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121B1 -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121B1
KR102441121B1 KR1020220046148A KR20220046148A KR102441121B1 KR 102441121 B1 KR102441121 B1 KR 102441121B1 KR 1020220046148 A KR1020220046148 A KR 1020220046148A KR 20220046148 A KR20220046148 A KR 20220046148A KR 102441121 B1 KR102441121 B1 KR 10244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housing
upper housing
buffer member
transf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태윤
윤종식
Original Assignee
(주)백산정밀판금
진현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산정밀판금, 진현전기(주) filed Critical (주)백산정밀판금
Priority to KR102022004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 F16F2230/186Control arrangements with manual adjus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4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등의 진동이나 충격 발생 시 그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 및 흡수시켜 수배전반의 전력기기 피해를 최소화하며, 시설물의 하중에 맞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는, 큐비클 프레임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완충부재, 압축 스프링을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 및 너트;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공회전하는 이송 볼트; 이송 볼트에 나선 체결되어 이송 볼트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일단은 이송 볼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에 고정되는 환형의 강성 스프링;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SEISMIC DEVICE FOR ELECTRIC PANEL}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등의 진동이나 충격 발생 시 그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 및 흡수시켜 수배전반의 전력기기 피해를 최소화하며, 시설물의 하중에 맞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특별고압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와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 특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설비, 강압된 전기를 빌딩이나 공장 내 각부의 조명등이나 전기기기로 안전하게 보내는 장치이다.
수배전반은 큐비클 함체 내에 변압기, 개폐기, 피뢰기, 파워퓨즈, 컨버터, 차단기, 검출기, 전산전력계 등의 다양한 전기기기가 설치되고, 이들을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각 기기를 접속하거나 연결하는 도체물로 구비된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 설치된 기초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지진 등에 의한 진동 발생 시 그 충격이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각종 기기가 파손 및 단락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심하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내진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 제10-2070608호로 등록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큐비클 프레임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 상기 큐비클 프레임,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완충부재, 압축 스프링을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 및 너트; 및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며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 밀착부에 의해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판; 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판은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수평부; 수평부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밀착부; 수평부와 탄성 밀착부 경계부에 다수 절곡 또는 만곡된 탄성 절곡부; 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내진장치는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판, 완충부재, 압축 스프링에 의해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특히, 큰 진동 발생 시 탄성 밀착부에서 흡수하고, 작은 진동 발생 시 탄성 절곡부에서 흡수하여 큰 진동과 작은 진동 모두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큐비클 함체 내에 장비가 추가 및 제거되어 하중이 달라지거나 오랜 기간 사용으로 인해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의 탄성이 저하될 경우 큐비클 함체의 하중에 알맞은 스프링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스프링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큐비클 함체를 들어내야 하고 장비에 연결된 모든 케이블을 분리해야 하며 교체 후에는 다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교체하는 과정에서 전력이 차단되어 장비와 연결된 모든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2070608호(2020.01.2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18810호(2015.05.04)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82313호(2015.12.28)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32256호(2016.06.15)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큐비클 함체를 들어내지 않고 단순히 볼트를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의 교체가 불필요한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는,
큐비클 프레임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완충부재, 압축 스프링을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 및 너트;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공회전하는 이송 볼트;
이송 볼트에 나선 체결되어 이송 볼트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일단은 이송 볼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에 고정되는 환형의 강성 스프링;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곡선 홈을 형성하여 강선 스프링의 상하단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강선 스프링의 수직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그 둘레에 외부로 개방된 수직의 슬롯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슬롯에 판 스프링이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은 완충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완충부재에 설치된 판 스프링이 완충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 볼트는 그 상단에 렌치로 돌릴 수 있는 렌치 체결부가 형성되며, 렌치 체결부는 다각의 기둥 모양, 다각의 홈, 볼트 머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각 코너에 수직의 조립공을 관통 형성하되, 조립공의 중앙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여 이에 삽입되는 이송 볼트는 조립공의 볼록한 부위와 선접촉함으로써, 이송 볼트의 기울임 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는 단순히 볼트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 계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의 교체가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큐비클 함체를 들어내지 않아도 되며 전력을 차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비와 연결된 모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재에 구비된 다수의 판 스프링에 의해 완충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측방향에 대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6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내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내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100)는, 큐비클 프레임(2)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1)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2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0); 완충부재(30)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구비되는 다수의 판 스프링(4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50);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완충부재(30), 압축 스프링(50)을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61) 및 너트(62);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공회전하는 이송 볼트(70); 이송 볼트(70)에 나선 체결되어 이송 볼트(7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8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일단은 이송 볼트(7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80)에 고정되는 환형의 강성 스프링(90); 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 프레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모양의 각관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부위가 상부를 향하도록 바닥에 설치된다. 이러한 기초 프레임(1)은 큐비클 함체(3)가 대부분 사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두 변 또는 네 변의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큐비클 프레임(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비클 함체(3)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ㄱ' 모양의 각관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부위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초 프레임(1)과 큐비클 프레임(2)은 개방된 부위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므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으로 본 발명의 내진장치(100)가 설치되고, 진동 발생 시 큐비클 프레임(2)이 수직 방향으로 요동할 경우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비클 프레임(2)의 내부 공간 수평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조립공(11)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원형으로 함몰된 스프링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50)의 상단이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프레임(1)의 내부 공간 수평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의 블록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조립공(21)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원형으로 함몰된 스프링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50)의 하단이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곡선 홈(13)(23)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강선 스프링(90)의 상하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재(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중앙에 조립공(31)이 관통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완충부재(30)는 우레탄 소재로 제조되어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수직 방향에 대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판 스프링(4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구비되는 것으로, 기다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완충부재(30)에 박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30)는 그 둘레에 상하단과 외부로 개방된 수직의 슬롯(3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각 슬롯(32)에 판 스프링(40)이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어 설치된다. 슬롯(32)에 삽입된 판 스프링(40)은 압축 스프링(50)이 감싸며 설치됨으로써 슬롯(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마주보는 면에도 완충부재(30)의 슬롯과 대응되는 슬롯을 상하부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판 스프링(40)은 완충부재(30)의 복원력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측 방향에 대한 진동 특히 비틀림에 대한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이는 완충부재(30)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측 방향에 대한 진동 흡수가 미흡할 수밖에 없는데, 판 스프링(40)이 이를 보완하게 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50)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완충부재(3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50)은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스프링 삽입홈(12)(22)에 상하단이 삽입됨으로써 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50)은 진동 발생 시 압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수직 방향에 대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발생한 진동이 큐비클 함체(3)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조립 볼트(61)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완충부재(30), 압축 스프링(50)을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하우징(2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큐비클 프레임(2)의 상부로 노출된 단부로 너트(62)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조립 볼트(61)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완충부재(30), 압축 스프링(50)은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하우징(20)은 그 저면에 조립 볼트(61)의 머리가 삽입되는 자리파기를 형성하여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자리파기 모양은 조립 볼트(61)의 머리 모양과 동일한 다각으로 형성하여 너트(62) 체결 시 공회전 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송 볼트(7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코너에 각각 공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각 코너에 수직의 조립공(15, 25)을 관통 형성하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공(15, 25)의 중앙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조립공(15, 25)에 이송 볼트(7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송 볼트(70)는 볼록한 부위와 선접촉함으로써, 이송 볼트(70)의 기울임이 가능하고, 기우는 과정에서도 이송 볼트(70)와 조립공(15, 25)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볼트(70)는 외주연에 수나사산(7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렌치로 돌릴 수 있는 렌치 체결부(72)가 형성된다. 여기서 렌치 체결부(72)는 렌치를 이용해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다각의 기둥 모양 또는 다각의 홈으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렌치 체결부(72)는 볼트 머리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조립공에 삽입되는 상하단은 수나사산(71)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승하강대(8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볼트(70)와 나선 체결되는 것으로, 수평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송 볼트(70)와 체결되는 나사공(81)이 형성된다. 승하강대(80)는 하나의 이송 볼트(70)에 하나씩 설치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이송 볼트(70)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승하강대(80)의 양단에 나사공(81)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승하강대(80)는 이송 볼트(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거나 하강한다.
상기 강성 스프링(9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된다. 강성 스프링(90)의 일단은 이송 볼트(60)에 감겨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80)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이송 볼트(60)에 감기는 단부와 하부 하우징(20) 간에는 원통형의 완충재(91)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반원형의 곡선홈(13)(23)을 형성하여 강선 스프링(90)의 상하단이 삽입됨에 따라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강성 스프링(90)은 수직 방향에 대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이러한 강성 스프링(90)은 승하강대(80)의 승하강에 의해 탄성 계수가 달라진다.
즉, 렌치를 이송 볼트(70)의 렌치 체결부(72)에 체결하고 이송 볼트(70)를 회전시키면 승하강대(8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강성 스프링(90)의 탄성 계수가 달라진다. 이때,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간격 변화는 없고 오로지 강성 스프링(90)의 탄성력만 변화된다. 이는 큐비클 함체(3) 내에 장비가 추가되거나 제거되어 하중이 달라질 경우 또는 오랜 기간 사용으로 인해 진동을 흡수하는 강성 스프링(90)의 탄성이 저하될 경우 이송 볼트(70)를 회전시킴으로써 강성 스프링(90)의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강성 스프링(90)의 교체 없이 강성 스프링(90)의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거대한 큐비클 함체(3)를 들어낼 필요가 없고, 전력을 차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비와 연결된 모든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1 : 기초 프레임 2 : 큐비클 프레임
3 : 큐비클 함체 10 : 상부 하우징
11, 21, 31 : 조립공 12, 22 : 스프링 삽입홈
13, 23 : 곡선홈 20 : 하부 하우징
30 : 완충부재 32 : 슬롯
40 : 판 스프링 50 : 압축 스프링
61 : 조립 볼트 62 : 너트
70 : 이송 볼트 71 : 수나사산
72 : 렌치 체결부 80 : 승하강대
81 : 나사공 90 : 강성 스프링
100 : 내진장치

Claims (5)

  1. 큐비클 프레임(2)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1)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2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50);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완충부재(30)를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61) 및 너트(62);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공회전하는 이송 볼트(70); 이송 볼트(70)에 나선 체결되어 이송 볼트(7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8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일단은 이송 볼트(7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80)에 고정되는 환형의 강성 스프링(90); 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함몰된 곡선 홈(13)(23)을 형성하여 강선 스프링(90)의 상하단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강선 스프링(90)의 수직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2. 큐비클 프레임(2)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1)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2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50);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완충부재(30)를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61) 및 너트(62);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공회전하는 이송 볼트(70); 이송 볼트(70)에 나선 체결되어 이송 볼트(7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8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일단은 이송 볼트(7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80)에 고정되는 환형의 강성 스프링(90); 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볼트(70)는 그 상단에 렌치로 돌릴 수 있는 렌치 체결부(72)가 형성되며, 렌치 체결부(72)는 다각의 기둥 모양, 다각의 홈, 볼트 머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3. 큐비클 프레임(2)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10);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 프레임(1)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2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50);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완충부재(30)를 관통하여 조립하는 조립 볼트(61) 및 너트(62);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공회전하는 이송 볼트(70); 이송 볼트(70)에 나선 체결되어 이송 볼트(70)가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대(80);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일단은 이송 볼트(7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승하강대(80)에 고정되는 환형의 강성 스프링(90); 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30)는 그 둘레에 외부로 개방된 수직의 슬롯(3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슬롯(32)에 판 스프링(40)이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50)은 완충부재(3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완충부재(30)에 설치된 판 스프링(40)이 완충부재(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각 코너에 수직의 조립공(15, 25)을 관통 형성하되, 조립공(15, 25)의 중앙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하여 이에 삽입되는 이송 볼트(70)는 조립공(15, 25)의 볼록한 부위와 선접촉함으로써, 이송 볼트(70)의 기울임 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0220046148A 2022-04-14 2022-04-14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441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148A KR102441121B1 (ko) 2022-04-14 2022-04-14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148A KR102441121B1 (ko) 2022-04-14 2022-04-14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121B1 true KR102441121B1 (ko) 2022-09-07

Family

ID=8327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148A KR102441121B1 (ko) 2022-04-14 2022-04-14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133B1 (ko) * 2023-09-08 2024-03-11 주식회사 한성테크 모듈식 내진구조의 전기 배전반
WO2024101786A1 (ko) * 2022-11-07 2024-05-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용 진동 감쇠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10B1 (ko) 2014-06-25 2015-05-13 보명테크 주식회사 내진용 완충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582313B1 (ko) 2015-08-26 2016-01-05 (주)유성계전 내진 수배전반
KR101632256B1 (ko) 2016-01-29 2016-06-22 주식회사 이테크 내진 수배전반
KR101741983B1 (ko) * 2016-12-12 2017-05-31 주식회사동산테크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91284B1 (ko) * 2019-01-11 2019-06-20 사단법인 꿈드래장애인협회 댐핑장치
KR101995248B1 (ko) * 2019-03-13 2019-10-01 (주) 백산정밀판금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KR102070608B1 (ko) 2019-06-11 2020-01-29 (주)대산이엔지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10B1 (ko) 2014-06-25 2015-05-13 보명테크 주식회사 내진용 완충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582313B1 (ko) 2015-08-26 2016-01-05 (주)유성계전 내진 수배전반
KR101632256B1 (ko) 2016-01-29 2016-06-22 주식회사 이테크 내진 수배전반
KR101741983B1 (ko) * 2016-12-12 2017-05-31 주식회사동산테크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91284B1 (ko) * 2019-01-11 2019-06-20 사단법인 꿈드래장애인협회 댐핑장치
KR101995248B1 (ko) * 2019-03-13 2019-10-01 (주) 백산정밀판금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KR102070608B1 (ko) 2019-06-11 2020-01-29 (주)대산이엔지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86A1 (ko) * 2022-11-07 2024-05-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용 진동 감쇠 장치
KR102646133B1 (ko) * 2023-09-08 2024-03-11 주식회사 한성테크 모듈식 내진구조의 전기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121B1 (ko) 탄성 조절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419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0939475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291357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081571B1 (ko)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155995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049407B1 (ko)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구비한 내진형 배전반
KR101597706B1 (ko) 내진기능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수배전반
KR10210034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495094B1 (ko) 배전설비용 내진 장치
KR101227947B1 (ko) 내진 수배전 장치
KR100882296B1 (ko) 진동흡수형 수배전반
KR102064501B1 (ko)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276252B1 (ko)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20210042791A (ko) 배전반 접속함 등 전기관련장비의 내진장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EP3631231B1 (en)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CN109786168B (zh) 隔离开关
KR20200087656A (ko) 댐핑장치
KR101757826B1 (ko) 수배전반의 내진 장치
KR102357043B1 (ko) 수배전반의 지지 구조체
KR102472187B1 (ko) 리프트업 응력 감쇠를 포함한 3축 진동 감쇠 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