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309B1 -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309B1
KR102439309B1 KR1020220034475A KR20220034475A KR102439309B1 KR 102439309 B1 KR102439309 B1 KR 102439309B1 KR 1020220034475 A KR1020220034475 A KR 1020220034475A KR 20220034475 A KR20220034475 A KR 20220034475A KR 102439309 B1 KR102439309 B1 KR 10243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ing
earthquake
buff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22003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하부 프레임(10)(20) 사이에 완충 패드(35)가 적층되고 내부로 완충 스프링(40)이 삽입되는 바디 프레임(30)을 설치하되, 상기 상,하부 프레임(10)(20)은 인장 스프링(50)으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시키고, 상기 완충 스프링은 내,외부 스프링(41)(45)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지진 발생시 인장 스프링의 결속력과, 완충 패드 및, 내,외부 스프링에 의한 상하 탄성력 등의 다중 복합탄성으로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완충 성능을 우수하게 제공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중앙에 수직 설치되는 스위치 작동봉(60)이 지진 발생 또는 내진 핵심 부품(완충 패드, 완충 스프링)의 수명이 다하여 하강시 경보 스위치(70)를 푸쉬 작동하는 것에 의해 지진 또는 내진 핵심 부품(완충 패드, 완충 스프링)의 수명이 다하게 됨을 감지 및 경보 작동하기 때문에 관리의 편리성은 물론 내진 보호 설비의 안전 운전을 지속적으로 도모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Seismic device for electrical panel with multiple complex elasticity applied}
본 발명은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을 다중 복합탄성으로 우수하게 완충 지지하되, 지진 경보는 물론 내진 핵심 부품의 수명이 다하게 됨을 감지 및 경보 작동하므로 수배전반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진 보호 설비 중에 하나인 수배전반은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할 때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함체 내부에 변압기, 개폐기, 피뢰기, 파워퓨즈, 컨버터, 차단기, 검출기, 전산전력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수배전반은 콘크리트 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마운틴 프레임 상부에 고정 설치하기 때문에 지진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이 수배전반에 그대로 전달되어 내부의 전기기기가 파손 및 단락되면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 등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배전반에는 내진 장치를 필수적으로 적용하였다.
상기한 종래 수배전반의 내진 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되는데, 수배전반과 바닥에 설치되는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완충 패드, 완충 스프링과 같은 완충 수단을 설치하여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 수단의 상하 탄성 작동에 의해 흡수하여 상쇄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내진 장치는 지진 발생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을 단순히 완충 수단의 상하 탄성 작동에 의해서만 완충할 뿐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별도 결속하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지진 발생시 최초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세기 자체를 크게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와, 상기 완충 수단이 상하 수직 방향에 한해서 탄성 작동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진동이나 충격으로 상부 프레임이 수직 방향에서 벗어나는 위치에서 완충 수단의 완충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 및, 상기 내진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내진 장치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상기 내진 장치의 핵심 부품인 완충 수단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반복적인 진동이나 충격 흡수에 의해 손상되어 완충 수단의 지지력 및 탄성력이 크게 감소하게 되면서 사용 수명을 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진 장치의 핵심 부분인 완충 수단의 수명이 다하는 것을 종래에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진 장치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내진 장치의 핵심 부품인 완충 수단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이를 적기에 점검 및 교체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교체하지 못하여 내진 작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81571호(2011년11월02일) 등록특허 제10-2332485호(2021년11월24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 스프링, 완충 패드 및 인장 스프링에 의한 상하 탄성력과 상하 결속력 등의 다중 복합탄성으로 우수하게 완충 지지하되, 지진 경보는 물론 내진 핵심 부품의 수명이 다하게 됨을 감지 및 경보 작동하므로 수배전반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진 보호 설비 하부에 설치하는 상부 프레임와, 바닥에 지지 설치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고 하부에 완충 패드가 적층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지진으로 인한 충격을 상하 완충 작동에 의해 감쇄시키는 완충 스프링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외측에 적어도 두 곳 이상 위치에서상,하 단부를 서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 시키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바디 프레임 중앙의 관통공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는 스위치 작동봉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상부로 설치하되, 스위치 작동봉 상부 위치로 작동로드가 설치되어 완충 패드와 완충 스프링이 지진 또는 수명이 다하여 하강시 스위치 작동봉의 상단이 작동로드를 푸쉬하는 것에 의해 경보 작동하는 경보 스위치로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완충 스프링은 외부 스프링과 상기 외부 스프링 내부로 삽입하되 내부 중앙에 스위치 작동봉이 삽입되는 내부 스프링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 스프링 하부에는 스위치 작동봉 하단에 결합되는 볼 가이드를 설치하되, 상기 볼 가이드와 하부 프레임 사이에는 상,하 라운드 요홈 위치로 구형 볼을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와 하부 프레임 상부에는 걸이공이 형성된 상부 걸이구와 하부 걸이구를 대향 설치하여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하부 걸이구의 걸이공에 인장 스프링의 상하 단부에 형성된 상,하 걸고리를 걸어 설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 작동봉의 상부에는 경사부을 형성하여 스위치 작동봉이 작동로드를 수직 방향으로 푸쉬할 때 수평으로 후퇴 작동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 프레임 사이에 완충 패드가 적층되고 내부로 완충 스프링이 삽입되는 바디 프레임을 설치하되, 상기 상,하부 프레임은 인장 스프링으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시키고, 상기 완충 스프링은 내,외부 스프링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지진 발생시 인장 스프링의 결속력과, 완충 패드 및, 내,외부 스프링에 의한 상하 탄성력 등의 다중 복합탄성으로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완충 성능을 우수하게 제공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중앙에 수직 설치되는 스위치 작동봉이 지진 발생 또는 내진 핵심 부품(완충 패드, 완충 스프링)의 수명이 다하여 하강시 경보 스위치를 푸쉬 작동하는 것에 의해 지진 또는 내진 핵심 부품(완충 패드, 완충 스프링)의 수명이 다하게 됨을 감지 및 경보 작동하기 때문에 관리의 편리성은 물론 내진 보호 설비의 안전 운전을 지속적으로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봉 하부에 구형 볼을 설치하여 지진 발생시 구름 회전하면서 상부 프레임이 수직 방향에서 벗어나는 위치에서도 완충 스프링의 내부 스프링이 횡축으로 탄발 작용하면서 완충 효과를 더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진 장치가 적용된 수배전반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진 장치를 보여주는 정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진 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평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디 프레임, 완충 패드 및, 완충 스프링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작동봉, 볼 가이드 및, 구형 볼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내진 장치의 작동 구조를 보여주는 정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내진 장치의 경보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 하부 프레임(20), 바디 프레임(30), 완충 스프링(40), 인장 스프링(50), 스위치 작동봉(60) 및 경보 스위치(70)로 구성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을 다중 복합탄성으로 완충 지지하되, 지진 또는 내진 핵심 부품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은 평판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프레임(10)은 수배전반 등과 같은 내진 보호 설비(2)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은 바닥 구조물 상부에 지지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바디 프레임(30)은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설치하되, 상,하부에서 체결 부재(3)(4)에 의해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바디 프레임(30)은 원통형 구조의 몸체로 형성하되 내부에 하부로 개방되는 공간부(32)를 형성하고, 하부에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지진으로 인한 충격을 상하 완충 작동하는 완충 패드(35)를 적층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완충 스프링(40)은 바디 프레임의 공간부(32)로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완충 스프링(40)은 외부 스프링(41)과 상기 외부 스프링 내부로 삽입하되 내부 중앙에 스위치 작동봉(60)이 삽입되는 내부 스프링(45)의 이중 구조로 구성한다.
즉, 지진 발생시 상기 바디 프레임(30) 하부의 완충 패드(35)와,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에 내,외부 이중 구조로 설치되는 외부 스프링(41)과 내부 스프링(42)에 의한 상하 탄성력이 적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인장 스프링(50)은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의 전,후,좌,우 4곳 위치(적어도 두곳 이상 위치)에서 상,하 단부를 서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지진 발생시 상기 완충 패드(35)와 완충 스프링(40)에 의한 상하 탄성력과 함께 완충 작동의 역 방향으로 탄성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의 결속력에 의해 다중 복합 탄성이 적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장 스프링(50)은 상부 프레임(10) 하부와 하부 프레임(20) 상부에 걸이공(95)이 형성된 상부 걸이구(91)와 하부 걸이구(92)를 대향 설치하여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하부 걸이구의 걸이공(95)에 인장 스프링(50) 상하 단부의 상,하 걸고리(51)(52)를 걸어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0)에는 체결 볼트(5)에 의해 상부 걸이구(92)를 체결하여 결합 설치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에는 단차 홈(23)을 형성하여 하부 걸이구(92)를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결합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 작동봉(60)은 상부 프레임(10)과 바디 프레임(30) 중앙의 관통공(11)(31)에 수직 삽입 설치하되, 상기 스위치 작동봉의 하단에 내부 스프링(45) 하단이 탄발 지지되는 볼 가이드(65)를 결합 설치하고, 상기 볼 가이드(65)와 하부 프레임(20) 사이에는 구형 볼(80)을 삽입 설치하여 지진 발생시 종축을 형성하면서 횡축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한다.
즉, 지지 발생시 상부 프레임(10)이 수직 방향에서 벗어나 위치할 때 볼 가이드(65)가 구형 볼(80)에서 구름 회전하면서 내부 스프링(42)에 의해 탄성력이 횡축으로 작용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 가이드(65) 하부와 하부 프레임(20) 상부에는 구형 볼(80)이 삽입되어 설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구름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하 라운드 요홈(66)(2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경보 스위치(70)는 상부 프레임(10) 상부 또는 상부 프레임 상부의 설치판(75)으로 설치하되, 스위치 작동봉(60) 상부 위치로 작동로드(71)가 설치되어 완충 패드(35)와 완충 스프링(40)이 지진 또는 수명이 다하여 상부 프레임과 함께 하강시 스위치 작동봉의 상단이 작동로드를 푸쉬하는 것에 의해 경보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 작동봉(60)의 상부에는 경사부(61)을 형성하여 스위치 작동봉(60)이 작동로드(71)를 수직 방향으로 푸쉬할 때 수평으로 후퇴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스위치(70)는 도 8의 경보 회로에서와 같이 정상 운전시 제어 수단에 의해 정상 운전 램프가 점등되고, 경보 작동시 제어 수단에 의해 교체 램프와 지진 램프가 점등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자기 유지 회로에 의해 지진이 종료되어도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작업자가 지진 발생 후에도 확인이 가능하며 확인 후 별도의 리셋 버튼을 누르면 자기 유지용 릴레이가 정지하여 교체 램프와 지진 램프가 소등되게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76은 설치판(75) 중앙에 스위치 작동봉(60)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한 삽입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 내진장치(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내진 보호 설비인 수배전반(2) 하부로 설치하되, 상부 프레임(10)은 수배전반 하부, 하부 프레임(20)은 바닥 구조물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는 바디 프레임(30)을 결합 설치하는데, 상기 바디 프레임(30) 하부에 완충 패드(35)를 적층 설치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의 공간부(32)에 외부 스프링(41) 내부에 내부 스프링(45)을 이중 구조로 마련하는 완충 스프링(40)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외측에 상,하 단부를 서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시키는 인장 스프링(5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인장 스프링(50)의 경우 상부 프레임(10) 하부와 하부 프레임(20) 상부에 결합되는 상,하부 걸이구(91)(92)의 걸이공(95)에 인장 스프링(50)의 상하 단부에 형성된 상,하 걸고리(51)(52)를 걸어 간단히 결속시키도록 연결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바디 프레임(30) 중앙의 관통공(11)(21)으로 스위치 작동봉(60)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스위치 작동봉 하부에는 내부 스프링(45) 하부를 지지하는 볼 가이드(65)를 결합하고, 상기 볼 가이드(65)와 하부 프레임(20) 사이에는 구형 볼(80)을 삽입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10) 상부 위치에 경보 스위치(70)를 설치하되, 상기 경보 스위치의 작동로드(71)가 스위치 작동봉(6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 설치되는 본 발명의 내진장치(100)는 지진 발생시 바디 프레임(30) 하부에 적층 설치되어 있는 완충 패드(35)와,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의 공간부(31)에 내,외부 스프링(41)(45)이 이중 구조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완충 스프링(40)이 상하 탄성 작동하면서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을 상하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 외측에 전,후,좌우 4곳의 위치에서 인장 스프링(60)의 상,하 단부를 서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하므로 지진 발생시 완충 패드(35)와 완충 스프링(40)에 의한 상하 탄성력과 함께 상하 탄성력의 역 방향으로 작용하는 견인력에 의한 다중 복합 탄성을 제공하면서 수배전반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의 세기를 줄이면서 진동이나 충격을 더욱 우수하게 완충 작동하여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완충 스프링의 내부 스프링(45)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작동봉(60)이 지진 발생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의 완충 작동 과정에서 상부 프레임(10)과 함께 수직 방향에서 벗어나 위치할 때 상기 스위치 작동봉(60) 하부의 볼 가이드(65)와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구형 볼(80)에 의해 구름 회전하면서 상기 스위치 작동봉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스프링(45)이 횡축으로 원활히 탄발 작동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완충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 완충 작동시 상기 완충 패드(35), 완충 스프링(40)에 의한 지지력 및 탄성력이 점차 저하되어 그 수명이 다하는 한계치에 이르는 경우 상부 프레임(10)과 함께 경보 스위치(7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 작동봉(60)은 하부에 결합된 볼 가이드(65)가 구형 볼(80)에 지지되어 하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스위치 작동봉(60)은 하강하지 않고, 경보 스위치(70)가 하강하면서 상기 경보 스위치의 작동로드(71)가 스위치 작동봉 상부의 경사부(61)에 접촉되어 작동로드를 푸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경보 스위치의 작동로드(71)가 스위치 작동봉(60)에 의해 푸시되면서 수평으로 후퇴하여 경보 스위치(70)를 경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경보 스위치(70)의 경보 작동과 함께 교체 램프와 지진 램프가 점등되어 사용자는 지진 발생 여부, 완충 패드(35), 완충 스프링(40)의 교체 여부를 간단히 확인, 점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진장치는 상부 프레임(10)와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설치되는 완충패드(35), 완충 스프링(40) 및, 상,하부 프레임을 서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시키는 인장 스프링(50)에 의한 복합 탄성에 의해 지진 발생시 진동이나 충격을 우수하게 완충 작동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서 완충 작동하는 완충패드(35), 완충 스프링(40)의 사용 수명이 다하는 경우 경보 스위치(60)의 경보 작동하면서 내진 보호 설비의 안전한 운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10: 상부 프레임 11,31: 관통공
20: 하부 프레임 22,66: 상,하 라운드 요홈
30: 바디 프레임 32: 공간부
35: 완충 패드 40 완충 스프링
41,45: 내,외부 스프링 50: 인장 스프링
51,52: 상,하 걸고리 60: 스위치 작동봉
61: 경사부 65: 볼 가이드
70: 경보 스위치 71: 작동로드
72: 경사부 80: 구형 볼
91,92: 상,하부 걸이구 95: 걸이공

Claims (4)

  1. 내진 보호 설비 하부에 설치하는 상부 프레임(10)와,
    바닥에 지지 설치하는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고 하부에 완충 패드(35)가 적층 설치되는 바디 프레임(30)과,
    상기 바디 프레임 내부의 공간부(32)에 설치되어 지진으로 인한 충격을 상하 완충 작동에 의해 감쇄시키는 완충 스프링(40)과,
    상기 상부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의 외측에 적어도 두 곳 이상 위치에서상,하 단부를 서로 탄발 연결하여 결속 시키는 인장 스프링(50)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바디 프레임 중앙의 관통공(11)(31)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는 스위치 작동봉(60) 및, 상기 상부 프레임(10) 상부로 설치하되, 스위치 작동봉(60) 상부 위치로 작동로드(71)가 설치되어 완충 패드(35)와 완충 스프링(40)이 지진 또는 수명이 다하여 하강시 스위치 작동봉의 상단이 작동로드를 푸쉬하는 것에 의해 경보 작동하는 경보 스위치(70)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 작동봉(60)의 상부에는 경사부(61)을 형성하여 스위치 작동봉(60)이 작동로드(71)를 수직 방향으로 푸쉬할 때 수평으로 후퇴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스프링(40)은 외부 스프링(41)과 상기 외부 스프링 내부로 삽입하되 내부 중앙에 스위치 작동봉(60)이 삽입되는 내부 스프링(45)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 스프링(45) 하부에는 스위치 작동봉(60) 하단에 결합되는 볼 가이드(65)를 설치하되, 상기 볼 가이드(65)와 하부 프레임(20) 사이에는 상,하 라운드 요홈(66)(22) 위치로 구형 볼(80)을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0) 하부와 하부 프레임(20) 상부에는 걸이공(95)이 형성된 상부 걸이구(91)와 하부 걸이구(92)를 대향 설치하여 상기 상부 걸이구와 하부 걸이구의 걸이공(95)에 인장 스프링(50)의 상하 단부에 형성된 상,하 걸고리(51)(52)를 걸어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4. 삭제
KR1020220034475A 2022-03-21 2022-03-21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43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75A KR102439309B1 (ko) 2022-03-21 2022-03-21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475A KR102439309B1 (ko) 2022-03-21 2022-03-21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309B1 true KR102439309B1 (ko) 2022-08-31

Family

ID=8306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475A KR102439309B1 (ko) 2022-03-21 2022-03-21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3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4998A (zh) * 2023-05-18 2023-06-23 北京新研创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燃料电池
KR102547812B1 (ko) * 2022-10-19 2023-06-28 주식회사 대일하이텍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71B1 (ko)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561039B1 (ko) * 2015-05-13 2015-10-19 (주)은성엔지니어링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708215B1 (ko) * 2016-10-26 2017-02-2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비선형 내진 스프링을 장착한 내진 배전반
KR101754352B1 (ko) * 2016-11-21 2017-07-07 (주)케이엔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818920B1 (ko) * 2016-11-14 2018-01-17 이승철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332485B1 (ko) 2020-03-12 2021-11-30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복합 탄성을 이용한 수배전반 내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71B1 (ko)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561039B1 (ko) * 2015-05-13 2015-10-19 (주)은성엔지니어링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708215B1 (ko) * 2016-10-26 2017-02-21 주식회사 동지하이텍 비선형 내진 스프링을 장착한 내진 배전반
KR101818920B1 (ko) * 2016-11-14 2018-01-17 이승철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54352B1 (ko) * 2016-11-21 2017-07-07 (주)케이엔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2332485B1 (ko) 2020-03-12 2021-11-30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복합 탄성을 이용한 수배전반 내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812B1 (ko) * 2022-10-19 2023-06-28 주식회사 대일하이텍 배전반
CN116314998A (zh) * 2023-05-18 2023-06-23 北京新研创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燃料电池
CN116314998B (zh) * 2023-05-18 2023-08-04 北京新研创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燃料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309B1 (ko) 다중 복합탄성 적용형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515796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232336B1 (ko) 수배전반용 진동패드 및 그 진동패드가 구성된 수배전반의 하부구조
KR101843721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KR102064501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96987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KR1017652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KR20180119035A (ko)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CN214044625U (zh) 一种带缓冲安装底座的低压开关柜
KR102005763B1 (ko)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1270507B1 (ko) 배전 케이블의 처짐 방지와 충격흡수에 용이한 지지고정대
KR102441228B1 (ko) 수명 및 지진 경보기능을 갖는 스마트 내진장치
KR101642579B1 (ko) 수전반 및 배전반의 설치 구조
KR101783904B1 (ko) 무대설비용 구동부 안전장치
KR10174205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292234B1 (ko) 외함 와이어 고정형 내진장치
KR101843526B1 (ko) 내진 수단을 구비하는 수배 전반
KR102399321B1 (ko) 수명 및 교체 경보기능을 갖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N213115076U (zh) 一种基于建筑的建筑物隔震装置
KR20130054788A (ko) 골조 내 면진장치가 장착된 수배전반용 외함
KR102665638B1 (ko) X자 보강부재와 완충베이스가 구비된 내진 수배전반
KR102582757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