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039B1 -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039B1
KR101561039B1 KR1020150066419A KR20150066419A KR101561039B1 KR 101561039 B1 KR101561039 B1 KR 101561039B1 KR 1020150066419 A KR1020150066419 A KR 1020150066419A KR 20150066419 A KR20150066419 A KR 20150066419A KR 101561039 B1 KR101561039 B1 KR 10156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earthquake
vibration
b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은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은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6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배전함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배전기기로 구성된 큐비클과;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진 및 내진장치로 구성되며,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는 상기 외함의 하부 4개소의 코너와, 필요 시 상기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내진 스프링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은 외형을 이루며 원통형상으로 우레탄 재질로 된 우레탄 외통과; 스프링이 압축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압축력을 완화시키는 압축스프링과; 스프링이 인장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장력을 완화시키는 인장너트스프링과; 상기 우레탄 외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과 인장너트스프링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모듈커버와; 하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외함의 외함베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모듈베이스와; 하부가 상기 수배전함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큐비클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응력을 균일하게 수배전함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에 전달하는 하부모듈베이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르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과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외통과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쉽게 완화할 수 있으며,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이 방진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설치가 쉽고 일반적인 수배전반에 적용하기 쉬운 장점을 가졌다

Description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Incoming and Distribution Panel Equipped with Vibration-Proof and Earthquake-Proof Performance}
본 발명은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또는 진동의 외부 충격에 의한 수평력과 수직력을, 우레탄 외통으로 대부분의 수평력을 완화시키고 스프링 탄성으로 대부분의 압축력과 인장력을 감쇠시켜 수배전반을 보호하는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受配電)할 때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차단기나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하는 도체물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전기기기들을 사각형의 철재 외함에 안전하게 절연 수납한 제품이다.
그러나 수배전반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 지진파의 진동에 의하여 수배전반에 구비된 함체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기가 파손될 수 있고, 심할 경우 배전반이 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되면, 전력이 필요한 곳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게 되고, 누전 등으로 인해 감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진 등에 의해 수배전반에 진동이 가해져도 배전반 함체가 변형되지 않고 내부 전기기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배전반이 넘어지는 것을 막아서 정전 및 누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가진 수배전반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지진발생 시 배전반 하부의 탄성지지대에 의해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진동충격이 완화되나 완전히 완화되지 않고 일부의 충격이 수배전반 내 기기에 전달되는데 이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배전반의 하부 모서리나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에 4~6개소의 방진 및 내진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를 수배전반에 취부함으로써 기기에의 충격을 충분히 완화하여 지진 시에도 배전기기의 성능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수배전반 전체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42577로 게시된 내진기능형 배전반은 상기 큐비클을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진스토퍼와; 턴버클 및 상기 턴버클에 연결되어 장력조절되는 로프로 이루어져, 상기 큐비클 및 벽면 각각에 배치되는 고리에 설치되어 상기 큐비클에 대향되는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인장부재와; 상기 큐비클 내 전선의 보호 및 비틀림 방지를 위한 배선덕트와; 상기 큐비클 상부에 설치되어 낙하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배전반을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애자는 상기 큐비클에 고정되는 1개 패널 상에 착탈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에서 볼트를 사용한 체결부위에는 풀림방지볼트가 사용되는 구조이나 내진스토퍼와 천정에 매달아 지진과 같은 지각변동으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배전반이 비틀어지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위치가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그 내부에 실장된 전력 기기 및 전기부품들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과는 구조가 상이하다.
등록특허 10-1282201로 게시된 진동방지장치가 부착된 배전반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전기기로 구성된 큐비클과; 상기 큐비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큐비클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진동방지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방지장치는 상기 외함의 하부 코너와 필요 시 상기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진동방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방지대는 상기 큐비클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가 볼 형상인 볼지지부와; 상기 볼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상기 볼지지부의 하부가 안착되며,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배전반기초와 같이 움직이는 볼새들부와; 상기 볼새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새들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큐비클이 설치되는 상기 배전반기초에 결합되는 새들받침부로 구성되는 구조이나 본 발명과는 상이한 구조이다.
등록특허 10-1480853로 게시된 내진 및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은 배전반의 외부 아래측 모서리에 각각 고정되며, 수평면과 수직면, 수직면의 양측단에 배전반을 향해 연장 형성된 고무 패드 고정단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철판과, 수평면과 수직면의 내각 방향에서 부착시킨 삼각형 철편과, 상기 수평면을 상기 배전반이 설치되는 베이스에 고정 결합하는 앵커 볼트와, 상기 고무 패드 고정단에 끼움 결합되는 고무 패드를 포함하고, 수평면에는 앵커 볼트 홀이 형성되고 수직면에는 판넬 로프 밴드 홀이 형성되는 제1 스탑트; 4각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각각 바닥면과 4각 프레임에 면접하도록 구성되는 하단 수평면 및 수직면, 수직면과 4각 프레임에 면접하도록 구성되는 상단 수평면, 수직면과 상단 수평면의 각각의 양측단에 연장 형성된 고무 패드 고정단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철판과, 하단 수평면과 수직면의 내각 방향에서 상호 지지하도록 부착시킨 삼각형 철편과, 앵커 볼트와, 상기 고무 패드 고정단에 끼움 결합되는 고무 패드를 포함하고, 하단 수평면에는 바닥면에 앵커 볼트 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스탑트; 상기 배전반이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배전반의 모서리부 사이 삽입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해 주는 4개의 제3 스탑트; 판넬 로프 밴드 홀에 걸어 양단이 고정되며 배전반의 상단에 둘러 배전반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판넬 로프 밴드를 구성되나 본 발명의 압축스프링과 인장스프링이 있는 것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레탄 재질의 탄성과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고, 압축력에 의해 압축변형되어 압축력을 완화시키며, 인장력에 의해 늘어나 인장력을 완화시키는 내진 스프링모듈을 가진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수배전함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배전기기로 구성된 큐비클과; 상기 큐비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큐비클이 지진이나 진동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진 및 내진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는 상기 외함의 하부 4개소의 코너와, 필요 시 상기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내진 스프링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은 외형을 이루며 원통형상으로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재질의 탄성응력으로 흡수하여 상기 큐비클이 수평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우레탄 재질로 된 우레탄 외통과; 상기 우레탄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큐비클의 압축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과 같이, 스프링이 압축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압축력을 완화시키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과 같이, 스프링이 인장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장력을 완화시키는 인장너트스프링과; 상기 우레탄 외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우레탄 외통 및 인장너트스프링과 볼트로 결합되며,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과 압축스프링 및 인장너트스프링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상기 압축스프링과 인장너트스프링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모듈커버와; 하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외함의 외함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큐비클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응력을 균일하게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에 전달하는 상부 모듈베이스와; 하부는 상기 수배전함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큐비클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응력을 균일하게 수배전함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에 전달하는 하부모듈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인장너트스프링은 탄성을 가지는 인장스프링부와; 상기 인장스프링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커버와의 나사결합 할 수 있게 암나사가 형성된 2개의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부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우레탄 외통을 덮는 4각판 형태의 커버본체부와; 상기 커버본체부의 중앙 센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너트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단속하는 중앙이 중공된 원통 형상의 스프링인입부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본체부의 4변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우레탄 외통과의 결합을 위한 4개소의 외통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인입부가 형성된 중앙에는 상기 인장너트스프링과의 결합을 위한 너트스프링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결합홀과 너트스프링결합홀은 외부로 나사머리가 튀어 나오지 않는 접시나사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머리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우레탄 외통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축스프링과 인장너트스프링이 설치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레탄 외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모듈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각각 4개소의 커버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외함의 하부에는 상기 큐비클의 하중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외함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외함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과 동일한 수량의 베이스패드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모듈베이스에는 상기 외함베이스의 베이스패드와의 결합을 위한 4개의 외함베이스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모듈베이스에는 수배전함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와의 결합을 위한 4개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 결합홀이 형성된다.
상술한 수배전반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르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과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외통과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쉽게 완화할 수 있으며, 내진 스프링모듈이 방진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설치가 쉽고 일반적인 수배전반에 적용하기 쉬운 장점을 가졌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의 전체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내진 스프링모듈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우레탄 외통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압축스프링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인장너트스프링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모듈커버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상·하부모듈베이스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외함베이스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의 전체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내진 스프링모듈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우레탄 외통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압축스프링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인장너트스프링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모듈커버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상·하부모듈베이스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에 따른 외함베이스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수배전반(C)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A1)과, 상기 외함(A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배전기기(미도시됨)로 구성된 큐비클(A)과; 상기 큐비클(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큐비클(A)이 지진이나 진동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진 및 내진장치(B)로 구성된다.
상기 수배전기기는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수배전,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부스 바, 진공차단기, 차단개폐기, 계기용 변압기, 계기용 변류기, 누전차단기, 전류계, 주파수계, 전압계, 과전압 계전기, 과전류 계전기 등 기타 계전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외함(A1)의 하부에는 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B)가 설치되는 외함베이스(A11)가 형성된다.
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B)는 상기 외함(A1)의 하부 4개소의 코너와, 필요 시 상기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내진 스프링모듈(1)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B)가 상기 외함(A1)의 하부 4개소의 코너에만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내진 스프링모듈(1)은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은 원통 형상으로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재질의 탄성응력으로 흡수하여 상기 큐비클(A)이 수평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정 탄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로 된 우레탄 외통(11)과;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큐비클(A)의 압축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같이, 스프링이 압축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압축력을 완화시키는 압축스프링(12)과; 상기 압축스프링(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같이, 스프링이 인장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인장력을 완화시키는 인장너트스프링(13)과;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우레탄 외통(11) 및 인장너트스프링(13)과 볼트로 결합되며,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압축스프링(12) 및 인장너트스프링(13)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상기 압축스프링(12)과 인장너트스프링(1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모듈커버(14)와; 하부는 상기 모듈커버(14)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외함(A1)의 외함베이스(A11)에 결합되며, 상기 큐비클(A)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균일하게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에 전달하는 상부 모듈베이스(15)와; 하부는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모듈커버(14)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큐비클(A)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균일하게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에 전달하는 하부모듈베이스(16)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커버(14)는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모듈커버(14a)와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모듈커버(14b)의 2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모듈커버(14a)와 상부 모듈베이스(15)의 결합과 상기 하부모듈커버(14b)와 하부 모듈베이스(16)의 결합은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지 않았으며, 나사나 용접으로 결합되고, 나사를 사용하여 결합할 때는 나사머리가 상부하 하부로 튀어나오지 않아야 한다.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은 상기 외함(A1)의 하부 4개소의 코너와, 필요 시 상기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큐비클(A)의 폭이나 깊이는 일반적으로 800 x 800mm 정도이나 이보다 폭이나 깊이가 긴 상기 큐비클(A)에는 코너와 코너 사이에 추가로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C)에 따르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과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외통과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쉽게 완화할 수 있으며,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이 방진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설치가 쉽고 일반적인 수배전반에 적용하기 쉬운 장점을 가졌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우레탄 외통(11)은 원통 형상으로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재질의 탄성응력으로 흡수하여 상기 큐비클(A)이 수평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정 탄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축스프링(12)과 인장너트스프링(13)이 설치되는 중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모듈커버(14)와의 결합을 위한 각각 4개소의 커버결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결합홈(112)에는 외부로 나사머리가 튀어 나오지 않는 접시나사(143)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커버결합홈(112)은 상기 접시나사(143)의 외경보다 내경이 작아 상기 접시나사(143)의 나사산이 파고 들면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탄성력은 상기 큐비클의 무게, 지진 및 진동의 예상 크기 및 상기 압축스프링(12)와 인장너트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주된 역할은 우레탄 재질의 탄성응력으로 흡수하여 상기 큐비클(A)이 수평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부수적인 역할은 상기 압축스프링(12) 및 인장너트스프링(13)과 같이 우레탄 재질의 탄성응력으로 흡수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을 흡수하여 상쇄시키고 완화시킨다.
즉, 상기 우레탄 외통(11)은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의 좌우와 상하로 작용하는 힘을 상쇄시키고 완화시키므로, 수평력을 받을 때는 찌그러졌다가 다시 복원할 수 있어야 하고, 압축력을 받을 때는 상기 압축스프링(12)과 같이 수축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고, 인장력을 받을 때는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과 같이 늘어났다가 다시 원래 길이로 복원되는 일정 크기의 탄성을 가져야 한다.
수평력의 대부분은 상기 우레탄 외통(11)에서 완화시키고 일부분은 상기 압축스프링(12)와 인장너트스프링(13)에서 완화시킨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압축스프링(12)는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큐비클(A)의 압축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같이, 스프링이 압축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압축력을 완화시킨다. 즉, 압축력의 대부분은 상기 압축스프링(12)에서 완화시키고, 압축력의 일부분은 상기 우레탄 외통(11)에서 완화시켜준다.
상기 압축스프링(12)의 중앙에는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을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의 외경보다 큰 스프링삽입부(121)이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압축스프링(12)의 탄성력은 상기 큐비클의 무게, 지진 및 진동의 예상 크기 및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은 상기 압축스프링(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같이, 스프링이 인장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인장력을 완화시킨다.
즉, 인장력의 대부분은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2)에서 완화시키고, 인장력의 일부분은 상기 우레탄 외통(11)에서 완화시켜준다.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은 탄성을 가지는 인장스프링부(131)와; 상기 인장스프링부(13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커버(14)와의 나사결합 할 수 있게 암나사(13211)가 형성된 2개의 너트(1321)로 이루어진 너트부(13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의 탄성력은 상기 큐비클의 무게, 지진 및 진동의 예상 크기 및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도 6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모듈커버(14)는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우레탄 외통(11) 및 인장너트스프링(13)과 볼트로 결합되며,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압축스프링(12) 및 인장너트스프링(13)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상기 압축스프링(12)과 인장너트스프링(1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하 각 1개씩 총 2개이다.
상기 모듈커버(14)는 상기 우레탄 외통(11)을 덮는 4각판 형태의 커버본체부(141)와; 상기 커버본체부(141)의 중앙 센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의 일단이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단속하는 중앙이 중공인 원통 형상의 스프링인입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본체부(141)의 4변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우레탄 외통(11)과의 결합을 위한 4개소의 외통결합홀(141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부(141)의 하부 상기 스프링인입부(142)가 형성된 중앙에는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과의 결합을 위한 너트스프링결합홀(1412)이 형성된다.
상기 외통결합홀(1411)과 너트스프링결합홀(1412)은 외부로 나사머리(1432)가 튀어 나오지 않는 접시나사(143)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머리(1432)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경사면(14111, 14121)을 가진다.
상기 접시나사(143)은 나사산(14311)이 형성된 나사본체(1431)과 상기 나사본체(1431)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접시나사(143)을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일정 깊이 이상 상기 나사본체(1431)가 삽입되지 않게 하는 나사머리(1432)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머리(1432)는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접시 형상이어야 한다.
도 7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부 모듈베이스(15)는 하부는 상기 모듈커버(14)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외함(A1)의 외함베이스(A11)에 결합되며, 상기 큐비클(A)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균일하게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에 전달한다.
상기 상부 모듈베이스(15)에는 상기 외함(A1)의 외함베이스(A11)와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 개의 외함베이스결합홀(151)이 형성된다.
상기 외함베이스(A11)의 하부에는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과 동일한 수량의 베이스패드(A111)가 형성되므로, 상기 베이스패드(A111)와 상부 모듈베이스(15)가 상기 외함베이스결합홀(151)을 통하여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 모듈베이스(16)는 하부는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모듈커버(14)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큐비클(A)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균일하게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에 전달한다.
상기 하부 모듈베이스(16)에는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와 볼트 결합을 위한 다수 개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 결합홀(161)이 형성된다.
도 8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외함베이스(A11)은 상기 외함(A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큐비클(A)의 하중을 하부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함베이스(A11)의 하부에는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의 상부 모듈베이스(15)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과 동일한 수량의 베이스패드(A111)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패드(A111)에는 상기 상부 모듈베이스(15)와 볼트 결합을 위한 상부모듈베이스 결합홀(A1111)이 형성되며, 볼트를 조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모듈베이스 결합홀(A1111)의 상부에는 용접너트(A11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C)에 따르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과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외통과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쉽게 완화할 수 있으며,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이 방진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콤팩트하여 설치가 쉽고 일반적인 수배전반에 적용하기 쉬운 장점을 가졌다
A : 큐비클 A1 : 외함
A11 : 외함베이스 A111 : 베이스패드
A1111 : 상부모듈베이스 결합홀 A1112 : 용접너트
A2 : 기초 또는 기초가대
B : 방진 및 내진장치
C : 수배전함
1 : 내진 스프링모듈
11 : 우레탄 외통 111 : 중공
112 : 커버결합홈
12 : 압축스프링 121 : 스프링삽입부
13 : 인장너트스프링 131 : 인장스프링부
132 : 너트부 1321 : 너트
13211 : 암나사 14 : 모듈커버
14a : 상부모듈커버 14b : 하부모듈커버
141 : 커버본체부 1411 : 외통결합홀
14111 : 경사면 1412 : 너트스프링결합홀
14121 : 경사면 142 : 스프링인입부
143 : 접시나사 1431 : 나사본체
14311 : 나사산 1432 : 나사머리
15 : 상부 모듈베이스 151 : 외함베이스결합홀
16 : 하부 모듈베이스 161 : 기초 또는 기초가대 결합홀

Claims (4)

  1.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함(A1)과, 상기 외함(A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배전기기로 구성된 큐비클(A)과;
    상기 큐비클(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큐비클(A)이 지진이나 진동의 충격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진 및 내진장치(B)로 구성되는 수배전함(C)에 있어서,
    상기 방진 및 내진장치(B)는 상기 외함(A1)의 하부 4개소의 코너와, 필요 시 상기 코너와 코너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내진 스프링모듈(1)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은 원통 형상으로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우레탄 재질의 탄성응력으로 흡수하여 상기 큐비클(A)이 수평력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게 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정 탄성을 가진 우레탄 재질로 된 우레탄 외통(11)과;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큐비클(A)의 압축력을 스프링이 압축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압축력을 완화시키는 압축스프링(12)과;
    상기 압축스프링(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을 스프링이 인장변형되어 스프링의 탄성응력으로 인장력을 완화시키는 인장너트스프링(13)과;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우레탄 외통(11) 및 인장너트스프링(13)과 볼트로 결합되며,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수평력, 압축력 및 인장력을 상기 우레탄 외통(11)과 압축스프링(12) 및 인장너트스프링(13)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상기 압축스프링(12)과 인장너트스프링(1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모듈커버(14)와;
    하부는 상기 모듈커버(14)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외함(A1)의 외함베이스(A11)에 결합되며, 상기 큐비클(A)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균일하게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에 전달하는 상부 모듈베이스(15)와;
    하부는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모듈커버(14)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큐비클(A)의 하중과 지진이나 진동에 의해 발생한 힘을 균일하게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에 전달하는 하부모듈베이스(16)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은 탄성을 가지는 인장스프링부(131)와;
    상기 인장스프링부(13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커버(14)와의 나사결합 할 수 있게 암나사(13211)가 형성된 2개의 너트(1321)로 이루어진 너트부(132)로 구성되며,
    상기 모듈커버(14)는 상기 우레탄 외통(11)을 덮는 4각판 형태의 커버본체부(141)와;
    상기 커버본체부(141)의 중앙 센터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의 일단이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단속하는 중앙이 중공인 원통 형상의 스프링인입부(142)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본체부(141)의 4변 중앙 가장자리에는 상기 우레탄 외통(11)과의 결합을 위한 4개소의 외통결합홀(141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부(141)의 하부 상기 스프링인입부(142)가 형성된 중앙에는 상기 인장너트스프링(13)과의 결합을 위한 너트스프링결합홀(1412)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결합홀(1411)과 너트스프링결합홀(1412)은 외부로 나사머리(1432)가 튀어 나오지 않는 접시나사(143)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나사머리(1432)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경사면(14111, 14121)을 가지고,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축스프링(12)과 인장너트스프링(13)이 설치되는 중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우레탄 외통(1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모듈커버(14)와의 결합을 위한 각각 4개소의 커버결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외함(A1)의 하부에는 상기 큐비클(A)의 하중을 균일하게 전달하는 외함베이스(A11)가 형성되고,
    상기 외함베이스(A11)의 하부에는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진 스프링모듈(1)과 동일한 수량의 베이스패드(A11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모듈베이스(15)에는 상기 외함베이스(A11)의 베이스패드(A111)와의 결합을 위한 4개의 외함베이스결합홀(15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모듈베이스(16)에는 상기 수배전함(C)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A2)와의 결합을 위한 4개의 기초 또는 기초가대 결합홀(161)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패드(A111)에는 상기 상부 모듈베이스(15)와 볼트 결합을 위한 상부모듈베이스 결합홀(A111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모듈베이스 결합홀(A1111)의 상부에는 용접너트(A1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66419A 2015-05-13 2015-05-13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56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419A KR101561039B1 (ko) 2015-05-13 2015-05-13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419A KR101561039B1 (ko) 2015-05-13 2015-05-13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039B1 true KR101561039B1 (ko) 2015-10-19

Family

ID=5439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419A KR101561039B1 (ko) 2015-05-13 2015-05-13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03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449B1 (ko) * 2016-09-23 2017-02-03 (주) 금성시스템 방진패드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마운트
KR101724102B1 (ko) * 2016-12-20 2017-04-06 주식회사 서호산전 지진력을 감쇠하고 수직변위를 제어하는 내진 배전반
KR102005763B1 (ko) * 2019-01-30 2019-07-31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055088B1 (ko) 2019-04-29 2019-12-12 주식회사 광무기전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057640B1 (ko) * 2019-03-20 2019-12-20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KR102067244B1 (ko) 2019-03-20 2020-02-17 박성훈 내진 구조물
KR102067239B1 (ko) 2018-12-27 2020-03-02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KR102236005B1 (ko) *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309874B1 (ko) * 2021-04-05 2021-10-07 (주)은성엔지니어링 압축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을 혼합한 내진 수배전반
KR102355563B1 (ko) * 2021-06-18 2022-02-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ess 함체, 태양광 접속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CN114920110A (zh) * 2022-06-24 2022-08-19 北京博大新元房地产开发有限公司 一种电梯用隔音降噪装置及安装方法
KR102439309B1 (ko) * 2022-03-21 2022-08-31 김윤수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572045B1 (ko) * 2022-10-17 2023-08-30 김지희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312B2 (ja) 1995-08-24 2000-03-13 株式会社ハスキ− 中 敷
JP2010031953A (ja) 2008-07-28 2010-02-12 Herz Co Ltd 圧縮コイルばねによる制振・防振装置
KR101446890B1 (ko)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1520906B1 (ko) 2014-12-04 2015-05-18 (주)태성계전 하이브리드 내진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312B2 (ja) 1995-08-24 2000-03-13 株式会社ハスキ− 中 敷
JP2010031953A (ja) 2008-07-28 2010-02-12 Herz Co Ltd 圧縮コイルばねによる制振・防振装置
KR101446890B1 (ko)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상하굴절형 방진패드 및 이를 구비한 내진 배전반
KR101520906B1 (ko) 2014-12-04 2015-05-18 (주)태성계전 하이브리드 내진 수배전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449B1 (ko) * 2016-09-23 2017-02-03 (주) 금성시스템 방진패드를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마운트
KR101724102B1 (ko) * 2016-12-20 2017-04-06 주식회사 서호산전 지진력을 감쇠하고 수직변위를 제어하는 내진 배전반
KR102067239B1 (ko) 2018-12-27 2020-03-02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KR102005763B1 (ko) * 2019-01-30 2019-07-31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057640B1 (ko) * 2019-03-20 2019-12-20 주식회사 에스알이엔지 내진 구조물
KR102067244B1 (ko) 2019-03-20 2020-02-17 박성훈 내진 구조물
KR102055088B1 (ko) 2019-04-29 2019-12-12 주식회사 광무기전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236005B1 (ko) * 2020-10-16 2021-04-05 (주)예다종합설계감리사무소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309874B1 (ko) * 2021-04-05 2021-10-07 (주)은성엔지니어링 압축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을 혼합한 내진 수배전반
KR102355563B1 (ko) * 2021-06-18 2022-02-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ess 함체, 태양광 접속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KR102439309B1 (ko) * 2022-03-21 2022-08-31 김윤수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CN114920110A (zh) * 2022-06-24 2022-08-19 北京博大新元房地产开发有限公司 一种电梯用隔音降噪装置及安装方法
CN114920110B (zh) * 2022-06-24 2023-09-19 北京博大新元房地产开发有限公司 一种电梯用隔音降噪装置及安装方法
KR102572045B1 (ko) * 2022-10-17 2023-08-30 김지희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39B1 (ko)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081571B1 (ko)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74285B1 (ko) 구면와셔와 압축스프링과 면진블록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1269899B1 (ko) 진동 및 충격 방지용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101702349B1 (ko)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30418B1 (ko) 내진 및 면진 구조물을 구비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227947B1 (ko) 내진 수배전 장치
KR101835567B1 (ko) 전원 설비의 내진장치
KR102309874B1 (ko) 압축 스프링 및 인장 스프링을 혼합한 내진 수배전반
KR102321758B1 (ko) 수배전반의 진동흡수장치
KR101765535B1 (ko) 내진을 위한 케이블 인입선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70057547A (ko) 방진장치
KR10181892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45252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20210042791A (ko) 배전반 접속함 등 전기관련장비의 내진장치
KR102183834B1 (ko) 내진용 자기에어스프링 유닛이 내장된 수배전반
KR101625389B1 (ko) 우레탄 완충기 및 내진 스프링 결합형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2475154B1 (ko) 개선된 수배전반 내진 장치
KR101476735B1 (ko) 내진설비가 설치된 수배전반
KR102427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1640439B1 (ko)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39453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