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027B1 -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027B1
KR101961027B1 KR1020170124088A KR20170124088A KR101961027B1 KR 101961027 B1 KR101961027 B1 KR 101961027B1 KR 1020170124088 A KR1020170124088 A KR 1020170124088A KR 20170124088 A KR20170124088 A KR 20170124088A KR 101961027 B1 KR101961027 B1 KR 10196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user
identifier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예은
강학수
김수빈
호윤주
이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2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장소 정보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과 객체들 각각을 서로 관련시켜 맵(map)에 표시하며-상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각 장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객체는 상기 각 장소 정보에 대응됨-,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변경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TERMINAL ANE OPERATING METHOD OF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단말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집안의 디바이스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해 졌으며,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생활에 많은 편익을 제공한다.
최근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의 전자기기 또는 센서 등의 홈 디바이스들을 AP 등의 허브에 유무선으로 연결하며,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홈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디바이스들이 여러 장소들에 설치되면서 사용자가 여러 장소들을 쉽게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24032호(발명의 명칭: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킹 방법,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있다. 해당 선행기술은 홈 서버와 정보 가전 기기들간에 IPv6에 기반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킹 방법을 개시한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장소 정보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과 객체들 각각을 서로 관련시켜 맵(map)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각 장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객체는 상기 각 장소 정보에 대응됨-;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소 정보들은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상기 식별자로 등록한 장소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의 초대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등록된 장소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상기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표시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장소 정보들의 개수는 상기 맵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는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멀티 터치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전술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기록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전술한 단말의 동작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커플링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장소 정보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과 객체들 각각을 서로 관련시켜 맵(map)에 표시하며 -상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각 장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객체는 상기 각 장소 정보에 대응됨-,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변경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소 정보들은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상기 식별자로 등록한 장소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의 초대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등록된 장소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상기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리스트 표시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장소 정보들의 개수는 상기 맵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는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멀티 터치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IoT 기기가 설치된 다수의 물리적 장소들 각각에 해당하는 장소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물리적 장소들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고, IoT 서비스를 쉽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장소 정보들 사이의 전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특정 물리적 장소에 설치된 IoT 기기를 쉽게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집(100)에는 디바이스(140 내지 144)들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설치된 디바이스들(140 내지 144)을 단말(110)을 이용하여 서버(12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및 등록에 의해 서버(120)에서는 사용자의 집 정보는 디바이스들(140 내지 144)과 맵핑될 수 있다.
디바이스(140 내지 144)들은 IoT(Internet of Things) 허브(130)와 페어링되어 IoT 네트워크를 형성될 수 있다. 단말(110)은 IoT 허브(130)를 통해 디바이스들(140 내지 144)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40 내지 144)은, 예를 들어, 도어락, IoT 스위치, IoT 플러그, IoT 멀티탭, IoT 금고, 홈 CCTV, IoT 온도 조절기, IoT 가스 잠금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40 내지 144)은 전술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IoT 허브(130)와 페어링 가능한 모든 기기 또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집(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IoT 장소로 서버(120)에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집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이 마스터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스터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계정을 등록한 장소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마스터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계정이 슬레이브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의 초대에 의해 사용자의 계정이 다른 사용자의 장소 정보에 슬레이브로 포함(또는 등록)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부모님은 자신의 계정으로 자신의 집(101)에 IoT 허브(150) 및 디바이스들(160 내지 163)을 설치하고 집(101)을 IoT 장소로 등록한 후, 사용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초대 메시지에 응답하면, 사용자의 계정은 슬레이브로 부모님 집 정보에 등록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모님 집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이 슬레이브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110)을 통해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 및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 모두를 하나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단말(110)은 사용자의 계정이 포함된 장소 정보들을 서버(120)에게 요청한다(111). 도 1a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계정을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은 사용자의 계정이 마스터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사용자의 계정이 슬레이브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정은 식별자 또는 아이디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계정이 포함된 장소 정보들이 사용자의 집 정보(이하, 우리 집 정보), 사용자의 부모님 집 정보, 및 사용자의 시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여기서, 우리 집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이 마스터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이고,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이 슬레이브로 포함된(또는 등록된) 장소 정보이다. 또한, 서버(120)에서 각 장소 정보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맵핑되어 있다.
서버(120)는 사용자의 계정이 포함된 장소 정보들 및 장소 정보들 각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단말(110)에게 전송한다(121).
단말(110)은 각 장소 정보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 장소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는 객체를 맵(map)에 표시한다(112).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10)은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기초로 우리 집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20)를 맵(210)에 표시할 수 있고, 우리 집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예를 들어, IoT 스위치 및 IoT 플러그)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221)를 맵(2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우리 집에 설치된 IoT 스위치는 현재 꺼져 있는 상태이고 IoT 플러그는 현재 켜져 있는 상태이다.
단말(110)은 객체(220)와 UI(221)를 서로 관련시켜 맵(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단말(110)은 객체(220)의 인접 영역에 UI(22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객체(220)의 다른 인접 영역에 우리 집 정보에 부여된 식별자(예를 들어, 닉네임)(22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우리집"의 닉네임이 객체(220)와 인접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110)은 부모님 집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231)와 부모님 집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30)를 관련시켜 맵(210)에 표시할 수 있고, 부모님 집 정보에 부여된 식별자(23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시댁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241) 및 시댁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40)를 서로 관련시켜 맵(210)에 표시할 수 있고, 시댁 정보에 부여된 식별자(242)를 표시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맵(210) 상에서 사용자의 계정이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구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우리 집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20)의 컬러는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객체(230 및 240)의 컬러와 다를 수 있다.
단말(110)은 맵(210)의 주변 영역(250)에 장소 정보들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단말(110)은 사용자의 계정이 3개의 홈 IoT 장소에 등록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0)은 리스트 표시 버튼(또는 리스트 보기 버튼)(260)을 노출할 수 있다. 리스트 표시 버튼(또는 리스트 보기 버튼)(26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장소 정보들 및 각 장소 정보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도 1로 돌아와서, 단말(110)은 표시된 맵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기초로 동작을 수행한다(113).
이하,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표시 화면을 참조하면서, 단계(113)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표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왼쪽 표시 화면을 참조하면, 터치 이벤트(310 및 311)가 발생한다. 터치 이벤트(310 및 311)는, 일례로, 객체(220) 주변 또는 객체(220)에 사용자의 멀티 터치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터치는, 일례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Pinch in에 해당할 수 있다. Pinch in은 제스처 입력에 대한 예일 뿐, 제스처 입력은 전술한 Pinch in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 이벤트(310 및 311)가 발생하면, 단말(110)은 맵(210)을 확대할 수 있다. 도 3의 오른쪽 표시 화면을 참조하면, 맵(210)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또한, 터치 이벤트(310 및 311)가 발생하면, 단말(110)은 터치 이벤트(310 및 311)가 발생한 객체(220)와 관련된 UI(221)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변경할 수 있다. 단말(110)은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UI(221)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UI(221)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고,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오른쪽 표시 화면에서, 단말(110)은 UI(221)를 통해 IoT 스위치 및/또는 IoT 플러그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UI(221)를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10)은 UI(221)에 포함된 버튼(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례로, 제스처 입력 Tab)있으면, IoT 스위치의 상태 정보를 켜짐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왼쪽 표시 화면과 같이, 단말(110)은 IoT 스위치의 상태 정보를 켜짐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10)은 IoT 스위치가 켜졌다는 메시지를 표시 화면의 하단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10)은 우리 집의 IoT 스위치를 켜지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의 왼쪽 표시 화면에서, 터치 이벤트(410 및 420)가 발생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410 및 420), 일례로, 맵(210)에 대해 사용자의 멀티 터치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터치는, 일례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Pinch out에 해당할 수 있다. Pinch out은 제스처 입력에 대한 예일 뿐, 제스처 입력은 전술한 Pinch out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터치 이벤트(410 및 420)가 발생하면, 단말(110)은 도 4의 오른쪽 표시 화면과 같이 맵(210)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들(221, 231, 및 241)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단말(110)은 선택된 UI에 대응되는 상세 UI를 노출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면서, 상세 UI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왼쪽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는 UI(23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은 UI(231)에 대응되는 상세 UI를 노출할 수 있다. 상세 UI는 선택된 UI(231)와 관련된 객체(230)에 대응되는 장소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 UI(510)는 해당 디바이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오른쪽 표시 화면은 상세 UI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5의 오른쪽 표시 화면을 참조하면, 상세 UI(510)는 부모님 집에 설치된 IoT 플러그의 식별 정보(510), IoT 플러그의 상태 정보(511), 및 IoT 플러그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51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5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현재 꺼져 있는 IoT 플러그를 켜지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세 UI(510)는 부모님 집에 설치된 IoT 스위치의 식별 정보(520), IoT 스위치의 상태 정보(521), 및 IoT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52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522) 내의 전체 켜기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IoT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중앙등 1 및 중앙등 2가 켜지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세 UI(510)는 IoT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개별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532 및 542), 개별 홈 기기의 상태 정보(531 및 541), 및 개별 홈 기기의 식별 정보(530 및 54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53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IoT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중앙등 1을 켜지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사용자가 부모님 집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30)과 관련된 UI(231)를 선택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도 5를 통해 설명한 사항들은 사용자가 우리 집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20)와 관련된 UI(221)를 선택한 경우와 사용자가 시댁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240)와 관련된 UI(241)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10)은 리스트 표시 버튼(또는 리스트 보기 버튼)(26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장소 정보들 및 각 장소 정보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왼쪽 표시 화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맵(210)의 주변 영역에 노출된 리스트 표시 버튼(또는 리스트 보기 버튼)(260)에 제스처 입력 Tab을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은 장소 정보들 및 각 장소 정보에 맵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오른쪽 표시 화면은 리스트의 일례를 보여준다.
리스트에서 사용자의 계정이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가 구별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우리 집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이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이고,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이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이다. 도 6의 오른쪽 표시 화면에서, 우리 집 정보에는 편집 버튼(610)이 노출되어 있고,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에는 편집 보튼이 없다. 해당 편집 버튼(610)을 통해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가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별은 편집 버튼(610)이 아닌 아이콘 등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리스트에서 우리 집 정보에는 마스터를 나타내는 별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고,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에는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우리 집 정보에 대해서는 마스터이므로, 우리 집 정보에 대해선 편집 권한이 있다. 이로 인해, 우리 집 정보에는 편집 버튼(610)이 노출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는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슬레이브이므로,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 각각의 식별자에 대해선 편집 권한이 없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슬레이브인 경우라도 부모님 집 정보 및 시댁 정보 각각에 맵핑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제어할 권한을 가질 수 있다.
편집 버튼(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우리 집 정보의 식별자(222)를 편집하기 위한 UI를 노출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조하면, 단말(110)은 편집 버튼(6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우리 집 정보의 닉네임을 편집하기 위한 UI(710)를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UI(710)를 통해 우리 집 정보의 닉네임을 "우리 집"에서 "my home"으로 변경할 수 있고, 맵(210)에는 "우리 집" 대신에 새로 부여된 식별자 "my home"이 객체(220)의 인접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오른쪽 표시 화면으로 돌아와서, 우리 집 정보의 영역(6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도 5를 통해 설명한 상세 UI를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 집 정보의 영역(6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우리 집에 설치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와 각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상세 UI를 노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모님 집 정보의 영역(630) 또는 시댁 정보의 영역(64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단말(110)은 상세 UI를 노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110)은 통신 인터페이스(810) 및 프로세서(82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810)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장소 정보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서버(120)로부터 수신한다.
프로세서(8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과 객체들 각각을 서로 관련시켜 맵에 표시한다. 이 때,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장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20)는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한다.
프로세서(82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프로세서(820)는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서버(120)로 전송한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은 도 8을 통해 기술된 사항들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장소 정보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과 객체들 각각을 서로 관련시켜 맵(map)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각 장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객체는 상기 각 장소 정보에 대응됨-;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들은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상기 식별자로 등록한 장소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의 초대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등록된 장소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상기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리스트 표시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는 서로 구별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들의 개수는 상기 맵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는 서로 구별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멀티 터치가 있을 때 발생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삭제
  1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커플링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장소 정보들 각각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각각과 객체들 각각을 서로 관련시켜 맵(map)에 표시하며 -상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각 장소 정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객체는 상기 각 장소 정보에 대응됨-,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변경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들은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상기 식별자로 등록한 장소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는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의 초대에 의해 상기 식별자가 등록된 장소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노출하고,
    상기 상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 정보에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태 정보와 상기 맵핑된 디바이스들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리스트 표시 버튼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장소 정보들 및 상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등록된 장소 정보 및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등록된 장소 정보는 서로 구별되는,
    단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들의 개수는 상기 맵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는,
    단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에서 상기 식별자가 마스터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와 상기 식별자가 슬레이브로 포함된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는 서로 구별되는,
    단말.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벤트는 상기 맵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의 멀티 터치가 있을 때 발생하는,
    단말.
KR1020170124088A 2017-09-26 2017-09-26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10196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88A KR101961027B1 (ko) 2017-09-26 2017-09-26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88A KR101961027B1 (ko) 2017-09-26 2017-09-26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027B1 true KR101961027B1 (ko) 2019-03-21

Family

ID=6603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88A KR101961027B1 (ko) 2017-09-26 2017-09-26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0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148A (ko) * 2007-09-19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의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4803A (ko) * 2014-02-10 2015-08-20 한국과학기술원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1212A (ko) * 2015-12-15 2017-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홈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이동식 홈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148A (ko) * 2007-09-19 2009-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의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4803A (ko) * 2014-02-10 2015-08-20 한국과학기술원 공간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1212A (ko) * 2015-12-15 2017-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홈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는 이동식 홈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35997B2 (en) Cloud-synchronized architecture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EP2966617B1 (en) System comprising image data generat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170063611A1 (en) User Configuration Mechanism for Internet-of-Things (IOT)
EP2840813A1 (en)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instance interface of virtualization object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CN104956417A (zh) 用于监测与控制装置的移动应用程序
CN107003836B (zh) 用于所连接的消费者设备的灵活设备模板
EP2963935A1 (en) Multi screen display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US1137261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962947B2 (en)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ppliance
EP33524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management service
KR101797812B1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CN110968367A (zh) 一种电商商品字段配置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40002338A (ko)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61027B1 (ko)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112016B1 (ko) 복수의 IoT 디바이스의 통합 제어를 위한 복합 서비스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0965A (ko) IoT 동시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R102051715B1 (ko)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942711A2 (en) Dynamic generation of proxy connections
KR101828898B1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보일러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EP3745332B1 (en) Systems,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a building automation environment
KR20180098823A (ko) 통합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2333A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JP5578430B2 (ja) 設備制御システム、設備制御装置、設備制御方法および設備制御プログラム
CN106155731B (zh) 可自动更换周边装置的系统及其方法
KR20200021735A (ko) 다수의 디바이스를 하나의 스크린에 노출하는 미러링 서비스의 제어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