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367B1 -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367B1
KR101579367B1 KR1020140014662A KR20140014662A KR101579367B1 KR 101579367 B1 KR101579367 B1 KR 101579367B1 KR 1020140014662 A KR1020140014662 A KR 1020140014662A KR 20140014662 A KR20140014662 A KR 20140014662A KR 101579367 B1 KR101579367 B1 KR 10157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smart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803A (ko
Inventor
최준균
양진홍
김용록
박효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1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367B1/ko
Priority to US14/182,102 priority patent/US9615322B2/en
Publication of KR2015009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공간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은 해당하는 공간상에 더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결됨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는 기존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나 M2M(Machine to Machine)에서 진화된 형태를 띄고 있는데, 기존 M2M이 통신장비(end-device)와 사람과의 통신이 주 목적이었다면, IoT는 사물의 범위를 넓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화기, 책, 온도계 등의 사물을 사람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즉, IoT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의 세 가지 분산된 환경 요소에 대해, 인간의 명시적인 개입 없이도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처리 등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IoT 이외에도, WoT(Web of Things)나 WoO(Web of Objects)와 같이 다양한 개념과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과 기술들의 발전 및 확산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손쉽게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장치들(가젯(gadget) 디바이스, 센서 디바이스,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의 사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IoT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특정 공간 환경의 다양한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빌딩의 회의실을 가정할 경우, 사용자가 회의실의 사용 용도에 알맞게 IoT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황에 맞게 IoT 장치들이 자동으로 온도, 환기, 조도, 음향 등을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특정 공간 환경(110)내에 다양한 IoT 장치들(IoT Devices)이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종래기술에서 사용자(120)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120)의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 IoT 장치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개별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조명과 같은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120)는 사용자(120)의 장치를 통해 스마트 조명과 연관된 서비스에 접속하여 스마트 조명의 조도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각각의 공간 환경들이 매우 다양하게 존재(일례로, 집, 사무실, 회의실 등)하며, 이러한 공간 환경들마다 다수의 IoT 장치들이 존재함을 고려할 때, 다수의 IoT 장치들 각각에 대해 제공되는 각각의 개별 서비스들에 접속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있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다.
또한, 사용자의 장치와 IoT 장치들 각각간에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를 가질 뿐, 장치들간의 공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는 제1 IoT 장치와 사용자의 장치간의 관계, 그리고 제2 IoT 장치와 사용자의 장치간의 관계만이 사용될 뿐, 제1 IoT 장치와 제2 IoT 장치가 같은 공간(일례로, 하나의 사무실)에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하나의 공간에서는 일례로, 에어컨과 보일러 및 가습기 등과 같이 서로 연관 및/또는 통합된 제어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공간이 아닌 다수의 공간들이 서로 연계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건물 입구와 회의실간의 기기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거실과 안방간의 기기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별 IoT 장치의 서비스 또는 하나의 서비스와 연관된 IoT 장치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공간들간의 연계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정 공간상의 IoT 장치들을 연관 및/또는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되, 다수의 공간들에 각각 존재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공간들에서 서로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은 해당하는 공간상에 더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결됨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등록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연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해 발급되는 이메일 주소를 통해 식별되고, 상기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서비스가 상기 공간에 대한 공간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에게,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장치 제어권이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제어권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은 해당하는 공간상에 더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결됨 -; 상기 등록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해 이메일 주소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 요청에 따라, 상기 이메일 주소가 발급된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응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제어권을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서비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서로 서비스 연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방법은 (1)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전파 신호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물리적 위치정보 및 (2) 상기 물리적 위치정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IP 주소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논리적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와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공간적 연속성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된 스마트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접속된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연결된 IoT 장치 중 이상이나 변경상황이 발생한 IoT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의 다른 IoT 장치 또는 상기 접속된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공간과 이웃한 다른 공간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 및 인증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부 및 외부 연동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노출 제어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물리적 위치정보 및 논리적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과 연결되는 IoT 장치와 외부 서비스에 대한 가용 자원을 관리하는 자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정 공간상의 IoT 장치들을 연관 및/또는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되, 다수의 공간들에 각각 존재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공간들에서 서로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공간으로 구성된 건물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공간간의 연계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센싱된 공간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의 내부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IoT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특정 공간 환경(210)내에 다양한 IoT 장치들(IoT Devices)이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220)는 사용자(220)의 장치를 이용하여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각각의 IoT 장치들의 서비스들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공간 환경(210)내에 더 포함되어 있는 IoT 장치 제어 마스터(IoT Device Control Master, 230)에 접속할 수 있다.
IoT 장치 제어 마스터(230)는 해당 공간의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서비스를 사용자(220)의 장치를 통해 사용자(2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장치 제어 마스터(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공간 환경(210)내에 다양한 IoT 장치들(IoT Devices)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물 컴퓨팅 환경에서는 특정 공간에 존재하는 사물장치와 사물 컴퓨팅 환경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 장치(Access Point)를 필요로 하며, 연결 장치는 다양한 IoT 장치들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IoT(Internet of Things), WoT(Web of Things), WoO(Web of Objects)와 같은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이외에, 사물 장치(IoT 장치)의 제어 및 가상화를 위한 사물 컴퓨팅 환경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 컴퓨팅 환경은 각각의 IoT 장치들을 가상화하고,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도 2의 IoT 장치 제어 마스터(230)와 같은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접속되는 IoT 장치들을 직접 동작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장치는 단순히 네트워크 연결통로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연결된 IoT 장치들의 서비스 실행환경으로서의 스마트 연결 장치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스마트 연결 장치상에서는 다양한 사물들(일례로, 도 2의 IoT 장치들)에 대응하는 가상 오브젝트(Virtual Object, VO)가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일례로, 도 2의 사용자(220)는 원하는 가상 오브젝트와의 연동을 통해 IoT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는 IoT 장치를 원-홉(One-hop) 수준에서 연결하고, 가상 오브젝트 형태로 가상화된 IoT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연결 장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Z-wave, 이더넷(Ethernet), RS232 시리얼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양한 IoT 장치들과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탑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MPU(Micro Processor Unit), JTAG(Joint Test Action Group), SD/MMC(Secure Digital/Multi-Media Card),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S232 Serial, Zigbee/Bluetooth/Z-wave, USB PHY, USB Type A, DDR2/3, Mini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PHY, RJ45, 클로킹(Clocking), 전력 회로(Power Circuit), POR(Power On Reset) Cfg.(Configuration), POE(Power Over Ethernet) 등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은 스마트 연결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일 뿐, 스마트 연결 장치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되는 IoT 장치들은 하나의 공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공간들이 존재한다면, 다수의 공간들간의 연계 또는 연동을 위해 공간들의 스마트 연결 장치들이 제어용 서비스 플랫폼인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Smart AP Platform)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 시나리오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이메일 주소 'aaa@abc.com'로 식별되는 사용자 A와 이메일 주소 'bbb@def.re.kr'로 식별되는 사용자 B가 C 건물의 회의실에서 수요일 오후 3시에 회의를 하고자 한다.
(2) 사용자 A는 사용자 A의 스마트폰에서 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B를 (사용자 B의 식별자 'bbb@def.re.kr'를 이용하여) 초대하고, C 건물의 A313 회의실을 예약할 수 있다. 여기서, C 건물의 A313 회의실은 이메일 주소 'CA313@thingsgate.com'이라는 공간 매칭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며, 사용자 A는 캘린더 서비스에서 이메일 주소 'CA313@thingsgate.com'를 초대함으로써, A313 회의실이 사용자 A에 의해 예약될 수 있다. 이때, A313 회의실의 공간에 포함된 IoT 장치들 및 관련 서비스 관리는 A313 회의실에 속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연결 장치에는 사용자들이 협업 환경에서 용이하게 A313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술한 이메일 주소 'CA313@thingsgate.com'를 발급될 수 있다.
(3) 사용자 B가 C 건물의 앞에 도착하여 사용자 B의 스마트폰에서 C 건물의 와이파이 신호가 잡힘과 동시에 C 건물의 연결 정보 서비스의 환영 메시지가 사용자 B의 스마트폰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환영 메시지에 응답하면, 캘린더 서비스를 통해 예약된 약속 정보가 사용자 B의 스마트폰으로 통지될 수 있다.
(4) 사용자 B는 사용자 B의 스마트폰을 통해 와이파이 신호 기반의 위치 안내를 받으며 A313 회의실로 이동할 수 있으며, A313 회의실로 이동하는 과정의 모든 문들에 대한 자동 인증이 이루어져 별도의 ID 태그 없이도 사용자 B는 A313 회의실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3) 및 (4)에서 개별 공간들의 스마트 연결 장치들은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B가 C 건물의 입구에서 한번 인증되면,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을 통해 스마트 연결 장치들간에 인증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사용자 B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에서의 인증 절차의 복잡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B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연속적으로 사용자 B의 스마트폰이 접속되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간의 서비스 정보가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5) 사용자 B가 A313 회의실에 들어서면, 회의실의 전등이 자동으로 켜지고 환기 장치가 가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A가 A313 회의실에 들어서면 프로젝트가 가동되며, 창문의 블라인드가 쳐지고, 전등이 소등될 수 있다. 이러한 IoT 장치들의 자동적인 서비스 외에도, 사용자들은 특정 공간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존재하는 Io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공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시나리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마트 연결 장치간의 연속적인 공간 지능형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공간 내 사람 및 사물 그리고 기기의 상황 변화를 인지 및 추적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멀티 모달 센서와의 연동 기능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분산 환경에서 공간 센서 및 IoT 장치들을 가상화된 형태의 객체를 통해 관리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상황 변화에 따라 동적인 가상환경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서비스 제공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개별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공간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공간 상황 정보를 가상화된 객체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다.
2. 스마트 연결 장치는 사용자 접속 및 기 정의된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 서비스 플랫폼인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으로 전달할 수 있다.
3.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이벤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공간 지능형 서비스를 탐색하고, 이러한 맞춤형 공간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해당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4. 개별 스마트 연결 장치는 가상화 객체들의 제어를 통해 서비스 연속성과 장치 연동형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최초 접속 인지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일례로, 블루투스 비컨(Bluetooth Beacon)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저전력 기반으로 서비스 인보크(service invoke)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4.0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를 지원할 수 있으며, 대다수의 단말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블루투스 기반의 서비스 인보크는 블루트스 스마트 장치 또는 스마트 레디(smart ready) 장치의 경우, 비컨을 이용하여 서비스 인보크가 주로 일어나는 장소(예를 들어, 건물의 현관, 각 층의 계단 또는 엘리베이터 앞 등)에 비컨 모듈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핸드셋(Handset)의 서비스를 웨이크업(wake up) 시키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최초 접속 인지는 와이파이에 최초 접속하는 단말이 서비스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공간으로 구성된 건물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공간간의 연계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건물의 1층을 나타낸 단면도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1층에 AP #1, AP #2, AP #3, AP #4, AP #5, AP #6, AP #7 및 AP #8로 각각 식별되는 8 개의 스마트 연결 장치(Smart Access Point, Smart AP)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점선 화살표(410)는 사용자가 건물의 입구를 통해 101 회의실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단말은 '프론트(Front)'의 스마트 연결 장치 AP #1과 경로 상의 스마트 연결 장치 AP #2, 그리고 101 회의실의 스마트 연결 장치 AP #3과 각각 접속하게 된다.
도 5는 사용자가 건물의 입구에 도착하여 101 회의실에 도착하기까지, 사용자 행동(User Behavior)에 따라 스마트 연결 장치 AP #1, AP#2 및 AP #3과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이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행동 '사용자 입구 진입'이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단말 연결 시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건물의 '입구'로 진입하여 사용자의 단말의 와이파이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사용자의 단말과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단말과 연결이 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사용자 인증 시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사용자의 단말로 인증 허용 여부를 확인받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행동 '인증 허용'이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Smart AP Platform)으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은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사용자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 스마트 연결 장치 AP #1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1는 '사용자 인증 정보 획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연결 장치 AP #1는 '사용자 관련 정보 탐색 요청'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1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으로, 인증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가 존재하는지 질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공간 내 Smart AP 정보 검색' 단계 및 '서비스 확인 및 제어 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사용자가 101 회의실을 예약하였음을 101 회의실의 스마트 연결 장치 AP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를 101 회의실로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를 확인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서비스 실행 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 목록을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행동 '서비스 이용 선택'이 발생하는 경우, 서비스 연결 장치 AP #1은 선택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 회의실로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가 사용자의 단말에서 선택되는 경우, 서비스 연결 장치 AP #1은 101 회의실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행위 '사용자 공간 이동'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연결 장치 AP #2의 공간에 집입하면,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는 '사용자 이동접속 감지 1' 단계 및 '사용자 인증 정보 요청 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을 통해 이동접속 하였음을 확인한 후, 스마트 연결 장치 AP #1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사용자 인증 정보 전달 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로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연결 장치 AP #1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로 전달하였음을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게 알릴 수 있으며,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장치 제어 정보 업데이트 1' 단계 및 '서비스 확인 및 제어 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사용자가 스마트 연결 장치 AP #2에 대응하는 공간에 들어섰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를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확인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는 '서비스 실행 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는 101 회의실로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 이동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 AP #3의 공간에 들어서는 사용자 행위 '101 회의실 도착'이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AP #3은 '사용자 이동접속 감지 2' 단계 및 '사용자 인증 정보 요청 2'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 연결 장치 AP #2는 '사용자 인증 정보 전달 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장치 제어 정보 업데이트 2' 단계 및 '서비스 확인 및 제어 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 AP #3은 '서비스 실행 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AP #3은 101 회의실에 포함된 IoT 장치들을 제어하여 전등을 자동으로 키고, 환기 장치나 냉/난방장치의 가동을 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센싱된 공간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61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센서 또는 IoT 장치의 이벤트를 센싱(Sensing) 및/또는 캡쳐링(Capturing)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이벤트 정보 수신 및 관련 가상객체로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는 센서들 및/또는 IoT 장치들과 연관된 입출력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메시지 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들 및/또는 IoT 장치들은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가상화된 객체로서 관리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가상객체를 통해 이벤트를 처리 및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가상객체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개별 정보의 데이터 타입(일례로, 단위)이 명시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는 이러한 데이터 타입에 기반하여 동일 단위를 사용하는 가상객체에 대해 관련 정보를 취합하여 가중치를 부여 후 값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센서 및/또는 IoT 장치의 물리적 이상 또는 데이터 수신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근접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다른 센서 및/또는 다른 IoT 장치의 정보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센서들 및/또는 IoT 장치들을 통해 서로 다른 기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러한 기온 정보의 값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값을 현재 기온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연결 장치가 온도 센서의 물리적 이상이나 온도 센서와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는, 근접한 다른 스마트 연결 장치를 통해 다른 스마트 연결 장치의 다른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값을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아래 표 1은 데이터 단위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Data type (unit) Description Icon Display
percent 비율을 나타냄 %
onoff 전원 상태 여부 Control Icon
celsius 기온
lockunlock 문 또는 기타 장치의 잠금 상태 Control Icon
lux 조명의 밝기 Lux
kcal heat energy Kcal
cal heat energy Cal
litter 물의 량 L
millilitter 물의 량 ml
openclosed 문 또는 장치의 열림 닫힘 정보 Control Icon
kilowatt 전력 소비 정보 Kw
watt 전력 소비 정보 w
단계(64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공간 상황 제어 정보를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는 공간 상황 제어 정보가 획득된 경우 단계(650)를, 공간 상황 제어 정보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단계(67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으로 공간 상황 제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66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은 스마트 연결 장치의 정보를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67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센서 및/또는 IoT 장치의 장애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68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으로 관련 서비스의 재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680) 이후에는 단계(660)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의 내부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Smart AP Service Platform, 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Smart AP Controller, 710), 노출 제어부(Exposure Controller, 720), 자원 제어부(Resource Controller, 730),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Spatial Smart AP Controller, 740) 및 데이터베이스 제어부(Database Controller, 7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 및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무선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 인스턴스 호스팅 기능이 탑재된 장치의 인증 및 연결 위치 정보 수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 인스턴스 호스팅 기능은 스마트 연결 장치가 IoT 장치들에 대응하는 가상객체들간의 메시지를 라우팅하거나 가상객체에 대응하는 인스턴스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연결 시 해당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고유 정보(일례로, MAC)를 바탕으로 식별자(ID)를 발급하는 식별자/인증 관리부(ID/Auth Manager, 711), 스마트 연결 장치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관리부(Connectivity Manager, 712), IP 주소 및 사용자(일례로, 관리자)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스마트 연결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관리부(Location Manager, 7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 관리부(712)는 동적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연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표 2는 데이터의 입출력과 관련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의 등록 시 수집되는 정보 내역의 예와 와 장치 상태 관련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장치 H/W, S/W 정보 장치 상태 관련 정보
MAC 주소 전파 장애(radio interference) 정보
IP 주소 IoT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
무선 인터페이스 IOT 장치 연결 정보
CPU 클락 IOT 장치 자원 사용 정보
메모리 -
플래시 스토리지 -
OS 코드네임 및 버전 -
인스턴스 매니저 버전 -
여기서, 인스턴스 매니저는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관된 자원(일례로, IoT 장치들)에 대해 수행 가능한 서비스 로직에 대한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프로세스가 발생시키는 메시지를 다른 프로세스 또는 상기 자원으로 전달 및 관리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전파 장애 정보는 스마트 연결 정보 제어부(710)가 주변의 전파 신호 및 서비스 세트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에 대해 주기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IoT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 어플리케이션 타이틀, 태그, 데이터 단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IOT 장치 연결 정보는 IoT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최소 접속 확인 주기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위치 관리부(713)는 스마트 연결 장치가 특정 공간 영역의 1) 공간 제어 및 2) IoT 장치 제어 기능을 마스터 형태로 갖고 있는 경우, 해당 공간에 대한 자원(시간 테이블 기준으로 특정 서비스(또는 사용자))의 제어권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38 회의실에 설치된 스마트 연결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스마트 연결 장치는 등록 시 자원 제어권에 대한 정보를 함께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에 등록할 수 있고, 위치 관리부(713)는 238 회의실이라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제어권을 대표하는 이메일 주소를 발급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급된 이메일 주소를 통해 238 회의실에 대한 공간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
노출 제어부(720)는 개별 스마트 연결 장치의 IoT 어플리케이션, 써드 파티(3rd Party)의 IoT 연동 어플리케이션, 스마트 연결 장치상에 연결된 IoT 장치 및 공간 상황 제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제어부(720)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 및 개별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에 대한 내/외부 연동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제어부(720)는 오픈 API 관리부(Open API Manager, 721), 인증 관리부(OAuth Manager, 722) 및 오픈 ID 관리부(Open ID Manager, 723)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 API 관리부(721)는 오픈 API 형태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들의 인증, 로깅 및 데이터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상에 연결된 가상객체 기반의 서비스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을 통해 공개된 오픈 API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관리부(722)는 OAuth 기반의 사용자 및 서비스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OAuth'는 오픈 API로 개발된 표준 인증 방식으로,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을 거칠 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OAuth'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픈 ID 관리부(723)는 오픈 ID 기반의 사용자 및 서비스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픈 ID에 대해서도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해당 스마트 연결 장치에 이메일 주소를 발급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 정보의 인증을 위해 OAuth나 오픈 ID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연결 장치의 장치 제어 서비스 이용 시, 오픈 API를 통해 인증된 형태로 접근 가능한 방법 외에도, OAuth나 오픈 ID를 이용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상의 장치 제어 서비스에 인증하거나 직접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자원 제어부(730)는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상에 연결된 IoT 장치의 자원을 관리하고 서비스를 직접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원 제어부(730)는 개별 스마트 연결 장치에 연결된 센싱 및 제어형 장치 그리고 연동형 외부 서비스들(일례로, 오픈 API를 통해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의 서비스)에 대한 가용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원 제어부(730)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간 서비스 이동 및 외부 서비스로부터의 스마트 연결 장치 기반의 공간 서비스 가용성 확인 등의 상황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별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에러 상황들에 대한 대응 기능 또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 제어부(730)는 자원 모니터링부(Resource Monitor, 731), 자원 관리부(Resource Manager, 732) 및 인스턴스 관리부(Instance Manager, 73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모니터링부(731)는 지속적인 자원 정보의 모니터링을 통해 해당 센서나 IoT 장치의 이상 또는 변경 상황을 감지하고, 유사장치 또는 근접한 타 장치들을 이용해 관련된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원 관리부(732)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 등록된 IoT 장치를 관리하고, 공간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후 설명될 자원 상태 데이터베이스(Resource Status DB, 752)에 스마트 연결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치의 정보 및 공간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인스턴스 관리부(733)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상에서 공간 및 장치 제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원 상태 데이터는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한 정보(일례로, IoT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의 단위에 대한 정보)와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공간에 대한 정보(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이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 연결 장치의 대표 공간 정보는 스마트 연결 장치의 이메일 주소 발급 시 입력 받는 정보(일례로, 공간 주소 정보, 공간의 건물 내 위치 정보, 공간 정보 애칭, 공간 정보 관리자 계정, 공간 정보 활용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40)는 스마트 연결 장치간의 물리적, 논리적 그리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공간 상황 제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스마트 연결 장 치 제어부(740)는 연결된 스마트 연결 장치의 정보를 조합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들간의 논리적/물리적 맵(Map)을 생성하고, 이러한 맵을 바탕으로 근접한 스마트 연결 장치들의 자원간 상호 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40)는 전파 맵 생성부(Radio MAP Generator, 741), 논리 맵 맵핑부(Logical Map Mapper, 742) 및 관계 관리부(Relation Manager, 7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맵 생성부(741)는 전파 신호를 기반으로 명시적(사용자(관리자)가 등록한 위치정보를 이용) 또는 암묵적인 형태로 스마트 연결 장치간의 공간 정보(전파 맵 정보(스마트 연결 장치의 물리적 위치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논리 맵 맵핑부(742)는 전파 맵 정보 및 사용자 입력정보, IP 주소, 스마트 연결 장치 상에 등록된 장치들의 태그 정보 등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스마트 연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실제 환경의 위치(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 및 개별 건물 내 상대적 위치로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관계 관리부(743)는 스마트 연결 장치간에 등록되어 있는 센서 및/또는 IoT 장치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자원간 관계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간 관계는 장애 또는 오동작 감지 시 대체 가능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서비스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이동 형태의 이벤트 발생시 인접 스마트 연결 장치로 연결 가능한 제어 정보를 전달하고 해당 서비스 기능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연결 장치는 센서 및/또는 IoT 장치의 장애를 감지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으로 관련 서비스 재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은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40)에서 생성된 정보에 기반하여 기존 센서 및/또는 IOT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갖는 동일 또는 주변 스마트 연결 장치의 센서 또는 IoT 장치의 정보를 입력으로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제어부(750)는 개별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제어부(750)는 스마트 연결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Smart AP Info. DB, 751) 및 상술한 자원 상태 데이터베이스(Resource Status DB, 7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단계(801) 내지 단계(807)은 초기 사용자 접속, 인증 및 스마트 연결 장치 연동형 장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801)에서 사용자(850)의 스마트 연결 장치(860)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으로 사용자 장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 등록 요청은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사용자(850)는 스마트 연결 장치(860)의 관리자일 수 있다.
단계(802)에서 사용자(850)의 장치(860)는 스마트 연결 장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 등록에 대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은 스마트 연결 장치(860)로 스마트 연결 장치 관련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연결 장치(860)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으로 스마트 연결 장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자원 제어부(730)로 스마트 연결 장치(86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공간 스마트 연결 정보 제어부(740)로 스마트 연결 장치(860)의 위치 및 관련 정보를 분석하고, 스마트 연결 장치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공간 스마트 연결 정보 제공부(740)는 스마트 연결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751)에 스마트 연결 장치(860)를 등록할 수 있다.
단계(806)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스마트 연결 장치(860)로 연동 장치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된 연동 장치 정보에 대한 분석을 자원 제어부(730)로 요청할 수 있다.
단계(807)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연동 장치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연동 장치 정보를 자원 상태 데이터베이스(751)에 등록할 수 있다.
도 8에서 단계(811) 내지 단계(817)는 서비스 제어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811)에서 사용자(870)의 단말이 등록된 사용자 연결 장치들 중 하나의 사용자 연결 장치(880)로 접근하면, 사용자 연결 장치(880)는 사용자(870)의 단말로 사용자 정보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812)에서 사용자 연결 장치(880)는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으로 사용자 정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인증은 노출 제어부(7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단계(813)에서 노출 제어부(720)는 자원 제어부(730)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814)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 가능 서비스 정보를 탐색 및 추출할 수 있다.
단계(815)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자원 상태 데이터베이스(752)를 통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치들의 자원 가용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816)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노출 제어부(720)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다.
단계(817)에서 노출 제어부(720)는 관련 서비스를 위해 스마트 연결 장치(8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 단계(901) 내지 단계(916)은 사용자의 공간 이동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90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950)는 사용자(870)가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870)의 단말이 접속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902)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950)는 스마트 연결 장치(880)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870)가 스마트 연결 장치(880)의 공간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950)의 공간으로 이동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903)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950)는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서비스 정보를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요청은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로 요청될 수 있다.
단계(904)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자원 제어부(730)로 서비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40)로 연동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906)에서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40)는 스마트 연결 장치(950)상의 서비스 제공 정보를 스마트 연결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751)로 요청하고, 스마트 연결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751)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907)에서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40)는 스마트 연결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751)로부터의 응답에 기반하여 자원 제어부(730)로 연동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의 확인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단계(908)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로 서비스 정보 요청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단계(909)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710)는 스마트 연결 장치(950)로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서비스 정보 요청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950)는 사용자(870)의 단말로 연속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것인가에 대해 질의할 수 있고, 사용자(870)의 단말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911)에서 스마트 연결 장치(950)는 사용자(870)의 단말로부터 연속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는 것에 동의하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노출 제어부(720)로 서비스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912)에서 노출 제어부(720)는 자원 제어부(730)로 서비스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913)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연계 제공 가능 서비스 정보를 탐색 및 추출할 수 있다.
단계(914)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치들의 자원 가용 상황을 자원 상태 데이터베이스(752)를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계(915)에서 자원 제어부(730)는 노출 제어부(720)의 서비스 제어 요청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단계(916)에서 노출 제어부(720)는 스마트 연결 장치(950)의 서비스 제어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연결 장치(950)는 노출 제어부(7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870)에게 연속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공간 상황 제어 정보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700)이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로서, 스마트 연결 장치 서비스는 상황 제어용 기능을 서비스의 형태로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상황 제어용 서비스의 예는 아래 (a) 및 (b)와 같으며, 상황 제어용 서비스는 노출 제어부(720)의 API들과 연계하여 입출력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 공간 관리 서비스 -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가 위치한 공간의 공간 제어권을 가진 서비스로, 이메일 발급 및 해당 계정의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공간 정보의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는 서비스.
(b) 장치 관리 서비스 -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가 연결한 IoT 장치(및/또는 센서)의 제어권(장치 제어권)을 가진 서비스로, 별도의 오픈 API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또한, 공간 상황 제어 정보에 따른 서비스는 크게 다음 (A) 및 (B)와 같이 나눌 수 있다.
(A) 푸시(push) 서비스 - 푸시 서비스는 해당 공간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 시 관련된 주변의 IoT 장치들(및/또는 센서들)에게 해당 공간 상황 정보를 푸시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일례로, 특정 공간에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게 이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공지 성격의 알림을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B) 장치 제어 서비스 -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상에 등록된 특정 서비스가 호출되는 경우, 스마트 연결 장치는 해당 서비스 로직에 해당하는 IoT 장치들(및/또는 센서들)의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공간에 대한 서비스(회의실 예약 등) 이용을 설정해 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서비스와 관련된 장치를 호출 및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센서와 IoT 장치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센서 역시 하나의 IoT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정 공간상의 IoT 장치들을 연관 및/또는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연결 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되, 다수의 공간들에 각각 존재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공간들에서 서로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들 각각에 하나씩 포함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은 해당하는 공간상에 더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결됨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가 포함된 공간에서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가 포함된 공간으로의 이동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외부 서비스에게,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대한 장치 제어권이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부 서비스에 대한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장치 제어권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들 각각에 하나씩 포함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은 해당하는 공간상에 더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와 연결됨 -;
    상기 등록된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해 이메일 주소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 사용자의 공간 제어권 요청에 따라, 상기 이메일 주소가 발급된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응하는 공간에 대한 공간 제어권을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서비스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 제어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상기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서로 서비스 연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1)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전파 신호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물리적 위치정보 및 (2) 상기 물리적 위치정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IP 주소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논리적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비스 제어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상기 제1 스마트 연결 장치와 상기 제2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공간적 연속성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된 스마트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접속된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연결된 IoT 장치 중 이상이나 변경상황이 발생한 IoT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의 다른 IoT 장치 또는 상기 접속된 스마트 연결 장치의 공간과 이웃한 다른 공간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을 통해 구현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를 등록 및 인증하는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내부 및 외부 연동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노출 제어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에 물리적 위치정보 및 논리적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각각과 연결되는 IoT 장치와 외부 서비스에 대한 가용 자원을 관리하는 자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와의 연결 시 해당 장치의 고유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의 식별자를 발급하는 식별자/인증 관리부;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연결 관리부; 및
    IP 주소 및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에서 오픈 API의 형태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들을 인증 및 로깅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간의 데이터를 연동하는 오픈 API 관리부; 및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 및 서비스를 인증하는 인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 중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에 등록된 IoT 장치 및 공간 정보를 관리하고, 자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로부터 수신된 IoT 장치의 정보 및 공간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자원 관리부;
    IoT 장치에 대한 자원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의 이상 또는 변경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이상 또는 변경상황이 감지된 IoT 장치를 대체하기 위한 다른 IoT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원 모니터링부; 및
    상기 스마트 연결 장치 플랫폼상에서 공간 및 장치 제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공간 및 장치 제어용 서비스를 호출하는 인스턴스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IoT 장치는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다른 IoT 장치 또는 상기 특정 스마트 연결 장치에 대응하는 공간과 이웃한 공간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스마트 연결 장치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전파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간의 물리적 위치정보를 구성하는 전파 맵 생성부;
    상기 물리적 위치정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IP 주소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와 연결된 IoT 장치들의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간의 위치정보를 실제 환경의 위치 또는 건물 내의 상대적 위치로 매핑하는 논리 맵 맵핑부;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연결 장치간에 등록된 IoT 장치들의 정보에 기반하여 각각의 자원간 관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관계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맵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논리 맵 맵핑부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와 상기 자원간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장애 또는 오동작이 감지된 IoT 장치를 대체하기 위한 다른 IoT 장치가 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맵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및 상기 논리 맵 맵핑부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와 상기 자원간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이동 시 이동된 공간의 다른 스마트 연결 장치로 이전 공간의 스마트 연결 장치의 서비스와 연결 가능한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0014662A 2014-02-10 2014-02-10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7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62A KR101579367B1 (ko) 2014-02-10 2014-02-10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4/182,102 US9615322B2 (en) 2014-02-10 2014-02-1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662A KR101579367B1 (ko) 2014-02-10 2014-02-10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03A KR20150094803A (ko) 2015-08-20
KR101579367B1 true KR101579367B1 (ko) 2015-12-22

Family

ID=5377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662A KR101579367B1 (ko) 2014-02-10 2014-02-10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15322B2 (ko)
KR (1) KR101579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75A (ko) 2019-12-20 2021-06-30 (주)화이트폭스 스마트 팩토리 가상현실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328B1 (ko) * 2014-10-17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10114351B2 (en) * 2015-03-05 2018-10-30 Google Llc Smart-home automation system that suggests or autmatically implements selected household policies based on sensed observations
US9554240B2 (en) * 2015-03-30 2017-01-24 Nxp Usa, Inc. Multiple connection management for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US9954956B2 (en) * 2015-08-26 2018-04-24 Intel IP Corporation Secure discovery and connection to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a wireless local-area network
US9641553B2 (en) * 2015-09-25 2017-05-0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end-user defined policy management
TWI625047B (zh) * 2015-11-26 2018-05-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網路封包管理伺服器、網路封包管理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KR102651726B1 (ko) 2016-02-19 202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발광 방법
KR102522150B1 (ko) * 2016-03-31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260228B (zh) * 2017-02-20 2021-01-26 新华三技术有限公司 Ap设备、物联网设备以及通信设备
US10547712B2 (en) * 2017-03-14 2020-01-28 Vmware, Inc Reserving physical resources based upon a physical identifier
CN106973114B (zh) * 2017-04-28 2020-10-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接入方法、服务器及系统
KR101961027B1 (ko) * 2017-09-26 2019-03-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US10469600B2 (en) * 2017-11-14 2019-11-05 Dell Products, L.P. Local Proxy for service discovery
US11863905B1 (en) * 2018-05-30 2024-01-02 Amazon Technologies, Inc. Application-based control of devices within an environment
JP7204439B2 (ja) * 2018-11-21 2023-01-16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携帯可能電子装置、icカード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446187A (zh) * 2018-11-22 2019-11-12 权冉(银川)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通信器件的外壳结构及材料
CN110134021A (zh) * 2019-04-29 2019-08-16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311904B (zh) * 2019-06-26 2021-11-16 沃通电子认证服务有限公司 物联网通讯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US10944746B1 (en) * 2019-09-26 2021-03-09 Min Zhua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nternet of things enabled email address (IoTEEA)
CN114095531B (zh) * 2021-10-21 2024-05-14 深圳市有方科技股份有限公司 智慧城市物联网设备的云管理方法以及物联网云平台系统
WO2024111976A1 (ko) * 2022-11-21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가상 iot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76B1 (ko) 2005-12-29 2007-11-08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7571B1 (ko) 2011-05-19 2012-11-06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2692B1 (en) * 1996-12-02 2002-09-17 Sun Microsystems, Inc. Networked printer server
US7095517B1 (en) * 2000-03-17 2006-08-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050239445A1 (en) * 2004-04-16 2005-10-27 Jeyhan Karaoguz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gistration, authentication and access via broadband access gateway
US8902839B2 (en) * 2006-07-05 2014-12-02 Nokia Corporation Service/mobility domain with handover for private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FR2904913B1 (fr) * 2006-08-09 2008-09-26 Alcatel Sa Procede de gestion d'interfonctionnement pour le transfert de sessions de service multiples entre un reseau mobile et un reseau local sans fil, et equipement correspondant
ES2357042T3 (es) * 2006-09-07 2011-04-15 France Telecom Método y sistema de control a distancia de equipos.
US8620342B2 (en) * 2006-10-10 2013-12-31 Broadcom Corporation Sensing RF environment to determine geographic location of cellular base station
KR101105999B1 (ko) * 2010-06-08 2012-01-18 서일대학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을 게이트웨이로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원격 감지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GB2504663B (en) * 2012-06-29 2017-08-02 Neul Ltd Secure Deployment of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9813499B2 (en) * 2013-07-23 2017-11-07 Virtual Strongbox, Inc. Virtual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ccess to the virtual storage system for adding electronic documents
US9612854B2 (en) * 2013-12-18 2017-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izing a remot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76B1 (ko) 2005-12-29 2007-11-08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7571B1 (ko) 2011-05-19 2012-11-06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영준외 2인, "IoT 서비스 지능화를 위한 디바이스 오브젝트화 및 오케스트레이션 메커니즘",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13-01, Vol.38C, 2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75A (ko) 2019-12-20 2021-06-30 (주)화이트폭스 스마트 팩토리 가상현실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15322B2 (en) 2017-04-04
US20150230167A1 (en) 2015-08-13
KR20150094803A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67B1 (ko)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60470B1 (ko) 스마트 연결 장치 및 스마트 연결 장치를 활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230215231A1 (en) Smart building integration and device hub
US10149335B2 (en) Connectivity module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9917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dynamic instance hosting service of virtual object
KR102646526B1 (ko) 기기간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동화된 서비스 등록
US97166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US20160323283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right to resource based on pairing technique and method thereof
KR102246267B1 (ko) 근접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321125A1 (en) Self-diagnosis devic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Mynzhasova et al. Drivers, standards and platforms for the IoT: Towards a digital VICINITY
EP3007385A1 (en) Terminal peripheral control method, m2m gateway,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150213138A1 (en) Thing device based on thing searching browser, and mashup method between things
US20150172215A1 (en) Apparatus for Network Bridging
KR10252553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Elhaloui et al. Toward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IoT devices for smart buildings
KR20200016025A (ko) 공용건물 네트워크를 위한 동적 vpn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