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820A -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820A
KR20130119820A KR1020120043198A KR20120043198A KR20130119820A KR 20130119820 A KR20130119820 A KR 20130119820A KR 1020120043198 A KR1020120043198 A KR 1020120043198A KR 20120043198 A KR20120043198 A KR 20120043198A KR 20130119820 A KR20130119820 A KR 2013011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tents
container body
container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근
Original Assignee
임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대 filed Critical 임병대
Priority to KR102012004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820A/ko
Publication of KR2013011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형태로 내부에 내용물(A)이 충진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일정한 굵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1)가 마련되고,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를 막아 내용물을 보존하는 상부캡(20)과, 상기 용기 본체(10) 내에 안내되어 내용물을 가압배출하기 위한 피스톤(30)을 포함하여서 된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는 피스톤(30)을 안내 수용하기 위한 안내돌부(12)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0)의 외측둘레에는 수용된 피스톤(30)을 밀어 올리기 위한 장공(14)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취편(16) 및 절취편(16)에 의해 절취되는 장공형의 절취부(18)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용기 본체로부터 피스톤 삽입, 내용물의 충전, 상부캡의 조립순서가 자동화 포장공정에 최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포장조합되며, 사용상에 있어 절취편과 절취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기 본체를 쥐고 상부캡을 개방하거나, 장공을 통한 피스톤을 엄지 손가락으로 밀어 내용물을 요구하는 정도로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로서 포장성과 취급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Content conservation pressurization style horoscope material pack}
본 발명은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포장되는 포장용기를 개선하여 포장 자동화 라인에서 내용물의 효율적인 포장 및 포장용기의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 후 재포장 방지와 함께 사용자가 의도한 만큼의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성을 지닌 액상 상태의 내용물 예를 들어, 치약, 약품 또는 젤 상태의 화장용액, 식품에서 사용하는 소스 등과 같은 내용물은 튜브타입과 같이 용기를 눌러 내용물을 짜내는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용기 내부에 피스톤을 수용하여 피스톤을 가압하는 형태로 제조하여 피스톤을 점차 가압하는 방법으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 제품이 있다.
내물을 압출시키기 위한 피스톤방식이 적용된 포장용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대부분 나사식 레버를 회전시켜 피스톤을 용기 내부에서 전진시켜 내용물을 가압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피스톤을 포함한 나사봉, 레버, 등과 같이 정밀한 금형설계를 요하게 되는 상기 포장용기는 일회용으로 사용되기에는 많은 비용부담이 있으며, 피스톤을 포함한 그외 주변 구성품의 해체 및 조립으로 재사용될 수 있는 우려로 특히 내용물이 식품이거나 시품관련부분이라면, 물품을 구입한 소비자 측면에서 일회용 포장용기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피스톤을 유동시키기 위한 레버의 회전동작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취급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소정의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포장되는 포장용기를 개선하여 포장 자동화 라인에서 내용물의 효율적인 포장 및 포장용기의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 후 재포장 방지와 함께 사용자가 의도한 만큼의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형태로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일정한 굵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고,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를 막아 내용물을 보존하는 상부캡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안내되어 내용물을 가압배출하기 위한 피스톤을 포함하여서 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는 피스톤을 안내 수용하기 위한 안내돌부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의 외측둘레에는 수용된 피스톤을 밀어 올리기 위한 장공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취편 및 절취편에 의해 절취되는 장공형의 절취부가 일체로 형성된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로부터 피스톤 삽입, 내용물의 충전, 상부캡의 조립순서가 자동화 포장공정에 최적으로 적합한 형태로 포장조합되며, 사용상에 있어 절취편과 절취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용기 본체를 쥐고 상부캡을 개방하거나, 장공을 통한 피스톤을 엄지 손가락으로 밀어 내용물을 요구하는 정도로만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용기로서 포장성과 취급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일회용 포장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포장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의 포장용기에서 절취부를 떼어낸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배출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형태로 내부에 내용물(A)이 충진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일정한 굵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1)가 마련되고,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를 막아 내용물을 보존하는 상부캡(20)과, 상기 용기 본체(10) 내에 안내되어 내용물을 가압배출하기 위한 피스톤(30)을 포함하여서 된 일회용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는 피스톤(30)을 안내 수용하기 위한 안내돌부(12)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0)의 외측둘레에는 수용된 피스톤(30)을 밀어 올리기 위한 장공(14)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취편(16) 및 절취편(16)에 의해 절취되는 장공형의 절취부(1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0)의 외측둘레에는 마찰력을 위한 조면(粗面)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서 발췌된 바와 같이 상기 조면은 미세한 삼각 돌기로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피스톤(30)은 장공(14)에 있어, 장공이 형성된 범위에서 피스톤을 상승시키면 피스톤의 최상부측 돌기는 상기 상부캡(20)의 배출구(21)내에 안내되어 내용물(A)을 최대한 밀어낼 수 있도록 그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20)은 통상적으로 그 내경에 결합턱을 형성하고, 용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턱에 맞물려 합되면 이탈되지 않게 조합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부캡과 용기 본체와의 조합은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피스톤(30)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요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1) 내에는 장공(14)을 관통하는 손잡이 인출편(32)이 마련되며, 하단측 외측둘레에 용기 본체(10)에 직선상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측 내경에는 손잡이 인출편(32)이 장공(14)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돌기(33)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0)에 형성된 손잡이 인출편(32)은 장공(14)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피스톤(30)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서 회동가능한 정도를 유지하며, 상부 외측에는 손으로 잡기 용이한 돌출턱(3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일회용 포장용기(100)는, 용기 본체(10) 내에 피스톤(30)이 안내된 상태에서 포장 자동화 공정 라인을 거쳐 이동하면서 포장하고자 하는 내용물(A)이 자동 정량으로 용기 본체 내에 충진된 상태에서 상부캡(20)이 조합이 자동으로 연속 이루어지는 포장공정을 통해 포장이 완료되어 제품으로서의 출고가 이루어진다.
즉, 준비된 용기 본체(10), 피스톤(30)을 안내돌부(12)에 안내 삽입, 내용물(A)의 충전, 상부캡(20)의 조합공정은 자동화 라인에서 효과적인 포장 및 조합공정으로서 제품이 출고된다.
출고된 포장용기(100)의 사용은 용기 본체(10)에 형성된 절취편(16)을 첨부된 도 1에서 발췌한 부분과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절취편(16)과 함께 절취부(18)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따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절취편(16)으로부터 절취부(18)와 연결되는 띠 형태는 절취가 쉽도록 외부로부터 깊이를 갖게 형성하여 절취편을 시작으로 절취가 이루어지면서 절취부 또한 용기 본체로부터 떨어져 나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취부(18)의 제거된 상태에서는 장공(14)이 형성되며, 장공(14)을 통한 그 내측에는 피스톤(30)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피스톤(30)을 상부캡(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 본체(10)를 손에 감아 쥔 상태에서 피스톤을 전진(도면상에는 상부 방향임)상태로 밀어주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내용물(A)을 배출구(21)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부캡(20)을 열고, 피스톤(30)을 밀어 내용물(A)을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에 따른 취급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식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포장용기(10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도 5에서 피스톤(30)은 그 외측둘레에 요홈(31)을 형성하고, 요홈(31) 내에 손잡이 인출편(32)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용기 본체(10)의 상부 내경으로부터 마련된 가이드홈(11)에 피스톤(30)의 하부측 가이드 돌기(33)를 안내시켜 피스톤(30)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의 충전 이후 상부캡(20)의 밀봉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용기 본체(10)로부터 절취편(16)과 절취부(18)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장공(14)을 형성시키며, 장공(14)이 드러난 상태에서 그 내측에 위치한 피스톤(30)의 요홈(31)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인출편(32)을 외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인출시켜 준다.
상기 손잡이 인출편(32)의 돌출턱(32a)을 쥐고, 도 8에서와 같이 피스톤(30)을 상승시켜 주면 내용물(A)은 상부캡(20)의 배출구(21)를 통해 요구하는 만큼 배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피스톤이 용기 본체 내부의 최상부로 위치되어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한 상태에서 일회용 포장용기는 장공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재충전이 불가하며, 다른 용도의 물품의 합성수지물로 재활용하는 정도로만 활용이 가능하다.
10: 용기 본체 11: 가이드홈
12: 안내돌부 14: 장공
16: 절취편 18: 절취부
20: 상부캡 21: 배출구
30: 피스톤 31: 요홈
32: 손잡이 인출편 33: 가이드 돌기
A: 내용물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형태로 내부에 내용물(A)이 충진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일정한 굵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1)가 마련되고,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를 막아 내용물을 보존하는 상부캡(20)과, 상기 용기 본체(10) 내에 안내되어 내용물을 가압배출하기 위한 피스톤(30)을 포함하여서 된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에는 피스톤(30)을 안내 수용하기 위한 안내돌부(12)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10)의 외측둘레에는 수용된 피스톤(30)을 밀어 올리기 위한 장공(14)을 형성시키기 위한 절취편(16) 및 절취편(16)에 의해 절취되는 장공형의 절취부(1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0)의 외측둘레에는 마찰력을 위한 조면(粗面)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0)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요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1) 내에는 장공(14)을 관통하는 손잡이 인출편(32)이 마련되며, 하단측 외측둘레에 용기 본체(10)에 직선상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돌기(33)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측 내경에는 손잡이 인출편(32)이 장공(14)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가이드돌기(33)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KR1020120043198A 2012-04-24 2012-04-24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KR20130119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98A KR20130119820A (ko) 2012-04-24 2012-04-24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98A KR20130119820A (ko) 2012-04-24 2012-04-24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820A true KR20130119820A (ko) 2013-11-01

Family

ID=4985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198A KR20130119820A (ko) 2012-04-24 2012-04-24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446A (ko) * 2014-02-03 2019-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446A (ko) * 2014-02-03 2019-0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28494A (en) Containers for pasty and similar substances
EP2796383A1 (en) Plug
CN106458395A (zh) 用于容器的安全封闭件
EP3060492B1 (fr) Tê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smétique comprenant un organe de raclage, e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associé
US20130228591A1 (en) Product dispenser package for personal use
KR20130000273A (ko) 이종 내용물 보관 용기
KR200461736Y1 (ko) 화장품 보관용 앰플
CN110636775B (zh) 具有模块化结构的容器
KR20130119820A (ko) 내용물 보존 밀림식 점성물질 포장용기
US20080302826A1 (en) Plunger tube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00005762A (ko) 분말의 일정량 배출구
KR20120041712A (ko) 일회용 포장용기
WO2007133952A1 (en) Bag-in-box packaging
TW201601661A (zh) 化妝品容器
US20110104343A1 (en) Draw tube container
KR200227219Y1 (ko) 일회용 화장품 용기
EP2557055B1 (en) Packaging combination comprising a tubular casing and a dispensing device with opening means
KR101447061B1 (ko) 튜브용기
US20080296300A1 (en) Pouring Package and Pouring Member
KR20120029242A (ko)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US20190142137A1 (en) Cosmetic packaging
KR200474475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KR200469583Y1 (ko)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