)이 결합될 때 톱니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톱니 결합 돌기(136)가 구비될 수 있다. 톱니 결합 돌기(136)는, 톱니부(115)의 톱니 사이에 인입되어 톱니부(115)와 맞물리게 되며, 톱니부(115)와 톱니 결합 돌기(136)가 맞물림에 따라 뚜껑(110)과 가압부(130)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톱니 결합 돌기(136)는 톱니부(115)의 톱니 사이 개수만큼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부(115)와 톱니 결합 돌기(136)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각도는 톱니부(115)의 톱니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뚜껑(110)과 가압부(130)의 결합에 톱니 구조를 활용함으로써 뚜껑(110)과 가압부(130)의 동시 회전을 구현하면서도, 뚜껑(110)이 가압부(130)에 결합되는 각도를 불필요하게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톱니부(115)는 뚜껑(110)의 회전에 의해 가압부(130)도 회전하도록 할 뿐, 뚜껑(110)이 가압부(130)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톱니부(115) 및 톱니 결합 돌기(136)로 뚜껑(110)의 개별 회전을 제한하는 동시에,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뚜껑 결합 돌기(112) 및 뚜껑 결합 홈(134)을 통해 뚜껑(110)의 분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테두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언급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테두리부(150)는, 가압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단이 용기 본체(100)에 결합되고 상단이 가압부(130)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된다. 테두리부(150)는 원통 형태일 수 있으며, 하단이 용기 본체(100)에 결합됨에 따라 가압부(130)의 회전과 무관하게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50)는 용기 본체(100)에 승강 제어부(14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테두리부(150)를 구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장품이 가압부(130)의 하강에 의해 분사되고 가압부(130)의 상방이 뚜껑(110)에 의해 밀폐되므로, 사용자 또는 제3자가 실수로 뚜껑(110)을 가압부(130)의 상단에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130)를 하강시키면, 화장품이 외부로 분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화장품은 스프레이 용기(101)의 내압으로 인해서 강하게 분사되므로,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사용자의 피부에 불필요하게 묻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테두리부(15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가압부(130)를 직접 하강시키지 못하도록 방지하고, 뚜껑(110)의 결합 없이는 화장품이 분사되는 것을 막아 화장품의 낭비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150)는, 상단이 가압부(130)의 상단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동시에 가압부(130)에 결합된 뚜껑(110)의 상단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부(130)를 손 등으로 쉽게 누르지 못하도록 하면서, 뚜껑(110)을 가압부(130)에 결합하면 뚜껑(110)을 이용해 가압부(130)를 쉽게 누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테두리부(150)의 내경은 가압부(130)의 최대 외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압부(130)를 직접 누름에 있어 불편함을 겪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테두리부(150)를 통해 뚜껑(110)의 결합 없이 가압부(13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압부(130)의 내부 공간이 뚜껑(110) 및 퍼프(120)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만 화장품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불필요한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뚜껑(110)과 가압부(130)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뚜껑 결합 돌기(112) 등을 이용한 결합 구조 및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톱니부(115) 결합 구조를 통해서 결합되어, 뚜껑(110)에 의해 가압부(130)의 회전이나 승강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가이드 돌기(133) 및 가이드 홈(141) 구조는, 용기 본체(100)와 가압부(130) 사이에서 형성되는 대신에, 가압부(130)와 테두리부(15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부(130)에는 외면에 가이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테두리부(150)는 내면에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홈은 앞서 설명한 가이드 홈(141)과 마찬가지로 수평 홈(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수직 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가이드 돌기는 수직 홈에 위치할 때에만 가압부(130)의 승강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뚜껑(11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130)가 눌림에 따라 화장품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화장품 용기 100: 용기 본체
101: 스프레이 용기 1011: 단턱
102: 노즐 110: 뚜껑
111: 손잡이부 1111: 손잡이
1112: 외측 배출공 112: 뚜껑 결합 돌기
113: 퍼프 고정부 1131: 제1 퍼프 고정부
1132: 제2 퍼프 고정부 1133: 내측 배출공
114: 가스 배출로 115: 톱니부
120: 퍼프 130: 가압부
131: 화장품 토출공 132: 노즐 결합부
133: 가이드 돌기 134: 뚜껑 결합 홈
135: 승강 돌기 136: 톱니 결합 돌기
140: 승강 제어부 141: 가이드 홈
1411: 수평 홈 1412: 수직 홈
1413: 턱 142: 개구
143: 승강 홈 150: 테두리부

Claims (16)

  1. 하부에 퍼프가 결합된 뚜껑; 및
    용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퍼프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퍼프는, 상기 화장품이 배출될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출구와 이격되어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화장품은 상기 퍼프에서 화장품을 전달하는 표면에 공급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및 상기 가압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승강 제어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화장품을 수용하는 스프레이 용기; 및
    상기 스프레이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가압에 의해 상기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부에 상기 뚜껑이 결합되면 상방이 외부와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화장품이 관통되도록 하는 화장품 토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화장품 토출공의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노즐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노즐에 결합되는 노즐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 또는 내경이 확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제어부는, 외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수평 홈 및 수직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수평 홈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차단하고, 상기 수직 홈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의 승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내측에 승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제어부는, 외측에 상기 승강 돌기가 안착되도록 하는 상기 승강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수직 홈에 위치할 때 상기 승강 돌기가 인입되도록 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사되는 화장품에 포함된 가스 성분이, 상기 퍼프를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스 배출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퍼프를 고정하며, 상기 퍼프를 관통한 가스 성분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측 배출공이 형성되는 퍼프 고정부; 및
    상기 퍼프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 배출공을 통해 유입된 가스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는 외측 배출공이 외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일측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뚜껑이 결합될 때 상기 톱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톱니 결합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부의 상단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상기 노즐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화장품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40040181A 2014-02-03 2014-04-03 화장품 용기 KR101563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00692.2A CN105163626B (zh) 2014-02-03 2015-02-02 化妆品容器
CN201610631140.8A CN106213753B (zh) 2014-02-03 2015-02-02 化妆品容器
SG11201606371TA SG11201606371TA (en) 2014-02-03 2015-02-02 Cosmetic vessel
CN201810113674.0A CN108175172B (zh) 2014-02-03 2015-02-02 化妆品容器
CN201910741328.1A CN110356720B (zh) 2014-02-03 2015-02-02 化妆品容器
CN201910740538.9A CN110451097B (zh) 2014-02-03 2015-02-02 化妆品容器
PCT/KR2015/001066 WO2015115868A1 (ko) 2014-02-03 2015-02-02 화장품 용기
CN201910740520.9A CN110419846B (zh) 2014-02-03 2015-02-02 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2244 2014-02-03
KR1020140012244 2014-02-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34A Division KR101603042B1 (ko) 2014-02-03 2015-05-11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690A KR20150092690A (ko) 2015-08-13
KR101563083B1 true KR101563083B1 (ko) 2015-10-26

Family

ID=54056656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181A KR101563083B1 (ko) 2014-02-03 2014-04-03 화장품 용기
KR1020150065334A KR101603042B1 (ko) 2014-02-03 2015-05-11 화장품 용기
KR1020160023315A KR101876012B1 (ko) 2014-02-03 2016-02-26 화장품 용기
KR1020160070455A KR101684225B1 (ko) 2014-02-03 2016-06-07 화장품 용기
KR1020160070461A KR101684226B1 (ko) 2014-02-03 2016-06-07 화장품 용기
KR1020170116751A KR101821932B1 (ko) 2014-02-03 2017-09-12 화장품 용기
KR1020180075065A KR101947746B1 (ko) 2014-02-03 2018-06-28 화장품 용기
KR1020190013306A KR102016670B1 (ko) 2014-02-03 2019-02-01 화장품 용기
KR1020190104492A KR102106166B1 (ko) 2014-02-03 2019-08-26 화장품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334A KR101603042B1 (ko) 2014-02-03 2015-05-11 화장품 용기
KR1020160023315A KR101876012B1 (ko) 2014-02-03 2016-02-26 화장품 용기
KR1020160070455A KR101684225B1 (ko) 2014-02-03 2016-06-07 화장품 용기
KR1020160070461A KR101684226B1 (ko) 2014-02-03 2016-06-07 화장품 용기
KR1020170116751A KR101821932B1 (ko) 2014-02-03 2017-09-12 화장품 용기
KR1020180075065A KR101947746B1 (ko) 2014-02-03 2018-06-28 화장품 용기
KR1020190013306A KR102016670B1 (ko) 2014-02-03 2019-02-01 화장품 용기
KR1020190104492A KR102106166B1 (ko) 2014-02-03 2019-08-2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9) KR101563083B1 (ko)
CN (5) CN110451097B (ko)
SG (1) SG11201606371T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95U (ko) * 2016-01-08 2017-07-18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89Y1 (ko) * 2015-11-19 2020-02-19 (주)더페이스샵 거울이 부착된 화장품 용기
CN108601434B (zh) * 2016-03-25 2021-04-13 卢叡愚 氧气混合化妆品容器
CN111701780B (zh) * 2020-06-19 2021-11-26 湖南云天雾化科技有限公司 吸入式雾化器、雾化杆、冷却雾化头
KR102293172B1 (ko) 2020-07-13 2021-08-25 주식회사 승일 분사 용기
KR102594308B1 (ko) * 2021-08-02 2023-10-30 주식회사 한결바이오 스프레이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역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281A (ja) 1999-11-19 2001-05-29 Suriiaroozu:Kk 噴射缶のキャップ装置
JP2005087736A (ja) * 2003-09-12 2005-04-07 L'oreal S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379B2 (ja) 1991-08-29 2000-12-18 花王株式会社 撥水性化粧用粉体及び該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FR2792296B1 (fr) * 1999-04-16 2001-06-01 Oreal Capsule applicatrice et ensemble d'application equipe d'une telle capsule applicatrice
FR2804846B1 (fr) * 2000-02-16 2002-08-09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e structure poreuse incorporant un agent biocide
FR2816181B1 (fr) 2000-11-07 2003-09-05 Oreal Recipient equipe d'un tube plongeur et d'un element d'application
FR2816285B1 (fr) * 2000-11-07 2003-04-18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e unite amovible
FR2823726B1 (fr) * 2001-04-20 2003-06-27 Orea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ou de soin
KR200346588Y1 (ko) 2003-12-31 2004-04-03 (주)시선래브 화장품 용기
KR200380074Y1 (ko) * 2004-12-29 2005-03-28 고길성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ES2330534T3 (es) * 2005-08-05 2009-12-11 Unilever N.V. Tapa dosificadora para un dispositivo de pulverizacion.
KR200401447Y1 (ko) 2005-08-09 2005-11-17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100757511B1 (ko) * 2005-08-12 2007-09-11 변영광 파우더 토출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42230Y1 (ko) * 2006-12-11 2008-10-20 (주)아모레퍼시픽 펌프용기의 누름버튼 잠금장치
KR200442431Y1 (ko) * 2007-01-09 2008-11-10 주식회사 두코 분사식 화장품용기
JP2008259636A (ja) * 2007-04-11 2008-10-30 Kemikosu Creations Kk 粉末化粧料容器
CN201049808Y (zh) * 2007-06-11 2008-04-23 深圳万隆行贸易有限公司 一种带喷嘴的瓶盖装置
KR200444902Y1 (ko) * 2007-08-27 2009-06-15 (주)연우 배출부 인출식 튜브형 용기
KR100916719B1 (ko) * 2007-11-12 2009-09-14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0942488B1 (ko) * 2007-11-20 2010-02-12 조하연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0847460B1 (ko) 2008-04-21 2008-07-21 김길수 액상화장품 용기용 펌핑노즐
FR2943044B1 (fr) * 2009-03-13 2011-05-06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KR101150776B1 (ko) * 2009-12-08 2012-06-08 (주)에스엔피월드 가압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20110289890A1 (en) * 2010-05-27 2011-12-01 Brian Lee Floyd Product Dispensing Device
CN201743143U (zh) * 2010-08-23 2011-02-16 杭州孔凤春化妆品有限公司 一种粉饼盒
JP2012070990A (ja) 2010-09-29 2012-04-12 Shiseido Co Ltd 化粧用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101218738B1 (ko) * 2010-12-03 2013-01-21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US8333304B1 (en) * 2011-02-01 2012-12-18 Haage Gregory A Select-a-spray
KR101261025B1 (ko) * 2011-03-30 2013-05-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내장형 용기
KR101269409B1 (ko) * 2011-04-12 2013-05-30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130119820A (ko) * 2012-04-24 2013-11-01 임병대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KR101322750B1 (ko) 2013-02-18 2013-1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파우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장치
KR101364103B1 (ko) 2013-04-01 2014-02-21 이넬화장품 주식회사 화장액 용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281A (ja) 1999-11-19 2001-05-29 Suriiaroozu:Kk 噴射缶のキャップ装置
JP2005087736A (ja) * 2003-09-12 2005-04-07 L'oreal S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95U (ko) * 2016-01-08 2017-07-18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0488940Y1 (ko) * 2016-01-08 2019-04-08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51097B (zh) 2021-05-14
KR101947746B1 (ko) 2019-02-14
KR102016670B1 (ko) 2019-08-30
KR101684225B1 (ko) 2016-12-07
CN110356720B (zh) 2021-02-05
CN108175172B (zh) 2020-03-10
CN110356720A (zh) 2019-10-22
CN105163626B (zh) 2018-04-27
CN106213753B (zh) 2019-11-22
SG11201606371TA (en) 2016-09-29
KR101603042B1 (ko) 2016-03-11
KR20160030902A (ko) 2016-03-21
KR101876012B1 (ko) 2018-07-06
KR20180077143A (ko) 2018-07-06
KR20190015446A (ko) 2019-02-13
KR101684226B1 (ko) 2016-12-07
CN110451097A (zh) 2019-11-15
KR20150092690A (ko) 2015-08-13
CN106213753A (zh) 2016-12-14
KR20190103119A (ko) 2019-09-04
KR101821932B1 (ko) 2018-01-24
CN105163626A (zh) 2015-12-16
KR20170106631A (ko) 2017-09-21
KR102106166B1 (ko) 2020-04-29
KR20160075416A (ko) 2016-06-29
CN108175172A (zh) 2018-06-19
KR20150092031A (ko) 2015-08-12
KR20160075417A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46B1 (ko) 화장품 용기
US10695780B2 (en) Liquid discharging vessel
JP6886941B2 (ja) 液体吐出容器
KR101268869B1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KR10152942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2011072943A (ja) 押下ヘッド及び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KR200473938Y1 (ko) 회전 펌핑 샴푸용기
CN110419846B (zh) 化妆品容器
KR101817337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101583902B1 (ko) 화장품 용기
KR20130005050A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1616232B1 (ko) 화장품 용기
KR102649361B1 (ko) 화장품
KR102649345B1 (ko) 화장품
KR200479565Y1 (ko) 화장품 용기
KR102622778B1 (ko) 화장품
KR20170010944A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JP6983081B2 (ja) ポンプ容器
KR10167109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7565Y1 (ko) 일회용 미스트 장치
KR200473413Y1 (ko) 배출제어장치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