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40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40Y1
KR200488940Y1 KR2020160000143U KR20160000143U KR200488940Y1 KR 200488940 Y1 KR200488940 Y1 KR 200488940Y1 KR 2020160000143 U KR2020160000143 U KR 2020160000143U KR 20160000143 U KR20160000143 U KR 20160000143U KR 200488940 Y1 KR200488940 Y1 KR 200488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posite end
cap part
cosmetic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595U (ko
Inventor
김형상
안구섭
이제민
김효인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4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화장용액을 수용하고, 일 측에 토출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일 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착탈되어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며, 반대 단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캡부;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에 착탈되는 제 2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에 도포부가 부착되어,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와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의 결합 시, 상기 도포부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이중 구조의 캡부에 도포부를 수납하고, 캡부 분리에 따라 노출되는 도포부를 분리된 캡부와 일체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썬크림 등의 화장용액이 수용되는 연성 재질의 튜브 몸체와 튜브 몸체 일단에 탈착되어 토출구를 개폐하는 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캡부를 통해 세워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이 용이하며, 캡부 개방 후 튜브 몸체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간이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장품 분야뿐만 아니라 치약 등 액체 또는 젤 형태 다양한 생필품의 제조 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액체 또는 젤 형태의 단일 화장품만을 용기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고체 화장품, 퍼프(puff) 등의 추가적인 화장용품에 대한 수납 또는 보관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상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 구조의 캡부에 도포부를 수납하고, 캡부 분리에 따라 노출되는 도포부를 분리된 캡부와 일체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화장용액을 수용하고, 일 측에 토출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일 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착탈되어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며, 반대 단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캡부;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에 착탈되는 제 2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에 도포부가 부착되어,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와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의 결합 시, 상기 도포부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부는 고형 또는 반고형의 화장품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부는 퍼프(puff) 또는 브러시(brush)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형 화장품 또는 상기 도포부는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의 표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캡부의 반대 단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의 표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함몰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외측으로 힌지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캡부의 반대 단부는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호 착탈 가능한 이중 구조의 캡부에 화장용품(즉, 도포부)을 추가적으로 수납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 및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필요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측의 캡부를 분리하여 노출된 도포부를 분리된 캡부와 일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캡부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캡부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양한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00)는 몸체부(110) 및 캡부(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화장용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로서, 일 측에 토출부(112)가 형성되어, 토출부(112)를 통해 화장용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부(112)에는 화장용액이 이동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몸체부(110)의 측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화장용액을 토출부(11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튜브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부(110)에 수용되는 화장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썬크림, 액상의 파우더,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로션, 스킨, 크림, 아이라이너 용액, 틴트, 글로즈, 마스카라 용액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액상의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다.
캡부(120, 130)는 상호 착탈 가능한 제 1 캡부(120) 및 제 2 캡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캡부(120)는 일 단부가 몸체부(110)에 착탈되어 토출부(112)를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캡부(120)의 반대 단부는 제 2 캡부(130)가 착탈되며, 이러한 반대 단부의 표면이 내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소정의 형상의 수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22)의 형상은 제 2 캡부(130)에 부착된 도포부(132)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캡부(130)는 일 단부가 수용홈(122)이 형성된 제 1 캡부(120)의 반대 단부에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제 1 캡부(120)와 결합되는 제 2 캡부(130)의 일 단부의 표면에는 소정의 형상의 도포부(132)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부(132)는, 제 1 캡부(120)와 제 2 캡부(130)와의 결합 시, 제 1 캡부(120)의 수용홈(122)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캡부(120, 13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2 캡부(1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캡부(120)와 몸체부(110)의 착탈 및 제 1 캡부(120)와 제 2 캡부(130)의 착탈은, 나사 회전 방식, 억지 끼움 방식 등,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 제 1 캡부(120) 및 제 2 캡부(130) 각각에는 이러한 착탈 가능한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1 이상의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캡부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캡부(130)는 제 1 캡부(120)와 결합되는 일 단부의 표면에 소정의 형상의 도포부(132)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부(132)는, 제 1 캡부(120)와의 결합 시, 제 1 캡부(120)에 형성된 수용홈(122)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132)는 고형 또는 반고형의 화장품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장품은 썬밤(sun balm), 립밤(lip balm) 등의 밤(balm) 형태의 화장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조성의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132)는 퍼프(puff) 또는 브러시(brush)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도포부(132)는 다양한 화장용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퍼프는, 예를 들어, 발포우레탄,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아미드폼, 폴리에스터폼, 폴리에테르폼, 폴리우레탄폼,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포부(132)는 이들이 부착되는 제 2 캡부(130)의 일 단부의 표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캡부(120)로부터 제 2 캡부(130)의 분리 시, 돌출된 형태의 도포부(132)가 외부로 바로 노출되기 때문에, 도포부(132)를 제 2 캡부(130)로부터 추가적으로 분리할 필요없이 제 2 캡부(130)에 부착된 상태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포부(132)가 퍼프 또는 브러시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캡부(130)는 화장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2 캡부(130)의 반대 단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부(1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34)를 통해, 사용자는 제 2 캡부(130)를 제 1 캡부(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 후, 노출된 도포부(132)를 제 2 캡부(130)와 일체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134)는,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등의 고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 회동을 통해 접철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캡부(130)의 반대 단부의 표면에는 손잡이부(1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함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4)는 적어도 일부가 이러한 함몰부(136)에 수용되도록 접철된 상태(즉, 접힌 상태)에서, 함몰부(136)의 외측 방향으로 힌지 회동함으로써, 제 2 캡부(130)의 반대 단부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즉, 펼쳐진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136)을 통해 손잡이부(134)가 접힌 상태에서 제 2 캡부(130)의 반대 단부의 표면이 돌출 부위가 없는 평탄면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에, 통상의 튜브형 용기와 동일하게 화장품 용기(100)를 뒤집어 지면 상에 세워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제 2 캡부(130)의 형태 및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캡부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캡부(230)는 손잡이부(234)가 표면에 대해 회동하지 않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의 손잡이부(234)의 일단이 제 2 캡부(23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결합됨으로써, 손잡이부(234)가 힌지 회동 등을 통해 접철되지 않고 제 2 캡부(230)의 반대 단부에 대해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되는 제 2 캡부(230)의 형태 및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캡부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캡부(330)의 반대 단부에는 보조 결합부(3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결합부(338)를 통해, 제 2 캡부(330)의 반대 단부는 제 1 캡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보조 결합부(338)는 제 1 캡부(120)에 형성된 수용홈(122)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보조 결합부(338)가 수용홈(122)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2 캡부(330)의 반대 단부가 제 1 캡부(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포부(132)의 사용 필요 시, 제 2 캡부(330)를 제 1 캡부(120)에서 분리하여 도포부(132)를 노출시키고, 제 2 캡부(330)의 반대 단부를 보조 결합부(338)를 통해 제 1 캡부(12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 1 캡부(120) 및/또는 몸체부(110)를 손잡이와 같이 파지하여 도포부(13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보조 결합부(338)의 형상 및 결합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다양한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캡부(120)와 제 2 캡부(130)는 하나로 결합되어, 화장품 용기(100)의 토출부(112)를 개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 용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화장품 용기(100)를 캡부(120, 130)의 평탄면(즉, 제 2 캡부(130)의 손잡이부(134)가 접힌 상태에 형성되는 평탄면)을 통해 세워서 거치하다가, 화장용액의 사용 필요 시, 캡부(120, 130)를 몸체부(110)로부터 일체로 분리하여 토출부(112)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몸체부(110)를 가압함으로써, 화장용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캡부(130)는 제 1 캡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잡이부(134)를 함몰부(136)로부터 힌지 회동시켜 펼친 후, 손잡이부(134)를 파지하여 제 1 캡부(120)로부터 제 2 캡부(130)를 분리할 수 있다. 제 2 캡부(130)를 분리하는 경우, 제 1 캡부(120)의 수용홈(122)에 수납되어 있던 도포부(132)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잡이부(134)를 이용하여 제 2 캡부(130)를 파지한 상태로 고형 또는 반고형의 화장품을 얼굴 등에 직접 도포하거나, 고상, 액상, 분말 등으로 이루어진 다른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2 캡부(13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화장품 용기(100)를 지면상에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수용홈(122)이 형성된 제 1 캡부(120)의 반대 단부는 적어도 일부(특히, 수용홈(12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가 평탄면을 가지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실제 구현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캡부(130)에 도포부(132)로서, 퍼프가 부착되도록 구현된 화장용 용기(10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부(132)는 캡부(120, 130) 내부(즉, 제 1 캡부(120)의 수용홈(122))에 수납되어 있다가 제 2 캡부(130)의 분리 시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분리된 제 2 캡부(130)를 하나의 화장용 어플리케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토출부(112)를 개폐하는 캡부(120, 130)를 제 1 캡부(120) 및 제 2 캡부(130)가 결합된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내부에 추가적인 화장용품을 수납시키고, 필요 시, 제 2 캡부(130)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화장용품을 제 2 캡부(130)와 일체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몸체부
112 토출부 120 제 1 캡부
122 수용홈 130, 230, 330 제 2 캡부
132 도포부 134, 234 손잡이부
136 함몰부 338 보조 결합부

Claims (8)

  1. 화장품 용기로서,
    화장용액을 수용하고, 일 측에 토출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일 단부가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되, 결합 시 상기 토출부를 밀폐하고 분리 시 상기 토출부를 개방하며, 반대 단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캡부;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에 고형 또는 반고형의 화장품이 부착되어,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와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의 결합 시, 상기 화장품이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일 단부의 표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화장품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캡부의 반대 단부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보조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고리 형상인, 화장품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의 표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함몰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외측으로 힌지 회동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캡부의 반대 단부는 상기 제 1 캡부의 상기 반대 단부에 결합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20160000143U 2016-01-08 2016-01-08 화장품 용기 KR200488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43U KR200488940Y1 (ko) 2016-01-08 2016-01-0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43U KR200488940Y1 (ko) 2016-01-08 2016-01-08 화장품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563U Division KR20170002601U (ko) 2017-05-25 2017-05-25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95U KR20170002595U (ko) 2017-07-18
KR200488940Y1 true KR200488940Y1 (ko) 2019-04-08

Family

ID=5939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43U KR200488940Y1 (ko) 2016-01-08 2016-01-0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4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385Y1 (ko) * 1999-07-31 2000-02-15 김장철 유아용분저장용기
KR101563083B1 (ko) * 2014-02-03 2015-10-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470U (ko) * 2007-09-07 2009-03-11 주식회사 제너럴 네트 휴대용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385Y1 (ko) * 1999-07-31 2000-02-15 김장철 유아용분저장용기
KR101563083B1 (ko) * 2014-02-03 2015-10-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95U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434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otating contents container
US7226227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in particular a cosmetic
KR200477739Y1 (ko) 리필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US8074665B2 (en) Cosmetics container
US8156949B2 (en) Cosmetic storage and application device
US20090044827A1 (en) Cosmetics container system
CN210988722U (zh) 化妆品容器
KR101791682B1 (ko) 내용물 용기가 회전되어 잔량을 방지하는 콤팩트 용기
JP3884414B2 (ja) 物質、特に化粧品の包装兼小出し器具
KR102164415B1 (ko) 내용기의 회전 체결구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848636B1 (ko) 퍼프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20170002601U (ko) 화장품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79043Y1 (ko) 텐션부재를 구비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794511B1 (ko) 하부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796832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12433A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488940Y1 (ko) 화장품 용기
KR200414842Y1 (ko) 파우치 타입 색조 화장품 용기
KR101745362B1 (ko) 출몰식 도포부재를 형성한 화장품 용기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WO2000076367A1 (fr) Contenant de produit de maquillage
KR200477997Y1 (ko) 회전 가능한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70022167A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KR20090005103U (ko) 화장품과 브러쉬 보관이 가능한 뚜껑을 갖는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91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9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6

Effective date: 2019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