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108B1 -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 Google Patents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108B1
KR101706108B1 KR1020160176436A KR20160176436A KR101706108B1 KR 101706108 B1 KR101706108 B1 KR 101706108B1 KR 1020160176436 A KR1020160176436 A KR 1020160176436A KR 20160176436 A KR20160176436 A KR 20160176436A KR 101706108 B1 KR101706108 B1 KR 101706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frame
dry
elastic membe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성진종합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종합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진종합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3Arrangements for noise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몰드변압기의 각 구조간 결합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진(耐震) 발생시 상,하 및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하여 안정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프레임과 상부스페이서 사이에는, 상부스페이서로 상시 가압력을 부여하며 진동 발생시 상부프레임을 탄성 지지하여 상부프레임의 상,하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개재되고, 하부스페이서와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하부프레임에 배치된 상태로 하부스페이서를 수용시켜 하부스페이서의 진동에 따른 수직 하중을 완충시키는 수직완충장치가 구비되며, 하부스페이서의 저부에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진동 발생시 하부프레임의 상,하 및 수평방향 유동을 탄성 지지하는 프리완충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Dry type cast-resin transformer having quake-resistant structure}
본 발명은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 몰드변압기의 각 구조간 결합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진(耐震) 발생시 상,하 및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하여 안정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트랜스라고도 하며 대게 전압을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 기본 구조는 철심의 양쪽에 코일을 감아서 1차 권선과 2차 권선으로 구분하고, 철심은 자속의 통로로 사용되며, 1차권선에 교류전원을 접속하면 전류가 흐르고 철심에는 교번자속(交番磁束)이 발생한다. 이 자속은 2차권선과 쇄교(鎖交)하고 또한 교류전류의 주파수에 따라서 교번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2차권선에 전압이 발생하며, 1차 및 2차 권선된 코일에 따라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철심에 감겨진 코일의 권선 부분을 에폭시(Epoxy) 수지로 몰딩하여 절연한 변압기를 건식 몰드변압기라 하며, 건식 몰드변압기는 절연유 대신에 난연성(難練性) 에폭시를 사용 하므로써 화재의 우려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며 경량(輕量)이기 때문에 빌딩, 아파트, 지하철, 선박 등 여러 분야에 설치되고 있으며, 또한 에폭시 수지로 피막처리되기 때문에 습기, 먼지로부터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수처리 설비에 설치될 수 있다.
건식 몰드변압기는, 고압코일과 저압코일이 분리되어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갖는 상태로 에폭시수지에 의해 몰딩된 코일조립체와, 상기 각 코일조립체를 관통하여 상,하로 노출되게 설치된 복수매로 적층된 규소강판과, 상,하부로 노출된 규소강판을 각각 가압하여 눌러주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부프레임과 코일조립체 사이에는 절연거리를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며, 이 스페이서는 규소강판을 지지하는 상,하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프레임의 저면에는 하부프레임을 지지함으로써 건식 몰드변압기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베이스가 설치된다.
그리고, 건식 몰드변압기에는 1차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단자와 2차전압이 인가되는 2차측단자가 각각 마련되고, 1차측단자들은 결선을 위한 상간리드에 의해 연결되며, 코일조립체의 외면 적소에는 탭전압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탭절환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건식 몰드변압기는, 규소강판의 상,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상,하부프레임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내진(耐震)에 의한 상하 및 수평방향 진동 발생시 상,하부프레임이 틀어지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다.
이렇게 되면,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상측의 스페이서가 코일조립체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에 나사 조립되는 조임볼트만으로 고정됨에 따라, 진동 발생시 상부프레임과 함께 유동하면서 코일조립체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건식 몰드변압기의 전체적인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상하 및 좌우 진동 발생시 각 구조간의 결합관계가 틀어져 기능이 상실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59278호 국내등록특허 제10-14649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스페이서와 상,하프레임이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시에도 스페이서가 계속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건식 몰드변압기가 상,하 및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내진(耐震) 발생시 안정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는, 내부로 코일이 몰딩된 코일조립체와, 상기 코일조립체를 관통하여 상,하로 노출된 복수매의 규소강판과, 상기 규소강판의 노출된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코일조립체와 상기 상,하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하부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건식 몰드변압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스페이서 사이에는, 상기 상부스페이서로 상시 가압력을 부여하며 진동 발생시 상기 상부프레임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하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하부스페이서와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스페이서를 수용시켜 상기 하부스페이서의 진동에 따른 수직 하중을 완충시키는 수직완충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의 저부에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을 지지하면서 진동 발생시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하 및 수평방향 유동을 탄성 지지하는 프리완충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리완충장치는, 고정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상의 고정브라켓과, 길이를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된 상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함체로 구성된 지지베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바; 및 상기 함체의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바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체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완충바의 승강과 일측으로의 쏠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완충바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에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브라켓 방향을 향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관통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에는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하는 결합힌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함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를 수용시켜 상기 제2탄성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스페이서 사이로 상기 제1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스페이서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향하는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조임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완충장치는, 상기 하부스페이서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스페이서의 저면과 접촉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의 수직으로 향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완충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및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에 의하면, 복수개의 스페이서와 상,하프레임이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시에도 스페이서가 계속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건식 몰드변압기가 상,하 및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내진(耐震) 발생시 안정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몰드변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몰드변압기의 구성 중 프리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및 6b는 프리완충장치가 구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의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몰드변압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몰드변압기의 구성 중 프리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및 6b는 프리완충장치가 구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100)는, 내부로 코일이 몰딩된 코일조립체(110)와, 상기 코일조립체(110)를 관통하여 상,하로 노출된 복수매의 규소강판(120)과, 상기 규소강판(120)의 노출된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30) 및 하부프레임(140)과, 상기 코일조립체(110)와 상기 상,하부프레임(130,14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하부스페이서(150,160)를 포함하는 건식 몰드변압기(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상부스페이서(150) 사이에는, 상기 상부스페이서(150)로 상시 가압력을 부여하며 진동 발생시 상기 상부프레임(130)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30)의 상,하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탄성부재(210)가 개재되고,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와 상기 하부프레임(140) 사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40)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스페이서(160)를 수용시켜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진동에 따른 수직 하중을 완충시키는 수직완충장치(2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저부에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140)을 지지하면서 진동 발생시 상기 하부프레임(140)의 상,하 및 수평방향 유동을 탄성 지지하는 프리완충장치(230)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100)는, 내부로 고압코일과 저압코일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규소강판이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에폭시수지에 의해 몰딩된 코일조립체(110)와, 상기 코일조립체(110)의 공간을 관통하여 코일조립체(110)의 상,하로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는 복수매로 이루어진 규소강판(120)과, 코일조립체(110)의 상,하부로 노출된 규소강판(120)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매의 규소강판(120)을 가압력으로 눌러주는 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30) 및 하부프레임(140)과, 상,하부프레임(130,140)과 코일조립체(110) 사이에 복수개로 배치되어 절연거리를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며 상,하부프레임(130,1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상,하부스페이서(150,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코일조립체(110)에는 1차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단자(111)와 2차전압이 인가되는 2차측단자(112)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1차측단자(111)들은 결선을 위한 상간리드(1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코일조립체(110)의 길이방향 중간지점에는 탭전압의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탭절환단자(114)가 마련되어 있다.
위의 서술된 구조들은 통상적인 사항임에 따라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건식 몰드변압기(100)에는 내진에 대한 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완충시키는 제1탄성부재(210)와, 수직완충부재(222) 및 프리완충부재(222)가 구비된다.
제1탄성부재(2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스페이서(150) 사이로 설치되며, 상부스페이서(150)로 상시적으로 가압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30) 측으로도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진동 발생시 상부프레임(130)을 탄성 지지하여 상부프레임(130)의 상,하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스페이서(150) 사이로 제1탄성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상부스페이서(150)의 상면에는 상부프레임(130)을 향하는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211)는 상부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조임볼트(212)에 의해 고정되며, 제1탄성부재(210)는 결합돌기(211)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스페이서(150) 사이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탄성부재(210)는 압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스페이서(15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210)는 각 코일조립체(110)의 상측에 배치된 4개의 상부스페이서(150)에 각각 구비며, 도 1 및 3과 같이 3개의 코일조립체(110)에 총 12개의 위치에서 상부프레임(130)을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특히 내진 발생시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스페이서(150) 간의 상,하 진동에 탁월하게 완충시키게 된다.
또한, 제1탄성부재(210)가 상부스페이서(150)를 상시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진동 발생시에도 상부스페이서(150)가 코일조립체(110)의 상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아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탄성부재(210)를 압축스프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프레임(130)과 상부스페이서(150)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것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각 하부스페이서(160)와 하부프레임(140) 사이에는 수직완충장치(220)가 마련된다.
수직완충장치(220)는, 각 코일조립체(110)의 하부로 4개의 하부스페이서(16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하부프레임(140)에 배치되며, 하부스페이서(160)의 하부를 수용시켜 진동에 따른 하부스페이서(160)의 수직 하중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수직완충장치(220)는, 내측으로 하부스페이서(160)의 외형과 대응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스페이서(160)를 수용하여 진동(내진)발생시 하부스페이서(160)의 상,하 승강을 안내하는 수용부재(221)와, 수용부재(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스페이서(160)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하부스페이서(160)의 상,하 수직으로 향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222)로 구성된다.
이때, 완충부재(222)는 수용부재(221)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시적으로 하부스페이서(160)의 저면과 접촉을 이룬 상태에서 하부스페이서(160)를 향해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직완충장치(220)는 상부스페이서(150)와 같이 코일조립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총 14개의 하부스페이서(160)에 각각 탄성 지지하며, 하부스페이서(16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기 때문에 진동(내진)발생시 하부스페이서(160)가 어느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향하는 코일조립체(110)의 하중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완충부재(222)는 압축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및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222)가 판스프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종류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프리완충장치(230)는 하부스페이서(160)의 저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지면에 앙카볼트 또는 고정수단 등을 통해 고정된 상태로 하부프레임(140)을 지지하면서 진동(내진)발생시 하부프레임(140)의 상,하 및 수평방향(상,하를 기준으로 전후좌우) 유동을 탄성지지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프리완충장치(230)가 하부프레임(140)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설치 개수는 하부프레임(140)의 길이 및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리완충장치(230)는,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지지베이스(231)와, 완충바(240) 및 제2탄성부재(250)로 구성된다.
지지베이스(231)는 하부프레임(140)과 교차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바닥에 앙카볼트 또는 고정수단 등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32)과, 상기 고정브라켓(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 고정브라켓(23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234)을 형성하며, 개방된 상단부에 단턱(235)이 형성된 함체(233)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턱(235)은 도 4 및 5와 같이 후술하는 완충바(240)의 폭 양단부가 걸쳐지도록 함체(233)의 개방된 상단부의 길이방향 말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경되는 구조에 따라 개방된 상단부의 4면에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완충바(240)는 판 상으로 함체(233)의 형상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함체(233)의 수용공간(234)에 수용된 상태로 하부프레임(140)과 결합되어 하부프레임(140)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완충바(240)의 상면에는 하부프레임(140)과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완충바(240)로부터 돌출된 안착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부프레임(140)과의 결합이 완충바(240)의 상면과 이격된 거리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동에 따른 하부프레임(140)의 유동시 함체(233) 상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러한 완충바(240)는 하부프레임(140)과 면대면을 통한 폭 넓은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통해 후술하는 제2탄성부재(250)의 지지를 통해 하부프레임(140)의 진동 즉 실질적인 건식 몰드변압기(100)의 전체적인 무게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제2탄성부재(25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함체(233)의 수용공간(234)에 복수개로 배치되며, 완충바(240)를 탄성 지지한다.
이때, 제2탄성부재(250)는 압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압축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상시적으로 완충바(240)를 향해 압축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250)는 판스프링으로 대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프리완충장치(230)에는 건식 몰드변압기(100)의 진동에 따른 하부프레임(140)의 유동시, 완충바(240)가 함체(233)의 수용공간(234)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쏠림이 방지되도록, 완충바(240)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공(242)이 형성되고, 함체(233)에는 고정공(242)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브라켓(232) 방향을 향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관통슬롯(236)이 형성되며, 고정공(242)에는 관통슬롯(236)을 관통하는 결합힌지(237)가 결합된다.
위의 구조는, 관통슬롯(236)을 통해 결합힌지(237)가 고정공(24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내진)이 순간적으로 발생시 완충바(240)의 위치가 중심을 벗어나지 않고 관통슬롯(236)을 타고 승강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140)을 통해 완충바(240)로 전달되는 건식 몰드변압기(100)의 수직하중을 그대로 받아들여 완충시키게 된다.
또한, 완충바(240)의 일 방향으로 쏠림이 방지됨으로써, 순간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하부프레임(140)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일 방향으로 치우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함체(233)의 내부에는 각 제2탄성부재(250)를 수용시켜 제2탄성부재(2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23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탄성부재(250)의 위치가 항상 설정된 위치를 유지시킴으로써 완충바(240)가 상시적으로 충분한 탄성 지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고정부재(238)를 통해 제2탄성부재(250)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나, 제2탄성부재(250)가 완충바(24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에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구조를 한정하지 않는다.
위와 같은 프리완충장치(230)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완충바(240)가 하부프레임(140)을 지지한 상태로 복수개의 제2탄성부재(250)의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단턱(235)에 지지되어 함체(233)의 수용공간(234)에 배치되어 있다.
이후, 내진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건식 몰드변압기(10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그 진동은 고스란히 하부프레임(140)을 통해 연결된 완충바(240)로 전달된다.
도 6b에는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우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은 완충바(240)의 우측편을 누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우측의 제2탄성부재(250)는 수축되면서 완충바(24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이때, 완충바(240)는 하중이 우측방향에서 가해지지만 우측방향으로 쏠림 없이 관통슬롯(236)을 타고 하강하게 된다.
만일, 완충바(240)의 좌측에서 하중이 가해진다면 우측과 같은 동일한 완충바(240)의 탄성 지지가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프리완충장치(230)는 도면상 좌,우로 가해지는 하부프레임(140) 즉 건식 몰드변압기(100)의 하중을 완충하게 되고, 또한 결합힌지(237)가 함체(233)의 관통슬롯(236)을 관통하여 완충바(24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통슬롯(236)이 고정브라켓(23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함체(233)의 폭 방향 즉 전,후로 가해지는 하중도 완충시키게 된다.
즉, 프리완충장치(230)는 건식 몰드변압기(100)의 하중을 상,하와 수평방향인 전후좌우에서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식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는, 복수개의 스페이서와 상,하프레임이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발생시에도 스페이서가 계속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건식 몰드변압기가 상,하 및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내진(耐震) 발생시 안정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건식 몰드변압기 110 : 코일조립체
120 : 규소강판 130 : 상부프레임
140 : 하부프레임 150 : 상부스페이서
160 : 하부스페이서 210 : 제1탄성부재
211 : 결합돌기 212 : 조임볼트
220 : 수직완충장치 221 : 수용부재
222 : 완충부재 230 : 프리완충장치
231 : 지지베이스 232 : 고정브라켓
233 : 함체 234 : 수용공간
235 : 단턱 236 : 관통슬롯
237 : 결합힌지 238 : 위치고정부재
240 : 완충바 241 : 안착편
242 : 고정공 250 : 제2탄성부재

Claims (7)

  1. 내부로 코일이 몰딩된 코일조립체(110)와, 상기 코일조립체(110)를 관통하여 상,하로 노출된 복수매의 규소강판(120)과, 상기 규소강판(120)의 노출된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30) 및 하부프레임(140)과, 상기 코일조립체(110)와 상기 상,하부프레임(130,14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하부스페이서(150,160)를 포함하는 건식 몰드변압기(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상부스페이서(150) 사이에는, 상기 상부스페이서(150)로 상시 가압력을 부여하며 진동 발생시 상기 상부프레임(130)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30)의 상,하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탄성부재(210)가 개재되고,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와 상기 하부프레임(140) 사이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40)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부스페이서(160)를 수용시켜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진동에 따른 수직 하중을 완충시키는 수직완충장치(22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저부에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140)을 지지하면서 진동 발생시 상기 하부프레임(140)의 상,하 및 수평방향 유동을 탄성 지지하는 프리완충장치(23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완충장치(220)는, 상기 하부스페이서(160)가 수용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용부재(221); 및 상기 수용부재(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저면과 접촉되며, 상기 하부스페이서(160)의 수직으로 향하는 하중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2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완충장치(230)는,
    고정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상의 고정브라켓(232)과, 길이를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23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234)을 형성하며, 개방된 상단부에 단턱(235)이 형성된 함체(233)로 구성된 지지베이스(231);
    상기 수용공간(234)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140)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40)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완충바(240); 및
    상기 함체(233)의 상기 수용공간(234)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바(240)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탄성부재(2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233)의 수용공간(234)에서 상기 완충바(240)의 승강과 일측으로의 쏠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완충바(240)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공(242)이 형성되고, 상기 함체(233)에는 상기 고정공(242)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고정브라켓(232) 방향을 향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관통슬롯(23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242)에는 상기 관통슬롯(236)을 관통하는 결합힌지(23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233)의 내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250)를 수용시켜 상기 제2탄성부재(2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23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상부스페이서(150) 사이로 상기 제1탄성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스페이서(15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30)을 향하는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211)는 상기 상부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조임볼트(21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210)는 상기 결합돌기(21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상부프레임(130)과 상기 상부스페이서(150)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22)는 압축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및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KR1020160176436A 2016-12-22 2016-12-22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KR101706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36A KR101706108B1 (ko) 2016-12-22 2016-12-22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36A KR101706108B1 (ko) 2016-12-22 2016-12-22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08B1 true KR101706108B1 (ko) 2017-02-13

Family

ID=5815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36A KR101706108B1 (ko) 2016-12-22 2016-12-22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08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539B1 (ko) * 2017-05-10 2017-08-07 산일전기 주식회사 몰드 변압기
KR101783370B1 (ko) 2017-06-14 2017-09-29 제이와이케이 주식회사 내진 몰드 변압기
KR101815864B1 (ko) 2017-09-12 2018-01-08 (주)에너테크 내진 변압기
KR101851307B1 (ko) 2017-11-20 2018-04-24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154kv 변전설비 주변압기의 자동 전압조정시스템
KR101957113B1 (ko) * 2018-11-13 2019-03-11 이삼암 내진기능이 구비된 지상변압기
KR101998213B1 (ko) * 2019-05-20 2019-07-09 (주)신우전기 내진 몰드 변압기
EP3508255A1 (en) * 2018-01-04 2019-07-10 Key Engineering Co Ltd Mold transformer with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CN110197761A (zh) * 2019-05-20 2019-09-03 科润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力变压器底座消音器结构
KR102032339B1 (ko) * 2019-06-03 2019-10-15 주식회사 남양이앤에스 내진 몰드 변압기
KR102139902B1 (ko) * 2020-03-18 2020-07-29 박훈양 하이브리드 면진 장치와 내진 기능을 갖는 변압기
KR20200119552A (ko) * 2019-04-10 2020-10-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지지장치
KR20210138235A (ko) * 2020-05-12 2021-11-19 제룡전기 주식회사 고체절연 변압기
KR102428342B1 (ko) * 2021-04-14 2022-08-09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682A (ko) * 2009-09-21 2011-03-29 성진종합전기 주식회사 몰드변압기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완충구조
JP2013207156A (ja) * 2012-03-29 2013-10-0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耐震構造を施したモールド変圧器
KR101339153B1 (ko) * 2013-08-16 2013-12-10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용 코일 고정 조립체
KR101464989B1 (ko) 2014-10-02 2014-11-26 제룡전기 주식회사 내진용 몰드 변압기
KR101561584B1 (ko) * 2015-05-08 2015-10-20 (주)예인일렉컴 변압기
KR101659278B1 (ko) 2016-07-21 2016-09-23 제룡전기 주식회사 내진 몰드 변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682A (ko) * 2009-09-21 2011-03-29 성진종합전기 주식회사 몰드변압기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완충구조
JP2013207156A (ja) * 2012-03-29 2013-10-07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耐震構造を施したモールド変圧器
KR101339153B1 (ko) * 2013-08-16 2013-12-10 주식회사 케이피 일렉트릭 변압기용 코일 고정 조립체
KR101464989B1 (ko) 2014-10-02 2014-11-26 제룡전기 주식회사 내진용 몰드 변압기
KR101561584B1 (ko) * 2015-05-08 2015-10-20 (주)예인일렉컴 변압기
KR101659278B1 (ko) 2016-07-21 2016-09-23 제룡전기 주식회사 내진 몰드 변압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539B1 (ko) * 2017-05-10 2017-08-07 산일전기 주식회사 몰드 변압기
KR101783370B1 (ko) 2017-06-14 2017-09-29 제이와이케이 주식회사 내진 몰드 변압기
KR101815864B1 (ko) 2017-09-12 2018-01-08 (주)에너테크 내진 변압기
KR101851307B1 (ko) 2017-11-20 2018-04-24 기술사사무소 세일엔지니어링(주) 154kv 변전설비 주변압기의 자동 전압조정시스템
EP3508255A1 (en) * 2018-01-04 2019-07-10 Key Engineering Co Ltd Mold transformer with solid aerosol fire extinguisher
KR101957113B1 (ko) * 2018-11-13 2019-03-11 이삼암 내진기능이 구비된 지상변압기
KR102181173B1 (ko) * 2019-04-10 2020-11-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지지장치
KR20200119552A (ko) * 2019-04-10 2020-10-20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변압기 지지장치
KR101998213B1 (ko) * 2019-05-20 2019-07-09 (주)신우전기 내진 몰드 변압기
CN110197761A (zh) * 2019-05-20 2019-09-03 科润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力变压器底座消音器结构
CN110197761B (zh) * 2019-05-20 2024-04-02 科润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电力变压器底座消音器结构
KR102032339B1 (ko) * 2019-06-03 2019-10-15 주식회사 남양이앤에스 내진 몰드 변압기
KR102139902B1 (ko) * 2020-03-18 2020-07-29 박훈양 하이브리드 면진 장치와 내진 기능을 갖는 변압기
KR20210138235A (ko) * 2020-05-12 2021-11-19 제룡전기 주식회사 고체절연 변압기
KR102343178B1 (ko) 2020-05-12 2021-12-29 제룡전기 주식회사 고체절연 변압기
KR102428342B1 (ko) * 2021-04-14 2022-08-09 주식회사 제로원파트너스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108B1 (ko) 내진구조를 갖는 건식 몰드변압기
KR101702349B1 (ko) 평상시 사용성이 개선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783370B1 (ko) 내진 몰드 변압기
KR101608689B1 (ko) 내진 구조체
KR101419308B1 (ko) 3차원 지진격리장치를 갖춘 이중마루 모듈
KR101518810B1 (ko) 내진용 완충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712571B1 (ko) 내진형 몰드 변압기
KR101227947B1 (ko) 내진 수배전 장치
KR101464989B1 (ko) 내진용 몰드 변압기
KR101598350B1 (ko) 수배전반 어셈블리
KR101765489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내진장치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090142B1 (ko) 몰드변압기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완충구조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KR101765539B1 (ko) 몰드 변압기
KR20110108913A (ko) 전기캐비닛 구조물의 지진응답 감쇠를 위한 2방향 동조질량감쇠기
KR102309867B1 (ko) 내진 완충 장치와 코일 스프링을 겸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684291B1 (ko) 진동저감형 보도교
KR20170061032A (ko) 지반 연동판이 장착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2325402B1 (ko) 수변전반용 면진장치
KR101851307B1 (ko) 154kv 변전설비 주변압기의 자동 전압조정시스템
KR20230018827A (ko) 전기설비 케이스용 내진 받침대
KR20180061731A (ko) 방진 장치
KR20120058283A (ko) 면진 가대
CN110528717B (zh) 基于磁流变弹性体的斜撑阻尼器
KR101889337B1 (ko) 몰드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