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45B1 -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2045B1 KR102572045B1 KR1020220133517A KR20220133517A KR102572045B1 KR 102572045 B1 KR102572045 B1 KR 102572045B1 KR 1020220133517 A KR1020220133517 A KR 1020220133517A KR 20220133517 A KR20220133517 A KR 20220133517A KR 102572045 B1 KR102572045 B1 KR 102572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main
- disposed
- auxiliary
- guide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169 Perfluoro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상기 수배전반의 저면에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메인 스프링(170)을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기 메인 스프링(170);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170)과 함께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 상기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과 상하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들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충격에 따라 탄력적으로 진동을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수배전반을 지지하기 위한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변전소에서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선은 통상 각 가정으로 전원을 분지 시키는 배전반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배전반의 경우 계단형 아파트 등에서는 계단 측에 설치되지만, 공동주택 또는 건축구조물의 주차공단 등지에서는 대부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석지고 협소한 장소의 폐쇄공간 내부 또는 옥외에 설치되고 있다.
한편, 기상청 등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경주에서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함으로써 많은 재산상 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하였다. 이에 따라, 건축 구조물의 내진 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기준 또한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배전반과 전동기제어반은 전기의 공급을 위해 각종 건물이나 산업시설에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그 내부에 변압기, 차단기, 누전 검출기 등 다양한 전기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진동과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진 등으로 수배전반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인가되면 전기 공급이 차단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여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로 외부에 설치되는 수배전반의 경우에 다양한 설치 환경에 따라 수배전반의 설치가 곤란하거나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의 진동을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진동에도 용이하게 안정화할 수 있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배전반의 저면에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을 제공한다.
상기 수배전반의 저면에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메인 스프링(170)을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기 메인 스프링(170);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170)과 함께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 상기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과 상하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들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와 제2 어퍼 사이드부(130c); 상기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어퍼 연결부(130e);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c)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어퍼 연결부(130d); 및 상기 제1 어퍼 연결부(130d)와 상기 제2 어퍼 연결부(130e)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어퍼 중앙부(130a)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로어 사이드부(140b)과 제2 로어 사이드부(140c); 상기 제1 로어 사이드부(140b)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로어 연결부(140e); 상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로어 연결부(140d); 상기 제1 로어 연결부(140d)와 상기 제2 로어 연결부(140e)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로어 중앙부(140a);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은,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상부에서 상기 어퍼 중앙부(130a)와 밀착되는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 및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상기 로어 중앙부(140a)와 밀착되는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중앙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 및 제1 관통홀(1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어퍼가이드홀(112a)과 제2 어퍼가이드홀(112b)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관통홀(121) 및 제2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로어가이드홀(122a)과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상기 어퍼 중앙부(130a)에서 상기 제1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3 관통홀(131); 상기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제1 어퍼가이드홀(112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 어퍼사이드홀(132a); 및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제2 어퍼가이드홀(112b)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2 어퍼사이드홀(132b);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상기 로어 중앙부(140a)에서 상기 제2 관통홀(12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4 관통홀(141); 상기 제1 로어 사이드부(140b)에서 상기 제1 로어가이드홀(122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 로어사이드홀(142a); 및 상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에서 상기 제2 로어가이드홀(122b)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2 로어사이드홀(142b);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은, 상기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어퍼 사이드부(130b) 사이에 배치된 제1 보조 스프링(180a); 상기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c)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조 스프링(180b); 상기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 로어 사이드부(140b) 사이에 배치된 제3 보조 스프링(180c); 및 상기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사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 사이에 배치된 제4 보조 스프링(180d)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관통홀(111), 상기 제2 관통홀(121), 상기 메인 스프링(170), 상기 제3 관통홀(131), 및 상기 제4 관통홀(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메인 고정부재(1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어퍼가이드홀(112a), 상기 제1 보조 스프링(180a), 상기 제1 어퍼사이드홀(132a), 상기 제1 로어사이드홀(142a), 상기 제3 보조 스프링(180c), 및 상기 제1 로어가이드홀(12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어퍼가이드홀(112b), 상기 제2 보조 스프링(180b), 상기 제2 어퍼사이드홀(132b), 상기 제2 로어사이드홀(142b), 상기 제4 보조 스프링(180d), 및 상기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이용할 경우에는, 수배전반의 진동을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진동에도 용이하게 안정화할 수 있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어, 가장 빠르게 진동을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수배전반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수배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제1 어퍼 가이드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의 외함을 일부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제1 어퍼 가이드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보조 스프링들을 위한 보조 플레이트들이 추가로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제1 어퍼 가이드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의 외함을 일부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제1 어퍼 가이드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보조 스프링들을 위한 보조 플레이트들이 추가로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수배전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100)는, 수배전반(20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배전반(200)의 저면부에서 모서리와 맞닿는 영역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메인 스프링(170)을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기 메인 스프링(170),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170)과 함께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 상기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과 상하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들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6각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은 좌우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된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 및 좌우 양측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된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어퍼 사이드부(130b)과 제2 어퍼 사이드부(130c),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어퍼 연결부(130e),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c)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어퍼 연결부(130d), 상기 제1 어퍼 연결부(130d)와 상기 제2 어퍼 연결부(130e)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어퍼 중앙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로어 사이드부(140b)과 제2 로어 사이드부(140c), 제1 로어 사이드부(140b)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로어 연결부(140e), 상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로어 연결부(140d), 상기 제1 로어 연결부(140d)와 상기 제2 로어 연결부(140e)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로어 중앙부(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와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 후,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은,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상부에서 어퍼 중앙부(130a)와 밀착되는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 및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로어 중앙부(140a)와 밀착되는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중앙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 및 제1 관통홀(1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어퍼가이드홀(112a)과 제2 어퍼가이드홀(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관통홀(121) 및 제2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로어가이드홀(122a)과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어퍼 중앙부(130a)에서 제1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3 관통홀(131),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제1 어퍼가이드홀(112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 어퍼사이드홀(132a), 및 제2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제2 어퍼가이드홀(112b)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2 어퍼사이드홀(132b)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로어 중앙부(140a)에서 제2 관통홀(12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4 관통홀(141), 제1 로어 사이드부(140b)에서 제1 로어가이드홀(122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 로어사이드홀(142a), 및 제2 로어 사이드부(140c)에서 제2 로어가이드홀(122b)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2 로어사이드홀(142b)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은,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제1 어퍼 사이드부(130b) 사이에 배치된 제1 보조 스프링(180a),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 어퍼 사이드부(130c)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조 스프링(180b),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제1 로어 사이드부(140b) 사이에 배치된 제3 보조 스프링(180c), 및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제2 로어 사이드부(140c) 사이에 배치된 제4 보조 스프링(180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수배전반(200)의 저면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배전반(200)의 저면에서 모서리 영역들 중 하나를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11), 제2 관통홀(121), 메인 스프링(170), 제3 관통홀(131), 및 제4 관통홀(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메인 고정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고정부재(150)는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메인 고정부재(150)의 상측외주면에 결합되는 메인 너트(151)와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의 하부에서 메인 고정부재(150)의 하측외주면에 결합되는 메인 너트(151)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과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어퍼가이드홀(112a), 제1 보조 스프링(180a), 제1 어퍼사이드홀(132a), 제1 로어사이드홀(142a), 제3 보조 스프링(180c), 및 제1 로어가이드홀(12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퍼가이드홀(112b), 제2 보조 스프링(180b), 제2 어퍼사이드홀(132b), 제2 로어사이드홀(142b), 제4 보조 스프링(180d), 및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은 메인 고정부재(150)와 마찬가지로, 어퍼 커버플레이트(110)의 상측과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의 하측 각각에서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상측과 하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보조 너트(161a)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과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은 메인 고정부재(150)와 마찬가지로, 어퍼 커버플레이트(110)의 상측과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의 하측 각각에서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의 상측과 하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보조 너트(161b)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과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메인 고정부재(150), 제1 보조 고정부재(160a), 및 제2 보조 고정부재(160b)는 원통형 막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관통홀들(111, 121, 131, 141)은 메인 고정부재(150)가 흔들림없이 단단히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메인 고정부재(1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홀로 형성된다.
한편, 제1 어퍼가이드홀(112a) 및 제1 로어 가이드홀(122a)은 상하폭이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상하방향 이동을 차단하지만, 좌우폭이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직경보다 두배 이상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어퍼가이드홀(112b) 및 제2 로어가이드홀(122b)도 상하폭이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의 상하방향 이동을 차단하지만, 좌우폭이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의 직경보다 두배 이상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어퍼사이드홀(132a) 및 제1 로어사이드홀(142a)은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단단히 끼움결합되도록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홀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어퍼사이드홀(132b) 및 제2 로어사이드홀(142b)도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와 단단히 끼움결합되도록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홀로 형성된다.
수배전반(200)의 상하 방향으로 충격을 받게되는 경우, 메인 스프링(170)이 수축하면서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스프링(170)의 탄성 계수는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보다 2배 이상 클 경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이 메인 스프링(170)의 상하방향 충격을 나누어받으면서 메인 스프링(170)이 빠르게 안정화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메인 스프링(170)이 수축하는 경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와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절곡된 부위가 적어도 일부 펴지면서 좌우로 늘어날 수 있고, 제1 어퍼사이드홀(132a) 및 제1 로어사이드홀(142a)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2 어퍼사이드홀(132b) 및 제2 로어사이드홀(142b)에 끼웁결합되어 있는 제2 보조 고정부재(160b)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메인 스프링(170)의 수축에 따라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와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가 좌우 방향으로 절곡된 부위가 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탄성력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으로 일부 전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과 함께 메인 스프링(170)이 빠르게 안정화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스프링(170)이 수축 후 이완에 따라 원래의 크기로 복원되어 안정화되는 경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와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절곡된 부위가 메인 스프링(170)이 수축했을 때보다 더 작은 사이각을 형성하도록 좁아지면서 좌우로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보조 고정부재(160b)는 좌측에서 우측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수배전반(200)의 상하 충격을 효과적으로 안정화하는 수단으로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 뿐만 아니라, 수배전반(200)의 좌우 방향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수단으로도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기능한다.
즉, 수배전반(200)의 좌우방향 충격이 있는 경우, 제1 보조 고정부재(160a) 가 제1 어퍼가이드홀(112a) 및 제1 로어가이드홀(122a)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보조 고정부재(160b)도 제2 어퍼가이드홀(112b) 및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이 좌우로 펴지거나 줄어들게 되면서 메인 스프링(170)도 상하 방향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제2 보조 고정부재(160b)의 좌우 방향 이동에 따른 운동력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적용할 경우, 수배전반(200)의 상하 충격을 효과적으로 안정화할 뿐만 아니라 수배전반(200)의 좌우 충격에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제1 어퍼 가이드홀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의 외함을 일부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보조 고정부재(160a)는, 외주면에서 소정의 상하방향 폭을 갖도록 결합된 제1 완충부재(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161)는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외주면에서 제1 어퍼 가이드홀(112a)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61)는 니트릴 고무(NBR), 불소 고무(FKM), 실리콘 고무(VMQ),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클로로프렌 고무(CR), 우레탄 고무(U), 수소화니트릴 고무(HNBR), 퍼플루오로엘라스토머(FFKM) 등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과 흔들림없이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상하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은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접하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된 가이드돌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113)는, 제1 어퍼 가이드홀(112a)과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된 후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에 결합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113)는 내측으로 돌출된만큼 완충부재(161)를 내측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완충부재(161)는 가이드돌출부(113)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결합부가 가이드돌출부(113)와 맞물리게 형성됨으로써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의 이탈을 가장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161)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돌출부(113)와 맞물리도록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결합부가 배치됨으로써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직접 맞물리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중심으로 상하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핀홀들(114a, 114b), 및 한쌍의 핀홀들(114a, 114b)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되어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상하방향으로 경유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 와이어(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와이어(115)는, 수배전반(200)의 진동에 의해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보조 고정부(160a)를 탄성력있게 받아주기 때문에,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이동에 따른 추가적인 진동을 차단하고,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빠르게 제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배전반(200)의 진동을 안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에 대한 설명은 제2 어퍼 가이드홀(112b), 제1 로어 가이드홀(122a), 및 제2 로어 가이드홀(122b)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대상으로만 서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00)는,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의 좌측 엣지와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의 좌측 엣지를 서로 연결하고,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의 우측 엣지와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의 우측 엣지를 서로 연결하는 한쌍의 측부외함(19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외함(190)들 각각은, 복수의 사각형 형태의 절편들이 서로 연결된 절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폐쇄시키면서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따른 제1 어퍼 가이드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배전반(200)의 진동에 의해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거의 회전없이 가이드돌출부(113)를 따라 미끄러지듯 이동하므로, 완충부재(161) 또는 가이드돌출부(113)의 마모를 가져오고 이는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진동을 흡수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추가로 제안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은,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원통형 롤러(116)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은, 원통형 롤러(116)들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면서, 원통형 롤러(116)들을 사이에 두고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갖도록 구성된 벨트(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117)의 내주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끼임 결합되도록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벨트(117)와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서로 높은 접촉마찰력을 갖도록, 벨트(117)의 내주면은 마찰력이 높은 재질이나 거친 접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배전반(200)의 진동에 의해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제1 어퍼 가이드홀(112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와 높은 접촉마찰력을 갖는 벨트(117)가 원통형 롤러(116)의 제자리 회전과 맞물려 회전하게되고, 따라서 제1 보조 고정부재(160a)는 벨트(11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회전하면서 좌우로 이동하기 때문에 수배전반(200)의 진동에 따른 충격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이동하게 되고,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이동하게 되면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이 좌우로 펴지거나 줄어들게 되면서 메인 스프링(170)도 상하 방향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더욱 신속하게 진동을 흡수하는 데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강한 충격에 의해 빠르게 좌우로 이동할 경우 메인 스프링(170)이 크게 상하로 진동하게 되므로 충격을 빠르게 안정하는데 저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추가로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1 어퍼 가이드홀(112a)과 인접하게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된 핀홀(119)에 타단이 고정된 제2 탄성 와이어(11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와이어(119)는,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이동함에 따라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제1 보조 고정부재(160a)의 빠른 좌우 이동을 완화시키고, 이를 통해 강한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진동을 빠르게 안정화하는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를 좌우 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균등하게 형성한 구조로서 메인 스프링과 메인 고정부재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재들이 좌우로 2개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2개가 더 배치되어 4개의 부재들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직접적인 기재가 없더라도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좌우로 배치된 2개의 부재들이 상하좌우로 4개씩 배치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중 일부만을 간략히 서술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상하좌우 4개의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어퍼 사이드부들(1301a, 1301b, 1301c, 1301d), 제1 내지 제4 어퍼 사이드부들(1301a, 1301b, 1301c, 1301d) 각각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내지 제4 어퍼 연결부(1302a, 1302b, 102c, 1302d), 상기 제1 내지 제4 어퍼 연결부들(1302a, 1302b, 1302c, 1302d)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어퍼 중앙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상하좌우 4개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로어 사이드부들(도면기호 미도시), 제1 내지 제4 로어 사이드부들(도면기호 미도시) 각각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내지 제4 로어 연결부들(도면기호 미도시), 제1 내지 제4 로어 연결부들(도면기호 미도시)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로어 중앙부(도면기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와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 후,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중앙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 및 제1 관통홀(11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4개의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4 어퍼가이드홀들(1102a, 1102b, 1102c, 1102d)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관통홀(121) 및 제2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4개의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제1 내지 제4 로어가이드홀들(도면기호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어퍼 중앙부(130a)에서 제1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3 관통홀(131), 제1 내지 제4 어퍼 사이드부들(1301a, 1301b, 1301c, 1301d) 각각에서 제1 내지 제4 어퍼가이드홀들(1102a, 1102b, 1102c, 1102d) 각각과 1:1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통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4 어퍼사이드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로어 중앙부(140a)에서 제2 관통홀(12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4 관통홀(141), 제1 내지 제4 로어 사이드부들(도면기호 미도시) 각각에서 제1 내지 제4 로어가이드홀들(도면기호 미도시) 각각과 1:1로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통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4 로어사이드홀들(도면기호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프링들은,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각각의 제1 내지 제4 어퍼 사이드부들 사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 보조 스프링들(도면기호 미도시), 및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각각의 제1 내지 제4 로어 사이드부들(도면기호 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제5 내지 제8 보조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수배전반(200)의 저면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배전반(200)의 저면에서 모서리 영역들 중 하나를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11), 제2 관통홀(121), 메인 스프링(170), 제3 관통홀(131), 및 제4 관통홀(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메인 고정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1 내지 제4 보조 고정부재들이 메인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 및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따른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에서 보조 스프링들을 위한 보조 플레이트들이 추가로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의 경우, 메인 스프링(170)을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이 구비되어 있어 메인 스프링(170)의 상하 진동을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의 좌우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줄어드는 동작으로 일부 변환할 수 있는 반면, 보조 스프링들을 위한 메인 플레이트들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조 스프링들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추가로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9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보조 스프링들 각각을 위한 독립된 보조 플레이트들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플레이트들은 각각의 보조 스프링마다 상하로 서로 결합된 보조 어퍼 플레이트(2000)와 보조 로어 플레이트(2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어퍼 플레이트(2000)는, 좌우 방향 중 일측에 하나 배치된 제1 어퍼 사이드부(2000a), 제1 어퍼 사이드부(2000a)의 타측에서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어퍼 연결부(2000b), 제1 어퍼 연결부(2000b)의 타측에서 평행한 높이로 연결된 어퍼 중앙부(2000c), 어퍼 중앙부(2000c)의 타측에서 제1 어퍼 연결부(2000b)와 대칭형으로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어퍼 연결부(2000d)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로어 플레이트(2100)는, 좌우 방향 중 일측에 하나 배치된 제1 로어 사이드부(2100a), 제1 로어 사이드부(2100a)의 타측에서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로어 연결부(2100b), 제1 로어 연결부(2100b)의 타측에서 평행한 높이로 연결된 로어 중앙부(2100c), 로어 중앙부(2100c)의 타측에서 제1 로어 연결부(2100b)와 대칭형으로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로어 연결부(2100d)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어퍼 플레이트(2000)와 보조 로어 플레이트(2100)는, 제1 어퍼 사이드부(2000a)와 제1 로어 사이드부(2100a)가 서로 접하게 배치된 한쌍이 보조 스프링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퍼 중앙부(2000c) 및 로어 중앙부(2100c) 각각에는 제1 어퍼 가이드홀(112a) 또는 제2 어퍼 가이드홀(112b)과 동일한 크기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110: 어퍼 커버 플레이트
120: 로어 커버 플레이트
130: 메인 어퍼 플레이트
140: 메인 로어 플레이트
150: 메인 고정부재
160a: 제1 보조 고정부재
160b: 제2 보조 고정부재
170: 메인 스프링
180: 보조 스프링
190: 측부외함
110: 어퍼 커버 플레이트
120: 로어 커버 플레이트
130: 메인 어퍼 플레이트
140: 메인 로어 플레이트
150: 메인 고정부재
160a: 제1 보조 고정부재
160b: 제2 보조 고정부재
170: 메인 스프링
180: 보조 스프링
190: 측부외함
Claims (5)
- 수배전반의 저면에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메인 스프링(170)을 수용하는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기 메인 스프링(170);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스프링(170)과 함께 수배전반의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
상기 메인 플레이트들(130, 140)과 상하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들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와 제2 어퍼 사이드부(130c);
상기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어퍼 연결부(130e);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c)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오름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어퍼 연결부(130d); 및
상기 제1 어퍼 연결부(130d)와 상기 제2 어퍼 연결부(130e)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어퍼 중앙부(130a)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좌우 양측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1 로어 사이드부(140b)과 제2 로어 사이드부(140c);
상기 제1 로어 사이드부(140b)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1 로어 연결부(140e);
상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에서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30)의 중앙을 향해 내림경사지게 절곡하여 연결된 제2 로어 연결부(140d);
상기 제1 로어 연결부(140d)와 상기 제2 로어 연결부(140e)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로어 중앙부(140a);를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삭제
- 청구항 1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들(110, 120)은,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의 상부에서 상기 어퍼 중앙부(130a)와 밀착되는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 및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의 하부에서 상기 로어 중앙부(140a)와 밀착되는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는, 중앙에 형성된 제1 관통홀(111) 및 제1 관통홀(1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어퍼가이드홀(112a)과 제2 어퍼가이드홀(112b)을 포함하고,
상기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는, 중앙에 형성된 제2 관통홀(121) 및 제2 관통홀(12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로어가이드홀(122a)과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청구항 3에서,
상기 메인 어퍼 플레이트(130)는,
상기 어퍼 중앙부(130a)에서 상기 제1 관통홀(11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3 관통홀(131);
상기 제1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제1 어퍼가이드홀(112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 어퍼사이드홀(132a); 및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b)에서 상기 제2 어퍼가이드홀(112b)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2 어퍼사이드홀(132b);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로어 플레이트(140)는,
상기 로어 중앙부(140a)에서 상기 제2 관통홀(121)과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4 관통홀(141);
상기 제1 로어 사이드부(140b)에서 상기 제1 로어가이드홀(122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1 로어사이드홀(142a); 및
상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에서 상기 제2 로어가이드홀(122b)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제2 로어사이드홀(142b);을 포함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청구항 4에서,
상기 보조 스프링들(180a, 180b, 180c, 180d)은,
상기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 어퍼 사이드부(130b) 사이에 배치된 제1 보조 스프링(180a);
상기 어퍼 커버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 어퍼 사이드부(130c) 사이에 배치된 제2 보조 스프링(180b);
상기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상기 제1 로어 사이드부(140b) 사이에 배치된 제3 보조 스프링(180c); 및
상기 로어 커버 플레이트(120)와 사기 제2 로어 사이드부(140c) 사이에 배치된 제4 보조 스프링(180d)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관통홀(111), 상기 제2 관통홀(121), 상기 메인 스프링(170), 상기 제3 관통홀(131), 및 상기 제4 관통홀(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메인 고정부재(15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어퍼가이드홀(112a), 상기 제1 보조 스프링(180a), 상기 제1 어퍼사이드홀(132a), 상기 제1 로어사이드홀(142a), 상기 제3 보조 스프링(180c), 및 상기 제1 로어가이드홀(12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보조 고정부재(160a)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어퍼가이드홀(112b), 상기 제2 보조 스프링(180b), 상기 제2 어퍼사이드홀(132b), 상기 제2 로어사이드홀(142b), 상기 제4 보조 스프링(180d), 및 상기 제2 로어가이드홀(122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보조 고정부재(160b)가 배치되는,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3517A KR102572045B1 (ko) | 2022-10-17 | 2022-10-17 |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3517A KR102572045B1 (ko) | 2022-10-17 | 2022-10-17 |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2045B1 true KR102572045B1 (ko) | 2023-08-30 |
Family
ID=8784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3517A KR102572045B1 (ko) | 2022-10-17 | 2022-10-17 |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20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4240B1 (ko) * | 2024-03-07 | 2024-09-06 | 주식회사 정진기전 |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4314A (ko) * | 2010-07-06 | 2012-01-12 | 에코쏠라(주) |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 |
KR101155995B1 (ko) | 2011-10-21 | 2012-06-18 | 주식회사 일산전기 |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KR101561039B1 (ko) * | 2015-05-13 | 2015-10-19 | (주)은성엔지니어링 |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
KR101975713B1 (ko) * | 2018-09-18 | 2019-08-28 | 주식회사 대연 | 볼 타입 수직 수평 탄성블럭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
KR102112524B1 (ko) * | 2019-11-11 | 2020-05-19 | 허광식 |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
KR102185213B1 (ko) * | 2020-05-30 | 2020-12-02 | 이노피 주식회사 | 내진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수배전반 |
-
2022
- 2022-10-17 KR KR1020220133517A patent/KR1025720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4314A (ko) * | 2010-07-06 | 2012-01-12 | 에코쏠라(주) | 태양광 발전설비의 내진장치 |
KR101155995B1 (ko) | 2011-10-21 | 2012-06-18 | 주식회사 일산전기 |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KR101561039B1 (ko) * | 2015-05-13 | 2015-10-19 | (주)은성엔지니어링 | 방진 및 내진 성능을 갖춘 수배전반 |
KR101975713B1 (ko) * | 2018-09-18 | 2019-08-28 | 주식회사 대연 | 볼 타입 수직 수평 탄성블럭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
KR102112524B1 (ko) * | 2019-11-11 | 2020-05-19 | 허광식 |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
KR102185213B1 (ko) * | 2020-05-30 | 2020-12-02 | 이노피 주식회사 | 내진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수배전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4240B1 (ko) * | 2024-03-07 | 2024-09-06 | 주식회사 정진기전 |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2045B1 (ko) | 수배전반의 지지 어셈블리 | |
KR102070608B1 (ko) |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
KR101741983B1 (ko) |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
KR101155995B1 (ko) |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
KR100939475B1 (ko) |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 |
KR101797438B1 (ko) | 면진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 |
KR101139226B1 (ko) |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 | |
KR101706108B1 (ko) |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 |
KR101794668B1 (ko) | 방진장치 | |
KR101505629B1 (ko) |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기기 설치용 가대 | |
KR101754352B1 (ko) |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
KR101276252B1 (ko) |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 |
KR102213703B1 (ko) |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계장제어반용 다중 보호구 | |
KR101681111B1 (ko) |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 |
KR102155107B1 (ko) |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
KR101839835B1 (ko) | 내진 발전기 | |
US20070057608A1 (en) | Structure of adjustable sliding device | |
KR102319580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물의 바닥패널 설치구조 | |
KR102441121B1 (ko) |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
KR101607240B1 (ko) |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 |
KR101578677B1 (ko) |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 |
KR101739101B1 (ko) | 내진 기능의 케이블 지지 장치를 갖춘 배전반 | |
KR101640439B1 (ko) |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 |
KR101912350B1 (ko) | 내진용 분리구조를 갖는 내진 창호 시스템 | |
KR20170000481A (ko) |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