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470B1 -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470B1
KR101560470B1 KR1020140001792A KR20140001792A KR101560470B1 KR 101560470 B1 KR101560470 B1 KR 101560470B1 KR 1020140001792 A KR1020140001792 A KR 1020140001792A KR 20140001792 A KR20140001792 A KR 20140001792A KR 101560470 B1 KR101560470 B1 KR 10156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information
user
iot dev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743A (ko
Inventor
최준균
양진홍
박효진
김용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0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470B1/ko
Priority to US14/182,006 priority patent/US9686362B2/en
Publication of KR2015008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목록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상기 서비스 목록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통해 생성한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SMART ACCESS POI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USING THE SMART ACCESS POIN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는 기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나 M2M(Machine to Machine)에서 진화된 형태를 띄고 있는데, 기존 M2M이 통신장비(end-device)와 사람과의 통신이 주 목적이었다면, IoT는 사물의 범위를 넓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화기, 책, 온도계 등의 사물을 사람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즉, IoT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의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인 개입 없이도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IoT 이외에도, WoT(Web of Things)나 WoO(Web of Objects)와 같이 다양한 개념과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과 기술들의 발전 및 확산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손쉽게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장치들(가젯(gadget) 디바이스, 센서 디바이스,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의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IoT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특정 공간 환경의 다양한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빌딩의 회의실을 가정할 경우, 사용자가 회의실의 사용 용도에 맞춰 온도, 환기, 조도, 음향 등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특정 공간 환경(110)내에 다양한 IoT 장치들(IoT Devices)이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종래기술에서 사용자(120)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120)의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 IoT 장치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개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과 같은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120)는 사용자(120)의 장치를 통해 스마트 조명과 연관된 서비스에 접속하여 스마트 조명의 조도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각각의 공간 환경들이 매우 다양하게 존재(일례로, 집, 사무실, 회의실 등)하며, 이러한 공간 환경들마다 다수의 IoT 장치들이 존재함을 고려할 때, 다수의 IoT 장치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각각의 개별 서비스들에 접속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있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다.
또한, 사용자의 장치와 IoT 장치들 각각간에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를 가질 뿐, 장치들간의 공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는 제1 IoT 장치와 사용자의 장치간의 관계, 그리고 제2 IoT 장치와 사용자의 장치간의 관계만이 사용될 뿐, 제1 IoT 장치와 제2 IoT 장치가 같은 공간(일례로, 하나의 사무실)에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하나의 공간에서는 일례로, 에어컨과 보일러 및 가습기 등과 같이 서로 연관 및/또는 통합된 제어가 요구된다.
공간에 기반하여 해당 공간상의 IoT 장치들을 연관 및/또는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목록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상기 서비스 목록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통해 생성한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서비스 목록의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목록 요청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상기 서비스 목록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통해 생성한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서비스 목록은,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포함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아이콘과 연관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도 정보가 포함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의도 정보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IoT 제어용 정보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도 정보가 포함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의도 정보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의도 정보는, 상기 의도 정보들의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에 따라 매칭되고, 상기 사용자 의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의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매칭되는 IoT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는, 의도 정보를 호출하는 주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의도 정보의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주소를 통해 호출된 의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관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IoT 호출용 정보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의도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의도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매칭되는 IoT 장치를 확인하는 IoT 장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는, 의도 정보를 호출하는 주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의도 정보의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주소를 통해 호출된 의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호출된 의도 정보의 특성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및/또는 시맨틱 스키마(semantic schema)를 기반으로 해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요청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수신부;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와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되어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공간에 기반하여 해당 공간상의 IoT 장치들을 연관 및/또는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앱 리스트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앱 실행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목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의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의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의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예들을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특정 공간 환경(210)내에 다양한 IoT 장치들(IoT Devices)이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220)는 사용자(220)의 장치를 이용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각각의 IoT 장치들의 서비스들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공간 환경(210)내에 더 포함되어 있는 IoT 장치 제어 마스터(IoT Device Control Master, 230)에 접속할 수 있다.
IoT 장치 제어 마스터(230)는 해당 공간의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서비스를 사용자(220)에게 사용자(220)의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장치 제어 마스터(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 환경(210)내에 다양한 IoT 장치들(IoT Devices)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물 컴퓨팅 환경에서는 특정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장치와 사물 컴퓨팅 환경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장치(Access Point)를 필요로 하며, 연결 장치는 다양한 IoT 장치들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IoT(Internet of Things), WoT(Web of Things), WoO(Web of Objects)와 같은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이외에, 사물 장치(IoT 장치)의 제어 및 가상화를 위한 사물 컴퓨팅 환경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 컴퓨팅 환경은 각각의 IoT 장치들을 가상화하고,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도 2의 IoT 장치 제어 마스터(230)와 같은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되는 IoT 장치들을 직접 동작 및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경우, 연결 장치는 단순히 네트워크 연결통로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연결된 IoT 장치들의 서비스 실행환경으로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스마트 연결 장치상에서는 다양한 사물(일례로, 도 2의 IoT 장치들)의 가상 오브젝트(Virtual Object, VO)가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일례로, 도 2의 사용자(220)는 원하는 가상 오브젝트와의 연동을 통해 IoT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특정 공간에 존재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근하여 원하는 IoT 장치를 제어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연결 장치는 IoT 장치를 원-홉(One-hop) 수준에서 연결하고, 가상 오브젝트 형태로 가상화된 IoT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연결 장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Z-wave, 이더넷(Ethernet), RS232 시리얼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양한 IoT 장치들과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탑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MPU(Micro Processor Unit), JTAG(Joint Test Action Group), SD/MMC(Secure Digital/Multi-Media Card),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S232 Serial, Zigbee/Bluetooth/Z-wave, USB PHY, USB Type A, DDR2/3, Mini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PHY, RJ45, 클로킹(Clocking), 전력 회로(Power Circuit), POR(Power On Reset) Cfg(Configuration)., POE(Power Over Ethernet) 등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은 스마트 연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일 뿐, 스마트 연결 장치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마트 연결 장치로서, 스마트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 블록(Smart Gateway S/W Block, 410)을 나타내고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일반적인 무선 연결 장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함으로써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 420)와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 430)의 두 가지 네트워크의 연결 속성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를 바라볼 경우, 특정 공간(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공간)에 대한 연결 및 정보 관리의 주체로 인식될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연결된 장치간의 브릿지(bridge)로 인식될 수 있다.
특히, 내부(IoT 장치와 연결된 전용 네트워크(430))의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는,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어댑터 기능을 제공하여 원-홉(one-hop)의 거리로 IoT 장치들을 연결함으로써, 해당 IoT 장치의 접속유무, 신호강도 등을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이종 프로토콜을 탑재한 IoT 장치들간의 D2D(Device to Device)나 P2P(Peer to Peer) 통신 시 상호 네트워크 어댑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원-홉 수준의 거리 정보를 파악해 동시/연동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D2D 기능의 제공을 위해 개별 IoT 장치들별로 높은 인텔리전스(intelligence)를 요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형태로 IoT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 블록(410)은 인스턴스 어플리케이션 서버(Instance Application Server, 440), 인스턴스 매니저(Instance Manager, 450), 네트워크 어댑터(Network Adaptor, 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턴스 어플리케이션 서버(440)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형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공중 네트워크(420)의 웹 가능 장치들로 IoT 장치들과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스턴스 매니저(450)는 인스턴스의 생성 및 동작과 관련된 주요 모듈로서, 인스턴스의 생애주기를 관리하고 스케쥴링할 수 있으며, 인스턴스 동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스턴스 엔진(Instance Engine, 451), 인스턴스의 풀링(Pooling)을 위한 인스턴스 풀(Instance Pool, 452) 및 IoT 장치들과 연관된 입출력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메시지 라우터(Message Router, 453)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Network Adaptor, 460)는 스마트 연결 장치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IoT 장치들과 유무선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46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Z-wave, 이더넷(Ethernet), RS232 시리얼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어댑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위해 메시지 파싱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IoT 환경에서 IoT 장치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메시지 포맷을 사용하기 때문에, 근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어댑터(460)는 개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특성에 따라 IoT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인스턴스별 포맷에 알맞게 구조화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리스트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앱 실행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연결 장치와 IoT 장치간의 연결을 위해, 스마트 연결 장치의 인스턴스 매니저상에는 개별 IoT 장치의 가상 오브젝트가 설치(deploy)되어야 한다. 설치된 가상 오브젝트는 개별 IoT 장치를 대표할 수 있다. 가상 오브젝트는 크게 장치 연동형, 매쉬업형으로 나뉠 수 있다. 장치 연동형은 하나 이상의 IoT 장치와 직접 연결된 가상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매쉬업형은 하나 이상의 장치 연동형 가상 오브젝트를 연결한 가상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인스턴스 매니저 상에 설치된 가상 오브젝트를 인스턴스라 부를 수 있으며, 인스턴스들은 인스턴스 매니저 상에서 관리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인스턴스들을 활용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웹 또는 전용 앱 등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가상 오브젝트들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이콘의 형태로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IoT 장치들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형태로 서비스될 수 있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앱(App.)) 아이콘들의 리스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를, 도 6은 가습기(humidifier)와 관련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가습기와 관련된 앱이 실행된 화면의 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710)과 스마트 연결 장치(Smart AP, 720)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방식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하나는, 사용자 단말(71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720)에 접속한 후, 이용 가능한 IoT용 가상 오브젝트 목록을 수신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 도 7에 제1 점선박스(73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710)이 스마트 연결 장치(720)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제1 단계, 스마트 연결 장치(720)가 사용자 단말(710)로 서비스 목록을 전달하는 제2 단계 및 사용자 단말(710)이 스마트 연결 장치(720)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스마트 연결 장치(720)가 무선으로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 프로파일을 요청해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도 7에 제2 점선박스(7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 연결 장치(720)가 사용자 단말(710)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제1 단계, 사용자 단말(710)이 스마트 연결 장치(720)의 사용자 프로파일 요청에 응답하는 제2 단계, 스마트 연결 장치(720)가 사용자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사용자 단말(710)이 스마트 연결 장치(720)로 사용자 의도(intent)를 전달하는 제4 단계 및 스마트 연결 장치(720)가 사용자 의도를 더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도(intent)'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IoT 장치들을 식별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속성, 액션, 타입 및/또는 값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목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810), 관리자(820), 스마트 연결 장치(Smart AP, 830) 및 IoT 장치(IoT Device, 840)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810)와 관리자(820)는 서로 동일한 주체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주체일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사용자(810)와 관리자(820)가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840)는 복수의 IoT 장치들일 수도 있다.
사용자(810)의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접속한 후 스마트 연결 장치(830)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 연결 장치(830)가 IoT 장치(840)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의 이용 가능 여부를 사용자(810)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810)의 장치와 스마트 연결 장치(830)간의 접속은 웹(web)에 기반할 수 있다.
단계(851)에서 관리자(82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와 연결 가능한 IoT 장치(840)의 가상 오브젝트(Virtual Object, VO)를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82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접근하여 가상 오브젝트의 설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단계(851-1)에서 가상 오브젝트를 설치(deploy)할 수 있다.
단계(85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IoT 장치(840)와의 연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84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설치된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연동될 수 있다.
단계(85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가상 오브젝트의 인스턴트 런닝(instance running)(인스턴스가 동작중인가에 대한 정보) 및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상술한 기능들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이후 설명될 공간 IoT 제어 가능 메시지)를 접속한 단말기들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854)에서 사용자(810)는 무선으로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접근할 수 있고, 단계(855)에서 사용자(810)와 스마트 연결 장치(830)간에는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단계(856)에서 사용자(810)는 공간 IoT 제어 가능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IoT 제어 가능 메시지는 단계(85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857)에서 사용자(81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상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스마트 연결 장치(83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858)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사용자(810)의 권한을 파악 한 후, 동작중인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859)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상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사용자(8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860)에서 사용자(81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로 제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859)에서 서비스 목록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IoT 장치(840)의 가상 오브젝트를 대표하는 아이콘 형태로 사용자(810)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810)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공된 아이콘을 이용하여 IoT 장치(8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서비스를 스마트 연결 장치(83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86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IoT 장치(840)로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단계(862)에서 IoT 장치(840)는 스마트 연결 장치(830)로 IoT 제어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840)가 보일러 또는 보일러를 제어하는 장치인 경우, 사용자(810)가 요청한 제어 서비스는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높이기 위한 제어 서비스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단계(861)에서 IoT 장치(840)로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높일 것을 요청(IoT 제어 요청)할 수 있고, IoT 장치(840)는 IoT 제어 요청에 따라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높인 후, 단계(86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로 응답(IoT 제어 응답)할 수 있다.
단계(86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인스턴스 상태를 갱신 및 로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840)가 요청에 따라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15℃에서 18℃로 높이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IoT 장치(840)에 대응하는 인스턴스의 상태를 갱신하여 현재 설정온도를 18℃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온도의 변화를 기록하여 로깅할 수 있다.
단계(864)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사용자(810)에게 제어 서비스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830)는 사용자(810)의 요청에 따라 보일러의 설정온도가 18℃로 변경되었음을 사용자(810)에게 알릴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웹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91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인스턴스 런닝(instance running)(인스턴스가 동작중인가에 대한 정보) 및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사용 가능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91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단계(913)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단계(911)를 재수행할 수 있다.
단계(913)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 후, 리디렉션(redirection) 기능을 통해 스마트 연결 장치의 서비스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914)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의 권한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권한이 파악되는 경우 단계(915)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915)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웹(web) 기반으로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생성하여 응답(웹페이지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생성된 웹페이지로 접근 가능한 URL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916)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연결 장치로 사용자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은 웹상에서 웹페이지를 통해 직접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단계(917)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의 서비스 실행 권한이 인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단계(918) 또는 단계(921)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서비스 실행 권한이 인증된 경우에는 단계(918)가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서비스 실행 권한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921)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918)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IoT 장치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단계(916)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사용자 제어에 기반하여 IoT 장치의 제어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919)에서 IoT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인스턴스의 상태를 갱신 및 로깅할 수 있다.
단계(92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웹에 기반하여 사용자 제어 요청에 응답(웹페이지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IoT 장치 관련 정보인 인스턴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사용자 제어의 요청에 따라 변경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연결 장치는 단계(917)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실행 권한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웹페이지를 통해 실행 권한이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의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1010), 관리자(1020), 스마트 연결 장치(Smart AP, 1030) 및 IoT 장치(IoT Device, 1040)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1010)와 관리자(1020)는 서로 동일한 주체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주체일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사용자(1010)와 관리자(1020)가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1040)는 복수의 IoT 장치들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1010)의 장치 또는 서비스상에서 공간 IoT 환경에 대한 사용자(1010)의 의도(intent)를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1010)의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접속한 후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부터 접근 가능한 의도 목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010)의 장치에서 의도 목록에 기반하여 의도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010)의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 서비스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IoT 장치(104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제어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의도(intent)'는 사용자들의 의도에 따라 IoT 장치들을 식별 및/또는 제어하기 위한 속성, 액션, 타입 및/또는 값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1051)에서 관리자(1020)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와 연결 가능한 IoT 장치(1040)의 가상 오브젝트(Virtual Object, VO)를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1020)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접근하여 가상 오브젝트의 설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단계(1051-1)에서 가상 오브젝트를 설치(deploy)할 수 있다.
단계(105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IoT 장치(1040)와의 연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1040)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설치된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연동될 수 있다.
단계(105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가상 오브젝트의 인스턴트 런닝(instance running) 및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상술한 기능들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이후 설명될 공간 IoT 제어 가능 메시지)를 접속한 단말기들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1054)에서 사용자(1010)는 무선으로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접근할 수 있고, 단계(1055)에서 사용자(1010)와 스마트 연결 장치(1030)간에는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단계(1056)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사용자(1010)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단계(1057)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사용자(10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IoT 장치(1040)와 관련된 제어 정보와 주소, 인증값 등을 포함하는 의도들의 목록일 수 있다.
단계(1058)에서 사용자(1010)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부터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수신하여 의도를 등록할 수 있다.
단계(1059)에서 사용자(1010)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 공간 IoT 제어용 정보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다.
단계(106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사용자(1010)의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단계(1061)에서 사용자(1010)는 사용자 의도에 따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높이고자 하는 사용자 의도에 대해, 사용자(1010)(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사용자(1010)의 기기)는 등록된 의도들 중에서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의도는 사용자의 현재 입력 또는 사용자의 이전 입력(일례로, 스케쥴 정보) 등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1062)에서 사용자(1010)는 공간 IoT 제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10)는 단계(1061)에서 매칭된 의도가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주소 그리고 인증값을 이용하여 공간 IoT 제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일례로, "IoT 장치(1040)가 관리하는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3℃ 높여라"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06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IoT 장치(1040)로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단계(1064)에서 IoT 장치(1040)는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 IoT 제어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1040)가 보일러 또는 보일러를 제어하는 장치인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단계(1063)에서 IoT 장치(1040)로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높일 것을 요청(IoT 제어 요청)할 수 있고, IoT 장치(1040)는 IoT 제어 요청에 따라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높인 후, 단계(1064)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로 응답(IoT 제어 응답)할 수 있다.
단계(1065)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인스턴스 상태를 갱신 및 로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1040)가 요청에 따라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15℃에서 18℃로 높이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IoT 장치(1040)에 대응하는 인스턴스의 상태를 갱신하여 현재 설정온도를 18℃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온도의 변화를 기록하여 로깅할 수 있다.
단계(1066)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사용자(1010)에게 IoT 제어 서비스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1030)는 사용자(1010)의 요청에 따라 보일러의 설정온도가 18℃로 변경되었음을 사용자(1010)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의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111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인스턴스 런닝(instance running) 및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사용 가능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계(111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 단계(1113)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단계(1111)를 재수행할 수 있다.
단계(111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단계(1114)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 단계(1112)를 재수행할 수 있다.
단계(1114)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인증권한 별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1115)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공간 IoT 제어를 스마트 연결 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연결 장치로부터 전달된 IoT 제어용 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사용자 의도들을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 의도에 따라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공간 IoT 제어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6)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의 실행 권한을 인증할 수 있고, 실행 권한이 인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단계(1117) 또는 단계(112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행 권한이 인증된 경우에는 단계(1117)가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실행 권한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112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117)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IoT 장치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단계(1115)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공간 IoT 제어에 기반하여 IoT 장치의 제어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1118)에서 IoT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1119)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인스턴스의 상태를 갱신 및 로깅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의 공간 IoT 제어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의 공간 IoT 제어 요청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와, 수행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인스턴스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연결 장치는 단계(1116)에서 실행 권한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 실행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인증권한, 실행권한 등은 일반 무선 라우터의 보안 인증이나 사용자 단말기의 MAC의 등록 여부 등을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다. 또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웹 의도(web intent) 형식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의도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1210), 관리자(1220), 스마트 연결 장치(Smart AP, 1230) 및 IoT 장치(IoT Device, 1240)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1210)와 관리자(1220)는 서로 동일한 주체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주체일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사용자(1210)와 관리자(1220)가 스마트 연결 장치(1230)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1240)는 복수의 IoT 장치들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스마트 연결 장치(1230)가 사용자 의도를 해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우선, 단계(1251) 내지 단계(1256)는 도 10의 단계(1051) 내지 단계(1056)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1257)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사용자(121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에서 공간 IoT 제어용 정보가 IoT 장치(1040)와 관련된 제어 정보와 주소, 인증값 등을 포함하는 의도들의 목록을 포함한 것과는 다르게, 도 12에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는 호출 주소(웹 의도를 호출할 수 있는 주소에 대한 정보) 및 스키마(일례로, 웹 의도의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 형식에 대한 정보)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사용자(1010)는 의도들의 목록을 이용하여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의도에 따라 공간 IoT 제어를 요청하였다. 반면, 도 12의 사용자(1210)는 단순히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의도를 그대로 스마트 연결 장치(1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1258)에서 사용자(1210)는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1259)는 사용자 의도의 발상을 사용자(1210)가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의도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1210)는 단계(1260)에서 사용자 의도를 스마트 연결 장치(123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126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사용자 의도를 해석하여 가상 오브젝트와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사용자 의도가 포함하는 속성, 액션, 타입 및/또는 값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1210)가 제어하고자 하는 IoT 장치(1240)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를 찾아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사용자 의도의 특성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및/또는 시맨틱 스키마(semantic schema)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오브젝트와의 매핑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126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IoT 장치(1240)로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단계(1263)에서 IoT 장치(1240)는 스마트 연결 장치(1230)로 IoT 제어에 응답할 수 있다.
단계(1264)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인스턴스 상태를 갱신 및 로깅할 수 있다.
단계(1265)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230)는 사용자(1210)에게 사용자 의도의 처리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인증권한은 일반 무선 라우터의 보안 인증이나 사용자 단말기의 MAC의 등록 여부 등을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1310), 관리자(1320), 스마트 연결 장치(Smart AP, 1330) 및 IoT 장치(IoT Device, 1340)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1310)와 관리자(1320)는 서로 동일한 주체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주체일 수도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사용자(1310)와 관리자(1320)가 스마트 연결 장치(1330)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1340)는 복수의 IoT 장치들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스마트 연결 장치(1330)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131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1351) 내지 단계(1355)는 도 12의 단계(1251) 내지 단계(1255)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1356)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사용자(1310)에게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1357)에서 사용자(1310)는 장치 정보를 인증하고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1358)에서 사용자(131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스마트 연결 장치(133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1359)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136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IoT 장치(1340)로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고, 단계(1363)에서 IoT 장치(1340)는 스마트 연결 장치(1330)로 IoT 제어에 응답할 수 있다.
단계(136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인스턴스 상태를 갱신 및 로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사용자(1310)로부터 별도의 지시사항이 없더라도, 사용자별 프로파일에 따라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가 더위를 많이 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해당 사용자와 연관하여 기록된 기존 보일러나 에어컨에 대한 센싱 또는 행위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현재 온도에 따라(온도 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온도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적으로 에어컨을 틀거나 또는 보일러의 설정온도를 낮추도록 연관된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이벤트 히스토리에 따라 장치 별 특정 이벤트 발생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일례로, 이벤트 히스토리에 따라 사용자(1310)가 매일 19시 30분경(15분에서 45분 사이)에 조명을 킨 것으로 판단되고, 19시 35분에 사용자(1310)가 접근한다면,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사용자(1310)의 별도의 지시 없이 조명을 켤 수도 있다.
단계(136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사용자 의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계(1362)는 도 12에서의 단계(106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스마트 연결 장치(1330)는 사용자 의도를 해석하여 가상 오브젝트와의 매칭을 진행하여 사용자 의도에 따른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결 장치(1400)는 도 8의 스마트 연결 장치(83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들로서 서비스 목록 요청 수신부(1410), 서비스 목록 제공부(1420),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1430), IoT 제어 요청부(1440) 및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연관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14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이 수행하는 과정들을 복수의 단계들로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서비스 목록 요청 수신부(14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서비스 목록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목록 제공부(142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서비스 목록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목록은,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포함된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143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서비스 목록을 통해 생성한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IoT 제어 요청부(144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450)는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는 아이콘과 연관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결 장치(1500)는 도 10의 스마트 연결 장치(103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들로서 공간 IoT 제어용 정보 전송부(1510),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1520), IoT 제어 요청부(1530) 및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연관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15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이 수행하는 과정들을 복수의 단계들로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공간 IoT 제어용 정보 전송부(151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의도 정보들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152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공간 IoT 제어용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의도 정보가 포함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도 정보는, 의도 정보들의 목록에서 사용자 의도에 따라 매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의도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IoT 제어 요청부(153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수신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IoT 장치로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540)는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제3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결 장치(1600)는 도 12의 스마트 연결 장치(123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들로서 공간 IoT 호출용 정보 전송부(1610), 사용자 의도 정보 수신부(1620), IoT 장치 확인부(1630), IoT 제어 요청부(1640) 및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연관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16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이 수행하는 과정들을 복수의 단계들로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공간 IoT 호출용 정보 전송부(161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관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는, 의도 정보를 호출하는 주소에 대한 정보 및 의도 정보의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의도 정보 수신부(162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간 IoT 호출용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의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의도 정보는 공간 IoT 호출용 정보가 포함하는 주소를 통해 호출된 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 확인부(1630)는 사용자 의도 정보를 해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사용자 의도 정보에 매칭되는 IoT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의도 정보는, 호출된 의도 정보의 특성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및/또는 시맨틱 스키마(semantic schema)를 기반으로 해석될 수 있다.
IoT 제어 요청부(1640)는 확인된 IoT 장치로 사용자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650)는 확인된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내부 구성의 제4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결 장치(1700)는 도 13의 스마트 연결 장치(133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들로서 사용자 프로파일 요청부(1710), 사용자 프로파일 수신부(1720), IoT 제어 요청부(1730) 및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7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연관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1700)의 구성요소들 각각이 수행하는 과정들을 복수의 단계들로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요청부(171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수신부(172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IoT 제어 요청부(1730)는 스마트 연결 장치와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되어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1740)는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의 각각의 예들에서 가상 오브젝트는 대응하는 IoT 장치를 대표하는 인스턴스(instance)로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연결 장치에 설치(deploy)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예들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400, 1500, 1600 및 1700)는 가상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의 동작 여부 및 상기 IoT 제어의 기능에 대한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예들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1400, 1500, 1600 및 1700)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로깅하는 로깅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 생략된 내용은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간에 기반하여 해당 공간상의 IoT 장치들을 연관 및/또는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목록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상기 서비스 목록으로서 상기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통해 생성한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포함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아이콘과 연관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도 정보가 포함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의도 정보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 정보는, 상기 의도 정보들의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에 따라 매칭되고,
    상기 사용자 의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의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매칭되는 IoT 장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는, 의도 정보를 호출하는 주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의도 정보의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주소를 통해 호출된 의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호출된 의도 정보의 특성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및 시맨틱 스키마(semantic schema)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해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는, 대응하는 IoT 장치를 대표하는 인스턴스(instance)로서,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의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에 설치(deploy)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인스턴스의 동작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로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1.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는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는,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서비스 목록의 요청을 수신하는 서비스 목록 요청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 중 제공 가능한 가상 오브젝트의 목록을 상기 서비스 목록으로서 상기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목록을 통해 생성한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목록은, 상기 가상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포함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아이콘과 연관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13.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는,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고,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공간 IoT 제어용 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IoT 제어용 정보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의도와 매칭되는 의도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의도 정보가 포함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수신된 공간 IoT 제어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제어용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제어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의도 정보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 정보는, 상기 의도 정보들의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에 따라 매칭되고,
    상기 사용자 의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15.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는,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고,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관된 공간 IoT 호출용 정보를 전송하는 공간 IoT 호출용 정보 전송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의도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의도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매칭되는 IoT 장치를 확인하는 IoT 장치 확인부;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에 따른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고, 상기 상태의 갱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IoT 호출용 정보는, 의도 정보를 호출하는 주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의도 정보의 호출에 필요한 파라미터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주소를 통해 호출된 의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의도 정보는, 상기 호출된 의도 정보의 특성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및 시맨틱 스키마(semantic schema)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해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17.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는,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상기 하나의 공간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private network)로 통신하고,
    공간 IoT 제어 기능의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공중 네트워크(public network)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요청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요청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수신부;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와 하나의 공간상에 포함되어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IoT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 IoT 제어를 요청하는 IoT 제어 요청부; 및
    상기 확인된 IoT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확인된 IoT 장치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의 상태를 갱신하는 가상 오브젝트 상태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KR1020140001792A 2014-01-07 2014-01-07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56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792A KR101560470B1 (ko) 2014-01-07 2014-01-07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14/182,006 US9686362B2 (en) 2014-01-07 2014-02-17 Smart access poi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apparatus using the smart access poi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792A KR101560470B1 (ko) 2014-01-07 2014-01-07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43A KR20150082743A (ko) 2015-07-16
KR101560470B1 true KR101560470B1 (ko) 2015-10-16

Family

ID=5349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792A KR101560470B1 (ko) 2014-01-07 2014-01-07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86362B2 (ko)
KR (1) KR101560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5727B2 (en) 2015-12-22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2651A (zh) * 2013-12-10 2015-06-10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基于语义的物联网体系架构模型
JP2016018537A (ja) * 2014-07-11 201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D788116S1 (en) * 2014-08-19 2017-05-30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screen for digital camera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109242A (ko) * 2015-03-10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중심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673959B2 (en) * 2015-03-25 2020-06-02 Intel Corporation Accessing service of Internet of Things
US10594831B2 (en) * 2015-03-26 2020-03-17 Raymond Francis St. Martin Social identity of objects
IN2015DE01659A (ko) * 2015-06-04 2015-07-03 Hcl Technologies Ltd
CN105549399B (zh) * 2015-07-29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室内环境监控方法及物联网终端
KR101636215B1 (ko) * 2015-07-30 2016-07-20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복수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
GB2540957B (en) * 2015-07-31 2019-12-25 Arm Ip Ltd Managing interaction constraints
US9954956B2 (en) * 2015-08-26 2018-04-24 Intel IP Corporation Secure discovery and connection to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a wireless local-area network
KR102390365B1 (ko) * 2015-09-25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0233B1 (ko) * 2015-10-16 2022-05-23 주식회사 바이클립 가상화 서비스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78795B1 (ko) 2015-11-30 2016-11-22 전삼구 블록체인 인증을 이용하는 IoT 기반 사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1347A (ko) * 2015-12-15 2017-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9663A1 (en) 2016-01-06 2017-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57459B1 (ko) 2016-01-29 202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594796B2 (en) 2016-02-09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an IoT control interface from an IoT controller to a user device as part of a video media stream of a wireless media presentation session
KR102651726B1 (ko) 2016-02-19 202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발광 방법
US20170279894A1 (en) * 2016-03-22 2017-09-28 Esmart Tech, Inc. Universal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translator
WO2017183817A1 (en) * 2016-04-22 2017-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KR102169930B1 (ko) * 2016-05-05 2020-10-2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M2M/IoT 플랫폼에서의 시맨틱 정보 관리 방법
US9841968B1 (en) 2016-06-03 2017-12-12 Afero, Inc. Integrated development tool with preview functionality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9846577B1 (en) 2016-06-03 2017-12-19 Afero, Inc. Integrated development tool with preview functionality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WO2017210120A1 (en) * 2016-06-03 2017-12-07 Afero, Inc. Integrated development tool with preview functionality for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JP6514153B2 (ja) * 2016-07-19 2019-05-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制御方法
KR101869519B1 (ko) * 2016-09-20 2018-07-19 주식회사 한컴엠디에스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사물기기 시스템
CN108289110B (zh) * 2017-01-09 2021-10-08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设备关联方法、装置、终端设备和操作系统
US10165054B2 (en) * 2017-03-13 2018-12-25 Kiturami Co., Lt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oT boilers using central management server
US10970138B2 (en) 2017-05-09 2021-04-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applications using a common provisioning service
US10701531B2 (en) 2017-08-09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Environmental sensing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9045745A1 (en) 2017-08-31 2019-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DEVICE INSTALLATION SYSTEM
US10747206B2 (en) * 2017-10-05 2020-08-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lligent data access for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ing latent semantic indexing
US20190140906A1 (en) * 2017-11-09 2019-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optimiz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configuration rules via a gateway
US11647090B2 (en) * 2018-01-15 2023-05-0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patio-cohesive service discovery and dynamic service handover for distributed IoT environments
US20190271137A1 (en) * 2018-03-01 2019-09-05 Armando Garcia Viveros Home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US10681154B2 (en) 2018-03-15 2020-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ateway device allowing multiple infrastructural services to access multiple IoT devices
KR102509465B1 (ko) * 2018-05-07 2023-03-14 구글 엘엘씨 연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복합 그래픽 어시스턴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
CN112313924A (zh) 2018-05-07 2021-02-02 谷歌有限责任公司 提供用于控制各种连接设备的复合图形助理界面
CN108901035B (zh) * 2018-06-29 2021-07-2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物联网终端的识别方法和装置
KR102091126B1 (ko) * 2018-10-24 2020-04-23 전자부품연구원 IoT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에지-클라우드 협업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563818B1 (ko) * 2019-01-07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사물 인터넷 장치의 제어 방법
US11425789B2 (en) 2019-09-03 2022-08-23 GeoPost, Inc. Gateway device
CN112788557B (zh) * 2019-11-08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联网传感器管理方法以及无线访问点
EP4133695A4 (en) * 2020-04-06 2024-05-08 Computime Ltd LOCAL CLOUD THAT IS INTERACTIVE WITH A PUBLIC CLOUD
US11656966B2 (en) 2020-04-06 2023-05-23 Computime Ltd. Local computing cloud that is interactive with a public computing cloud
US11038966B1 (en) 2020-04-28 2021-06-15 Arm Ip Limited Remote device operation
US11664977B2 (en) 2020-07-31 2023-05-30 T-Mobile Usa, Inc. Encryption key management for NB-IoT devices
US11570793B2 (en) 2020-07-31 2023-01-31 T-Mobile Usa, Inc. Connectivity scheduler for NB-IoT devices
US11451397B2 (en) 2020-07-31 2022-09-20 T-Mobile Usa, Inc. Configurable UICC integrated in NB-IoT device
CN112565336A (zh) * 2020-11-06 2021-03-26 西安电子科技大学 智能物联网集中化控制方法、系统、介质、设备及应用
CN115016298A (zh) * 2021-03-04 2022-09-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选择方法及终端
US11296933B1 (en) * 2021-03-26 2022-04-05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ecure low-latency and low-throughput support of rest API in IoT devices
CN113037865B (zh) * 2021-04-07 2023-05-05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物联网设备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1785012B2 (en) 2021-06-07 2023-10-1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ata processing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based on recorded user behavi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9092A1 (en) * 2009-12-28 2012-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data flows between user equipment nodes and clusters of networked resource nodes
KR101558236B1 (ko) * 2012-10-16 2015-10-12 전자부품연구원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5727B2 (en) 2015-12-22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internet of thing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43A (ko) 2015-07-16
US20150195365A1 (en) 2015-07-09
US9686362B2 (en)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470B1 (ko)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579367B1 (ko)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141262A1 (en) Automated service enrollment in a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network
EP30560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ata feed for internet of things
US11277278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06956B1 (en) Using power-line networks to facilitate network access
US9917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dynamic instance hosting service of virtual object
CA3003571A1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007385B1 (en) Terminal peripheral control method, m2m gateway,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2519701B1 (ko) 다양한 프로토콜을 갖는 IoT 디바이스와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IoT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72215A1 (en) Apparatus for Network Bridging
US8443123B2 (en) UPnP control point and UPnP device based on the UPnP network and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3594B1 (ko) 서비스 의도에 기반하여 동적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9187107A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2017068511A (ja) 機器管理方法及び機器管理装置
KR20170085799A (ko)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20130067735A (ko)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것의 모바일 네트워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