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564B1 -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 Google Patents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564B1
KR101562564B1 KR1020150094920A KR20150094920A KR101562564B1 KR 101562564 B1 KR101562564 B1 KR 101562564B1 KR 1020150094920 A KR1020150094920 A KR 1020150094920A KR 20150094920 A KR20150094920 A KR 20150094920A KR 101562564 B1 KR101562564 B1 KR 10156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
panel
eva panel
protrusions
nois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이비비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이비비들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이비비들리
Priority to KR102015009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E04B2001/847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with non-planar interior transition surfaces between layers, e.g. faceted, corru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면 연속 돌기를 갖는 제1 EVA 패널과 그 상부에 하면 연속 돌기를 갖는 제2 EVA 패널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층간소음을 감쇠시키면서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은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및 상부면에 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슬래브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1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패널; 및 상기 제1 EVA 패널 상부에 적층되며 하부면에 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EVA 패널 상부에 형성된 연속 돌기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2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제2 EVA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INTER-FLOOR NOISE PREVENTION AND INSULATION PANEL OF MULTI BREAK STRUCTURE USING EVA}
본 발명은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이용한 다중 차단 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보온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측 연속 돌기를 갖는 제1 EVA 패널과 그 상부에 하측 연속 돌기를 갖는 제2 EVA 패널을 적층하여 구성되어 층간소음을 감쇠시키면서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EVA 패널의 상부면에 부직포와 반사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보온 성능이 구비된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의 바닥 충격음은 그대로 아래층으로 전달됨으로써 입주민 상호 간의 분쟁 원인을 빈번히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층과 연결되는 시멘트 슬래브 층의 두께를 두껍게 시공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으나, 슬래브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공동주택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건물 골조를 사용해야만 하는 등, 결과적으로는 건축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아래층과 연결되는 시멘트 슬래브 층의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진동방지재 및 구조재료를 사용한 시설재들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시공하여 진동이나 소리의 파장대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636742호에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슬래브 위에 포설한 액상 제진재가 굳은 후, 그 위에 요철돌기를 저면에 각각 가지며 밀도와 성상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EVA 돌기패드를 포설하며, 그 위에 EVA 칩 패드로 완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통상 난방용 온수배관을 포함하는 시멘트 몰탈층과 통상의 바닥 마감재로 구성되는 표면 마감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에 따른 충격소음이 방지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바닥에 가해진 층격음은 바닥 마감재, 몰탈층을 거쳐 EVA 칩 패드에서 1차적으로 충격음이 감소되고, 제2 EVA 돌기패드 및 제1 돌기패드를 거치면서 충격음이 상기 패드에 흡수되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서 제2 EVA 돌기패드 및 제1 돌기패드에 구성된 돌기는 이웃하는 돌기와 이격되어 있어, 전달된 소음이 돌기 사이를 통과하여 수평방향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전달된 소음이 수직적 진행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수평적 진행에 대해서는 이를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EVA 돌기패드 및 제1 돌기패드에 구성된 돌기는 그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시공 후 돌기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 경우 그 일부가 함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돌기가 구비되지 않은 패드의 모서리 부분은 시공 전, 후 모서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모서리 부분이 함몰되는 꺼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기술에는 단열에 대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보온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KR 10-0635742 B1 2006. 10. 1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층 바닥에 가해진 충격/소음에 대한 수직적 및 수평적 전달을 방지하여 충격/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열층을 구성하여 보온 기능이 구비된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서리의 눌림에 의해 맞은 편 모서리의 꺼짐 현상을 방지하며, 함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은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및 상부면에 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슬래브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1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패널; 상기 제1 EVA 패널 상부에 적층되며 하부면에 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EVA 패널 상부에 형성된 연속 돌기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2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제2 EVA 패널; 상기 제2 EVA 패널 상부에 적층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적층되는 반사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EVA 패널 및 제2 EVA 패널에 형성된 연속 돌기는 사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속 돌기는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서 대각선 모서리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에 가해진 충격 및 소음은 제1 EVA 패널 및 제2 EVA 패널에 형성된 연속 돌기에 의해 흡수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방진(防振) 및 차음(遮音) 효과가 우수한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EVA 패널의 상부에는 부직포 및 반사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부측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에 의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속 돌기가 패널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 눌림에 의한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바닥 시공 후 함몰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작된 패널을 바닥 슬래브에 배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설치가 완료되어 시공이 수월하며, 반건식방식에 따라 동절기에도 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에서 제1 EVA 패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에서 제2 EVA 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의 설치 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하측 연속 돌기를 갖는 제1 EVA 패널과 그 상부에 하측 연속 돌기를 갖는 제2 EVA 패널을 적층 구성하여 층간소음을 감쇠시키면서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EVA 패널의 상부면에 부직포와 반사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보온 성능을 구비한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은 제1 EVA 패널(100), 제2 EVA 패널(200), 부직포(300) 및 반사필름(400)을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EVA 패널(100)은 바닥 슬래브와 면접촉되는 패널의 기저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속 돌기(110, 120)가 구비되되, 상기 연속 돌기(110, 120)는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연속 돌기(110, 120)가 교차되어 형성됨에 따라 그 내측에는 연속 돌기(110, 12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제2 EVA 패널(200)은 상기 제1 EVA 패널(100)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속 돌기(210)가 구비되되, 상기 연속 돌기(210)는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연속 돌기(210)가 교차 형성됨에 따라 그 내측에는 연속 돌기(21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1 EVA 패널에 형성된 연속 돌기(110, 120) 및 상기 제2 EVA 패널(200)에 형성된 연속 돌기(210)는 패널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패널의 모서리에서 대각선 모서리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좌우 대칭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모서리 부분에 압력이 인가되어도 모서리의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은 접합하여 패널이 제조되는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의 접착은 방진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진접착제는 접착 강도와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접합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방진 고무용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진 고무용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는 클로로프렌 고무, 가교제, 점착부여제, 활성제, 노화방지제, 유기용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은 동일한 경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의 경도가 다른 경우, 압착력에 의해 서로 전달되는 충격이 다르게 되어 충격 감쇠가 저하될 수 있으며, 경도가 낮은 패널은 경도가 높은 패널에 비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EVA는 유연성이 뛰어나고 내부충격에 강하며 충격방지 및 충격 흡수가 뛰어난 재질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EVA 패널의 경도는 45 ~ 70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EVA 재질로 구성되는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은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은 냉각 과정을 거친 후, 측면을 절단하는 과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냉각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되며, 수축 및 절단에 따른 여유분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제작된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은 가로 및 세로 1m 내외의 단위 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300)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층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부직포는 펠트 형상에 수성 에멀젼 수지, 이산화티탄 및 나노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필름(400)은 불연 성능을 보장하면서 단열 및 흡음 성능이 구비된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반사필름(400)은 합성수지층; 합성수지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은(Ag) 도료를 증착시킨 은도료층이 형성된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상기 은도료층에 알루미늄 도료를 증착시킨 반사층이 더 포함된 반사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필름(40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난방용 온수관에 의해 가열된 열은 바닥 슬래브 측으로 열전달을 방지하여, 가열된 열이 그 상부에 배치된 바닥재 측으로 유도됨에 따라 난방 효과가 우수하다. 이에 따라 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에서 제1 EVA 패널과 제2 EVA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EVA 패널 또는 제2 EVA 패널은 그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EVA 패널 또는 제2 EVA 패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는 기포가 형성되도록 하여 경량화 및 흡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기포의 형성은 EVA 재질에 기포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기포제는 EV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기포제가 EV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보다 낮으면 기포 생성이 저하되고 10 중량부 보다 높으면 패널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 각각의 두께는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EVA 패널(100)은 상·하부면에 각각 연속 돌기(110, 1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EVA 패널(200)은 하부면에 연속 돌기(210)가 구비됨에 의해서, 상기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 각각의 두께는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EVA 패널(200)의 두께(D2)는 상기 제1 EVA 패널(100) 두께(D1)의 0.3D1 내지 0.8D1 범위 내에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EVA 패널(100) 두께(D1)의 0.5D1 내지 0.7D1 범위 내에서 구성되게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D1은 상기 제1 EVA 패널(100)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제2 EVA 패널(200)의 두께(D2)가 상기 제1 EVA 패널(100) 두께(D1)의 0.3D1 미만인 경우에는 발생된 충격 및 소음에 대한 감쇠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0.8D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 및 소음의 감쇠율을 향상되나 주거 공간의 바닥층이 높아지며 패널 제작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제1 EVA 패널(100)과 제2 EVA 패널(200)의 결합된 상태의 두께는 60㎜ 내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EVA 패널(100)은 35 ~ 40㎜ 내외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EVA 패널(200)은 20 ~ 25㎜ 내외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EVA 패널(100) 상·하부면에 구비되는 연속 돌기(110, 120)의 두께(d12, d13)는 패널 전체의 두께(D1)의 1/5 내지 1/4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패널 몸체의 두께(d11)는 1/2 내지 3/5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속 돌기(110, 120)의 두께(d12, d13)가 패널 전체의 두께(D1)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소음의 감쇠가 저하되며, 1/4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량에 의한 돌기의 휨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EVA 패널(200)은 하부면에만 연속 돌기(2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속 돌기(210)의 두께는 제2 EVA 패널(200) 전체 두께(D2)의 1/5 내지 1/3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며, 패널 몸체의 두께(d21)는 연속 돌기(210)의 두께를 제외한 2/3 내지 4/5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속 돌기(210)의 두께가 제2 EVA 패널(200) 전체 두께(D2)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소음의 감쇠가 저하되며, 1/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량에 의한 돌기의 휨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은 제1 EVA 패널(100)에 형성된 연속 돌기(120)가 바닥 슬래브(10)와 면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상기 제1 EVA 패널(100)의 하부에 형성된 연속 돌기(120)와 바닥 슬래브(10)에 의해서 제1 밀폐공간(1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EVA 패널(100) 상부에 형성된 연속 돌기(110)와 상기 제2 EVA 패널(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연속 돌기(210)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2 밀폐공간(2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EVA 패널(100) 상부에 형성된 연속 돌기(110)와 상기 제2 EVA 패널(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연속 돌기(210)는 서로 동일한 부분이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EVA 패널(200)의 상부에는 부직포(300) 및 반사필름(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반사필름(400)의 상부에는 모르타르 콘크리트(20)가 타설되며, 상기 모르타르 콘크리트(20)의 내부에는 난방용 온수관(30)이 매설된다.
상기 모르타르 콘크리트(20) 상부에는 바닥 마감재(40)가 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에 가해진 충격 및 소음은 반사필름 및 부직포를 통해 제1 EVA 패널 및 제2 EVA 패널에 형성된 연속 돌기에 의해 흡수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방진(防振) 및 차음(遮音) 효과가 우수하며, 연속 돌기가 패널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 눌림에 의한 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바닥 시공 후 함몰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및 제2 EVA 패널의 상부에는 부직포 및 반사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하부측으로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에 의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바닥 슬래브 20: 모르타르 콘크리트
30: 난방용 온수관 40: 바닥재
100: 제1 EVA 패널 101: 제1 밀폐공간
110, 120, 210: 연속 돌기 200: 제2 EVA 패널
201: 제2 밀폐공간 300: 부직포
400: 반사필름

Claims (3)

  1.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설치되어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슬래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 및 상부면에 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슬래브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1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제1 EVA(Ethylene Vinyl Acetate) 패널;
    상기 제1 EVA 패널 상부에 적층되며 하부면에 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EVA 패널 상부에 형성된 연속 돌기와의 면접촉에 의해 제2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제2 EVA 패널;
    상기 제2 EVA 패널 상부에 적층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적층되는 반사필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EVA 패널 및 제2 EVA 패널에 형성된 연속 돌기는 사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모서리에서 대각선 모서리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EVA 패널 또는 제2 EVA 패널은 그 내부에 기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3. 삭제
KR1020150094920A 2015-07-02 2015-07-02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KR10156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20A KR101562564B1 (ko) 2015-07-02 2015-07-02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920A KR101562564B1 (ko) 2015-07-02 2015-07-02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564B1 true KR101562564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920A KR101562564B1 (ko) 2015-07-02 2015-07-02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5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97B1 (ko) * 2006-11-06 2008-02-05 송태식 차음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0874166B1 (ko) 2007-10-08 2008-12-15 노영곤 국부 지압을 받는 인장탄성재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방지시스템
KR100966730B1 (ko) 2009-12-08 2010-06-29 표성호 층간 소음 방지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97B1 (ko) * 2006-11-06 2008-02-05 송태식 차음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0874166B1 (ko) 2007-10-08 2008-12-15 노영곤 국부 지압을 받는 인장탄성재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방지시스템
KR100966730B1 (ko) 2009-12-08 2010-06-29 표성호 층간 소음 방지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634Y1 (ko) 공기주머니를 갖는 방진단열바닥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1562564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및 보온 패널
KR20070108317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KR2006007834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KR200324664Y1 (ko) 충격흡수용 차음시트를 이용한 층간 바닥구조
KR2010008622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037B1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와 그 시공법
KR200455458Y1 (ko) 방수층 보호시트가 부착된 탄성 이피에스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KR200473232Y1 (ko) 층간소음재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200435788Y1 (ko) 차음 및 단열용 바닥충격음완충재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KR102541323B1 (ko)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완충구조
KR100556076B1 (ko) 온돌 마루 바닥 완충쉬트의 시공방법
KR102527869B1 (ko) 층간소음 방지용 패널
KR102623179B1 (ko) 층간소음 완화형 바닥재 구조
CN211447307U (zh) 一种新型浮筑隔音减震垫
KR102658333B1 (ko) 공기층을 통한 충격 분산형 바닥완충 구조체
KR102437059B1 (ko) 단열 및 차음을 위한 건축용 패널
KR100554496B1 (ko) 온돌 난방식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방지재
KR20070108428A (ko) 이중바닥 지지용 바닥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